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300Y1 - 교육 및 오락 용구 - Google Patents

교육 및 오락 용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300Y1
KR200371300Y1 KR20-2004-0025913U KR20040025913U KR200371300Y1 KR 200371300 Y1 KR200371300 Y1 KR 200371300Y1 KR 20040025913 U KR20040025913 U KR 20040025913U KR 200371300 Y1 KR200371300 Y1 KR 2003713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attachment
educational
education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영식
Original Assignee
곽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영식 filed Critical 곽영식
Priority to KR20-2004-0025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3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3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30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육 및 오락 용구에 관한 것으로, 교육과정에 있어 교육자의 발음에 따른 교육편차를 해소하며 정확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유도자기장을 발산시키며 무선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유도수신부를 구비한 교육판과, 상기 교육판에 부착가능 하게 후면에 부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유도수신부에서 발산되는 유도자기장에 의하여 기전 되어서 수록된 교육데이터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구비한 교육부착물과, 상기 교육판의 무선유도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교육부착물을 교육판에 부착함과 동시에 교육부착물에 해당하는 음선이 출력되어서 시각교육과 함께 청각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교육 및 오락 용구{Education and recreation tool}
본 고안은 교육 및 오락 용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유도수신부를 구비한 교육판과, 상기 교육판에 부착 가능하게 부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유도수신부에서 발산되는 유도자기장에 의하여 기전되어서 수록된 교육데이터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구비한 교육부착물과, 상기 교육판의 무선유도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데이타를 음성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 구성하여서 글씨 등과 같은 도안을 통한 시각교육과 함께 음성을 통한 청각교육을 겸하여 교육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교육판의 일측에 영상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여서 교육부착물의 부착과 함께 음성 및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게하여 교육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교육부착물에 재작동접지부를 형성하여서 음성과 영상을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과 같은 유아의 교육용으로 사용되는 교육 및 오락용구는 시각자료를 통하여 그 교육효과를 극대화 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시각적 교육자료로는 직사각의 판재에 특정 단어의 그림을 표시하고 이를 교육자가 읽어주어서 해당되는 사물에 대한 단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어린이들의 영어교육에 있어서도 상기한 바와 같이 판재에 특정 단어의 그림과 문자등을 표시하고 이를 읽어 주어서 그 인지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단순히 직사각형의 판재에 특정 단어의 도안을 표현하여 교육하는 방법은 교육과정에 있어 교육자의 발음에 따라 교육정도의 차이가 심하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영어의 교육에 있어서는 정확한 발음을 표현하여야 하나 교육자의 능력에 따라 차이가 매우 심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교육과정에 있어 교육자의 발음에 따른 교육편차를 해소하며 정확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유도자기장을 발산시키며 무선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유도수신부를 구비한 교육판과, 상기 교육판에 부착 가능하게 후면에 부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유도수신부에서 발산되는 유도자기장에 의하여 기전 되어서 수록된 교육데이터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구비한 교육부착물과, 상기 교육판의 무선유도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교육부착물을 교육판에 부착함과 동시에 교육부착물에 해당하는 음선이 출력되어서 시각교육과 함께 청각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교육판
101 : 금속판 102 : 루프벨크로
111 : 무선유도수신코일 112 : 무선수신부
113 : 유도자기장발생부 114 : 수신컨트롤러
200 : 교육부착물
201 : 자성체 202 : 후크벨크로
211 : 무선유도송신코일 212 : 유도전원부
213 : 교육메모리부 214 : 인식코드메모리부
215 : 무선송신부 216 : 부착물컨트롤러
217 : 재동작접지부
300 : 음성출력부
411 : 영상저장장치 412 : 디스플레이컨트롤러
413 : 디스플레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시각적 교육과 함께 소리를 통한 청각적 교육이 함께 이루어지게 하여서 교육 및 오락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유도자기장을 발산시키며 무선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유도수신부를 구비한 교육판(100)과, 상기 교육판과 부착수단을 매개로 부착가능 하게 구성되며 무선유도수신부에서 발산되는 유도자기장에 의하여 기전력을 발생시켜서 수록된 교육데이터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구비한 교육부착물(200)과, 상기 교육판(100)의 무선유도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음성출력부(300)로 구성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교육판(100)의 무선유도수신부는 교육판에 배설되는 무선유도수신코일(111)과, 상기 무선유도수신코일(111)에서 부착되는 교육부착물(200)의 동작을 위한 유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유도자기장발생부(113)와, 부착된 교육부착물(200)에서 발산되어 무선유도수신코일(111)을 통하여 입력된 무선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112)와,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신컨트롤러(114)로 구성한 것으로, 상기 무선유도수신코일(111)은 교육부착물(200)의 부착 위치가 제한되지 않게 교육판(100)에 지그재그로 배설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교육부착물(200)의 무선송신부는 상기 무선유도수신부에서 발산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상호 유도되어서 유도전기를 발생시키고 무선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유도송신코일(211)과, 상기 무선유도송신코일(211)을 통하여 유도된 기전력을 동작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유도전원부(202)와, 교육부착물(200)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교육메모리부(213)와, 상기 교육메모리부(213)의 데이터를 무선송신주파수에 실는 변조와 증폭을 통하여 무선유도송신코일(211)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215)와, 상기 무선송신부(215)를 포함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착물컨트롤러(216)로 구성한 것이다.
