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2346Y1 - 곡물 이송기의 호스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이송기의 호스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2346Y1
KR200372346Y1 KR20-2004-0030549U KR20040030549U KR200372346Y1 KR 200372346 Y1 KR200372346 Y1 KR 200372346Y1 KR 20040030549 U KR20040030549 U KR 20040030549U KR 200372346 Y1 KR200372346 Y1 KR 2003723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in
hose
bar
spr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05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길동
Original Assignee
정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길동 filed Critical 정길동
Priority to KR20-2004-00305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23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23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234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25/00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Hanging-up harvested fruit
    • A01F25/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 B65H75/366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without essentially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e.g. with stored material housed within casing or container, or intermittently engaging a plurality of supports as in sinuous or serpentine fashion with stored package of material loosely hanging on a support, e.g. a hose ha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8Arrangements of hoses, e.g. operative connection with pump motor
    • B67D7/40Suspending, reeling or sto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탱크에 곡물을 담아 차량으로 이동하고, 곡물탱크의 하측에 설치된 스프링을 회전시켜 곡물을 배출시키는 곡물 이송기에 있어서, 곡물탱크와 곡물 배출기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를 하부에서 받쳐주어 호스가 휘어지지 않도록 하는 곡물 이송기의 호스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곡물탱크의 곡물을 스프링이 내장된 호스를 이용하여 곡물 배출기로 배출시키는 곡물 이송기에 있어서, 곡물 탱크의 하측에 호스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받침수단을 설치하여 호스를 펼칠 경우 받침수단도 같이 펼쳐주어 호스의 하부가 쳐지지 않게 받침수단으로 받쳐주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힘들이지 않고 곡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곡물 이송기의 호스 받침장치{Hose support device of grainhoper}
본 고안은 곡물탱크에 곡물을 담아 차량으로 이동하고, 곡물탱크의 하측에 설치된 스프링을 회전시켜 곡물을 배출시키는 곡물 이송기에 있어서, 곡물탱크와 곡물 배출기 사이를 연결하는 호스를 하부에서 받쳐주어 호스가 휘어지지 않도록 하는 곡물 이송기의 호스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을 사용하는 곡물 이송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호퍼(11)와 상부호퍼(12)를 결합시켜 이루어지는 곡물 탱크(10)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스프링(30)을 설치하되 상기 스프링(30)은 곡물탱크(10)의 정면으로 돌출되게 하고, 상기 곡물탱크(10)에서 돌출된 스프링(30)은 호스(31)를 씌워주고, 상기 호스(31)의 선단에는 곡물 배출기(50)를 결합시킨다.
상기 곡물탱크(10)가 설치된 프레임(15)에는 엔진(20)을 설치하고, 상기 엔진(20)의 회전동력이 벨트를 통하여 스프링(30)에 전달되게 하므로서 곡물탱크(10)의 하측에 설치된 스프링(30)이 회전되게 하고, 상기 스프링(30)이 회전될 때 곡물탱크(10)의 하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 이탈 방지구(32)를 설치하며, 상기 스프링(30)의 상측에는 하부호퍼(11)에 삼각판(40)을 고정시켜 곡물탱크(10)의 곡물이 삼각판(40)에서 양쪽으로 갈려 스프링(30) 사이로 투입되게 한다.
상기 스프링(30)의 회전에 의해 곡물이 호스(31)를 타고 곡물 배출기(50)를 통하여 하부로 배출되나 곡물의 배출시 곡물이 호스(31)에 채워진 상태가 되면 곡물 배출기(50)의 상측에 형성된 손잡이(51)를 잡고 있더라고 호스(31)의 중간 부위가 곡물의 무게에 의하여 휘어지게 되고, 호스(31)가 많이 휘어지면 호스(31)의 내부에 끼워진 스프링(30)과 호스(31)의 마찰이 발생하여 호스(31)가 뚫어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게 된다.
