KR200376451Y1 - 의자겸용 지팡이 - Google Patents
의자겸용 지팡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76451Y1 KR200376451Y1 KR20-2004-0034716U KR20040034716U KR200376451Y1 KR 200376451 Y1 KR200376451 Y1 KR 200376451Y1 KR 20040034716 U KR20040034716 U KR 20040034716U KR 200376451 Y1 KR200376451 Y1 KR 200376451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hair
- cane
- support rods
- walking
- corn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5/00—Walking sticks or umbrellas convertible into seats; Hunting stick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2—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9/00—Details
- A45B2009/005—Shaf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3/00—Convertible chairs, stools or benches
Landscapes
- Rehabilitation Tool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노약자의 보행을 도모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팡이에 의자 기능을 부가함에 따라, 지팡이를 이용한 보행 중 휴식을 취하거나 착석하고자 하는 경우에, 지팡이를 펼쳐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의자겸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제 1지지봉과; 양쪽단부에 고무캡이 결합된 제 2, 3지지봉과; 원판형태로 등분 분할된 위치에 다수의 결합공이 관통되고, 각각의 결합공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도록 이루어진 연결구와; 세모서리부위 중 일측 모서리부위에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나머지 모서리부위에는 저면에 포켓부가 형성된 좌판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보행을 도모하기 위한 지팡이와 착석을 위한 의자로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노약자들의 보행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하며 누구라도 쉽고 간편·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의자겸용 지팡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노약자의 보행을 도모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팡이에 의자 기능을 부가함에 따라, 지팡이를 이용한 보행 중 휴식을 취하거나 착석하고자 하는 경우에, 지팡이를 펼쳐 의자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의자겸용 지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어 늙게 되면, 허리가 굽게되고 체력이 허약해져 바른 보행이 어렵게 되는 바, 이를 위한 보조 수단으로 지팡이가 사용되고 있다.
지팡이는 노인의 보행은 물론, 다리를 다쳐 혼자서는 보행이 어려운 환자들이 사용하거나, 또는 각종 나들이 및 등산 등을 행함에 있어, 보행 보조수단으로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팡이는 소정 길이를 가지며 선단부가 절곡되어 고리형태의 손잡이부가 형성되고, 끝단부에는 지면과의 접촉시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고무캡이 결합된다.
지팡이의 끝단부는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에 따라, 여러형태로 이루어지는 바, 통상적인 도로 보행을 위해서는 고무캡이 결합되고, 등산이나 야외 나들이 등에 이용되는 경우에는 끝단부를 쐐기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지금까지 사용되고 있는 지팡이는 단순히 보행을 도모하기 위한 보조 수단을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을 뿐, 그 외의 용도로는 거의 사용되지 못하고 있으며, 특히, 노인의 경우에는 장시간 보행시에는 잦은 휴식이 필요하므로, 휴식을 위한 의자가 요구되고 있으나, 현재, 사용되고 있는 지팡이는 휴식을 위한 의자기능을 전혀 갖추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보행 중 휴식을 취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휴대용 의자를 구비하여 휴대해야 되므로, 보행하기 조차 불편한 상태에서, 별도의 의자를 휴대하기가 곤란하고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을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노인의 보행을 도모하기 위해 사용되는 지팡이를 접이식 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접은 상태에서는 보행을 위한 지팡이로 사용하며, 펼친 상태에서는 착석을 위한 의자로 활용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형태의 의자겸용 지팡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보행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는 지팡이에 있어서,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된 제 1지지봉과; 양쪽단부에 고무캡이 결합된 제 2, 3지지봉과; 원판형태로 등분 분할된 위치에 다수의 결합공이 관통되고, 각각의 결합공에는 고정나사가 체결되도록 이루어진 연결구와; 세모서리부위 중 일측 모서리부위에는 끼움공이 형성되며 나머지 모서리부위에는 저면에 포켓부가 형성된 좌판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자겸용 지팡이(1)의 제 1지지봉(10)은 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단부가 절곡되어 손잡이(12)가 형성되게 이루어지며, 제 2, 3지지봉(20, 30)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양쪽단부에 고무캡(22, 32)이 결합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연결구(40)는 원판형태로 등분 분할된 위치에 다수의 결합공(42)이 관통되고, 각각의 결합공(42)에는 고정나사(44)가 체결되도록 이루어며, 좌판(50)은 합성수지 원단으로 이루어지고, 세모서리부위 중 일측 모서리부위에는 끼움공(52)이 형성되며 나머지 모서리부위에는 저면에 포켓부(54)가 형성되게 이루어진다.
