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626Y1 - 방통테이프 - Google Patents

방통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626Y1
KR200373626Y1 KR20-2004-0028856U KR20040028856U KR200373626Y1 KR 200373626 Y1 KR200373626 Y1 KR 200373626Y1 KR 20040028856 U KR20040028856 U KR 20040028856U KR 200373626 Y1 KR200373626 Y1 KR 2003736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layer
wall
mortar
breakthr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88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프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프리
Priority to KR20-2004-00288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6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6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6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27Means for spacing the flooring from an adjoining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일반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등과 같이 복층건물로 되는 공동주택에서 층간 차음 및 단열을 위해 사용되는 방통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와 모르타르층을 차단하는 방통테이프의 크기를 상부로 연장되게 길게 형성하되, 소정부위에 절취선을 형성토록 하여 벽체와 모르타르층이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토록 하므로서, 상부층의 소음 및 진동이 모르타르층과 벽체가 맞닿는 부분을 통해 하부층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간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방통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반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등과 같이 복층건물로 되는 공동주택에서 층간 차음을 위해 벽체와 모르타르층 사이에 부착되는 방통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방통테이프의 테이프의 크기를 상부로 연장되게 길게 형성하되, 그 테이프에서 상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복수 개의 절취선을 일정간격마다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방통테이프{Filla tape}
본 고안은 일반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등과 같이 복층건물로 되는 공동주택에서 층간 차음 및 단열을 위해 사용되는 방통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벽체와 모르타르층을 차단하는 방통테이프의 크기를 상부로 연장되게 길게 형성하되, 소정부위에 절취선을 형성토록 하여 벽체와 모르타르층이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토록 하므로서, 상부층의 소음 및 진동이 모르타르층과 벽체가 맞닿는 부분을 통해 하부층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간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방통테이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다세대주택 등과 같은 형태의 주택이 대다수를 차지하는 우리나라의 공동주택에서 가장 많은 민원은 상하층간의 바닥충격음이며, 현재 이런 바닥충격음으로 인한 층간소음을 최소화하는 데 많은 노력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같은 바닥충격음 즉, 층간 소음을 최소화하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콘크리트 바닥슬래브 위에 충격음 저감 및 완충을 목적으로 완충재를 사용하여 완충재 상부에 설치되는 기포콘크리트와 모르타르를 바닥슬래브로부터 분리시키는 뜬바닥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바닥면을 통한 충격 및 소음진동을 해소하기 위한 공법일 뿐이며, 벽체를 통한 층간 소음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완충재 상부로 타설되는 기포콘크리트 및 바닥모르타르층과 그들과 맞닿는 벽체 사이에 차음 및 흡수성을 갖는 고분자 소재로 되어 약 3~8mm의 두께를 갖는 방통테이프를 부착하여 이를 통해, 벽체를 타고 하부층으로 전달되는 충격 및 소음진동을 해소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방통테이프의 완전한 설치는 도 1에서와 같이 이면에 형성되는 접착제층을 통해 벽체(1)에 부착된 상태에서 기포 및 바닥모르타르를 타설할 때 방통테이프(100)의 상단부와 바닥모르타르층(5)의 상부면이 서로 일치되도록 타설하여야만이 벽체(1)를 통한 충격 및 소음진동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콘크리트 바닥슬래브(2)면의 평탄면이 일정치 않고, 기포콘크리트층(4)의 특성상 침하가 불규칙적으로 일어나게 됨은 물론, 무엇보다도 실제 시공시 기포콘크리트층(4) 및 바닥 모르타르층(5)의 정확한 타설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타설해야 하나 작업자의 작업숙련도 미비와 장비의 문제점으로 기포콘크리트층(4)과 바닥모르타르층(5)의 시공시 정확한 높이에 맞춰 타설하기가 사실상 불가능하였고, 실제로는 도 2에서와 같이, 바닥모르타르층(5)이 벽체(1)에 부착되는 방통테이프(100) 상부로 타설 시공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었다.
