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4195Y1 - 일렬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 - Google Patents

일렬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4195Y1
KR200374195Y1 KR20-2004-0025151U KR20040025151U KR200374195Y1 KR 200374195 Y1 KR200374195 Y1 KR 200374195Y1 KR 20040025151 U KR20040025151 U KR 20040025151U KR 200374195 Y1 KR200374195 Y1 KR 200374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rotation
clutch
bearing
locking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1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동환
Original Assignee
변동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동환 filed Critical 변동환
Priority to KR20-2004-00251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41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4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41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16C33/583Details of specific parts of r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00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adjustable for aligning or positioning
    • F16C23/06Ball or roller bearings
    • F16C23/08Ball or roller bearings self-adjusting
    • F16C23/082Ball or roller bearings self-adjusting by means of at least one substantially spherical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30Parts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3/58Raceways; Race rings
    • F16C33/6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렬의 회전체만으로 베어링 또는 클러치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외측궤도륜과 내측궤도륜 사이에 개재되는 리테이너의 원주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체 수용부가 형성되고 리테이너에 대해 원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걸림위치결정부재를 설치하여, 걸림위치결정부재의 위치에 따라 회전체가 상기 회전체 수용부 내의 풀림위치결정부에 위치하면 베어링의 역할을, 걸림위치결정부에 위치하면 클러치의 로울러 또는 스프라그의 역할을 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된다.

Description

일렬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TWO WAY CLUTCH BEARING UNIT}
본 고안은 동력 전달 기기로서의 양방향 클러치(TWO-WAY CLUTCH)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렬로 이루어진 회전체만으로 리테이너의 조작에 따라 클러치 또는 베어링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한 일렬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동력전달 수단으로서 한방향 클러치(ONE-WAY CLUTCH)와 양방향 클러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 이 클러치는 주변 부품과 함께 일체화 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도9는 종래의 로울러형 한 방향 클러치 유니트의 단면도로서 클러치부(42)와 베어링부(41)가 병설된 한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한 방향 클러치 유니트는 일반적으로 베어링부(41)와 클러치부(42)로 나뉘어져 있고, 베어링부(41)에는 볼(43)이, 클러치부(42)에는 로울러(50)가 설치되는데, 이것은 클러치 부분에서 하중을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이다.따라서 기존의 한방향 또는 양방향 클러치 유니트는를 회전 기기에 사용시에는 하중의 지지를 위해서 클러치와 베어링이 동시에 장착되어야 하므로 회전체가 2열내지 3열의 형식으로 되어야만하였다. 이로써, 제품제작에 부품이 많이 소요되어 원가상승, 조립공정 수의 증가로 인한 조립효율의 저하 및 제품크기가 증가한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본 고안의 목적은 일렬의 회전체만으로도 클러치와 베어링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일체형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한방향 클러치의 걸림방향을 선택할 수 있는 일체형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링형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측면도.