그리고 곡물탱크(10)를 차량에 싣고 이동하며 곡물 배출기(50)로 곡물을 배출시켜 바닥에 뿌려주고자 할 때 운전자 이외의 보조자가 곡물 배출기(50)를 들고 다녀야 하나, 곡물 배출기(50)로 곡물이 배출되는 경우는 곡물의 무게에 의해 들고 다니기가 힘이 들고, 또한 중간이 곡물의 무게에 의해 쳐지게 되어 스프링(30)과 호스(31)의 과도한 마찰로 인하여 호스(31)가 닳게 되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호스를 이용하고 내장된 스프링을 회전시켜 곡물 탱크의 곡물을 배출시키는 곡물 이송기에 있어서, 곡물이 배출되는 호스를 하부에서 받쳐줄 수 있도록 하여 곡물을 배출시킬 때 힘들이지 않고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호스가 휘지 않아 스프링의 회전에 의해 호스가 뚫어지는 경우를 없애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곡물탱크의 곡물을 스프링이 내장된 호스를 이용하여 곡물 배출기로 배출시키는 곡물 이송기에 있어서, 곡물 탱크의 하측에 호스 방향으로 길이 조절되는 받침수단을 설치하여 호스를 펼칠 경우 받침수단도 같이 펼쳐주어 호스의 하부가 쳐지지 않게 받침수단으로 받쳐주도록 하므로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힘들이지 않고 곡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된 곡물 이송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설치된 곡물 이송기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펼쳐진 곡물 이송기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곡물 탱크 15 : 프레임
20 : 엔진 30 : 스프링
40 : 삼각판 50 : 곡물 배출기
60 : 받침수단 61 : 사각바
62 : 이송바 63 : 고정바
65 : 이동바 66 : 고정나사
70 : 진동 방지판
본 고안은 곡물 탱크(10)에 담긴 곡물을 스프링(30)을 이용하여 곡물 배출기(50)로 곡물을 배출시키되 상기 곡물탱크(10)와 곡물 배출기(50)사이를 스프링(30)이 내장된 호스(31)로 연결시켜 곡물 배출기(50)의 위치를 이동시켜가며 곡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곡물 이송기에 있어서, 곡물 탱크(10)가 고정되는 프레임(15)에 호스(31)의 하측으로 길이 신축되며 호스(31)를 받쳐주는 받침수단(60)을 설치하므로서 구성된다.
상기 받침수단(60)은 곡물탱크(10)의 양쪽에서 프레임(15)에 사각바(61)를 고정시키고, 상기 사각바(61)에는 이송바(62)를 내삽시키되 상기 이송바(62)의 선단은 고정바(63)로 고정시키며, 상기 사각바(61)와 고정바(63) 사이의 이송바(62)에는 이동바(65)를 끼워주어 이동바(65)가 이송바(62)를 타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구성된다.
여기서 사각바(61)에는 고정나사(66)를 결합시켜 사각바(61)에 끼워져 이동하는 이송바(62)를 사각바(61)에서 더 이상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고정바(63)와 이동바(65)에는 진동방지판(70)을 끼워주도록 한다.
즉 이송바(62)는 사각바(61)에 끼워진 채로 곡물 배출기(50)쪽으로 신축되며, 이동바(65)는 이송바(62) 사이를 이동하며 호스(31)가 쳐지지 않도록 하고, 진동방지판(70)으로 호스(31)에 진동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서 곡물 이송기에 대하여 살펴본다.
하부호퍼(11)와 상부호퍼(12)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곡물탱크(10)의 하측에는 스프링(30)을 설치하되 상기 스프링(30)은 일측을 곡물탱크(10)에서 돌출시켜 곡물 배출기(50)에 결합시키는 한편 곡물 배출기(50)와 곡물탱크(10) 사이는 호스(31)를 씌워주고, 상기 스프링(30)의 타측은 엔진(20)의 회전동력이 전달되는 풀리에 결합시켜 엔진(20)의 회전력에 의해 스프링(30)이 회전되게 한다.
상기 스프링(30)이 설치된 곡물탱크(10)의 상부는 개방시키되 회전되는 스프링(30)이 곡물탱크(10)의 내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스프링 이탈 방지구(32)를 설치하고, 상기 스프링(30)의 상부에는 약간의 거리를 두어 삼각판(40)을 고정시킨다.
여기서 곡물 배출기(50)는 상부에 손잡이(51)가 설치되어 손으로 잡고 다니는 한편 손잡이(51)에 끈(55)을 고정시켜 상부 호퍼(12)의 상부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곡물 배출기(50)의 측면은 개방시키되 투명비닐을 씌워 배출되는 곡물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곡물 이송기는 엔진(20)으로 스프링(30)을 회전시키면 곡물 탱크(10)에 담긴 곡물이 스프링(30)의 회전에 의해 곡물 배출기(50)쪽으로 이동되어 배출되는 것으로, 곡물 배출기(50)의 위치를 변화시켜가며 곡물을 배출시킬 수 있어 곡물 배출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그러나 곡물이 호스(31)를 통하여 배출되고, 곡물 배출시 곡물 배출기(50)를 들어주거나 받쳐주어야 곡물의 배출이 되는 것으로, 곡물 배출기(50)는 손잡이(51)로 충분히 들을 수 있을 정도의 무게이나 곡물이 호스(31)에 채워지면 곡물의 무게로 인하여 곡물 배출기(50)를 잡고 있기가 힘들게 된다.