한편, 상기 부착물컨트롤러(216)에는 무선신호를 재 송신할 수 있게 신체 접촉을 통하여 접지됨에 의하여 동작신호를 입력하는 재동작접지부(217)를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착수단은 교육부착물(200)의 몸체의 일측에 자성체(201)를 구비하고, 교육판(100)의 배면에 금속판(101)을 구비하여서 실시하거나, 상기 교육부착물(200)의 후면과 교육판(100)의 상면 중 일측에는 후크벨크로(202)를 구비하고 다른 일측에는 루프벨크로(102)를 구비하여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교육부착물(200)의 부착에 따라 시각적 교육효과를 증대할 수 있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와, 부착되는 교육부착물(200)을 상기 영상디스플레이장치가 인식할 수 있게 상기 교육부착물(200)의 무선송신부에 인식코트가 저장되는 인식코드메모리부(214)를 구비하되, 상기 영상디스플레이장치는 교육판(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413)와, 교육판(100)의 일측에 착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영상저장장치(411)와, 상기 무선유도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인식코트에 따라 상기 영상저장장치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컨트롤러(412)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교육부착물(200)은 통상의 교육 및 오락용구와 같이 판재에 도안을 표현하여 실시하거나, 표현대상물을 입체적으로 표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유도자기장을 발산시키며 무선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유도수신부를 구비한 교육판(100)과, 상기 교육판과 부착수단을 매개로 부착가능 하게 구성되며 무선유도수신부에서 발산되는 유도자기장에 의하여 기전력을 발생시켜서 수록된 교육데이터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구비한 교육부착물(200)과, 상기 교육판(100)의 무선유도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음성출력부(300)로 구성한 본 고안을 이용하여 어린이의 교육 및 오락을 시행하고자 할 경우에는 특정 문양 즉 사과의 그림이 인쇄된 교육부착물(200)을 교육판(100)에 부착시키게 되면, 상기 교육판(100)에 구비된 무선유도수신부의 무선유도수신코일(111)에서 발산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부착된 교육부착물(200)에 구비되어 있는 무선송신부의 무선유도송신코일(211)이 상호 유도되어서 기전력을 발생시키게 되며, 이상과 같이 무선유도송신코일(211)에서 유도된 기전력을 유도전원부(202)에서 동작을 위한 전원으로 변환하여서 부착물컨트롤러(216)로 입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유도전원부(202)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은 부착물컨트롤러(216)는 교육메모리부(213)로부터 교육데이터를 리딩하여 무선송신부(215)로 전송하게 되고, 교육데이터를 전송받은 무선송신부(215)은 상기 데이터를 변조 증폭하여서 전송하므로서 무선유도송신코일(211)을 통하여 무선송신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무선송신된 교육데이터는 교육판(100)에 배설되어 있는 무선수신유도코일(111)을 통하여 수신되어서 무선수신부(112)를 통하여 수신컨트롤러(114)에서 교육데이터만 인출되어 음성출력부(300)의 스피커를 통하여 교육부착물(200)에 따른 음성이 출력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영상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경우에는 교육부착물(200)에서 교육데이터와 교육부착물(200)을 인식할 수 있게한 인식코드데이터가 출력되어서 교육판(100)의 무선유도수신부로 입력되므로서 상기 무선유도수신부의 수신컨트롤러(114)가 입력된 데이터중 인식코드데이터를 인출하여서 상기 영상디스프레이장치의 디스플레이컨트롤러(412)로 전송하면 상기 디스플레이컨트롤러(412)는 상기 교육부착물(200)에 따른 영상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영상저장장치(411)에서 해당 데이터를 리딩하여서 디스플레이(413)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 하므로서 교육부착물(200)을 통한 시각교육과 더불어 영상을 통한 교육이 이루어져 그 효과가 극대화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교육부착물(200)에 재동작접지부(217)를 형성하므로서 부착된 교육부착물(200)에 대한 음성 및 영상을 다시한번 보여주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재동작접지부(217)를 손으로 접촉하여 주므로서 접촉한 손을 통하여 접지가 이루어지며 부착물컨트롤러(216)에 재동작 신호가 입력되므로서 교육 및 인식코드데이터가 재차 출력되어서 음성출력부(300)와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음성과 영상 출력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무선유도수신부를 구비한 교육판과, 상기 교육판에 부착 가능하게 부착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무선유도수신부에서 발산되는 유도자기장에 의하여 기전되어서 수록된 교육데이터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구비한 교육부착물과, 상기 교육판의 무선유도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데이타를 음성신호로 변환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로 구성하므로서 글씨 등과 같은 도안을 통한 시각교육과 함께 음성을 통한 청각교육을 겸하여 실시하므로서 교육효과가 극대화되는 되는 것이다.
그리고, 교육판의 일측에 영상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므로서 교육부착물의부착과 함께 음성 및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게하므로서 교육효과가 극대화 되는 것이다.