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링형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단면도로서,a)는 원주방향으로 조절되는 일방향 클러치의 방향설정 캡을 갖고 걸림위치결정부재가 외측궤도륜에 설치된 유니트의 단면도.b)는 축방향으로 조절되는 일방향 클러치의 방향설정 캡을 갖고 걸림위치결정부재가 외측궤도륜 및 내측궤도륜에 설치된 유니트의 단면도.c)는 축방향으로 조절되는 일방향 클러치의 방향설정 캡을 갖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2개의 걸림위치결정부재가 외측궤도륜에 설치된 유니트의 단면도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링형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걸림위치결정부재의 측면도.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링형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외측궤도륜과 회전체, 걸림위치결정부재가 풀림 또는 걸림 작용을 수행하는 상태도.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사형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측면도로서 베어링으로 작동되는 상태의 측면도.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사형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측면도로서 일방향클러치로 작동되는 상태의 측면도.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방사형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단면도.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한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회전체로 사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회전체를 도시한 사시도.도 9는 종래의 로울러형 한방향 클러치 유니트의 단면도.도 10은 상기 도9의 클러치부의 측면 확대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청구항 1에 따르면, 회전이 저지될 때에는 클러치로 작동하고 회전이 허용될 때에는 베어링으로 작동하는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에 있어서, 외측궤도륜; 상기 외측궤도륜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궤도륜; 상기 궤도륜의 원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다수의 회전체를 각각 수용하되 상기 수용된 회전체가 회전을 허용할 때에 위치하는 풀림위치결정부와 회전을 저지할 때에 위치하는 걸림위치결정부를 양방향으로 구비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다수의 회전체 수용부;와 그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외측궤도륜 및 상기 내측궤도륜 사이에 위치하는 리테이너; 및, 상기 회전체 수용부의 풀림위치결정부에서는 상기 내측 및 외측궤도륜의 사이에서 이들에 접하여 상대회전하고, 상기 걸림위치결정부에서는 상기 내측궤도륜과 상기 외측궤도륜 사이에 맞물려 궤도륜 상호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위치결정부는 상기 궤도륜의 회전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리테이너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경사진 것;을 포함하여 회전이 저지될 때에는 클러치로 작동하고 회전이 허용될 때에는 베어링으로 작동하는 일체형 클러치-베어링 유니트가 제공된다.또한, 본 고안의 청구항 2에 따르면, 궤도륜에 단이 진 턱을 형성하고, 다수의 회전체와 궤도륜의 단이진 턱 사이에 링형상의 하나 이상의 걸림위치결정부재를 설치하되, 궤도륜의 회전중심축에 대하여 리테이너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경사진 걸림위치결정부를 각각의 회전체에 대향하여 갖고, 걸림위치결정부재가 리테이너의 풀림위치결정부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걸림위치까지 이동가능한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가 제공된다.또한, 본 고안의 청구항 3에 따르면, 궤도륜의 회전중심축에 대하여 리테이너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경사진 끝단을 갖는 걸림위치결정부를 방사형으로 하나 이상 갖는 걸림위치결정부재가 리테이너의 풀림위치결정부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걸림위치까지 이동가능한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가 제공된다.또한, 본 고안의 청구항 4에 따르면, 걸림위치결정부재와 결합하고 리테이너의 원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리테이너에 지지되는 다수의 핀부재가 리테이너 상에서 각각의 핀부재가 같이 회전하게 링부재와 결합하여 핀부재의 회전에 의해 걸림위치결정부재가 풀림위치와 걸림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가 제공된다.