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230Y1 - 지폐 수납 적층장치의 지폐 적층기 - Google Patents

지폐 수납 적층장치의 지폐 적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230Y1
KR200375230Y1 KR20-2004-0032129U KR20040032129U KR200375230Y1 KR 200375230 Y1 KR200375230 Y1 KR 200375230Y1 KR 20040032129 U KR20040032129 U KR 20040032129U KR 200375230 Y1 KR200375230 Y1 KR 2003752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ed
shaft
fixed
lev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1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명
안일선
김봉근
전양규
여한영
Original Assignee
전양규
안일선
김봉근
김동명
여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양규, 안일선, 김봉근, 김동명, 여한영 filed Critical 전양규
Priority to KR20-2004-00321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2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2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23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2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 G07D11/13Containers for valuable papers with internal means for handling valuable paper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ischarge By Other Means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지폐 수납 적층장치의 지폐 적층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부드럽고 고장이 없는 작동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 특징을 가진다.
[구성]
베이스(1) 윗면에 고정된 고정판(2)의 제1 고정대(2a)에 고정된 감속 모타(3)와, 상기 감속 모타(3)의 모타 축(4)에 고정된 구동 기어(5)와, 상기 제1 고정대(2a)와 반대편의 제2 고정대(2d)에 횡설되는 축(5a) 및 상기 축(5a)에 고정된 채 상기 구동 기어(5)와 치합되는 제1 피동기어(6) 그리고 상기 축(5a) 중앙에 고정되어 피동되는 제2 피동기어(7)와, 상기 제2 피동기어(7)와 치합되는 제3 피동기어(9) 및 핀(11)이 고정되어 있는 2개의 캠(10)이 양단에 고정되는 축(8)과, 상기 축(8)을 지지하는 제3고정대(2e)와, 장공(2c)이 형성되어 있는 제4 고정대(2b)의 장공(2c) 반대쪽에 조립된 축 핀(16)에 일단이 조립되고 장공(13)에는 상기 캠(10)의 핀(11)이 조립되는 2개의 제1 레바(12)와, 상기 제1 레바(12)에 고정된 축 핀(14)에 좌단부가 조립되고 그 우측은 상기 축 핀(16)에 조립되며 상단은 푸셔(22)의 장공(23)에 조립된 축 핀(17)에 조립되어 캠(10)의 회전에 의해 등각 운동을 하는 제 1 레바(12)에 의해 등각 운동을 하는 들쇠(15)와, 상기 제4 고정대(2b)의 장공(2c)에 조립되는 축 핀(19)에 하단부가 조립되고 중앙은 상기 들쇠(15) 중앙에 조립된 축 핀(20)에 조립되고 상단은 푸셔(22)의 축 핀(21)에 조립된 채 상기 들쇠(15)와 함께 등각 운동을 하는 제2 레바(18)와, 상기 제1 레바(12) 및 제2 레바(18) 그리고 들쇠(15)의 연결된 운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며 지폐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셔(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폐 수납 적층장치의 지폐 적층기{Paper money receipter}
본 고안은 지폐 수납 적층장치의 지폐 적층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부드럽고 고장이 없는 작동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크게 향상된 특징을 가진다.
오락기나 현금 교환기, 자판기 등에는 만원 권 지폐를 잔돈 내지는 코인 등으로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장치가 구비되어 있고, 그 장치에는 정상 지폐 여부를 센서를 통해 확인한 후 정상인 지폐일 경우 지폐 진입 통으로 지폐를 이동시키고 비정상적인 지폐일 경우 지폐 투입 구멍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정상 지폐 확인장치와, 정상적인 지폐가 진입되면 즉시 본 고안과 같은 장치를 통해 지폐를 지폐 수납 통으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지폐 진입 통 그리고 자물쇠를 통해 잠그고 열 수 있으며 지폐를 적층 보관시키는 지폐 수납 통이 기본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지폐 진입 통은 본 고안을 커버링 하듯 베이스(1)에 고정되어 있는데, 지폐 수납 적층장치는 통상적인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하지 않는다.