또한, 교육부착물에 재작동접지부를 형성하므로서 부착된 교육부착물의 음성과 영상데이터를 반복하여 출력하여서 반복교육을 실시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4)

  1. 유도자기장을 발산시키며 무선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유도수신부를 구비한 교육판(100)과,
    상기 교육판과 부착수단을 매개로 부착 가능하게 구성되며 무선유도수신부에서 발산되는 유도자기장에 의하여 기전력을 발생시켜서 수록된 교육데이터를 무선송신하는 무선송신부를 구비한 교육부착물(200)과, 상기 교육판(100)의 무선유도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무선데이터를 음성신호로 변환출력하는 음성출력부(300)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및 오락 용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육판(100)의 무선유도수신부는 교육판에 배설되는 무선유도수신코일(111)과, 상기 무선유도수신코일(111)에서 부착되는 교육부착물(200)의 동작을 위한 유도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유도자기장발생부(113)와, 부착된 교육부착물(200)에서 발산되어 무선유도수신코일(111)을 통하여 입력된 무선데이터를 수신하는 무선수신부(112)와, 상기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며 수신된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수신컨트롤러(114)로 구성하고,
    상기 교육부착물(200)의 무선송신부는 상기 무선유도수신부에서 발산되는 자기장에 의하여 상호 유도되어서 유도전기를 발생시키고 무선데이터를 전송하는 무선유도송신코일(211)과, 상기 무선유도송신코일(211)을 통하여 유도된 기전력을 동작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유도전원부(202)와, 교육부착물(200)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교육메모리부(213)와, 상기 교육메모리부(213)의 데이터를 무선송신주파수에 실는 변조와 증폭을 통하여 무선유도송신코일(211)로 전송하는 무선송신부(215)와, 상기 무선송신부(215)를 포함한 각 구성의 동작을 제어하는 부착물컨트롤러(216)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및 오락 용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물컨트롤러(216)에는 무선신호를 재 송신할 수 있게 신체 접촉을 통하여 접지됨에 의하여 동작신호를 입력하는 재동작접지부(217)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및 오락 용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교육부착물(200)의 부착에 따라 시각적 교육효과를 증대할 수 있게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영상디스플레이장치와, 부착되는 교육부착물(200)을 상기 영상디스플레이장치가 인식할 수 있게 상기 교육부착물(200)의 무선송신부에 인식코트가 저장되는 인식코드메모리부(214)를 구비하되,
    상기 영상디스플레이장치는 교육판(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413)와, 교육판(100)의 일측에 착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영상저장장치(411)와, 상기 무선유도수신부를 통하여 수신된 인식코트에 따라 상기 영상저장장치의 동영상을 디스플레이시키는 디스플레이컨트롤러(41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육 및 오락 용구.
KR20-2004-0025913U 2004-09-09 2004-09-09 교육 및 오락 용구 KR2003713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13U KR200371300Y1 (ko) 2004-09-09 2004-09-09 교육 및 오락 용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913U KR200371300Y1 (ko) 2004-09-09 2004-09-09 교육 및 오락 용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7483A Division KR100584683B1 (ko) 2004-07-23 2004-07-23 교육 및 오락 용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300Y1 true KR200371300Y1 (ko) 2004-12-29

Family

ID=49443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913U KR200371300Y1 (ko) 2004-09-09 2004-09-09 교육 및 오락 용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30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0085B2 (ja) 電子装置及び情報担体
US6220866B1 (en) Electronic auscultation system for patient simulator
KR880010803A (ko) 무선 제어 완구
KR100940299B1 (ko) 결합 정보를 출력하는 교육용 완구
WO2006099320A3 (en) Interactive virtual personal trainer and method of use
EP0712650A3 (ko)
US20160051904A1 (en) Interactive toy
CN201886642U (zh) 电子识图板
JP2006116122A (ja) 磁気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683426B1 (ko) 교육 및 오락 용구
KR100584683B1 (ko) 교육 및 오락 용구
KR200371300Y1 (ko) 교육 및 오락 용구
ATE381915T1 (de) Audioinformationsübertragungsvorrichtung und zugehöriges verfahren
KR20120025884A (ko) 유선 혹은 무선통신이 가능한 전자펜장치
KR100602591B1 (ko) 블록완구
KR20160035805A (ko) 블록을 이용한 교육용 음악보드 및 이를 포함하는 음악교육 시스템
KR200418956Y1 (ko) 교육 및 오락 용구
CN201867991U (zh) 一种电子点读教鞭
KR20160138610A (ko) 로봇, 스마트 블록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로봇 제어 시스템
CN206021703U (zh) 声学综合演示仪
KR20130030970A (ko) 수중 데이터 통신 단말 장치 및 수중 데이터 통신 방법
CN101853589B (zh) 一种电子点读教鞭
KR101295335B1 (ko) 블록 세트, 한글 블록 세트, 한글 입력 방법 및 기록 매체
KR101562618B1 (ko) 교실내 청음 시스템
KR950014298B1 (ko) 마이크와 디스플레이부가 결합된 노래연습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