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008Y1 -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008Y1
KR200375008Y1 KR20-2004-0032834U KR20040032834U KR200375008Y1 KR 200375008 Y1 KR200375008 Y1 KR 200375008Y1 KR 20040032834 U KR20040032834 U KR 20040032834U KR 200375008 Y1 KR200375008 Y1 KR 2003750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aint
light guide
eccentric
pi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8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태
Original Assignee
성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태 filed Critical 성기태
Priority to KR20-2004-00328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0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0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0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3/0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 G09F13/20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 G09F13/22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 G09F2013/225Illuminated signs; Luminous advertising with luminescent surfaces or parts electroluminescent with electroluminescent lamp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5/00Audible advertising
    • G09F2025/005Message recorded in a memory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로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표면이 엠보싱 처리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하 또는 좌우 양단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형광등과; 다수의 이미지를 가로방향으로 분할한 다수의 그림셀을 하나의 표면에 상기 이미지의 순서대로 반복적으로 배치한 그림판과; 상기 그림판의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그림판을 고정하고, 저면에 브릿지가 형성되는 고정판과; 중심이 소정의 거리만큼 편심되어 있으며, 원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된 접촉부와 원주면이 상호 접촉하는 편심주축기어와; 상기 그림판의 전면에 상기 고정판과 밀착되게 배치되며, 다수개의 반원기둥형상의 렌즈가 일측면에 형성된 렌티큘라판;을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둘 이상의 그림을 일정한 시간마다 변화시켜 표시하는 그림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보다 많은 그림들을 하나의 표시장치로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MULTY IMAGE DISPLAY DEVICE}
본 고안은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렌티큘라판 또는 베리어에 의하여 다수의 형상을 표시할 수 있는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는 광고의 시대라 할 정도로 많은 광고물과 광고매체가 등장하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영상표시장치들이 소개되고 있는데, 컴퓨터나 LCD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한 광고판은 정밀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고 동영상 등을 자유롭게 표시할 수 있어서 광고나 홍보를 위하여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표시장치는 화면의 크기에 따라 제작비용이 비싸고, 야외에서 사용하기에는 여러가지 제약이 따른다.
그래서 간단한 영상표시장치로서 다수개의 정지화상을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장치들이 개시되고 있는데, 그중의 하나가 렌티큘라판을 이용하여 하나의 광고판에서 다수개의 화면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렌티큘라판은 일측면이 평평하고, 타측면에는 반원주형의 렌즈가 연속적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형태로서, 평평한 일측면에 위치한 그림판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그림이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서 통상적으로 그려진 그림을 다수개의 셀로 분할한 다음, 그림의 순서대로 셀을 순차적, 반복적으로 배치하여 그림판을 형성한다. 즉 A 그림의 1번셀을 제일 처음에, 그다음에 B 그림의 1번셀, C 그림의 1번셀을 배치한 후, A 그림의 2번셀, B 그림의 2번셀, C 그림의 2번셀 등의 순서로 순차적, 반복적으로 셀을 배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렌티큘라판에 형성된 렌즈를 A 그림이 있는 위치에 대응시키면 A 그림이, B 그림이 있는 위치에 대응시키면 B 그림이 눈에 보이게 되는 것이다.
이를 응용한 "렌티큘러판을 이용한 광고판" (특허공개 제2001-77610호)이 개시되어 있으나, 선행발명에서는 2개의 그림판이 사용되므로 다수의 그림을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없었으며, 형광등이 그림판의 가운데에 위치하게 되므로 그림을 볼 때 가운데 줄이 생기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편심캠의 회전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없어서 세밀한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많은 수의 그림셀로 이루어진 그림판을 적용하여 표시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편심주축기어에 다수의 돌출부를 형성하여 다수의 형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형광등을 그림판의 양측단에 위치하게 하여 그림의 중간에 선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도광판을 엠보싱이 형성된 판으로 설치하여 빛의 반사율을 높여 그림의 밝기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렌티큘라판 대신에 베리어를 사용하여 동일하게 다수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림판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2는 그림판의 기어 연결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3은 편심주축기어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림판의 기어 연결구조를 나타낸 구조도.