또한, 본 고안의 청구항 5에 따르면, 핀부재와 링부재의 결합은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고 리테이너에서 돌출된 핀부재 상의 피니언과 그와 치합하는 링기어, 링기어에서 확장된 일방향 클러치 방향 설정래버를 포함하여 클러치 작동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가 제공된다.또한, 본 고안의 청구항 6에 따르면, 핀부재와 링부재의 결합은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고 리테이너에서 돌출된 핀부재 상의 캠부재와 그와 치합하는 링부재, 링부재에서 확장된 일방향 클러치 방향 설정래버를 포함하여 클러치 작동 방향을 전환할 수 있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가 제공된다.또한, 본 고안의 청구항 7에 따르면, 리테이너에 대한 링부재의 회전에 의해 핀부재의 회전이 같거나 서로 다르게 회전하도록 캠부재와 링부재가 치합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가 제공된다.또한, 본 고안의 청구항 8에 따르면, 리테이너에 지지되는 핀부재와 걸림위치결정부재의 결합은, 리테이너 내에 형성된 핀부재 상의 캠부재가 리테이너에 대한 핀부재의 회전에 의해 걸림위치결정부재가 같거나 서로 다르게 회전하도록 걸림위치결정부재가 치합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가 제공된다.또한, 본 고안의 청구항 9에 따르면, 상기 회전체와 상기 걸림위치결정부가 탄성접촉하도록 링부재와 걸림위치결정부재 사이 어느 한 곳에 양방향으로 탄성반발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된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가 제공된다.또한, 본 고안의 청구항 10에 따르면, 걸림위치결정부는 탄성체로서 리테이너의 원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다수의 핀부재를 축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링부재에 의해 핀부재가 축방향 이동하고, 그것에 의해 걸림위치결정부재가 풀림위치와 걸림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가 제공된다.또한, 본 고안의 청구항 11에 따르면, 상기 회전체의 형상은 구형, 구면형, 원통형, 니이들형, 장구형 또는 2단형인 일체형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가 제공된다.또한, 본 고안의 청구항 12에 따르면, 상기 회전체 또는 리테이너의 재질은 플라스틱, 세라믹, 강재, 경화 강재,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일체형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가 제공된다.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1열로 이루어진 로울러형의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는 내측궤도륜(2) 외측궤도륜(1), 상기 내측궤도륜(2)과 외측궤도륜(1) 사이에 개재되며 원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회전체 수용부(32)를 포함하는 리테이너(3) 및 상기 회전체 수용부(32)내에서 유지되어 상기 내측궤도륜(2)과 외측궤도륜(1) 사이를 회전이동하는 한열로 이루어진 다수의 회전체(4, 로울러)를 포함한다. 또한 외측궤도륜(1)에 단이진 턱(11)이 형성되어 로울러(4)와 외측궤도륜(1) 사이의 공간에 로울러(4)와 접촉하여 회전을 저지하는 걸림위치결정부(331)를 갖는 링형의 걸림위치결정부재(33)와 그것을 리테이너(3)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캠(51)을 갖는 핀(5)을 포함한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동일구성요소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 부호를사용하여 설명한다.도 2는 상기 제 1실시예의 링형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단면도로서, a)는 원주방향으로 조절되는 일방향 클러치의 방향설정 캡(6)을 갖고 걸림위치결정부재가 외측궤도륜(1)에 설치된 유니트의 단면도이며, b)는 축방향으로 조절되는 일방향 클러치의 방향설정 캡(62)을 갖고 걸림위치결정부재가 외측궤도륜() 및 내측궤도륜(2)에 설치된 유니트의 단면도이며, c)는 축방향으로 조절되는 일방향 클러치의 방향설정 캡(62)을 갖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2개의 걸림위치결정부재가 외측궤도륜(1)에 설치된 유니트의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링형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걸림위치결정부재의 측면도이다.회전체(4)를 수용하는 회전체 수용부(32)는 풀림위치결정부(311)와 걸림위치결정부재(33)의 두 부분으로 분리되고, 상기 풀림위치결정부(311)는 회전체(4)의 회전중심축과 평행하며 상기 회전체(4)의 회전이동방향 양측에 형성된 위치결정면(311)을 구비하고, 상기 걸림위치결정부(331)는 걸림위치결정부재(33) 상에서 위치결정면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경사부(331)를 구비하는 데, 상기경사부는 리테이너(3)의 직경방향으로 완만하게 경사져 쐐기형상을 하고 있다.