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605Y1 - 축조방법에 따라 기울기변화가 가능한 식생 옹벽블럭 - Google Patents

축조방법에 따라 기울기변화가 가능한 식생 옹벽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605Y1
KR200374605Y1 KR20-2004-0029394U KR20040029394U KR200374605Y1 KR 200374605 Y1 KR200374605 Y1 KR 200374605Y1 KR 20040029394 U KR20040029394 U KR 20040029394U KR 200374605 Y1 KR200374605 Y1 KR 2003746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vegetation
block
shear key
constr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3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금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화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화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화콘크리트
Priority to KR20-2004-00293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6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6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6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성토지, 절개지 등의 보호를 위한 조적식 식생 옹벽블럭에 관한 것으로, 상기 블럭 전면에 형성되는 원형주름부(30)와 상부면 일정한 위치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 전단키(10)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식물을 식생할 수 있도록 토양과 종자 등을 담을 수 있는 식생공간부(40)와 상기 식생공간을 분리하는 보강지지벽(20)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옹벽의 축조시 조적되는 블럭이 상향, 하향의 양방향으로 조적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적 현상에 의해 현장의 기울기가 변화된 경우에도 적당한 구배를 결정한 후, 블럭을 조적함으로써 블럭의 배열을 일정하게 하여 견고하게 조적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축조방법에 따라 기울기변화가 가능한 식생 옹벽블럭{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possible incline alteration}
본 고안은 식생이 가능하게 조적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옹벽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 여건에 따라 성토지, 기타 절개지 등의 경사가 자연적 현상으로 인해 기울기 변화가 초래될 경우, 이러한 기울기 변화에 있어서도 블럭의축조방법을 상향이나 또는 하향, 양방향으로 조적함으로써 현장여건에 적당한 구배로 블럭을 시공할 수 있는 식생 옹벽블럭에 관한 것이다.
경제개발이 진행되어 전반적인 국민의 생활이 윤택해짐에 따라 여가활동과 생활하는 주변의 환경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자연환경을 구성하는 수많은 생태적 요소들 가운데 강이나 하천은 생명체 부양능력을 가지므로 인간의 생활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겠다.
이에, 점차적으로 악화되어 가고 있는 하천환경으로부터 여러 형태로 나쁜 영향을 받게 되어 하천 환경 개선의 필요성에 관해 인식을 새롭게 하면서 하천의 개활지가 갖고 있는 다양한 매력과 하천 생태계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었고, 사라져 가는 하천의 자연스런 모습을 되살리려는 복원운동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해결책의 일환으로 궁극적으로 치수 및 이수 목적상 하천정비가 필요한 하천에 가급적 하천환경이 크게 훼손되지 않고 자연상태의 하천모습에 가깝게 유지되도록 하는 자연형 하천 복원이라는 슬로건이 대두되고 있고, 이를 위해 현재 많은 종류의 옹벽블럭이 제조되고 있다.
옹벽블럭은 토목 또는 건축공사시 옹벽이나 축대의 축조시에 사용되는 것으로, 현재 옹벽이나 축대시공에 있어서는 대부분이 레미콘을 이용한 철근 콘크리트나 보강토 옹벽공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식물의 식생공간이 전혀 없어 식물이 성장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실질적으로 대형 공사로 진행되고 있는 것이 대부분이어서 막대한 공사비를 소모해야 하는 문제점 등으로 인해 그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식물의 식생을 가능하게 하는 식생공간부가 구비된 옹벽블럭이 제공되어 주변 환경과 보다 친화적이고 시공에서도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특허출원 제2004-0072554호, 등록실용 제2004-0007759호 등이 제시되어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기술들은 지나치게 조경면에서만 초점을 맞추어 해결책을 제시하고 있을 뿐, 실질적으로 상이한 경사에 대비한 옹벽블럭의 축조방법에 관해서는 언급이 없어 옹벽 축조시 상하로 조적되는 블럭들이 단순히 조적하는 구조로만 이루어져 있음으로 인해 경사지에 조적하는 경우 인위적으로 블럭의 위치를 조절하여 단차를 형성해야 하는 문제점과 함께 현장의 여건에 따른 경사지의 기울기가 변화할 경우, 일반적으로 하나의 블럭에는 한가지의 기울기로만 축조하게 되어 있어서 상하 양방향으로 축조가 불가능하여 재차 별개의 블럭을 생산해야 하는 이중적인 부담을 안아야 하는 문제에 직면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한 등록실용 제2004-0007759호는 상기한 문제점과 더불어 상하·좌우로 배열되는 옹벽블럭이 결합됨에 있어서, 또 다른 구성요건 '금속제 핀'을 결합수단으로 요구하고 있어 별도의 생산이 불가피한 단점과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잇점으로 시공에 사용되는 상기 옹벽블럭의 장점을 활용하지 못하고 조잡한 구성으로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소요되는 시간도 보다 확보하여 시공해야 하는 폐단이 있다.
