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450Y1 -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 - Google Patents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450Y1
KR200372450Y1 KR20-2004-0029657U KR20040029657U KR200372450Y1 KR 200372450 Y1 KR200372450 Y1 KR 200372450Y1 KR 20040029657 U KR20040029657 U KR 20040029657U KR 200372450 Y1 KR200372450 Y1 KR 2003724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chamber
cooking
microwave oven
cook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9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효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9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4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4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45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36Protective guards, e.g. for preventing access to heated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7/00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 F24C7/02Stoves or ranges heated by electric energy using microwa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전자레인지의 조리실(31) 천장에 해당하는 캐비티어셈블리(30)의 상부플레이트(33) 일부가 상방으로 포밍되어 히터챔버(34)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챔버(34)의 내부에 설치되는 히터(35)를 구성하는 히터열선(36)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코일형상의 발열부(37)와, 상기 발열부(37)의 양단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38)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부(37)는 적어도 상기 히터챔버(34)의 양측에 형성되는 관통공(34a)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됨으로써 상기 관통공(34a)을 통하여 마이크로웨이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에 의하면, 제품의 구성이 보다 간단해지고,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Heater device for microwave oven}
본 고안은 전자레인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다 간단하게 히터가 장착되고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이 방지되는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히터장치가 구비된 전자레인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10) 내부에는 음식물을 조리하는 공간인 조리실(1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11)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실(11)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12)이 구비된다.
상기 조리실(11)의 천장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10)의 상부플레이트(13)에는 다공부(14)가 구비된다. 상기 다공부(14)는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15)의 히터열을 상기 조리실(11)의 내부로 공급하는 동시에 히터(15)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다공부(14)의 상부에는 상기 조리실(11)에 히터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15)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15)는 히터열선(16)과, 상기 히터열선(16)을 둘러싸는 히터관(19)으로 구성된다. 상기 히터열선(16)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발열부(17)와, 상기 발열부(17)의 양단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8)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부(17)는 코일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발열부(17)의 길이는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커버(27)의 그것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됨으로써, 히터커버(27)의 내부에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부(18)는 그 선단 일부가 단자(21)의일면에 각각 용접된다.
상기 히터열선(16)과 단자(21)의 용접부를 절연하는 동시에 히터열선(16)의 열이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브라켓(45)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애자(23)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다공부(14)의 양측에 해당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3)의 일측에는 상기 히터(15)를 지지하기 위한 히터브라켓(25)이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15)를 포함하는 상기 다공부(14)는 히터커버(27)에 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커버(27)는 대략 그 저면이 개구되는 납작한 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히터커버(27)의 양측에는 상기 히터(15)가 관통하는 관통공(27a)이 각각 형성된다.
미설명 도면부호 W는 리드와이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전자레인지에서는, 사용자가 히터에 의한 조리를 선택하면, 상기 히터(15)가 가열되어 히터열이 상기 다공부(14)를 통하여 상기 조리실(11)로 전달된다. 이때 상기 히터커버(27)에 의하여 상기 히터(15)의 히터열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레인지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히터(15)의 히터열을 상기 조리실(11)로 전달하기 위한 상기 다공부(14)와, 상기 히터(15)를 외부로부터 차폐하기 위한 상기 히터커버(27)가 별도로 구비된다. 따라서 제품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발열부(17)가 상기 히터커버(27)의 내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히터커버(27)의 관통공(27a)에는 상기 히터(16)의 히터관(19)만이 위치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히터관(19)은 일반적으로 유리재질로 형성되므로, 상기 관통공(27a)을 통한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이 우려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간단하게 구성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전자레인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히터장치가 구비된 전자레인지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히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전자레인지의 요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캐비티어셈블리 31: 조리실
