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526Y1 - 배수장치 - Google Patents

배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526Y1
KR200374526Y1 KR20-2004-0030184U KR20040030184U KR200374526Y1 KR 200374526 Y1 KR200374526 Y1 KR 200374526Y1 KR 20040030184 U KR20040030184 U KR 20040030184U KR 200374526 Y1 KR200374526 Y1 KR 2003745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block
housing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1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익
Original Assignee
조상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상익 filed Critical 조상익
Priority to KR20-2004-00301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5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5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8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03C1/182Sinks,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waste-pipe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0Connecting baths or bidets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1/230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transmitted to the plug via rigi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2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 E03C1/23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 E03C2001/2311Outlet devices mounted in basins, baths, or sinks with mechanical closure mechanisms the actuation force being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면대, 욕조, 싱크대 등과 같은 물품이나, 욕실의 바닥 등과 같은 구조물 등에 설치되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110)의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구멍(110a)이 형성되고, 개폐블럭(120)에 가이드구멍(110a)을 밀폐하는 기밀유지부(123)가 구비되며, 가이드구멍(110a)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기밀유지부(123)에 밸브개폐장치(2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24)가 구비되어진 구조로 되어, 배수밸브(100)의 개폐를 위한 주요 연동부분이 배수경로로부터 안전하게 격리보호되므로 제품수명이 연장되고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한편, 그 구조가 획기적으로 단순화되므로 제품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품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배수장치{Drain device}
본 고안은 세면대, 욕조, 싱크대 등과 같은 물품이나, 욕실의 바닥 등과 같은 구조물 등에 설치되는 배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수밸브를 손쉽게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된 배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배수장치는, 설치되는 대상과, 이루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발되어 다양한 방면에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중, 현재 세면대의 배수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수동 개폐식 배수장치는, 사용자가 조작 손잡이를 수동으로 들어올리거나 밀어내리면, 손잡이를 들어올리거나 밀어내리는 힘에 의해서 배수밸브가 닫히거나 열려지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배수밸브의 개폐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여 누수로 인한 물소비량의 증가가 초래된다. 또한, 상기 조작 손잡이가 구조상 외부로 크게 돌출될 수 밖에 없어서(조작 손잡이가 배수밸브의 개폐를 위해 기계적으로 충분히 상하방향으로 왕복이동되어야 하므로), 외관이 좋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출원인이 선출원 한 바 있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64988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56346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56347호와 같은, 배수밸브를 손쉽게 자동으로 개폐할 수 있는 배수장치가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3-64988호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56346호는, 배수밸브의 개폐를 위한 주요 연동부분(특허출원 제2003-64988호의 인출번호 "40,80"에 해당 ;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56346호의 인출번호 "32a,44c"에 해당)이 배출되는 물에 노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배수밸브를 열고 물을 배출할 때, 연동부분에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이 끼게 되면 배수밸브의 작동이 이물질들에 의해서 직접적으로 방해되어, 배수밸브의 개폐작동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더욱이, 상기 주요 연동부분이 배출되는 물에 노출되면 부식이 촉진되어 제품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반면,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56347호는, 배수밸브의 개폐를 위한 주요 연동부분(등록 실용신안공보 제356347호의 인출번호 "44,46"에 해당)이 배출되는 물과 직접 접촉되지 않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서, 머리카락 등의 이물질에 의해서 배수밸브의 작동이 직접적으로 방해되는 일은 발생되지 않게 되지만, 그 구조가 너무 복잡하여 실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초래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수밸브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된 단순한 구조의 배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a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2b는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배수구가 열려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 첨부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 ; 베이스, 20 ; 케이스,