이로써, 초기 생산된 옹벽블럭으로 법면이나 기타 절개지에 형성된 경사의 변화에 구애받지 않고 간단한 조적방법으로 현장여건에 맞는 구배로써 식생 옹벽블럭을 시공하여 친환경적인 측면에서 만족을 기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시공을 완수할 수 있으며, 옹벽블럭간의 결합에 있어서도 여타의 결합수단이 별도로 필요치 않는 식생 옹벽블럭에 대한 필요성이 언급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옹벽의 축조시 조적되는 블럭이 상향, 하향의 양방향으로 조적이 가능하도록 하여 자연적 현상에 의해 현장의 기울기가 변화된 경우에도 적당한 구배를 결정한 후, 블럭을 조적함으로써 블럭의 배열을 일정하게 하여 견고하게 조적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하·양측면 상에 상호 관계하는 옹벽블럭몸체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 전면부에는 도면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변환경과 이질감이 조성되지 않도록 부드러운 어감의 원형주름부(30)와 상부면 일정한 위치에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 전단키(10)와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식물을 식생할 수 있도록 토양과 종자 등을 담을 수 있는 식생공간부(40)와 상기 식생공간을 분리하는 보강지지벽(20)으로 구성되는 식생 옹벽블럭을 구현하고자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식생 옹벽블럭 사시도.
도 2는 전단키가 상향으로 조적된 상태의 블럭설치 사시도 및 식생 상세도.
도 3은 전단키가 하향으로 조적된 상태의 블럭설치 상세도.
도 4는 구배가 1:0.3으로 상향 축조된 상태의 블럭 종단면도.
도 5는 구배가 1:0.5로 하향 축조된 상태의 블럭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단키 20. 보강지지벽
30. 원형주름부 40. 식생공간부
50. 옹벽블럭몸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식생 옹벽블럭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식생 옹벽블럭 사시도, 도 2는 전단키가 상향으로 조적된 상태의 블럭설치 사시도 및 식생 상세도, 도 3은 전단키가 하향으로 조적된 상태의 블럭설치 상세도, 도 4는 구배가 1:0.3으로 상향 축조된 상태의 블럭 종단면도, 도 5는 구배가 1:0.5로 하향 축조된 상태의 블럭 종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식생 옹벽블럭(50)은 일정 크기로 이루어져 축조시 옹벽을 형성하는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 내부에 토양을 채워 초목류를 식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식생공간으로 이루어져 도로절성토부 시공,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옹벽블럭으로, 상기 옹벽블럭 몸체(50) 상부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구비된 전단키(10); 축조시 전면에 노출되는 원형주름부(30); 옹벽블럭 몸체 상하로 관통 형성되는 식생공간부(40); 상기 식생공간부 사이마다 구비되어 식생공간을 분리시키고 순차적으로 블럭이 축조될 때 견고하게 지지하는 기능의 보강지지벽(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식생 옹벽블럭의 주된 기술적 요지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럭의 조적을 통해 옹벽을 축조하고 조적된 식생 옹벽블럭의 식생공간에 초목류를 심어 조경을 할 수 있음은 물론, 하부측의 옹벽블럭 상부로 조적되는 상부측 옹벽블럭이 하부측에 비해 후방으로 일정거리 단차가 형성되도록 함에 있어서, 별도의 결합수단이나 조밀한 작업 수행이 없이도 상기 식생 옹벽블럭 몸체(50) 상부에 자체 형성된 전단키(10)를 통해 순차적으로 상하 축조되는 블럭들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 것이다.