32: 전장실 33: 상부플레이트
34: 히터챔버 34a: 관통공
35: 히터 36: 히터열선
37: 발열부 38: 연결부
39: 히터관 41: 단자
43: 애자 45: 히터브라켓
47: 히터플레이트 47a: 통공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조리실의 천장 일부가 상방으로 포밍되어 형성되는 히터챔버와, 상기 히터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에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히터열을 공급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챔버의 하단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히터의 히터열을 상기 조리실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히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고안은 조리실의 천장 일부가 상방으로 포밍되어 형성되는 히터챔버와, 상기 히터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에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히터열을 공급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챔버의 하단에 구비되고 L자형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바아와 상기 지지바아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바아로 구성되는 히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히터는 히터열선과 상기 히터열선을 둘러싸는 히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히터열선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코일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의 양단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부는 적어도 상기 히터챔버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에 의하면, 구성이 보다 간단해지고,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구비된 전자레인지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레인지의 캐비티어셈블리(30) 내부에는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공간인 조리실(3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조리실(31)의 일측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30)의 내부에는 상기 조리실(31)에 마이크로웨이브를 공급하기 위한 각종 전장부품이 설치되는 전장실(32)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조리실(31)의 천장에 해당하는 상기 캐비티어셈블리(30)의 상부플레이트(33) 일측에는 히터챔버(34)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챔버(34)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3)의 일부가 상방으로 포밍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히터챔버(34)의 내부에는 히터(35)가 설치된다.
상기 히터(35)는 상기 조리실(31)의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히터열을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양단이 상기 히터챔버(34)의 양측에 형성되는 관통공(34a)에 인접되게 위치되거나 상기 관통공(34a)을 관통하도록 상기 히터챔버(34)의 내부에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35)는 히터열선(36)과, 상기 히터열선(36)을 둘러싸는 히터관(39)으로 구성된다.
상기 히터열선(36)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코일형상의 발열부(37)와, 상기 발열부(37)의 양단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38)로 구성된다. 상기 발열부(37)의 좌우길이는 적어도 상기 히터챔버(34)의 그것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34a)에 인접하게 위치되거나 관통공(34a)을 관통하여 히터챔버(34)의 외부로 연장됨으로써 실질적으로 관통공(34a)이 발열부(37)에 의하여 차폐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38)에는 각각 단자(41)가 용접되는데, 이때 상기 단자(41)는 상기 발열부(37)의 양단에 인접되도록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기 히터열선(36)과 단자(41)의 용접부에는 애자(43)가 구비된다. 상기 애자(43)는 상기 히터열선(36)과 단자(41)의 용접부를 절연하는 동시에 상기 히터열선(36)의 열이 아래에서 설명할 히터브라켓(45)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관통공(34a)에 인접하는 상기 상부플레이트(33)의 일측에는 히터브라켓(45)이 각각 구비된다. 상기 히터브라켓(45)은 상기 히터(35)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단자(41) 및 애자(43)가 구비된 상기 히터(35)의 양단부가 상기 히터브라켓(45)에 의하여 고정된다.
또한 상기 히터챔버(34)의 하단 테두리에는 히터플레이트(47)가 구비된다. 상기 히터플레이트(47)는 상기 히터(35)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히터플레이트(47)에는 상기 히터(35)의 히터열을 상기 조리실(31)로 전달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통공(47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플레이트(47)는 상기 조리실(31)의 천장과 동일한 평면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터(35)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플레이트(47)가 구비되지만,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 히터(35)를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히터챔버(34)에 대략 L자형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바아와, 상기 지지바아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바아로 구성되는 히터프레임이 구비될 수도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W는 상기 단자(41)에 연결되는 리드와이어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조리실(31)에 음식물을 넣은 상태에서,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부(미도시)를 조작하여 상기 히터(35)에 의한 조리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상기 히터(35)에 의한 조리가 선택되면, 상기 히터(35)가 가열되면서 히터(35)의 히터열이 상기 히터플레이트(47)의 통공(47a)을 통하여 상기 조리실(31)로 공급되어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조리를 선택하면, 상기 전장실(32)에 설치된 전장부품에서 발진된 마이크로웨이브가 상기 조리실(31)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상기 조리실(31)에 공급된 마이크로웨이브는 음식물을 가열하여 조리하게 된다.
