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575Y1 - 벽지 - Google Patents

벽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575Y1
KR200372575Y1 KR20-2004-0027977U KR20040027977U KR200372575Y1 KR 200372575 Y1 KR200372575 Y1 KR 200372575Y1 KR 20040027977 U KR20040027977 U KR 20040027977U KR 200372575 Y1 KR200372575 Y1 KR 2003725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paper
ocher powder
present
nonwoven fabric
clay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9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식
Original Assignee
김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식 filed Critical 김경식
Priority to KR20-2004-00279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5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5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5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7/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Paper-impregn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constitution
    • D21H17/63Inorganic compounds
    • D21H17/67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 D21H17/68Water-insoluble compounds, e.g. fillers, pigments siliceous, e.g. clay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8Paper- or board-based structures for surface covering
    • D21H27/20Flexible structures being applied by the user, e.g. wallpap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p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벽지에 관한 것으로서, 실내 등에 시행되는 벽지(W)를 구성함에 있어서,벽지(W)는 부직포시트(1)를 황토분을 함유하는 황토분용액(L)에 수회 침지, 건조 하여 반 건조상태에서 바인더용액에 최종침적시켜, 상기 부직포시트(1)의 섬유사 사이에 황포분을 산포시켜 정착시키고, 상기의 황토분용액(L)을 구성하는 황토분은,SiO4 42.5% (이하 중량 %), Fe2O3 4.05 % , Al2O3 36.6 %, CaO 0.57 % , MgO 0.69%, Ti2O 0.23% , K2O 0.41% , Na2O 0.18 % 를 적어도 그 성분 중에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본 고안의 벽지는 종래의 일반적인 종이류의 벽지에 비하여 다양한 효능을 발하는 기능성을 더 부여함으로서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자연친화적인 실내환경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Description

벽지{Sheet of wall papers}
본 고안은 벽지의 구성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신규한 구성을 가짐으로서 건강에 유익한 제반 기능을 가지는 벽지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벽지는 각종 주택, 공동주택 등의 주택의 내 벽면을 마감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타설 또는 파티클보드 등으로 마감한 이후에 미각적인 심미감과 유해물질의 발산을 차단하기 위하여 시행된다.
벽지는 종래로부터 다양한 종류의 종이류, 비닐지 등이 인쇄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별다른 기능적인 요소의 고려없이 단순히 심미성과 내구성에 주안점을 두어제조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신축은 건물이나 주택 등에서의 콘크리트, 내장재, 내장마감재 등으로부터 발산되는 포름알데히드에 의한 해독이나 건축구조물의 내장재로부터의 각종의 유해한 성분으로부터 건강을 보호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다.
이러한 시도로서 각종의 유해물질을 차단하는 코팅재 등이 고안되어 시공되고 있으나 전체 실내에서의 시행에 비용이 상당하고 시간이 경과하면 코팅재의 입자가 오히여 유해물질화되는 등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서 밝혀져 있다.
또한 건강에 좋은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황토분을 종이류 상에 분사하여 건조한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황토분이 탈락하여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인체의 건강증진이라는 목적에서 보면, 박테리아나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하는 기능, 콘크리트 벽면으로부터의 냄새의 제거, 습도의 유지,각종 실내 유해발산 화학정 성분의 중화 등의 기능이 요구되고 있지만 종래의 벽지는 이러한 고려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고안의 벽지는 상기하는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개선된 구성의 벽지를 제공함으로서 친환경적인 주거환경을 실현하게 하는 것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1 은 본 고안의 벽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설명도.
도 2 는 본 고안의 벽지의 구성에 사용되는 황토분의 성분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하여 구성되는 벽지의 확대단면의 모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W; 벽지
상기하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벽지의 구성을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벽지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벽지의 제조공정을 도시하는 모식적인 설명도, 도 2 는 본 고안의 벽지의 구성에 사용되는 황토분의 성분도, 도 3 은 본 고안에 의하여 구성되는 벽지의 확대단면의 모식도이다.
본 고안의 주요한 기술적인 관심사는 이미 다양한 선출원 또는 공인된 실험결과 인체에 대한 그 효능이 입증되어 있는 황토분(黃土紛)을 흡습시켜 정착시키는 최선의 구성을 제공함으로서, 널리 알려진 황토분 내의 세라믹 성분으로 인하여 각종의 기능성 효능을 발하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벽지(W)는 기본적인 베이스로서 종래의 종이류가 아닌 직포되지 아니한 섬유체 즉, 부직포(unweaven fabric)을 사용하고 이 부직포에 황토분을 흡슴및 정착하여 고차시킨 것이다.
도 1 에서와 같이,
전체 제조라인에서 연속적으로 공급이 되는 롤형상의 부직포시트(1)는 급송로울러(2,2')에 의하여 공급되고 급송된 부직포시트(1)는 제1침지탱크(10)에서 침지된 이후 건조히터(20)에서 반건조된 후,
다시 제2침지탱크(30)에 침지되어 황토분이 충분히 부직포시트(1)의 섬유질 사이에 흡습된 이후에,
다시 건조히터(40)에서 반건조하여 바인더탱크(50)에서 바인더침지된 이후에 가압로울러(60,60')에서 압착되면서 건조히터(70)에서 최종적으로 건조된다.
이러한 침지-건조과정은 필요에 따라서 2 회 이상 반복적으로 수행됨으로서 더욱 황토분의 분산밀도가 높은 벽지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제1침지탱크(10)와 제2침지탱크(30) 내에는 도 2 의 성분표와 같은 바람직한 조성의 황토분이 수용액으로 된 황토분용액(L)을 사용하고,
또한 바인더탱크(50)내의 바인더액은 다양한 종류의 정착제로서 하는 것이 좋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해초류의 점액, 과수목의 점액 등 자연적인 성분을 사용하여 정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바인더액과 후속적인 가압로울러(60.60')에 의한 가압및 건조히터(70)에서의 건조공정으로서,
도 3 의 모식도에서와 같이, 부직포시트(1)의 섬유사(S) 사이에 황토분(E)이 분산되어 고착됨으로서 실내 벽면으로의 시공이후의 시간의 경과에 따른 황토분의 탈락이 방지되고 또한 손에 묻어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제조라인에서 구성되는 본 고안의 벽지(W)는 최종적으로 적당한 크기로 절단 및 포장되어 최종제품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벽지(W)를 구성함에 필요한 황토분용액(L)을 구성하는 황토분은 다양한 물성의 것이 선택될 수 있으나,
실험적으로 얻은 가장 바람직한 것은 도 3 과 같이, SiO4 42.5% , Fe2O3 4.05 % , Al2O3 36.6 %, CaO 0.57 % , MgO 0.69%, Ti2O 0.23% , K2O 0.41% , Na2O 0.18 % ( 이상 중량 %)를 적어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 얻어지는 본 고안의 벽지는 황토분 성분 중의 세라믹 성분에 의하여 이미 다양한 방법으로 입증된 원적외선방사효과에 의하여 벽지로서 요망되는 상술하는 기능이 대부분 만족됨으로서, 탈취, 박테리아번식의 억제, 습도조절효능 등을 가지는 유용성을 가진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벽지는 종래의 일반적인 종이류의 벽지에 비하여 다양한 효능을 발하는 기능성을 더 부여함으로서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자연친화적인 실내환경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2)