또한, 상기 풀림위치결정부(311)와 걸림위치결정부(331)는 리테이너(3) 폭의 양단부에 걸쳐 그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부(32)에 의해 결합되어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 회전체 수용부(32)는 대략 직사각형의 개구를 포함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풀림위치결정부(311)는 위치결정면(311)과 가이드(32)부 의해 형성되어 회전체의 풀림 위치가 결정되는 부분이고, 걸림위치결정부(331)는 리테이너에 대해 원주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링형의 걸림위치결정부재 상의 경사부(331)와 가이드부(32)에 의해 형성되어 회전체의 걸림 위치가 결정되는 부분이다.상기 회전체(4)는 상기 회전체 수용부(32)내에서 리테이너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지 않고 회전하게 설치된다. 상기 리테이너에 대하여 걸림위치결정부재가 상대 이동하여 걸림위치결정부가 회전체와 접촉하지 않게 위치하거나 회전체의 진행 방향 앞쪽에서 접촉하게 위치할 때에는 베어링으로서의 역할을 하고, 회전체의 진행 방향 뒤쪽에서 접촉하게 위치할 때에는 클러치의 로울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도 3과 4를 참고로 본 고안에 따른 링형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외측궤도륜(1)과 회전체, 걸림위치결정부재가 풀림 또는 걸림 작용을 수행하는 상태를 설명한다.걸림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방향 설정 레버를 이동하면, 리테이너에 지지되어 있는 핀은 회전하고 그에 따라 걸림위치결정부재는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위치결정부가 로울러와 탄성접촉하게 된다. 상기 내측궤도륜(2)이 접동하여 회전하는 로울러(4)와 걸림위치결정부재가 접촉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내측궤도륜(2)과 접촉한 로울러는 걸림위치결정부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위치결정부재를 밀어내며 회전하여 베어링의 역할을 한다. 또한 걸림방향이 설정되지 않은 중립 상태에서는 걸림위치결정부가 로울러와 접촉하지 않아 베어링의 역활을 한다.풀림위치(9)에서 리테이너의 직경방향으로 내측궤도륜/로울러/외측궤도륜의 차례로 하중이 전달되므로 리테이너(3)의 외주면은 로울러(4)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리테이너(3)의 간섭을 받지 않고 로울러(4)가 풀림위치결정부(9)에 유지된 채로 회전하면서 내측궤도륜과(2)와 외측궤도륜(1) 사이를 주행하게된다(즉, 클러치가 풀리게 된다).역으로 내측궤도륜(2)이 로울러와 걸림위치결정부재가 접촉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내측궤도륜(2)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로울러는 걸림위치결정부와 탄성접촉하면서 로울러(4)가 경사부(7)를 타고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걸림위치결정부(10)로 안내되므로 경사부(7)가 외측궤도륜(1)과 로울러(4)사이에 개재되어 로울러(4)가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리테이너의 직경방향으로 내측궤도륜/로울러/리테이너/외측궤도륜의 차례로내측궤도륜(2)의 회전력에 의한 하중이 전달되므로 클러치가 걸리게 된다.다시 내측궤도륜(2)이 로울러와 걸림위치결정부재가 접촉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경사진 걸림위치결정부를 올라타고 있던 로울러는 외측궤도륜(1)과 결합된 걸립위치결정부재를 굴러내려와 외측궤도륜과 접촉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걸림위치결정부재는 탄성에 의해 외측궤도륜과 분리되고 로울러와 탄성접촉하게 된다. 즉 쐐기형태로 결합되었던 로울러는 회전하게되어 외측궤도륜(1)과 내측궤도륜(2)의 결합은 해체되고 베어링으로 작동하게 된다.상기 실시예에서는 구면형의 로울러(4)를 사용하고 있는 관계로 회전체의 양단부가 리테이너와 간섭하도록 리테이너의가이드부(6) 양측에 형성된 단이진 턱(7)이 도시되어 있으나, 장구형 로울러(도8의 (c))나 아령형 로울러(도8의 (g))를 사용한다면 경사부(7)가 이들 로울러의 형상에 적합하도록 리테이너(3)의 폭 중앙에 위치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또한, 상기 제1실시예에서는 회전체(4)로서 로울러가 사용되고 경사부(7)가 쐐기 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회전체(4)가 경사부(7)에 올라타도록 되어 있으나 경사부의 두께가 얇아 제작이 곤란하다거나, 파손의 염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회전체와 외측궤도륜과의 형상을 고려하여 그 기능 및 형태에 따라 가지 형상을 갖진 회전체를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다음으로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겠다.