상기 전단키(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식생 옹벽블럭 몸체(50) 상부에 형성하되, 일정한 높이를 갖음으로써 돌출된 구성방식을 취하고, 인위적으로 블럭의 위치를 조절하여 단차를 형성하는 불편이 없이 적정한 위치에 형성된 전단키를상단블럭에 관통하는 식생공간부(40) 내부에 안착시켜 견고한 옹벽을 형성하게 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식생 옹벽블럭은 블럭몸체(50) 및 식생공간부(40)의 종래 구성에 더하여 하부측 블럭과 그 상부로 조적되는 상부측 블럭 사이의 단차는 전단키(10)를 통해 형성하고, 하부측 블럭 전면이 상부측 블럭 전면보다 돌출하는 방식으로 조적하되, 도시한 도 2 및 도 3은 이러한 조적방법으로 시공시 법면 등의 기울기 변화에 따른 구체적인 구배 비율을 제시한 것으로, 전단키(10)를 상향으로 조적할 시 구배가 1:0.3, 전단키를 하향으로 조적할 시 구배가 1:0.5로 적정한 비율을 나타낸다.
상기 식생공간부(40)는 옹벽블럭 상하로 관통되는 구성을 취하는 바, 식물을 식재하여 성장에 필요한 공간을 형성함은 물론, 유입된 물이 원할하게 유통되도록 하는 배수공의 역할도 수행하고, 또한 상기 내통한 공간은 하부측에 위치하여 조적되는 하부블럭의 전단키와 일정 공간에서 결합하여 견고한 옹벽을 형성하게 된다.
본 고안이 적용된 식생 옹벽블럭에 대하여 구체적인 실시예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이 보다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수반되는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식생 옹벽블럭(50) 역시 종래 기술에 따른 식생블럭과 마찬가지로 일정 크기로 이루어져 축조시 옹벽을 형성하는 블럭몸체 및 블럭몸체 내부로 흙을 채워 초목류를 식재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일정한 식생공간으로 이루어지는 마찬가지의 기술이다.
다만, 블럭을 축조할 때 상하로 결합되어져 견고해지는 수단이 여타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옹벽블럭 몸체 자체에 수반되는 전단키(10)에 의하여 간단한 방식으로 고정되어지는 것이며, 일반적으로는 시공 현장의 기울기가 변형이 된 경우 선제작된 옹벽블럭은 사용가치가 사라지지만 본 고안의 경우는 전단키가 상향이나 또는 하향으로 간단히 조적방법만 바꾸어서 현장여건에 적절한 구배로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식생공간부(40)에서 성장하는 식물 등은 식생공간부 전면을 통하여 옹벽의 전면에서 보일 수 있게 되고, 본 고안에 의한 블럭을 이용하여 옹벽 등을 쌓게 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친자연적인 옹벽의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옹벽블럭 전면을 원형주름부(30)로 형성하고 있지만, 상기 전면은 완성된 옹벽에서 전면에 노출되어 사람이 시각으로 인지하는 부분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원형주름부(30) 뿐만 아니라 형상 등에 대해서는 다른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 다양한 무늬나 모양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식생 옹벽블럭 몸체(50)는 옹벽의 외부를 형성하는 전면부의 좌우폭이 후단부의 좌우폭에 비해 긴 형태로 형성되어진다.
상기 보강지지벽(20)은 식생공간을 분리시켜 구분된 공간끼리 유기적인 역할을 수행하되, 하부측에 축조된 옹벽블럭의 상부로 축조되는 블럭의 무게를 지탱하여 안정된 옹벽으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구배가 1:0.3인 경우의 조적도면이며, 상기 전단키(10)가 상단을 향하도록 첫단블럭을 거치하고 하단블럭의 전단키가 상단블럭의 윗쪽 홀의 후면부에 단단히 밀착시켜 조적하고 같은 방법으로 소정의 높이까지 축조한 후, 천단 콘크리트 타설로 마감하는 방식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는 도면과 같이 거치된 하단블럭들이 횡으로 결합되는 공간부 상단에 블럭이 축조되어 더욱 견고하게 옹벽을 형성한다.
도 3은 구배가 1:0.5로 축조할 경우를 나타낸 도면으로, 도 2와 축조 방향만 반대이고 동일한 방식으로 전단키(10)가 하단을 향하도록 첫단블럭을 거치하고 상단블럭의 전단키가 하단블럭의 아랫쪽 홀의 전면부에 단단히 밀착시켜 조적하고 같은 방법으로 소정의 높이까지 축조 후, 역시 천단 콘크리트로 마감하는 방식이다.
