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3532Y1 -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 Google Patents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3532Y1
KR200373532Y1 KR20-2004-0029549U KR20040029549U KR200373532Y1 KR 200373532 Y1 KR200373532 Y1 KR 200373532Y1 KR 20040029549 U KR20040029549 U KR 20040029549U KR 200373532 Y1 KR200373532 Y1 KR 2003735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eight
printing
parts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삼
박행운
Original Assignee
박균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균삼 filed Critical 박균삼
Priority to KR20-2004-0029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35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35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35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21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32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 D06M15/33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f unsaturated alcohols or esters thereof of vinyl acetate; Polyvinylalcoh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e.g. temporary coatings strippable as coherent film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Details Of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의복이나 모자와 같은 피착물의 표면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접착 및 인쇄 특성이 우수하고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면 혼방 직물을 기재직물로 하여 그 표면에는 인쇄 적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코팅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표장이 인쇄되며, 상기 기재직물의 배면에는 핫 멜트 접착제 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인쇄방법에 의해 표장을 제작함으로써 종래의 자수 직물제 표장에 비해 그 제작이 훨씬 용이하고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그 부착 방법에 있어서도 본 고안은 접착형이어서 종래의 재봉부착형에 비해 월등히 간편한 효과가 있고, 또한 착탈이 용이하여 교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TEXTILE PRINTING EMBLEM HAVING ADHESIVE PROPERTY}
본 고안은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에 관한 것이다. 좀 더 상세하게는 군, 경찰, 학생 등의 제복이나 제모 등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성명, 소속, 마크 등이 직물에 인쇄된 표장으로서 그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군의 소속, 성명, 부대 마크 등과 같은 군의 표장의 제작 및 그 사용에 특히 적합하다.
본 고안의 상기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폴리에스테르/면 혼방 직물을 기재직물로 하여 그 표면에는 인쇄 적성 부여를 위한 합성수지 코팅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성명, 소속, 계급 등의 식별을 위한 인쇄층이 형성되며, 상기 기재직물의 배면에는 의복과 같은 피착물에 부착을 위한 핫 멜트 접착제 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종래의 군인의 성명, 계급 또는 소속부대 등을 식별하기 위한 표장 중, 군의 정복 또는 예복에 부착되는 표장은 금속제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일상 착용하는 전투복이나 작업복, 모자 등에 부착되는 표장의 경우에는 자수 직물제로서 재봉이나 바느질에 의해 군복이나 모자에 부착,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상기 자수 직물로 제작되는 표장은 그 제작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 부착에도 재봉이나 바느질에 의해 부착해야 되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았다. 예를 들면, 자수 직물로 제작된 명찰이나 계급장 또는 부대 마크 등 표장은 군인 스스로 바느질로 군복이나 모자에 부착하거나 영외의 재봉사에게 의뢰하여 재봉으로 부착할 수 밖에 없었고, 군인이 스스로 바느질로 부착 시에는 정 위치에 수평을 맞추어 부착하기가 쉽지 않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승진 시 또는 전출 시에는 이미 부착된 기존 계급장이나 부대 마크 등과 같은 표장을 떼 내고 교환, 부착해야 하나, 일단 재봉된 표장은 떼 내기가 그리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재봉실을 해체 시에는 군복이나 군모와 같은 소중한 군수품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표장을 자수 직물로 제작하여 재봉이나 바느질로 부착(이하'재봉부착'으로 표기함)하는 종래의 표장의 수급에는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점도 예산 절감과 촌각을 다투는 군의 특성을 고려할 때 간과할 수 없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경찰의 제복 및 모자에 부착되는 표장이나, 학생들의 교복에 부착되는 명찰, 학교 모표 등의 표장도 자수 직물로 제작되어 재봉부착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다른 제복에 있어서도 자수 직물형태의 표장으로 제작되어 재봉 부착되고 있어 상기 군의 표장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그 제작 및 착탈이 용이하고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각종 표장의 보급이 절실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직물제로 제작되는 자수 표장의 문제점과 재봉부착해야만 되는 표장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려는 것으로서 그 제작 및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의복이나 모자와 같은 피착물의 표면에 간단하고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는 접착 및 인쇄 특성이 우수한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접착 및 인쇄 특성이 우수한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면 혼방 직물을 기재직물로 하여 그 표면에는 인쇄 적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코팅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표장이 인쇄되며, 상기 기재직물의 배면에는 핫 멜트 접착제 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인쇄표장 10 : 기재직물
20 : 합성수지 코팅층 30 : 표장 인쇄층
40 : 접착제 층
본 고안의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면 혼방 직물을 기재직물로 하여 그 표면에는 인쇄 적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코팅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인쇄층이 형성되며, 상기 기재직물의 배면에는 핫 멜트 접착제 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면 혼방 직물로 구성되는 기재직물의 일면에 핫 멜트 접착제를 코팅하고, 다른 일면에 합성수지 액상 조성물을 코팅, 건조시켜 합성수지 코팅층을 형성시킨 후, 그 위에 식별 표장을 인쇄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본 고안에 따른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의복이나 모자 또는 다른 피착물의 소정 위치에 안치시킨 다음, 가열 가압함으로써 간단하게 접착 또는 부착시킬 수 있다.