도 5는 걸림위치결정부재로서 방사형 탄성체를 사용한 경우의 제2실시예의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측면도로서 베어링으로 작동되는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6은 일방향클러치로 작동되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클러치-베어링의 유니트는 외측궤도륜(1), 내측궤도륜(2), 리테이너(3), 리테이너의 외주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회전체 수용부(32)를 포함하며, 걸림위치결정부재로서 방사형 탄성체를 사용한다는 점과 그것의 사용으로 인하여 풀림위치결정부(311) 및 걸림위치결정부(341)의 형상이 걸림위치결정부재로서 링형부재를 사용한 제1실시예와는 다소 상이하다는 점 외에는 전술한 제1실시예의 작동원리와 동일하다. 도 7은 방사형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의 단면도이다.일방향 클러치의 걸림방향을 설정하기 위해 방향 설정 레버(62)를 이동하면, 리테이너에 지지되어 있는 핀(5)은 회전하고 그에 따라 걸림위치결정부재(34)는 원주 방향으로 이동하여 걸림위치결정부(341)가 로울러(4)와 탄성접촉하게 된다. 상기 내측궤도륜(2)이 접동하여 회전하는 로울러(4)와 걸림위치결정부재가 접촉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내측궤도륜(2)과 접촉한 로울러는 걸림위치결정부(341)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걸림위치결정부재를 밀어내며 회전하여 베어링의 역할을 한다. 또한 걸림방향이 설정되지 않은 중립 상태에서는 걸림위치결정부가 로울러와 접촉하지 않아 베어링의 역활을 한다.풀림위치(9)에서 리테이너의 직경방향으로 내측궤도륜/로울러/외측궤도륜의 차례로 하중이 전달되므로 리테이너(3)의 외주면은 로울러(4)의 회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 리테이너(3)의 간섭을 받지 않고 로울러(4)가 풀림위치결정부(9)에 유지된 채로 회전하면서 내측궤도륜과(2)와 외측궤도륜(1) 사이를 주행하게된다(즉, 클러치가 풀리게 된다).역으로 내측궤도륜(2)이 로울러와 걸림위치결정부재(34)가 접촉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내측궤도륜(2)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로울러는 걸림위치결정부와 탄성접촉하면서 로울러(4)가 경사부(7)를 타고 회전하면서 이동하여 걸림위치결정부(10)로 안내되므로 경사부(7)가 외측궤도륜(1)과 로울러(4)사이에 개재되어 로울러(4)가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리테이너의 직경방향으로 내측궤도륜/로울러/리테이너/외측궤도륜의 차례로내측궤도륜(2)의 회전력에 의한 하중이 전달되므로 클러치가 걸리게 된다.다시 내측궤도륜(2)이 로울러와 걸림위치결정부재(34)가 접촉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경사진 걸림위치결정부(341)를 올라타고 있던 로울러는 외측궤도륜(1)과 결합된 걸림위치결정부재(341)를 굴러내려와 외측궤도륜(1)과 접촉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걸림위치결정부재(34)는 탄성에 의해 외측궤도륜과 분리되고 로울러와 탄성접촉하게 된다. 즉 쐐기형태로 결합되었던 로울러(4)는 회전하게되어 외측궤도륜(1)과 내측궤도륜(2)의 결합은 해체되고 베어링으로 작동하게 된다.상기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는 내측궤도륜(2)의 회전력이 외측궤도륜(1)에 전달되어 클러치가 걸리게 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반대로 외측궤도륜의 회전력이 내측궤도륜에 전달되어 클러치가 걸리도록 설계를 변경하는 것도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은 물론이다.상기한 실시예에서는 회전체로서 로울러를 사용한 경우를 예로 들어 본 고안을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도8의 (a)내지 (g)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의 로울러 및 볼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8에서는 구면 로울러(a), 원통형(또는 니이들형)로울러(b), 장구형 로울러(c), 그 밖의 2단 로울러(e-g)등이 도시되어 있다. 이들 모두는 1개의 로울러로서 베어링의 회전체 역할과 클러치의 스프라그의 회전체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또한, 회전체 수용부의 형상은 도8에 도시된 회전체가 회전체 수용부 내에서 원활하게 접동하여 회전이동할 수 있도록 사다리꼴, 타원형, 역타원형, 테이퍼형으로 설계될 수 있다.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회전체 또는 리테이너의 재질은 플라스틱, 세라믹, 강재, 경화 강재, 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이상 본 고안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고안을 제조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적인 설계 및 실시 예들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청구범위의 범위 및 사상 내에 있는 이러한 실시 예 및 변형 예들 모두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체형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에 의하면, 1 열의 회전체만으로도 클러치와 베어링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궤도륜이 정방향으로 회전시에는 회전체가 베어링으로써의 역할을 하고 역방향으로 회전시에는 회전체가 클러치의 로울러 또는 스프라그의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일방향 클러치에 방향전환 기능 외에 양방향 베어링 기능 및 양방향 잠금(Locking)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한방향 및 양방향 클러치의 복합기능과 기존의 한방향 및 양방향 클러치에서 하중의 지지를 위해 별도의 베어링을 동시에 설치해야 하던 문제점을 극복하게 된다.