이 때문에 강성구조인 바닥모르타르층(5)에서 발생되는 충격 및 소음진동들이 도 2의 화살표로 표시한 것처럼 바닥모르타르층(5)과 벽체(1)사이의 방통테이프(100)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을 통해 벽체(1)에 전달되어 벽체(1) 콘크리트를 타고 상부층(6)에서 하부층(7)에 전달되게 되었고, 이는 공동주택에서 발생되는 민원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는 벽체와 모르타르층을 차단하는 방통테이프의 크기를 상부로 연장되게 길게 형성하되, 소정부위에 절취선을 형성토록 하여 벽체와 모르타르층이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토록 하므로서, 상부층의 소음 및 진동이 모르타르층과 벽체가 맞닿는 부분을 통해 하부층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여 층간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방통테이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복층건물에서의 층간 차음 및 단열을 위한 방통테이프의 바람직한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종래 방통테이프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통테이프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통테이프를 보인 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통테이프의 설치상태를 보인 설치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통테이프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통테이프 11 ; 접착제층
12 ; 절취선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반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등과 같이 복층건물로 되는 공동주택에서 층간 차음을 위해 벽체와 모르타르층 사이에 부착되는 방통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방통테이프의 테이프의 크기를 상부로 연장되게 길게 형성하되, 그 테이프에서 상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복수 개의 절취선을 일정간격마다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방통테이프를 벽체에 접착하기 위한 접착제층의 길이를 차음 성능을 지니는 방통테이프층의 길이와 상이하게 함에 있다.
즉, 방통테이프의 크기를 상부로 연장되게 길게 형성하고, 그 연장된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절취선을 형성토록 하므로서, 모르타르를 타설시 많은 량의 모르타르를 타설하더라도, 벽체와 모르타르층이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층의 소음 및 진동이 모르타르층과 벽체가 맞닿는 부분을 통해 하부층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층간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방통테이프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방통테이프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방통테이프의 설치상태를 보인 설치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방통테이프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방통테이프는 도 3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같이, 일반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등과 같이 복층건물로 되는 공동주택에서 벽체를 통한 소음 및 진동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해 벽체와 모르타르층 사이에 부착 설치되는 것으로, 이를 위한 방통테이프(10)에는 그 이면에 벽체(1)에 부착할 수 있는 접착제층(11)이 형성되고, 그 바깥면에는 접착제층(1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막(11')이 형성된다.
또한 방통테이프(10)의 이면에 형성되는 접착제층(11)의 폭을 방통테이프(10)의 폭보다 작게 설치하여 구체적으로는 통상의 기포콘크리트층(4)과 모르타르층(5)의 설계두께보다 조금 작게 설치하고 방통테이프(10)층의 폭은 층분히 크게 하여 시공하게 되면, 접착력이 강화되어 테이프(10)가 벽체(1)에서 쉽게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방통테이프(10)를 절취시 공동주택의 벽체(1)에 접착제층(11)으로 인한 지저분한 접착자국이 남는 것을 방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 소음 및 진동을 차단하기 위한 테이프(11)크기(폭)를 상부로 연장되게 길게 형성하고, 그 상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하나 이상 즉, 복수 개의 절취선(12)을 일정간격마다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방통테이프의 사용을 위해서는 먼저, 바닥슬래브(2)의 상부에 바닥층에 대한 차음 및 단열을 위한 완충재(3)를 설치한 다음, 테이프(10) 이면의 접착제층(11)에 부착된 보호막(11')을 떼어낸 후 테이프(10)를 바닥슬래브(2) 상부에 시공된 완충재(3)와 맞닿는 벽체(1)의 하단에 부착하고, 완충재(3)의 상부로 기포콘크리트(4) 및 바닥모르타르(5)를 타설시공한다.(도 5참조)
이때, 테이프(10)의 상부에 하나 이상 형성된 절취선(12)이 바닥모르타르(5) 타설시 타설 경계면으로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작용으로 바닥모르타르(5)가 타설 된 이후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테이프(10)에서 바닥모르타르층(5)의 상부와 가장 근접된 절취선(12)을 이용하여 바닥모르타르(5)상부로 돌출된 테이프(10)를 떼어내게 되면, 벽체(1)와 바닥모르타르층(5)사이에 방통테이프(10)가 부착되게 되며, 이를 통해 벽체(1)와 기포콘크리트층(4) 및 바닥모르타르층(5)에 서로 맞닿는 부분이 없이 방통테이프(10)를 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방통테이프(10)의 절단은 현장에서 필요높이에 맞춰 절단용 칼 등을 이용하여 시공자의 임의대로 절취할 수 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방통테이프(10)를 사용하게 되면, 기포콘크리트층(4)과 바닥모르타르층(5)의 타설시 시공두께가 설계량보다 많이 시공되었다 하더라도 방통테이프(10)의 두께가 충분하므로, 벽체(1)로 전달되는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층(6)의 소음 및 진동이 기포콘크리트층(4) 및 바닥모르타르층(5)과 벽체(1)가 맞닿는 부분을 통해 하부층(7)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되어 층간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방통테이프의 크기를 상부로 연장되게 길게 형성하고, 소정부위에 복수 개의 절취선을 형성토록 하므로서, 모르타르를 타설시 많은 량의 모르타르를 타설하더라도, 벽체와 모르타르층이 직접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부층의 소음 및 진동이 모르타르층과 벽체가 맞닿는 부분을 통해 하부층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층간 소음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일반 아파트나 다세대 주택등과 같이 복층건물로 되는 공동주택에서 층간 차음을 위해 벽체와 모르타르층 사이에 부착되는 방통테이프에 있어서,
    상기 방통테이프(10)의 테이프(10)의 크기를 상부로 연장되게 길게 형성하되, 그 테이프(10)에서 상부로 연장된 부분에는 복수 개의 절취선(12)을 일정간격마다 형성하며, 방통테이프층(10)과 접착제층(11)의 크기를 상이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통테이프.