한편, 종래의 지폐 적층기는 본 고안과 같이 지폐 진입 통 안으로 전입된 지폐를 밀어 올리거나 밀어 내리는 타입이 많고 간혹 지폐를 세로로 밀어서 이동시키는 구조도 있다. 그런데, 본 고안과 같이 캠과 X자로 교차하는 레바를 이용하여 푸셔를 작동시키는 것은 공통적으로 채택하고 있으나 본 고안과 같이 다단식으로 감속을 시키며 여러 개의 기어를 사용하여 부드러운 동작을 하는 것이 아니고 감속 모타의 동력이 캠에 직접 전달되고 캠의 회전력은 바로 X자로 교차하는 레바에 전달이 되기 때문에 초기 임펙트가 레바에 강하게 가해져서 부드러운 작동이 되지 못하고 이로써, 레바 및 캠의 내구성이 좋지 못하여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작동 시 마찰 소음이 많이 발생되고 고장이 발생되는 빈도가 높은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지폐 적층기의 문제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구성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베이스(1) 윗면에 고정된 고정판(2)의 제1 고정대(2a)에 고정된 감속 모타(3)와, 상기 감속 모타(3)의 모타 축(4)에 고정된 구동 기어(5)와, 상기 제1 고정대(2a)와 반대편의 제2 고정대(2d)에 횡설되는 축(5a) 및 상기 축(5a)에 고정된 채 상기 구동 기어(5)와 치합되는 제1 피동기어(6) 그리고 상기 축(5a) 중앙에 고정되어 피동되는 제2 피동기어(7)와, 상기 제2 피동기어(7)와 치합되는 제3 피동기어(9) 및 핀(11)이 고정되어 있는 2개의 캠(10)이 양단에 고정되는 축(8)과, 상기 축(8)을 지지하는 제3 고정대(2e)와, 장공(2c)이 형성되어 있는 제4 고정대(2b)의 장공(2c) 반대쪽에 조립된 축 핀(16)에 일단이 조립되고 장공(13)에는 상기 캠(10)의 핀(11)이 조립되는 2개의 제1 레바(12)와, 상기 제1 레바(12)에 고정된 축 핀(14)에 좌단부가 조립되고 그 우측은 상기 축 핀(16)에 조립되며 상단은 푸셔(22)의 장공(23)에 조립된 축 핀(17)에 조립되어 캠(10)의 회전에 의해 등각 운동을 하는 제 1 레바(12)에 의해 동작 운동을 하는 들쇠(15)와, 상기 제4 고정대(2b)의 장공(2c)에 조립되는 축 핀(19)에 하단부가 조립되고 중앙은 상기 들쇠(15) 중앙에 조립된 축 핀(20)에 조립되고 상단은 푸셔(22)의 축 핀(21)에 조립된 채 상기 들쇠(15)와 함께 등각 운동을 하는 제2 레바(18)와, 상기 제1 레바(12) 및 제2 레바(18) 그리고 들쇠(15)의 연결된 운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며 지폐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셔(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과 사용 요령을 살핀다.
먼저 본 고안은 상기 지폐 진입 통과 정상 지폐 확인장치가 고정되는 베이스(1)를 준비하고 도1 기준하여 좌측부에 정상 지폐 확인장치를 고정시키고, 본 고안 구성품 전체를 커버링 하는 지폐 진입장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지폐 진입통의 위에는 지폐 수납 통이 조립되며 본 고안의 푸셔(22)가 한 장씩 밀어 올리는 지폐를 적층시켜 보관하게 되는데, 일단 푸셔(22)에 의해 밀려 올라간 지폐는 스토퍼에 걸려서 추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일련의 기술들은 통상적인 것이므로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상기 베이스(1) 위에는 도면과 같이 고정판(2)을 고정시키는데, 고정판(2)의 구조는 도면에 도시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다소 변화되거나 연결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음, 상기 고정판(2)과 직각으로 직립되어 있는 제1 고정대(2a)에는 감속 모타(3)를 고정시키고 후방의 제2 고정대(2d)와 제1 고정대(2a)에는 축(5a)을 조립시키고 축(5a)의 중앙에는 제2 피동기어(7)를, 축(5a)의 끝에는 제1 피동기어(6)를 고정시켜서 모타 축(4)의 구동 기어(5)와 제1 피동기어(6)가 치합되도록 한다. 다음, 도2 기준하여 제1 고정대(2a)와 제2고정대(2d)의 우측에는 제3 고정대(2e)를 직립시켜서 역시 축(8)을 조립시키되 축(8)의 중앙에는 제2 피동기어(7)와 치합되는 제3 피동기어(9)를 고정시키고 양단에는 핀(11)을 가지는 캠(10)을 고정시킨다. 이어서 캠(10)의 핀(11)이 삽입된 채 직선 운동을 하도록 장공(13)이 형성된 2개의 제1 레바(12)의 하단부를 제4 고정대(2b) 좌측에 조립되어 있는 축 핀(16)에 조립시키고, 위 제1 레바(12)에 조립된 축 핀(14)에는 "V"형으로 된 들쇠(15)의 좌단부를 조립시킨다. 이와 동시에 위 들쇠(15)의 하단 정점부는 위 축 핀(16)에 조립되도록 한다.