한편 마이크로웨이브에 의한 조리시 상기 히터챔버(34)의 내부로 마이크로웨이브가 전달되어 상기 관통공(37a)을 통하여 외부로 누설될 우려가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히터(35)의 발열부(37)에 의하여 상기 관통공(34a)이 실질적으로 차폐된 상태이므로, 이를 통한 마이크로웨이브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먼저 히터를 차폐하기 위한 히터커버가 생략되므로, 제품이 보다 간단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품을 구성하는 부품의 개수 및 제품의 제조를 위한 작업공수가 감소됨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히터를 구성하는 히터열선의 발열부가 히터챔버의 외부로 연장되므로, 상기 히터가 관통하는 히터챔버의 관통공이 실질적으로 차폐되어 이를 통하여 마이크로웨이브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보다 안전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조리실의 천장 일부가 상방으로 포밍되어 형성되는 히터챔버와,
    상기 히터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에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히터열을 공급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챔버의 하단 테두리에 구비되고 상기 히터의 히터열을 상기 조리실로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되는 히터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
  2. 조리실의 천장 일부가 상방으로 포밍되어 형성되는 히터챔버와,
    상기 히터챔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조리실에 음식물의 조리를 위한 히터열을 공급하는 히터와,
    상기 히터챔버의 하단에 구비되고 L자형상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지지바아와 상기 지지바아를 연결하는 다수개의 연결바아로 구성되는 히터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는 히터열선과 상기 히터열선을 둘러싸는 히터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히터열선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코일형상의 발열부와, 상기 발열부의양단에서 그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발열부는 적어도 상기 히터챔버에 인접하는 위치까지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
KR20-2004-0029657U 2004-10-20 2004-10-20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 KR2003724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657U KR200372450Y1 (ko) 2004-10-20 2004-10-20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9657U KR200372450Y1 (ko) 2004-10-20 2004-10-20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450Y1 true KR200372450Y1 (ko) 2005-01-14

Family

ID=49444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9657U KR200372450Y1 (ko) 2004-10-20 2004-10-20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4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83184A (ko) 조리장치
GB2336281A (en) Heating element assembly and disposition in a fan assisted cooking device
US5082999A (en) Microwave oven having device for preventing concentration of microwaves on heater element
KR200372450Y1 (ko) 전자레인지용 히터장치
KR100305051B1 (ko) 전자렌지의 히터 취부장치
KR102037380B1 (ko) 조리 기기
KR200227313Y1 (ko) 전자렌지의 석영관 히터장치
KR100533265B1 (ko) 컨벡션 전자레인지용 가열장치
KR20030096541A (ko) 전자렌지용 조리선반 및 이를 갖춘 전자렌지
KR100606730B1 (ko) 전기 레인지
KR100676137B1 (ko) 전기오븐렌지
KR101756990B1 (ko) 히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KR20040021150A (ko) 전자레인지의 캐비티 일체형 히터어셈블리
KR0125488Y1 (ko) 복합형 조리기
KR20080037796A (ko) 조리기기
KR100861948B1 (ko) 가열 조리기기의 전자파 차폐 장치
KR19990002353U (ko) 전자렌지의 증기조리장치
KR940003232Y1 (ko) 할로겐히터를 이용한 전자레인지 램프
KR100290151B1 (ko) 전자렌지
KR100229139B1 (ko) 전자렌지의 모터 브라켓
KR200343838Y1 (ko) 유도가열조리기
JP2001141246A (ja) 加熱調理器
JP2013127329A (ja) 高周波加熱装置
KR200349865Y1 (ko) 전자레인지용 석쇠
KR200327751Y1 (ko) 컨벡션형 전자렌지의 전열히터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