또한,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클러치-베어링 유니트에 의하면 1열의 회전체만을 사용하므로 전동 수를 반 이상으로 줄일 수 있어 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조립되는 회전체 수가 적어지므로 조립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베어링과 클러치부의 폭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제품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Claims (13)

  1. 외측궤도륜;
    상기 외측궤도륜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궤도륜;
    상기 궤도륜의 원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다수의 회전체를 각각 수용하되 상기 수용된 회전체가 회전을 허용할 때에 위치하는 풀림위치결정부와 회전을 저지할 때에 위치하는 걸림위치결정부를 양방향으로 구비하는 개구를 포함하는 다수의 회전체 수용부;와 그 원주를 따라 형성된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외측궤도륜 및 상기 내측궤도륜 사이에 위치하는 리테이너; 및,
    상기 회전체 수용부의 풀림위치결정부에서는 상기 내측 및 외측궤도륜의 사이에서 이들에 접하여 상대회전하고, 상기 걸림위치결정부에서는 상기 내측궤도륜과 상기 외측궤도륜 사이에 맞물려 궤도륜 상호간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다수의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위치결정부는 상기 궤도륜의 회전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리테이너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경사진 것;을 포함하여 회전이 저지될 때에는 클러치로 작동하고 회전이 허용될 때에는 베어링으로 작동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단이 진 턱을 갖는 궤도륜;
    상기 다수의 회전체와 궤도륜의 단이진 턱 사이에서 상기 궤도륜의 회전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리테이너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경사진 걸림위치결정부를 각각의 회전체에 대향하여 갖는 링형상의 하나 이상의 걸림위치결정부재;
    상기 걸림위치결정부재는 리테이너의 풀림위치결정부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걸림위치까지 이동가능한 것;을 포함하여 회전이 저지될 때에는 클러치로 작동하고 회전이 허용될 때에는 베어링으로 작동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궤도륜의 회전중심축에 대하여 상기 리테이너의 원주방향으로 소정각도 만큼 경사진 끝단을 갖는 걸림위치결정부를 하나 이상 갖는 걸림위치결정부재;
    상기 걸림위치결정부재는 리테이너의 풀림위치결정부에 대하여 원주방향으로 걸림위치까지 이동가능한 것;을 포함하여 회전이 저지될 때에는 클러치로 작동하고 회전이 허용될 때에는 베어링으로 작동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4. 제 2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위치결정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리테이너에 지지되는 핀부재;
    상기 리테이너의 원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다수의 핀부재를 리테이너 상에서 각각의 핀부재가 같이 회전하게 결합하는 링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핀부재의 회전에 의해 걸림위치결정부재가 풀림위치와 걸림위치 사이를 이동함으로서 회전이 저지될 때에는 클러치로 작동하고 회전이 허용될 때에는 베어링으로 작동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와 링부재의 결합은
    상기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고 리테이너에서 돌출된 핀부재 상의 피니언;
    상기 피니언과 치합하는 링기어;
    상기 링기어에서 확장된 일방향 클러치 방향 설정래버;를 포함하여 회전이 저지될 때에는 클러치로 작동하고 회전이 허용될 때에는 베어링으로 작동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핀부재와 링부재의 결합은
    상기 리테이너에 의해 지지되고 리테이너에서 돌출된 핀부재 상의 캠부재;
    상기 캠부재과 치합하는 링부재;