다음, 축 핀(19)이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는 장공(2c)이 형성되고 위 고정판(2)을 기준하여 직립이 된 대칭형의 제4 고정대(2b)의 축 핀(19)에는 2개의 제2 레바(18)의 하단부를 조립시키고 중앙 부분은 위 들쇠(15)의 중앙에 조립되어 있는 축 핀(20)에 조립시킨다. 마지막으로 들쇠(15) 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축 핀(17)은 푸셔(22)의 장공(23)에 조립되어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레바(18)의 좌단부는 푸셔(22)에 조립되어 있는 축 핀(21)에 조립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감속 모타(3)의 회전력에 의해 최종적으로 푸셔(22)가 상하 운동을 하는 것인데, 이러한 기술적 사상은 기본적인 것으로 고도의 이해력은 요구되지 않는 바,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개의 기어를 사용하고 직선 운동이나 회전 운동이 아닌 부드러운 등각 운동을 하는 제1 레바(12)와 들쇠(15)를 사용하여 부드럽고 소음이 거의 없으며 초기 임펙트가 구성품에 영향을 주지 않아 종래 지폐 적층기의 단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감속 모타(3)가 회전하여 구동 기어(5)가 회전하면 그 힘은 제1 피동기어(6)와 제2 피동기어(7)를 거쳐 제3 피동기어(9)로 부드럽게 전달이 되고 이어서 캠(10) 역시 갑작스러운 회전을 하는 것이 아니고 부드럽고 정숙한 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캠(10)의 핀(11)이 장공(13)에 삽입되어 있는 제1 레바(12)는 도3의 상태(푸셔의 하강 위치)에서 축 핀(16)을 회전축으로 하여 45도 이내의 등각 운동을 하게 되며, 제1 레바(12)의 운동에 따라 좌단부가 제1 레바(12)의 축 핀(14)에 조립되어 있고 하단 정점부가 제4 고정대(2b)의 축 핀(16)에 조립되어 있는 들쇠(15) 역시 축 핀(16)을 회전축으로 하여 45도 이내의 등각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들쇠(15)의 우단부는 푸셔(22)의 장공(23)에 삽입되어 있는 축 핀(17)에 조립이 되어 있고 제2 레바(18)의 좌단부도 푸셔(22)의 축 핀(21)에 조립이 되어 있다. 이어서 들쇠(15)의 축 핀(20)에 중앙부가 조립이 되고 하단부는 제4 고정대(2b)의 장공(2c)에 삽입되어 있는 축 핀(19)에 조립이 된 제2 레바(18) 역시 들쇠(15)와 함께 45도 이내의 등각 운동을 하게 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푸셔(22)는 도4와 같이 최상점에 이르게 되는데, 이때 제1 레바(12)는 도4와 같이 거의 수평 상태가 된다.
다시 말해서, 지폐가 이동하여 푸셔(22) 위에 오도록 대기하는 상태는 도3의 상태이며 푸셔(22) 위에 지폐가 위치함과 동시에 지폐를 밀어 올려서 상술한 지폐수납 통 안으로 밀어 올린 상태가 도4가 되는 것인 바, 도4와 같이 지폐를 밀어 올린 후 즉시 도3과 같은 대기 상태로 원위치를 하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이치이다. 한편, 상기 푸셔(22)의 윗면에는 또 다른 플레이트를 부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등각 운동을 하는 제1 레바 및 들쇠를 사용하고 여러 개의 기어를 사용하여 감속 모타로부터 발생된 동력이 푸셔에 까지 부드럽고 정숙하게 전달이 되도록 하여 작동 시 충격이나 소음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써 장치의 내구성이 크게 향상되어 고장이 거의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최소한의 유지보수 만으로도 오랜 시간동안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이 우수한 등의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참고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평면도.