도5는 다수의 그림을 연결하여 구성한 그림판의 구조도.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로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표면이 엠보싱 처리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하 또는 좌우 양단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형광등과; 다수의 이미지를 가로방향으로 분할한 다수의 그림셀을 하나의 표면에 상기 이미지의 순서대로 반복적으로 배치한 그림판과; 상기 그림판의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그림판을 고정하고, 저면에 브릿지가 형성되는 고정판과; 중심이 소정의 거리만큼 편심되어 있으며, 원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된 접촉부와 원주면이 상호 접촉하는 편심주축기어와; 상기 그림판의 전면에 상기 고정판과 밀착되게 배치되며, 다수개의 반원기둥형상의 렌즈가 일측면에 형성된 렌티큘라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로서,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표면이 엠보싱 처리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하 또는 좌우 양단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형광등과; 다수의 이미지를 가로방향으로 분할한 다수의 그림셀을 하나의 표면에 상기 이미지의 순서대로 반복적으로 배치한 그림판과; 상기 그림판의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그림판을 고정하고, 저면에 브릿지가 형성되는 고정판과; 중심이 소정의 거리만큼 편심되어 있으며, 원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된 접촉부와 원주면이 상호 접촉하는 편심주축기어와; 상기 그림판의 전면에 상기 고정판과 밀착되게 배치되며, 가로방향으로 투명한 부분과 불투명한 부분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베리어;를 포함한다.
상기 편심주축기어에 연결되어 직선베어링구동방식으로 제어되며, 타이머에 의하여 시간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모터;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편심주축기어의 돌출부는 2개 내지 100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0.05 내지 0.1 ㎜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새소리, 물소리를 포함하는 다수의 음원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음원데이터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원출력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그림판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2는 그림판의 기어 연결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또한 도3은 편심주축기어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이하, '표시장치'라 한다)를 설명한다.
표시장치(100)는 플라스틱, 목재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는 외부 케이스(10)를 가진다. 외부 케이스(10)는 사각형, 삼각형,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는데, 각종 구성장치들을 수용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케이스(10)의 내부 양단에는 형광등(12)이 설치된다. 형광등(12)은 상하 또는 좌우의 양끝단으로 한쌍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일 형광등(12)이 외부 케이스(10) 내부의 한가운데에 위치한다면 외부에서 보이는 그림의 가운데에 줄이 생기게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양끝단에 위치하여야 한다.
형광등(12)의 사이에는 표면에 엠보싱 처리가 된 도광판(14)이 설치된다. 도광판(14)은 형광등(12)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켜 그림을 보다 더 밝게 표시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평탄한 표면으로 된 것보다는 엠보싱 처리가 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빛을 반사할 수 있게 된다.
도광판(14)의 전면에는 투명한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진 배면판(16)이 설치된다. 배면판(16)은 형광등(12)에서 발생하여 도광판(14)을 통하여 나오는 빛을 통과시켜 그림을 비추도록 하며, 그림과 도광판(14)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배면판(16)의 전면에는 그림판(18)이 제1고정판(20)과 제2고정판(22)의 사이에 밀착되어 위치한다. 그림판(18)에는 표시하기를 원하는 다수의 형상이 분할된 그림셀의 형태로 인쇄된다. 즉 세개의 형상을 표시하는 경우 각각의 형상을 일정한 폭만큼 가로로 절단하여 분할된 그림셀을 만든다. 그리고 세개의 형상에서 각각의 그림셀을 순차적으로 붙여서 하나의 평면 그림판(18)을 만든다.
다수의 형상을 분할하여 조합한 그림셀이 인쇄된 그림판(18)은 통상의 표시장치에서 사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기술과 달리 형상의 숫자가 2개에서 100개까지 가능하다는 점에서 종래기술과 차이가 있다.
제1고정판(20)과 제2고정판(22)은 투명한 아크릴판으로 이루어지며, 그림판(18)을 고정하면서 동시에 배면판(16)을 통과하여 나오는 빛이 투과되는 부분이다.
고정판(20, 22)에는 나사, 볼트, 리벳 등의 고정부재(24)가 통과할 수 있는 체결공(26)이 형성되어 두개의 고정판(20, 22)이 밀착 고정된다. 이를 위해 그림판(18)은 고정판(20, 22)에 형성된 체결공(26)을 네꼭지점으로 하는 사각형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정판(20, 22)의 크기와 동일하게 하고 네 귀퉁이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고정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고정판(20) 또는 제2고정판(22)의 하부에는 고정판(20, 22)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편심주축기어(38)의 이동을 전달하는 브릿지(28)와 접촉부(30)가 설치된다. 브릿지(28)는 고정판(20, 22)의 하부에 접촉되어 고정판(20, 22)을 이동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형태라도 가능하며, 접촉부(30)는 편심주축기어(38)와 접촉회전하면서 높이의 변화를 감지하여야 하므로 원통형이나 구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 케이스(10)의 내부 저면에는 모터(32)와 제1기어(34), 제2기어(36), 편심주축기어(38)가 설치된다.
모터(32)는 편심주축기어(38)에 연결되어 직선베어링 구동방식으로 제어되며, 타이머에 의하여 시간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일정한 시간이 경과하면 자동으로 회전을 멈추거나, 일정한 시간이 되면 작동을 시작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모터(32)의 회전축에 연결된 제1기어(34)와 제2기어(36)는 모터(32)에 의하여 발생한 회전속도를 변화시켜 편심주축기어(38)에 전달한다.