도 4 및 도 5는 상기 전단키(10)가 상향이나 하향으로 조적될 시, 적정한 구배비율을 옹벽 측면에서 단면을 통해 나타내고 있고, 각각의 전단키(10)는 조적된 블럭들이 어느 방향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일종의 걸림턱 기능을 수행하고 있음을 살핀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식생 옹벽블럭은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음으로 인해, 동일 제품을 재차 생산하기 위해서 별도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금형 탈·부착의 과정이 필요없고 단일 품목을 집중 관리하여 품질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건설시장 여건은 기후의 영향에 따라 대부분의 공사가 3-6월, 9-11월에 집중적으로 몰려 있다.
따라서, 별도의 장치없이 단일블럭에서 전면벽체의 기울기 조정이 가능한 본 고안의 효과는 매우 크며, 성수기 집중적인 대량 생산이 가능하게 되어 성수기를 대비한 재고가 필요없게 되어 시간적, 경제적으로 잇점이 기대된다.

Claims (2)

  1. 도로절성토부 시공, 아파트 단지조성, 사면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시공, 교량교대 날개벽 시공, 그 밖에 수로 및 제방공사에 범용으로 사용되는 조적식 식생 옹벽블럭에 있어서,
    상기 옹벽블럭몸체 상부에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는 전단키를 형성시키되,
    상기 전단키는 상향과 하향의 방향으로 축조되며,
    상기 전단키가 상향으로 축조될 때 1:0.3의 기울기를 갖게 구성되고,
    상기 전단키가 하향으로 축조될 때 1:0.5의 기울기로 변형되는 기능이 하나의 블럭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방법에 따라 기울기 변화가 가능한 식생 옹벽블럭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키는 원형주름부와 상부면 일정한 위치에 돌출된 형태로 구성됨과 동시에, 상하로 관통되어 식물을 식생할 수 있도록 토양과 종자를 담을 수 있는 식생공간부와, 상기 식생공간을 분리하는 보강지지벽과 일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축조방법에 따라 기울기 변화가 가능한 식생 옹벽블럭
KR20-2004-0029394U 2004-10-18 2004-10-18 축조방법에 따라 기울기변화가 가능한 식생 옹벽블럭 KR2003746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394U KR200374605Y1 (ko) 2004-10-18 2004-10-18 축조방법에 따라 기울기변화가 가능한 식생 옹벽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394U KR200374605Y1 (ko) 2004-10-18 2004-10-18 축조방법에 따라 기울기변화가 가능한 식생 옹벽블럭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2884A Division KR20060034199A (ko) 2005-12-14 2005-12-14 축조방법에 따라 기울기변화가 가능한 식생 옹벽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605Y1 true KR200374605Y1 (ko) 2005-01-31

Family

ID=49445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394U KR200374605Y1 (ko) 2004-10-18 2004-10-18 축조방법에 따라 기울기변화가 가능한 식생 옹벽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6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862673A (zh) 一种蜂巢砌块及其应用
KR100704408B1 (ko) 식생용 블럭
CN105839592A (zh) 一种连体式蜂巢砌块及其应用
JP2011144615A (ja) 組立式親環境植生ブロック
KR200374605Y1 (ko) 축조방법에 따라 기울기변화가 가능한 식생 옹벽블럭
KR20060034199A (ko) 축조방법에 따라 기울기변화가 가능한 식생 옹벽블럭
KR200389264Y1 (ko) 생태옹벽블록
KR20050035846A (ko) 조립 패널 옹벽
KR200461229Y1 (ko) 식생 옹벽블록
KR101294664B1 (ko) 투수성 호안블록
KR200403455Y1 (ko) 식생블럭
JP2003119787A (ja) 構造物の緑化構造
KR200249172Y1 (ko) 환경친화적 중력식 보강토 식재옹벽블록
KR101047283B1 (ko) 식생축조블록과 보강용 식생축조블록을 이용한 옹벽의 시공방법
KR200300440Y1 (ko) 친환경 구축력 옹벽블록
KR200247050Y1 (ko) 구배가 형성된 대형식재옹벽블록
KR200409154Y1 (ko) 식생옹벽블럭
KR200414869Y1 (ko) 옹벽블록
KR100406812B1 (ko) 격자형 망태블럭
KR100584243B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보강블럭
KR200420352Y1 (ko) 식생형 옹벽블록
KR100433919B1 (ko) 하안 생태 옹벽블록
KR200262840Y1 (ko) 경사면 공사용 호안 블럭
KR200354126Y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보강블럭
KR200361666Y1 (ko) 복수개로 분리된 한 조의 호박돌 형상을 갖는 다기능식생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