도3, 4는 본 고안의 푸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베이스 2: 고정판
3: 모타 10: 캠
12: 제1 레바 15: 들쇠
18: 제2 레바 22: 푸셔

Claims (1)

  1. 베이스(1) 윗면에 고정된 고정판(2)의 제1 고정대(2a)에 고정된 감속 모타(3)와, 상기 감속 모타(3)의 모타 축(4)에 고정된 구동 기어(5)와, 상기 제1 고정대(2a)와 반대편의 제2 고정대(2d)에 횡설되는 축(5a) 및 상기 축(5a)에 고정된 채 상기 구동 기어(5)와 치합되는 제1 피동기어(6) 그리고 상기 축(5a) 중앙에 고정되어 피동되는 제2 피동기어(7)와, 상기 제2 피동기어(7)와 치합되는 제3 피동기어(9) 및 핀(11)이 고정되어 있는 2개의 캠(10)이 양단에 고정되는 축(8)과, 상기 축(8)을 지지하는 제3 고정대(2e)와, 장공(2c)이 형성되어 있는 제4 고정대(2b)의 장공(2c) 반대쪽에 조립된 축 핀(16)에 일단이 조립되고 장공(13)에는 상기 캠(10)의 핀(11)이 조립되는 2개의 제1 레바(12)와, 상기 제1 레바(12)에 고정된 축 핀(14)에 좌단부가 조립되고 그 우측은 상기 축 핀(16)에 조립되며 상단은 푸셔(22)의 장공(23)에 조립된 축 핀(17)에 조립되어 캠(10)의 회전에 의해 등각 운동을 하는 제1 레바(12)에 의해 등각 운동을 하는 들쇠(15)와, 상기 제4 고정대(2b)의 장공(2c)에 조립되는 축 핀(19)에 하단부가 조립되고 중앙은 상기 들쇠(15) 중앙에 조립된 축 핀(20)에 조립되고 상단은 푸셔(22)의 축 핀(21)에 조립된 채 상기 들쇠(15)와 함께 등각 운동을 하는 제2 레바(18)와, 상기 제1 레바(12) 및 제2 레바(18) 그리고 들쇠(15)의 연결된 운동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며 지폐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는 푸셔(2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 수납 적층장치의 지폐 적층기.
KR20-2004-0032129U 2004-11-10 2004-11-10 지폐 수납 적층장치의 지폐 적층기 KR2003752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129U KR200375230Y1 (ko) 2004-11-10 2004-11-10 지폐 수납 적층장치의 지폐 적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129U KR200375230Y1 (ko) 2004-11-10 2004-11-10 지폐 수납 적층장치의 지폐 적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230Y1 true KR200375230Y1 (ko) 2005-03-11

Family

ID=43677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129U KR200375230Y1 (ko) 2004-11-10 2004-11-10 지폐 수납 적층장치의 지폐 적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2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560B1 (ko) 2006-07-26 2008-08-28 편무영 지폐 수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560B1 (ko) 2006-07-26 2008-08-28 편무영 지폐 수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5131A (en) Currency validator and secure lockable removable currency cassette
JPH09305827A (ja) 回転式紙幣受領機
KR20110051242A (ko) 현금 자동 거래 장치
JP2012022724A (ja) 紙幣カセット圧力板組立体および方法
CN100593176C (zh) 用于堆叠连杆的驱动机构
CN100448766C (zh) 自动票据接收存放单元
WO2002033668A2 (en) Validator with removable power interface
KR200375230Y1 (ko) 지폐 수납 적층장치의 지폐 적층기
JP4222585B2 (ja) 紙葉類収納装置
KR100838096B1 (ko) 자동 지폐 저장 장치
JP2009098930A (ja) 紙幣収納装置
KR200428838Y1 (ko) 지폐 수납기
JP5176760B2 (ja) 紙幣収納装置
CN209962313U (zh) 一种推钞板锁结构
JP4407996B2 (ja) コイン払出装置
JP3710531B2 (ja) 現金回収装置
CN209015257U (zh) 一种压票机构及带有压票机构的收纳箱
KR100853560B1 (ko) 지폐 수납기
US7118101B2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input and storage of banknotes
KR101520493B1 (ko) 금융자동화기기의 지폐입출금장치
JP6637352B2 (ja) 自動釣銭機
KR100304271B1 (ko) 지페 수납장치
KR100371361B1 (ko)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구비한 현금 자동 입/출금기
JP2006024182A (ja) 遊技機用台間機、及び紙幣取扱装置
KR200413795Y1 (ko) 지폐 수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3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