편심주축기어(38)는 납작한 원기둥 형태로 제작되며, 중심(A')이 일정한 거리(R) 만큼 편심되어 형성된다. 또한, 원주면에는 일정한 높이(H)의 돌출부(52)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편심거리(R)가 0.05 내지 15㎜ 정도이며, 돌출높이(H)는 0.05 내지 0.1㎜ 정도로서 2개 내지 100개의 돌출부(52)가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편심거리와 돌출높이, 돌출부(52)의 갯수는 그림의 크기, 그림의 갯수, 표시주기 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하여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편심주축기어(38)의 원주면은 접촉부(30)와 접촉하게 설치되며, 그림판(18)을 포함한 고정판(20, 22)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레일(도면 미도시) 속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정판(20, 22)의 상단 또는 하단에 탄성부재(도면 미도시)가 설치되어 탄성에 의하여 원위치로 돌아갈 수 있도록 하거나, 중력에 의하여 스스로 아래로 내려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제2고정판(22)의 전면에는 다수개의 반원기둥형상의 렌즈(42)가 일측면에 형성된 렌티큘라판(40)이 밀착 고정된다. 렌티큘라판(40)의 렌즈(42)는 그림판(18)의 그림셀이 인쇄된 간격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평한 면에 고정된 그림판(18)의 형상을 렌즈(42)를 통하여 확대하여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하나의 완성된 그림이 보여지도록 한다.
렌티큘라판(40) 이외에도 베리어를 이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낼 수도 있다. 베리어는 가로방향으로 투명한 부분과 불투명한 부분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필름이나 투명판을 말하며, 그림판(18)에 인쇄된 형상 중에서 투명한 부분에 위치한 형상만을 외부로 표시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표시장치(100)의 외부 케이스(10) 내부에 다수의 음원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음원데이터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원출력부(도면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새소리, 물소리, 노래소리 등을 스피커로 출력하여 그림을 보면서 이와 관련된 음향을 들을 수 있게 한다면 훨씬 더 큰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진 표시장치(100)에서 모터(32)의 회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회전력이 제1기어(34)와 제2기어(36)를 거쳐서 편심주축기어(38)에 전달되어편심주축기어(38)가 회전한다.
편심주축기어(38)는 일정한 거리(R)만큼 편심되어 있으며, 원주면에 돌출부(52)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회전에 의하여 원주면에 접촉하는 접촉부(30)를 밀어올리게 된다. 특히 원주면에 형성된 돌출부(52)가 접촉부(30)를 밀어올리면 그림판(18)이 일정한 거리만큼 올라갔다가 고정되며, 다시 인접한 돌출부(52)가 밀어올리면 일정한 거리만큼 더 올라가게 된다. 그림판(18)이 일정한 거리만큼 올라갈 때마다 그림판(18)에 인쇄된 그림셀이 하나씩 렌티큘라판(40)의 렌즈(42)를 통해 외부로 비쳐지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52)가 하나씩 접촉부(30)를 밀어올릴 때마다 새로운 형상이 렌티큘라판(40)을 통하여 외부로 비춰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편심주축기어(38)가 일정한 속도로 계속 회전하면서 돌출부(52)가 아닌 부분(54)과 접촉부(30)가 접촉하는 동안에는 그림이 변화하지 않고 동일한 형상을 계속 표시하게 된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그림판의 기어 연결구조를 나타낸 구조도이다. 도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정판(22)에 한 쌍의 브릿지(28)와 접촉부(30)가 형성되며, 접촉부(30)에는 전술한 편심주축기어(38)가 각각 접촉한다. 기타 그림판의 동작과 편심주축기어(38)의 형상은 동일하게 구성한다. 이와 같이 접촉부(30)를 한 쌍으로 구성함으로써 고정판(22)이 이동할 때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5는 다수의 그림을 연결하여 구성한 그림판의 구조도이다.