  1. 실내 등에 시행되는 벽지(W)를 구성함에 있어서,
    벽지(W)는 부직포시트(1)를 황토분을 함유하는 황토분용액(L)에 수회 침지, 건조 하여 반 건조상태에서 바인더용액에 최종침적시켜, 상기 부직포시트(1)의 섬유사 사이에 황포분을 산포시켜 정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2. 제 2 항에 있어서, 황토분용액(L)을 구성하는 황토분은,
    SiO4 42.5% (이하 중량 %), Fe2O3 4.05 % , Al2O3 36.6 %, CaO 0.57 % , MgO 0.69%, Ti2O 0.23% , K2O 0.41% , Na2O 0.18 % 를 적어도 그 성분 중에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지.
KR20-2004-0027977U 2004-10-02 2004-10-02 벽지 KR2003725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977U KR200372575Y1 (ko) 2004-10-02 2004-10-02 벽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977U KR200372575Y1 (ko) 2004-10-02 2004-10-02 벽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575Y1 true KR200372575Y1 (ko) 2005-01-14

Family

ID=49444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977U KR200372575Y1 (ko) 2004-10-02 2004-10-02 벽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57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2060B1 (ko) 규조토 흡수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280334B1 (ko) 생분해성벽지
KR200372575Y1 (ko) 벽지
KR101034395B1 (ko)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의 제조방법
KR100805936B1 (ko) 건축 내장재용 조성물
KR20170088778A (ko) 기능성 이미지 타일 및 그 제조방법
KR101415088B1 (ko) 흡음, 단열, 난연, 조습 기능을 갖는 기능성 펄프스프레이 조성물,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이용한 건축재
KR100245290B1 (ko)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의 제조방법
KR100855109B1 (ko) 제올라이트 함유 부직포 초배지
KR100736277B1 (ko)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US20040040227A1 (en) Material for improving living environment, and building material, laying material and spraying agent using the same
KR100732174B1 (ko) 바이오 소재로 코팅이 된 벽지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하여제조된 벽지
CN109354442A (zh) 多功能高端装饰吸声板
KR100653481B1 (ko) 숯과 수성바인더를 주성분으로 한 숯도료
KR200418067Y1 (ko) 기능성 지류
WO2014123343A1 (ko) 열린구조를 갖는 천연 벽지
KR100913898B1 (ko) 친환경 내외장 마감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200400749Y1 (ko) 기능성 시트지
KR19980025460A (ko) 건축물용 내장재
KR200353128Y1 (ko) 기능성을 가지는 장판지의 구성
KR200380254Y1 (ko) 기능성 지류
KR19990022009U (ko) 한지황토쑥장판지및그제조방법
KR200143612Y1 (ko) 방사물질이 함유된 벽지
KR200143610Y1 (ko) 황토 장판지
KR102263580B1 (ko) 건축물 벽면 부착용 기능성 초배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