또한, 부착된 본 고안에 따른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그 제거 또는 교환이 필요할 경우에는 부착된 표장의 표면 또는 이면을 가열함으로써 쉽게 떼어 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의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1)은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면 혼방 직물인 기재직물(10)과, 상기 기재직물(10)의 표면에 형성되는 합성수지 코팅층(20)과, 상기 합성수지 코팅층(20)의 위에 형성되는 표장 인쇄층(30)과, 상기 기재직물(10)의 배면에 형성되는 핫 멜트 접착제 층(40)으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의 상기 기재직물(10)은 통상적인 폴리에스테르 또는 폴리에스테르/면 혼방 직물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직물 또는 폴리에스테르 사 65퍼센트(%)와 면사 35퍼센트(%)로 이루어지는 통상적인 혼방 직물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재직물은 피착 직물과 동일한 직물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직물로서 폴리우레탄계 합성피혁이 사용될 수 있다. 폴리우레탄계 합성피혁은 직물을 기재로 하여 폴리우레탄이 코팅된 것이어서 코팅된 폴리우레탄층이 상기 합성수지 코팅층(20)을 대신하기 때문에 별도의 합성수지 코팅층의 형성을 생략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코팅층을 형성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상기 기재직물(10)의 일면에 핫 멜트 접착제층(40)이 형성된다. 상기 접착제층(40)은 기재직물의 일면에 핫 멜트 접착제가 균일하게 도포된 접착층(40)으로서 핫 멜트 접착제를 기재직물(10)의 일면에 통상적인 방법으로 도포시켜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핫 멜트 접착제는 열 가소성의 핫 멜트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열 가소성의 핫 멜트 접착제는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의복이나 모자와 같은 피착 직물에 간단히 접착시킬 수 있고, 일단 접착되면 강한 접착력이 있으며, 필요 시에는 가열만으로 쉽게 떼어 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 접착이 가능한 접착 특성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접착 특성을 가진 열 가소성의 핫 멜트 접착제는 그 제조방법이 다수 알려져 있고, 이미 다양한 제품이 상품화 되어 있어 이는 시판되는 제품을 용이하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계 핫 멜트 접착제인 대한민국 Vixxol사의 TAKAMELT TK-1470이나 또는 폴리아미드 계 핫 멜트 접착제로서 프랑스 Bostik사의 THERMELT 등과 같은 접착제는 우수한 접착 특성과 함께 세탁 견뢰성 및 내용제성이 뛰어나 드라이클리닝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상기 접착제층(40)이 형성된 기재직물(10)의 표면에 합성수지 코팅층(20)이 형성된다. 상기 합성수지 코팅층(20)은 합성수지 액상조성물이 기재직물(10)의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합성수지 코팅층(20)을 구성하는 합성수지 액상조성물은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alchol:PVA) 수용액 30~40중량부, 알루미늄옥사이드(alyminum oxide) 15~25중량부, 수용성 용제(물 포함) 10~14중량부, 가소제 1~2중량부, 황산바륨(BaSO4) 2~4중량부, 실리카(Silca) 5~10중량부, 2.5퍼센트(%)붕산 2~4중량부, 기타 첨가제 15~20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액상 조성물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alchol:PVA) 수용액은 10중량 퍼센트(%)~20중량퍼센트의 수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성수지 코팅층(20)은 기재직물(10)의 표면에 나이프 코팅이나 바코터와 같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코팅시키거나 또는 접착제층(40)을 형성시키기 전에 상기 액상조성물에 함침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합성수지 코팅층(20)은 인쇄적성의 부여 및 표장 인쇄 후, 사용에의한 인쇄층의 박리 또는 균열과 같은 손상 예방을 위하여 형성된다.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상기 합성수지 코팅층(20)을 건조시킨 다음, 그 위에 표장을 인쇄한 인쇄층(30)이 형성된다. 상기 인쇄층(30)은 임의의 식별 표장, 예를 들면, 군의 성명이나 소속, 부대 마크 등의 표장을 인쇄한 인쇄층(30)이다. 상기 인쇄층(30)은 잉크젯, 스크린 또는 로울러 인쇄와 같은 통상적인 인쇄방법으로 인쇄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적합한 인쇄잉크의 조성예를 들면, 스틸렌(styrene)이나 무수말레인산(maleic anhydride)1~5중량부, 개시제1~3중량부, 안료 1~6중량부, 노말메틸-2-피롤리딘(N-Methyl-2-Pyrrolidine)10~21중량부, 글리세린3~13중량부, 서팩턴트(Surfactant)0~5중량부 및 물 60~8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인쇄잉크 조성물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성의 인쇄잉크는 조제하여 사용하거나, 이미 많은 종류의 제품이 상품화 되어 있으므로 시중에서 쉽게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인쇄조성물은 내열성, 드라이크리닝 용제 등에 대한 내약품성, 세탁견뢰도 등이 우수하여 본 고안의 인쇄조성물로서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상기 인쇄층(30) 위에 표면 보호층(도시 생략)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접착형 직물제 인쇄 표장으로서 명찰을 50개를 제작하여 일반 가정용 다리미를 사용하여 군복 지에 가열 압착시켜 부착하고, 물세탁 및 드라이크닝 세탁을 각각 5회 반복하여 세탁해 본 결과, 세탁 견뢰도에 문제가 없었으며, 일반 가정용 다리미로 3회 이상 재 탈착이 가능하였고, 사용 시 인쇄된 표장이 박리되거나 균열이 없었으며, 선명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종래의 