30 ; 가이드레일, 100 ; 배수밸브,
110 ; 하우징, 110a,110b ; 가이드구멍,
110c ; 걸림턱, 111 ; 하부 하우징,
112 ; 상부 하우징, 120 ; 개폐블럭,
121 ; 블럭본체, 121a ; 체결부,
122 ; 개폐부, 122a ; 체결부,
123 ; 기밀유지부, 124 ; 연결부,
125 ; 밀봉부재, 200 ; 밸브개폐장치,
210 ; 구동모터, 211 ; 기어,
220 ; 스크류축, 221 ; 기어,
230 ; 이동블럭, 231 ; 연결부,
240 ; 입력유닛.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하가 개구되어진 관형태의 하우징과, 배수구를 갖추고서 하우징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하우징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블럭으로 이루어진 배수밸브와 ; 배수밸브의 개폐블럭을 강제 구동하여 하우징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밸브개폐장치로 이루어진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구멍이 형성되고, 개폐블럭에 가이드구멍을 밀폐하는 기밀유지부가 구비되며, 가이드구멍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기밀유지부에 밸브개폐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b에 의하면,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는, 상하가 개구되어진 관형태의 하우징(110)과, 배수구(H)를 갖추고서 하우징(110)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하우징(110)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블럭(120)으로 이루어진 배수밸브(100)와 ; 배수밸브(100)의 개폐블럭(120)을 강제 구동하여 하우징(110)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밸브개폐장치(200)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110)의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구멍(110a)이 형성되고, 개폐블럭(120)에 가이드구멍(110a)을 밀폐하는 기밀유지부(123)가 구비되며, 가이드구멍(110a)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기밀유지부(123)에 밸브개폐장치(2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24)가 구비되어진 구조를 이룬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개폐블럭(120)으로는, 칸막이들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이들 사이에 배수구(H)가 형성되어진 블럭본체(121)와 ; 블럭본체(121)의 상단에 구비되어 하우징(110)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122) ; 블럭본체(121)의 하단부 둘레면을 감싸는 기밀유지부(123) 및; 가이드구멍(110a)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기밀유지부(123)에 구비되는 연결부(124)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상기 개폐블럭(120)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모든 것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배수구(H)를 갖추고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태의 것이라도 모두 블럭본체(121)로 적용될 수 있고, 기밀유지부(123)가 블럭본체(121)의 둘레면 전체를 감쌀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밸브개폐장치(200)로는, 구동모터(210)와 ; 개폐블럭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배치되어 구동모터(210)에 의해 강제 회동되는 스크류축(220) ; 스크류축(220)에 나사산 결합되고, 개폐블럭(120)의 연결부(124)에 연결되어, 스크류축(220)에 연동되어서 개폐블럭(120)을 가이드구멍(110a)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이동블럭(230) 및; 구동모터(2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240)으로 이루어진 것을 이용하였다. 상기 구동모터(210)로는 양방향 회동이 가능한 공지의 모터를 이용하였고, 입력유닛(240)으로는 밸브열림·밸브닫힘을 선택하여 구동모터(21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공지의 스윗치기구를 이용하였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211"과 "221"은 구동모터(210)의 출력축과 스크류축(220)에 각각 설치되어 구동모터(210)의 동력을 스크류축(220)로 전달하는 기어를 나타낸다. 그러나, 상기 밸브개폐장치(200)는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110)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개폐블럭(120)을 상하방향으로 직선 왕복이동할 수 있는 공지의 모든 것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캠기구나 공압·유압실린더기구, 랙·피니언기구, 벨트이송기구 등의 것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이동블럭(230)의 연결부(231)가 개폐블럭(120)의 연결부(124)를 관통하며, 이의 자유단이 개폐블럭(1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블럭(230)의 연결부(231) 자유단이 하우징(110)에 간섭되지 않도록 제1가이드구멍(110a)에 상응하는 제2가이드구멍(110b)을 형성하여, 이동블럭 연결부(231)와 하우징(110)간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동블럭(230)과 개폐블럭(120)간의 연결구조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는데, 일예로 이동블럭(230)의 연결부(231)를개폐블럭(120)의 연결부(124)에 나사산 결합하거나, 열처리나 기타 접착수단을 이용해서 이동블럭(230)의 연결부(231)를 개폐블럭(120)의 연결부(124)에 견고하게 부착해서 일체화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배수장치의 작동을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배수밸브(100)의 하우징(110) 상부가 베이스(10)에 견고하게 설치되고, 이의 하부에 배수라인(도시안됨)이 연통되게 연결된 상태에서, 밸브개폐장치(200)의 입력유닛(240)을 조작하여 밸브닫힘을 선택하면, 구동모터(210)와 이와 연동되는 스크류축(220)이 정방향으로 회동되어 이동블럭(23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이동블럭(230)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에 맞물린 개폐블럭(120)이 하방향으로 이동되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단 개구부가 개폐블럭(120)의 개폐부(122)에 의해 밀폐되고, 개폐블럭(120)의 하방향으로의 이동은 자연스럽게 정지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홀과 개폐블럭(120)의 배수구(H)를 통한 물의 배출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밸브개폐장치(200)의 입력유닛(240)을 밸브닫힘에서 밸브열림으로 전환하면, 구동모터(210)와 이와 연동되는 스크류축(220)이 역방향으로 회동되어 이동블럭(230)이 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이, 