이때, 제 1지지봉(10)은 제 2, 3지지봉(20, 30) 보다 소정 길이만큼 길게 이루어 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겸용 지팡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겸용 지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겸용 지팡이를 나타내는 정면도로서, 연결구(40)에 형성된 결합공(42)에 제 1, 2, 3지지봉(10, 20, 30)이 끼워져 결합되고, 각각의 결합공(42)에 끼워져 결합된 제 1, 2, 3지지봉(10, 20, 30)은 고정나사(44)에 의해 회동가능한 상태로 위치 고정되며, 좌판(50)은 세모서리부위 중 어느 일측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끼움공(52)에 의해 제 1지지봉(10)에 끼워져 결합되고, 나머지 모서리부위는 저면에 형성된 포켓부(54)가 제 2, 3지지봉(20, 30) 상단부에 씌워져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좌판(50)의 끼움공(52)이 결합되는 제 1지지봉(10)에는 스토퍼(14)가 결합되어 끼움공(52)에 의해 결합된 좌판(50)이 하방으로 흘러내리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겸용 지팡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연결구(40)에 형성된 결합공(42)에 끼워져 결합된 제 1, 2, 3지지봉(10, 20, 30)을 접어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한 다음, 좌판(50)을 제 1, 2, 3지지봉(10, 20, 30)에 감겨지도록 한 후, 커버(60)를 이용하여 제 1, 2, 3지지봉(10, 20, 30) 하부를 감싸 차폐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제 1지지봉(10)은 제 2, 3지지봉(20, 30) 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이루어져 있으므로, 손잡이(12)가 형성된 상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드러나게 되고, 하단부는 제 2, 3지지봉(20, 30)의 끝단보다 하방으로 소정 길이 만큼 돌출된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겸용 지팡이의 실시예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가 절곡되어 손잡이(12)가 형성된 제 1지지봉(10)과 양쪽 끝단에 고무캡(22, 32)이 결합된 제 2, 3지지봉(20, 30)을 연결구(40)에 형성된 결합공(42)에 끼워 결합하되, 제 1, 2, 3지지봉(10, 20, 30)의 중간 부위 즉, 결합공(42)에 끼워져 위치된 부위를 고정나사(44)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제 1, 2, 3지지봉(10, 20, 30)은 고정나사(44)에 의한 고정점을 기점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제 1지지봉(10)에는 좌판(50)의 일측 모서리부위에 형성된 끼움공(52)이 끼워져 결합되고, 끼움공(52)에 의해 제 1지지봉(10)에 결합된 좌판(50)은 스토퍼(14)에 의해 하방으로 흘러내리지 않게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제 1, 2, 3지지봉(10, 20, 30)이 연결구(40)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면, 좌판(50)의 나머지 모서리부위 저면에 형성된 각각의 포켓부(54)를 제 2, 3지지봉(20, 30) 상단부에 씌워 결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하여, 제 1, 2, 3지지봉(10, 20, 30)이 연결구(40)에 끼워져 결합되고, 좌판(50)의 세모서리부위가 각각 제 1, 2, 3지지봉(10, 20, 30)에 고정되게 결합되면, 의자겸용 지팡이(1)가 완성되는 것으로서, 먼저, 휴식을 취하기 위한 의자로 사용하려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40)에 의해 결합되어진 제 1, 2, 3지지봉(10, 20, 30)을 외측방향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각각의 제 1, 2, 3지지봉(10, 20, 30)이 크로스형태를 취하게 되고, 좌판(50)이 팽팽하게 잡아당겨지면서 펼쳐지게 된다.
따라서, 제 1, 2, 3지지봉(10, 20, 30)에 의해 의자 다리부가 완성되고, 좌판(50)이 형성됨에 따라, 착석을 위한 의자가 완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보행을 위한 지팡이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로스형태로 벌어진 제 1, 2, 3지지봉(10, 20, 30)을 접어 수직상태를 이루도록 하고, 좌판(50)을 접어 감은 상태에서, 커버(60)를 씌우게 되면, 보행을 위한 지팡이가 완성되는 것이다.
이때, 제 1지지봉(10)은 손잡이(12)가 형성된 상단부가 상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드러나게 되고, 하단부는 제 2, 3지지봉(20. 30)의 끝단보다 하방으로 소정 길이 만큼 돌출된 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제 1지지봉(10)에 의한 지팡이 기능을 갖게 된다.