자수 직물제 표장에 비해 그 제작이 용이하고, 그 사용이 편리하며, 제작비용도 월등히 유리한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인쇄방법에 의해 표장을 제작함으로써 종래의 자수 직물제 표장에 비해 그 제작이 훨씬 용이하고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그 부착 방법에 있어서도 본 고안은 접착형이어서 종래의 재봉부착형에 비해 월등히 간편한 효과가 있고, 또한 착탈이 용이하여 교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착탈이 용이한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은 내유성, 내후성 및 세탁견뢰도가 우수하여 장기간 사용에도 변질되거나 훼손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기재직물(10)과, 상기 기재직물(10)의 표면에 형성되는 합성수지 코팅층(20)과, 상기 합성수지 코팅층(20)의 위에 형성되는 표장 인쇄층(30)과, 상기 기재직물(10)의 배면에 형성되는 핫 멜트 접착제 층(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직물(10)이 폴리에스테르, 폴리에스테르/면 혼방 직물 또는 폴리우레탄 계 합성피혁 중에서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직물(10)이 피착 직물과 동일한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재직물(10)이 폴리에스테르 사 65퍼센트(%)와 면사 35퍼센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면 혼방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 코팅층(20)이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alchol:PVA) 10중량퍼센트(%) 수용액 30~40중량부, 알루미늄옥사이드(alyminum oxide) 15~25중량부, 수용성 용제(물 포함) 10~14중량부, 가소제 1~2중량부, 황산바륨(BaSO4) 2~4중량부, 실리카(Silca) 5~10중량부, 2.5퍼센트(%)붕산 2~4중량부, 기타 첨가제 15~20중량부로 이루어진 액상조성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핫 멜트 접착제 층(40)이 열 가소성의 핫멜트 접착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7. 제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장 인쇄층(30)이 군의 성명, 계급, 소속 또는 부대 마크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이 인쇄된 표장 인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KR20-2004-0029549U 2004-10-19 2004-10-19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KR2003735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549U KR200373532Y1 (ko) 2004-10-19 2004-10-19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549U KR200373532Y1 (ko) 2004-10-19 2004-10-19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703A Division KR100700155B1 (ko) 2004-10-19 2004-10-19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3532Y1 true KR200373532Y1 (ko) 2005-01-21

Family

ID=49444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549U KR200373532Y1 (ko) 2004-10-19 2004-10-19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35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308B1 (ko) 2006-04-20 2008-03-31 안병학 전사인쇄물과 피착재의 접착력강화방법 및 그 접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8308B1 (ko) 2006-04-20 2008-03-31 안병학 전사인쇄물과 피착재의 접착력강화방법 및 그 접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98804B2 (en) Pressure sensitive textile adhesive
US4610904A (en) Heat activated removable ornamental transfer
US10035368B2 (en) Label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label articles durably yet removably
TWI541143B (zh) 用於冷轉印之方法之壓敏性標籤及其製造方法
EP2267218B1 (en) Heat-transfer label
CN100389888C (zh) 在织物上贴标签的方法和适用于该方法的热转移标签
US20160176184A1 (en) Pad Printed Apparel
US4515849A (en) Transfer printing sheet, printing method and printed article
JP3173227U (ja) 布帛への図柄の貼付
CN115359714A (zh) 在性能织物上具有最小转印标志的热转印
CN114987077A (zh) 染料热升华油墨层压材料
KR101563253B1 (ko) 스포츠 의류용 패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30171901A1 (en) Adhesive compound for hot-sealing inserts
KR200373532Y1 (ko)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KR100700155B1 (ko) 접착형 직물제 인쇄표장
WO2015030770A1 (en) Colorized retroreflective material and method of formation
US20150306843A1 (en) Durable Stick-On Patch for Clothing and Other Items
JP7155779B2 (ja) 着色接着芯地
JP2020517995A (ja) 低温付けのための半透明ヒートシール材料
KR200331652Y1 (ko) 다양한 무늬의 호일이 부착된 원단
JP2022038207A (ja) 布生地用粘着シート
JP2010254920A (ja) 接着剤
CN117227344A (zh) 一种防升华硅胶打印刻字膜及其制备方法
KR20050016797A (ko) 다양한 무늬의 호일이 부착된 원단
JPS62288099A (ja) 装飾用転写体およびそれの布基材への適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