렌티큘라판(40)의 한변의 길이가 300(㎜)를 넘어서게 되면 렌즈의 굴절률의차이로 인하여 가장자리의 그림이 왜곡되어 나타나는 단점이 있어서, 대형 광고판에 사용할 때에는 하나의 단일 렌티큘라판(40)을 사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그림의 크기가 대형일 경우에는 작은 크기의 그림으로 분할하고, 다수의 고정판(22)과 렌티큘라판(40)을 설치하여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접촉부(30)가 각각 형성된 다수의 고정판(22)을 설치하고, 모터(32)에 연결된 체인(62)에 의하여 각각의 접촉부(30)를 회전시키는 회전축(64)을 구동시킨다. 회전축(64)은 체인(62)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각각의 접촉부(30)에 접촉하고 있는 각각의 편심주축기어(38)를 회전시켜서 고정판(22)이나 렌티큘라판(40)을 이동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100)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가 용이하게 변형할 수 있는 범위에도 그 권리가 미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둘 이상의 그림을 일정한 시간마다 변화시켜 표시하는 그림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으며,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보다 많은 그림들을 하나의 표시장치로 표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형광등에서 발생하는 빛을 엠보싱 처리된 도광판으로 반사함으로써 반사효율을 높여 보다 밝은 형상을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모터의 회전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제어장치와 타이머를 이용하여 변화하는 형상을 외부에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렌티큘라판 이외에도 베리어를 이용하여 동일한 효과를 낼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표면이 엠보싱 처리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하 또는 좌우 양단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형광등과;
    다수의 이미지를 가로방향으로 분할한 다수의 그림셀을 하나의 표면에 상기 이미지의 순서대로 반복적으로 배치한 그림판과;
    상기 그림판의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그림판을 고정하고, 저면에 브릿지가 형성되는 고정판과;
    중심이 소정의 거리만큼 편심되어 있으며, 원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된 접촉부와 원주면이 상호 접촉하는 편심주축기어와;
    상기 그림판의 전면에 상기 고정판과 밀착되게 배치되며, 다수개의 반원기둥형상의 렌즈가 일측면에 형성된 렌티큘라판;을 포함하는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
  2. 외부 케이스와;
    상기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고, 표면이 엠보싱 처리된 도광판과;
    상기 도광판의 상하 또는 좌우 양단과 평행하게 설치되는 형광등과;
    다수의 이미지를 가로방향으로 분할한 다수의 그림셀을 하나의 표면에 상기이미지의 순서대로 반복적으로 배치한 그림판과;
    상기 그림판의 전면과 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그림판을 고정하고, 저면에 브릿지가 형성되는 고정판과;
    중심이 소정의 거리만큼 편심되어 있으며, 원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다수의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브릿지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된 접촉부와 원주면이 상호 접촉하는 편심주축기어와;
    상기 그림판의 전면에 상기 고정판과 밀착되게 배치되며, 가로방향으로 투명한 부분과 불투명한 부분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베리어;를 포함하는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주축기어에 연결되어 직선베어링구동방식으로 제어되며, 타이머에 의하여 시간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모터;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주축기어의 돌출부는 2개 내지 100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0.05 내지 0.1 ㎜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새소리, 물소리를 포함하는 다수의 음원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음원데이터를 음향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음원출력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
KR20-2004-0032834U 2004-11-19 2004-11-19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 KR2003750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34U KR200375008Y1 (ko) 2004-11-19 2004-11-19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834U KR200375008Y1 (ko) 2004-11-19 2004-11-19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008Y1 true KR200375008Y1 (ko) 2005-02-04

Family

ID=4944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834U KR200375008Y1 (ko) 2004-11-19 2004-11-19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0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983B1 (ko) 2009-06-18 2011-03-18 유비링크(주) 피난구 유도등의 그림문자 표시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2983B1 (ko) 2009-06-18 2011-03-18 유비링크(주) 피난구 유도등의 그림문자 표시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4122B2 (en) Diffusing of direct backlight for a display panel
JP6267764B2 (ja) 特に広告目的用に情報媒体を展示するための装置
WO2017118167A1 (zh) 一种透明橱窗展示装置
US3314179A (en) Display apparatus
KR20120023293A (ko) 레이저투광기를 이용한 광고장치
TW201626074A (zh) 具改良對比度及透射率的透明顯示器
KR200375008Y1 (ko) 다중출력이 가능한 그림표시장치
US20150002767A1 (en) Full-Resolution 2D/3D-Switchable Display for Off-Axis Viewing of Pop-3D Content
KR20170130697A (ko) 회전형 광고판
CN206601534U (zh) 具有360°视觉效果的虚拟立体成像装置
KR101304295B1 (ko) 엘이디 광고판
KR200286859Y1 (ko) 회전식 입체간판
CN201867579U (zh) 一种带反射镜的投影装置
KR20160094547A (ko) 디스플레이 장치
EP2449549B1 (en) A display structure
KR100817550B1 (ko) 표시장치
US2322838A (en) Display sign
JP4762534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2006235458A (ja) 広告媒体
JP2004253306A (ja) 面光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366365B1 (ko) 다중입체영상표시장치
KR102243252B1 (ko) 멀티 라인 광고판
WO2014168496A1 (en) Sheets display case producing images appearing as 3-d to the viewer
KR200183284Y1 (ko) 다중입체영상표시장치
KR20090012435U (ko) 후광 효과를 가지는 면발광 채널 간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