상기 커버(60)는 수직상태로 접어진 제 1, 2, 3지지봉(10, 20, 30)의 일부분을 차폐하여 외관이 간결하고 미려함을 연출하기 위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는 커버(60)를 배제하고 사용하여도 무관하다.
이와 같이하여, 제 1, 2, 3지지봉(10, 20, 30)이 회동되는 접이식으로 이루어지고, 손잡이(1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보행을 위한 지팡이와 착석을 위한 의자로 겸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의자겸용 지팡이를 이용함에 따라, 보행을 도모하기 위한 지팡이와 착석을 위한 의자로 함께 사용할 수 있으므로, 노약자들의 보행에 따른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누구라도 쉽고 간편·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지팡이와 의자를 별도로 각각 구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구입에 따른 비용을 절감하고 휴대에 따른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에 따른 활용성과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경제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겸용 지팡이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겸용 지팡이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의자겸용 지팡이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의자겸용 지팡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팡이 10:제 1지지봉
12:손잡이 20:제 2지지봉
30: 제 3지지봉 40:연결구
50:좌판 60:커버
Claims (3)
- 보행을 위한 보조 수단으로 사용되는 지팡이에 있어서,소정 길이를 가지며, 상단부에 손잡이(12)가 형성된 제 1지지봉(10)과;양쪽단부에 고무캡(22, 32)이 결합된 제 2, 3지지봉(20, 30)과;원판형태로 등분 분할된 위치에 다수의 결합공(42)이 관통되고, 각각의 결합공(42)에는 고정나사(44)가 체결되도록 이루어진 연결구(40)와;세모서리부위 중 일측 모서리부위에는 끼움공(52)이 형성되며, 나머지 모서리부위에는 저면에 포켓부(54)가 형성된 좌판(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지팡이.
- 제 1항에 있어서,상기 제 1지지봉(10)에는 스토퍼(14)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지팡이.
- 제 1항에 있어서,제 1, 2, 3지지봉(10, 20, 30)은 접어진 상태에서 하부 일부위에 커버(60)가 씌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자겸용 지팡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4716U KR200376451Y1 (ko) | 2004-12-07 | 2004-12-07 | 의자겸용 지팡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34716U KR200376451Y1 (ko) | 2004-12-07 | 2004-12-07 | 의자겸용 지팡이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102418A Division KR20060063291A (ko) | 2004-12-07 | 2004-12-07 | 의자겸용 지팡이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76451Y1 true KR200376451Y1 (ko) | 2005-03-11 |
Family
ID=4367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34716U KR200376451Y1 (ko) | 2004-12-07 | 2004-12-07 | 의자겸용 지팡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76451Y1 (ko) |
-
2004
- 2004-12-07 KR KR20-2004-0034716U patent/KR200376451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000983B1 (en) | Folding lounge chair | |
US20080281701A1 (en) | Combination beach towel chair cover | |
US6615431B2 (en) | Portable massage bed | |
US20190174975A1 (en) | Portable toilet | |
KR101241292B1 (ko) | 기능성 지팡이 | |
KR200376451Y1 (ko) | 의자겸용 지팡이 | |
KR20060063291A (ko) | 의자겸용 지팡이 | |
JP3623931B2 (ja) | 携帯用椅子兼用杖 | |
KR101754024B1 (ko) | 유아용 발판 겸용 샴푸의자 | |
KR102136834B1 (ko) | 보조받침대가 부가된 안마기 | |
KR200472698Y1 (ko) | 간이의자가 달린 목발 | |
US20170119160A1 (en) | Flat folding chair | |
KR200466096Y1 (ko) | 머리받침기능을 구비한 샴푸 보조장치 | |
KR200373176Y1 (ko) | 유아용 변기 보조 좌대 | |
KR100858891B1 (ko) | 접이식 의자가 달린 목발 | |
US20040007908A1 (en) | Multi-function rocking chair | |
US20180084849A1 (en) | Blanket with closures for securing to a user | |
CN106420281B (zh) | 带隐形凳的拐杖 | |
CN108402618A (zh) | 带折叠蹲厕座的扶手杖 | |
CN213311441U (zh) | 一种具有座椅功能的老人拐杖 | |
KR200230614Y1 (ko) | 간이의자 | |
CN208192396U (zh) | 一种多功能拐杖 | |
KR20130002873U (ko) | 어린이용 접이식의자 | |
CN210961747U (zh) | 翻转加高坐便椅 | |
CN211298870U (zh) | 一种可伸缩式儿童安全型两用茶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