KR20-2004-0028856U 2004-10-12 2004-10-12 방통테이프 KR2003736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856U KR200373626Y1 (ko) 2004-10-12 2004-10-12 방통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8856U KR200373626Y1 (ko) 2004-10-12 2004-10-12 방통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626Y1 true KR200373626Y1 (ko) 2005-01-27

Family

ID=49444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8856U KR200373626Y1 (ko) 2004-10-12 2004-10-12 방통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62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088B1 (ko) 2007-11-13 2012-09-20 (주)엘지하우시스 방수테이프를 포함하는 건축용 측면 차음/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바닥 측면 시공방법
KR102636555B1 (ko) * 2022-09-07 2024-02-15 두산건설 주식회사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36513B1 (ko) * 2022-09-07 2024-02-19 주식회사 메타이노텍 슬래브 상에 바탕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강성과 자중이 증대되고 단열재와 층간 완충재가 적층으로 배치되어 단열 성능과 충격음차단 성능이 향상된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088B1 (ko) 2007-11-13 2012-09-20 (주)엘지하우시스 방수테이프를 포함하는 건축용 측면 차음/완충재 및 이를이용한 바닥 측면 시공방법
KR102636555B1 (ko) * 2022-09-07 2024-02-15 두산건설 주식회사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636513B1 (ko) * 2022-09-07 2024-02-19 주식회사 메타이노텍 슬래브 상에 바탕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강성과 자중이 증대되고 단열재와 층간 완충재가 적층으로 배치되어 단열 성능과 충격음차단 성능이 향상된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80791A1 (en) Stucco d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295294B1 (ko) 복층건물의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구조
KR200373626Y1 (ko) 방통테이프
GB2437180A (en) Acoustic Flanking Block
KR101324261B1 (ko) 공동주택의 층간바닥구조
US20070169428A1 (en) Stucco draining apparatus and method
KR100730700B1 (ko) 다층건물의 바닥충격소음 감쇄구조
KR100329917B1 (ko) 다중 구조의 소음 및 진동 차폐층을 갖는 공동주택 바닥구조
KR100523806B1 (ko) 다층건물의 층간 단열 및 충격음 저감재
JP2005163489A (ja) 断熱基礎
KR20230162335A (ko)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측면완충재와 이를 이용한 측면 절연 시공방법
KR100603757B1 (ko) 소음방지를 위한 벽면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200357996Y1 (ko) 압축 스티로폼 차음재
KR102657241B1 (ko) 온수분배기 절연재용 보강재 및 이를 이용한 온수분배기 절연 시공 방법
KR102657238B1 (ko) 출입용 개구 하부 절연 시공방법
KR101642320B1 (ko)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방지 장치
KR102197720B1 (ko) 건물 슬라브 층간 충격음 차단 유닛 및 건물 슬라브 층간 충격음 차단 구조체
KR200231438Y1 (ko) 벽체를 통한 상하층간 소음 및 진동의 전달을 차폐시키기 위한 개량된 공동주택 바닥구조
KR200329863Y1 (ko) 방통테이프
KR200353780Y1 (ko) 소음방지를 위한 벽면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구조
KR102528587B1 (ko) 벽체와 마감모르타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마감모르타르를 차단하는 공법 및 구조
KR200315831Y1 (ko)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차단 구조
JP3962673B2 (ja) 外断熱プレキャスト版、及び外断熱壁
KR100595056B1 (ko) 습기와 소음 및 진동 차단용 매트와 이의 시공방법 및 이시공방법에 의해 조성된 슬래브단층 구조물
KR100509062B1 (ko) 건축용 벽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