    상기 링부재에서 확장된 일방향 클러치 방향 설정래버;를 포함하여 회전이 저지될 때에는 클러치로 작동하고 회전이 허용될 때에는 베어링으로 작동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7. 제 6항에 있어서, 리테이너에 대한 링부재의 회전에 의해 핀부재의 회전이 같거나 서로 다르게 회전하도록 캠부재와 링부재가 치합하는 것;을 포함하여 회전이 저지될 때에는 클러치로 작동하고 회전이 허용될 때에는 베어링으로 작동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에 지지되는 핀부재와 걸림위치결정부재의 결합은,
    상기 리테이너 내에 형성된 핀부재 상의 캠부재;
    상기 리테이너에 대한 핀부재의 회전에 의해 걸림위치결정부재가 같거나 서로 다르게 회전하도록 상기 캠부재와 걸림위치결정부재가 치합하는 것;을 포함하여 회전이 저지될 때에는 클러치로 작동하고 회전이 허용될 때에는 베어링으로 작동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와 상기 걸림위치결정부가 탄성접촉하도록 링부재와 걸림위치결정부재 사이 어느 한 곳에 양방향으로 탄성반발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부재가 설치된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10. 제 3항에 있어서, 걸림위치결정부는 탄성체로서
    상기 걸림위치결정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리테이너에 지지되는 핀부재;
    상기 리테이너의 원주를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상기 다수의 핀부재를 축의 중심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링부재;
    상기 핀부재의 축방향 이동에 의해 걸림위치결정부재가 풀림위치와 걸림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포함하여 회전이 저지될 때에는 클러치로 작동하고 회전이 허용될 때에는 베어링으로 작동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의 형상은 구, 구면원통형, 원통형, 경사진 원통형, 니이들형, 장구형 또는 2단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걸림위치결정부재 또는 리테이너의 재질은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 걸림위치결정부재 또는 리테이너의 재질은 강재, 경화 강재합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일렬 양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KR20-2004-0025151U 2004-09-02 2004-09-02 일렬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 KR2003741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151U KR200374195Y1 (ko) 2004-09-02 2004-09-02 일렬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151U KR200374195Y1 (ko) 2004-09-02 2004-09-02 일렬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1992A Division KR20060021251A (ko) 2004-10-14 2004-10-14 일렬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4195Y1 true KR200374195Y1 (ko) 2005-01-25

Family

ID=49445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151U KR200374195Y1 (ko) 2004-09-02 2004-09-02 일렬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419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293759A (ja) 回転伝達装置
JP2009293679A (ja) 回転伝達装置
CN105934601B (zh) 旋转传递装置
JP2003081106A (ja) 車輪操舵装置
US4093049A (en) Freewheel devices
US7040469B2 (en) One-way clutch apparatus
US5855517A (en) Releasable coupling for machine tools
KR20060107419A (ko) 역입력방지 클러치베어링조립체
KR200374195Y1 (ko) 일렬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
JP5902527B2 (ja) 回転伝達装置
US7080721B2 (en) Oneway clutch and mounting structure thereof
KR20060021251A (ko) 일렬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유니트
US6874609B2 (en) Rotary-to-linear transfer device
US20060260896A1 (en) Freewheel
JP2019143686A (ja) クラッチ装置
CN101398042B (zh) 组合式超越离合器
JP2017214943A (ja) 逆入力防止クラッチ
JP2012172763A (ja) スラストころ軸受
KR20060087650A (ko) 일렬 양방향 클러치 베어링
WO2015046309A1 (ja) 回転伝達装置
WO2021002270A1 (ja) 回転伝達装置
KR100354614B1 (ko) 일체형 한방향 클러치-베어링 유니트
US11846329B2 (en) Cam clutch
JP4354110B2 (ja) クラッチ用リフタ装置
JP2713616B2 (ja) ク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