특히 곡물 탱크(10)를 차량에 싣고 천천히 이동하면서 곡물 배출기(50)로 곡물을 바닥에 배출시켜 건조를 하고자 할 경우 운전자 이외의 다른 작업자가 곡물 배출기(50)를 잡고 차량과 함께 이동하여야 하나 상기된 바와 같이 곡물의 무게로 인하여 곡물 배출기(50)를 잡고 다니기가 힘이 들고, 또한 곡물의 무게로 인하여 호스(31)가 쳐지게 되어 호스(31)에 내장된 스프링(30)이 호스(31)와 마찰되어 호스(31)가 마찰열로 인한 손상을 입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이 곡물을 배출시킬 경우 사각바(61)에서 이송바(62)을 빼내어 고정바(63)가 곡물 배출기(50)에 가까운 쪽의 호스(31)를 받쳐주도록 하고, 이송바(62)에서 이동바(65)의 위치를 이동시켜 호스(31)의 중간부분을 받쳐주도록 하므로서 호스(31)에 곡물이 채워지더라도 호스(31)가 고정바(63)와 이동바(65)에 의하여 하부가 받쳐지게 되어 호스(31)가 하부로 쳐지게 되는 경우를 없애주는 한편 곡물 배출기(50)를 힘들이지 않고 잡고 있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이송바(62)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최적의 상태로 호스(31)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이송바(62)의 길이 조절이 완료되면 사각바(61)에 설치된 고정나사(66)를 조여 이송바(62)가 사각바(61)에서 유동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이동바(65)는 이송바(62)를 이동시킨 후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면 된다.
한편 본 고안은 이동바(65)와 고정바(63)에는 진동 방지판(70)을 끼워주어 진동이 직접 가해지지 않도록 한다.
본 고안은 곡물 탱크에서 호스를 이용하여 곡물 배출기를 이격시켜 설치하고 호스의 내부에는 스프링을 끼워 곡물을 이송시킴에 있어서, 호스의 하부를 받쳐주는 받침수단을 설치하여 호스를 통하여 곡물이 배출될 때 곡물의 무게로 인하여 호스가 쳐지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Claims (3)

  1. 곡물 탱크(10)에 담긴 곡물을 스프링(30)을 이용하여 곡물 배출기(50)로 곡물을 배출시키되 상기 곡물탱크(10)와 곡물 배출기(50)사이를 스프링(30)이 내장된 호스(31)로 연결시켜 곡물 배출기(50)의 위치를 이동시켜가며 곡물을 배출시킬 수 있는 곡물 이송기에 있어서,
    곡물 탱크(10)가 고정되는 프레임(15)에 호스(31)의 하측으로 길이가 신축되며 호스(31)를 받쳐주는 받침수단(6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이송기의 호스 받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받침수단(60)은 곡물탱크(10)의 양쪽에서 프레임(15)에 사각바(61)를 고정시키고, 상기 사각바(61)에는 이송바(62)를 내삽시키되 상기 이송바(62)의 선단은 고정바(63)로 고정시키며, 상기 사각바(61)와 고정바(63) 사이의 이송바(62)에는 이동바(65)를 끼워주어 이동바(65)가 이송바(62)를 타고 이동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이송기의 호스 받침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사각바(61)에는 고정나사(66)를 결합시켜 사각바(61)에 끼워져 이동하는 이송바(62)를 사각바(61)에서 고정되게 하고, 상기 고정바(63)와 이동바(65)에는 진동방지판(70)을 끼워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이송기의 호스 받침장치.
KR20-2004-0030549U 2004-10-28 2004-10-28 곡물 이송기의 호스 받침장치 KR2003723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549U KR200372346Y1 (ko) 2004-10-28 2004-10-28 곡물 이송기의 호스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0549U KR200372346Y1 (ko) 2004-10-28 2004-10-28 곡물 이송기의 호스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2346Y1 true KR200372346Y1 (ko) 2005-01-14

Family

ID=49444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0549U KR200372346Y1 (ko) 2004-10-28 2004-10-28 곡물 이송기의 호스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234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22672B1 (en) Storage structure at rear part of vehicle interior
EP1367313A3 (en) Support bracket
US8267461B2 (en) Tension bow locking device for a flexible cover system
US8251421B1 (en) Panel carrier
US20150053796A1 (en) Truck-mounted material spreader
US20070051763A1 (en) Adjustable golf bag holder
KR200372346Y1 (ko) 곡물 이송기의 호스 받침장치
US6240681B1 (en) Parked vehicle protector
KR101735081B1 (ko) 차량용 거치대
US6672821B1 (en) Loader apparatus for a vehicle
US6179463B1 (en) Inlet hopper cover for a cement mixing truck
US20070138111A1 (en) Bicycle holder and/or bicycle stand
JP4594684B2 (ja) 水田作業車のバッテリ収容部構造
CA2292977A1 (en) Length adjustable belt tensioning arm
JP3497097B2 (ja) ブーム装置
JP2015031340A (ja) ベルト式クラッチ機構
CA2744164C (en) Tensioning bow member locking device for a flexible cover system
KR20210067773A (ko) 흙 튀김 차단장치
KR20000004203U (ko) 핸드폰 거치대
KR200217431Y1 (ko) 쇼바장착 가방
JP4223869B2 (ja) 穀粒搬送装置
KR200355358Y1 (ko) 낚싯대 받침틀
JP2000245999A (ja) ベランダ用物干し装置
KR930006611Y1 (ko) 손수레형 지지대를 갖는 곡물투입 보조구
FR2894118B1 (fr) Sac a dos equipe d'un dispositif de fixation d'au moins un pio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