이동블럭(23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에 맞물린 개폐블럭(120)이 상방향으로 이동되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단 개구부가 열리게 되므로, 베이스(10)상의 물이 하우징(110)의 상단 개구부로 유입된 후에, 하우징(100)의 내부홀과 개폐블럭(120)의 배수구(H)를 통해서 하부로 배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개폐블럭(120)의 상하 왕복이동시에 하우징(110)의 가이드구멍(110a,110b)이 개폐블럭(120)의 기밀유지부(123)에 의해 밀폐되므로, 배수밸브(100)의 개폐를 위한 주요 연동부분(220,230)이 배출되는 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되고, 개폐블럭(120)이 밸브개폐장치(200)에 직접 맞물려 연동되므로 구조가 크게 단순화된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장치의 경우,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머리카락이나 물때 등의 이물질들이 블럭본체(121)의 날개부분에 끼어거나 쌓여서 배수구(H)가 막히게 되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0)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122)를 개폐블럭(120)의 블럭본체(121)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하면, 이러한 이물질들을 손쉽게 제거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에 걸림턱(110c)을 형성하여, 기밀유지부(123)가 걸림턱(110c)에 걸쳐져서 상방향으로의 이동이 정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밸브개폐장치(200)의 연결부(231)가 하우징(110)에 간섭되지 않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11"과 "112"는 각각 하우징(110)을 구성하는 하부·상부 하우징을 나타낸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유지부(123)의 외주면에 밀봉부재(125)를 보강 설치하여, 하우징(110)과 기밀유지부(123)가 보다 확실히 밀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부품 제조의 용이함을 위해서, 상기 기밀유지부(123)를 블럭본체(121)와는 별물로 제작한 후, 이를 블럭본체(121)에 부착 또는 체결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르면, 하우징(110)의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구멍(110a)이 형성되고, 개폐블럭(120)에 가이드구멍(110a)을 밀폐하는 기밀유지부(123)가 구비되며, 가이드구멍(110a)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기밀유지부(123)에 밸브개폐장치(2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24)가 구비되어진 구조로 되어, 배수밸브(100)의 개폐를 위한 주요 연동부분이 배수경로로부터 안전하게 격리보호되므로 제품수명이 연장되고 개폐작동이 원활하게 수행되는 한편, 그 구조가 획기적으로 단순화되므로 제품 생산성이 향상되고 제품비용이 크게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하가 개구되어진 관형태의 하우징(110)과, 배수구(H)를 갖추고서 하우징(110)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어 하우징(110)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블럭(120)으로 이루어진 배수밸브(100)와 ; 배수밸브(100)의 개폐블럭(120)을 강제 구동하여 하우징(110)을 자동으로 개폐하는 밸브개폐장치(200)로 이루어진 배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10)의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구멍(110a)이 형성되고, 개폐블럭(120)에 가이드구멍(110a)을 밀폐하는 기밀유지부(123)가 구비되며, 가이드구멍(110a)을 통해서 외부로 노출되는 기밀유지부(123)에 밸브개폐장치(20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24)가 구비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개폐장치(200)는, 구동모터(210)와 ; 개폐블럭과 평행하게 수직으로 배치되어 구동모터(210)에 의해 강제 회동되는 스크류축(220) ; 스크류축(220)에 나사산 결합되고, 개폐블럭(120)의 연결부(124)에 연결되어, 스크류축(220)에 연동되어서 개폐블럭(120)을 가이드구멍(110a)을 따라 수직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이동블럭(230) 및; 구동모터(210)의 작동을 제어하는 입력유닛(2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블럭(120)의 블럭본체(121) 상단에 하우징(110)의 상단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부(122)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장치.
KR20-2004-0030184U 2004-10-26 2004-10-26 배수장치 KR200374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184U KR200374526Y1 (ko) 2004-10-26 2004-10-26 배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184U KR200374526Y1 (ko) 2004-10-26 2004-10-26 배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5599A Division KR100641871B1 (ko) 2004-10-26 2004-10-26 배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526Y1 true KR200374526Y1 (ko) 2005-01-29

Family

ID=49445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184U KR200374526Y1 (ko) 2004-10-26 2004-10-26 배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5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0312803A (pt) Desentupidor que não goteja
CA2302713A1 (en) Backflow valve
KR100641871B1 (ko) 배수장치
KR200374526Y1 (ko) 배수장치
JP2916744B2 (ja) 排水栓装置
JP2002349134A (ja) 扉開閉装置
KR100426686B1 (ko) 수압작동식 높이조절장치
CN214804121U (zh) 一种双上手柄双推钮驱动夹钳式压力锅
KR200436606Y1 (ko) 세면대용 물탱크 원터치 급배수 구조
CN220318678U (zh) 去水器
CN201152374Y (zh) 直线式切换三通结构
KR100705268B1 (ko) 욕조용 배수장치
KR200352042Y1 (ko) 고압 멸균기의 도어 록킹장치
CN218883065U (zh) 一种立式水龙头
CN218861685U (zh) 升降台盆的下水器及升降台盆
KR200212138Y1 (ko) 수전금구용밸브개폐장치
CN220352978U (zh) 一种电动蓄排水的水槽
KR930006764Y1 (ko) 혼합밸브
CN219364810U (zh) 一种新型洗手池排水装置
KR200345002Y1 (ko) 원터치 배수구 마개장치
KR200235959Y1 (ko) 핸들리스 포셋
ES2192497T3 (es) Techo corredizo para vehiculos.
KR100711308B1 (ko) 욕조용 배수장치
CN211039782U (zh) 一种按钮切换结构
KR0116836Y1 (ko) 수도전 출수 방향 전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