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225Y1 - 휴대형 유에스비 저장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형 유에스비 저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225Y1
KR200371225Y1 KR20-2004-0026528U KR20040026528U KR200371225Y1 KR 200371225 Y1 KR200371225 Y1 KR 200371225Y1 KR 20040026528 U KR20040026528 U KR 20040026528U KR 200371225 Y1 KR200371225 Y1 KR 20037122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sb
storage device
main body
usb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5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솔릭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솔릭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솔릭스
Priority to KR20-2004-00265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22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2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22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Abstract

휴대형 USB저장 장치는 하우징 내부에 정보 단말 장치의 USB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단자를 갖는 저장 장치 본체부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스톱 레버 또는 캠에 의해 상기 USB 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된 상태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휴대형 USB 저장 장치의 사용시 상기 USB 단자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USB 단자를 내부에 삽입시킨다.

Description

휴대형 유에스비 저장 장치{A potable USB storage device}
본 고안은 휴대용 USB(Universal Serial Bus) 저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USB 포트를 보호하기 위한 뚜껑이 없이도 휴대 및 사용할 수 있도록 USB 포트를 하우징의 내부로 수납하거나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 가능한 휴대용 USB 저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속하게 변화되어 가고 있는 네트워크 환경과 좀더 편리한 데이터의 보관 및 이동성의 요구에 부응하여 다양한 휴대용 저장 매체들이 속속들이 등장하고 있고, 이러한 새로운 저장 매체의 요구에 대응하여 플래쉬 메모리를 이용한 고용량의 저장장치인 휴대형 저장장치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휴대형 저장장치는 그동안 일부 전문가들만이 별도로 구매하는 수준이었으나, 이제는 PC구매 시, 함께 제공되는 번들(bundle) 제품으로 도입되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의 악세서리로 등장하는 등 PC나 PDA의 필수 주변기기로 서서히 장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휴대형 저장장치의 시장규모도 점차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휴대형 저장장치는 그래픽 디자이너등 대용량 데이터의 이동이 잦은 전문가들의 점유물로 인식되어 있었던 것이 최근 게임이나 MP3와 같은 멀티미디어 파일 등 데이터 용량이 커지면서 일반인들의 구매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특히, 인텔과 마이크로소프트사가 플로피디스크(FDD)를 지원하지 않겠다는 계획을 발표함에 따라 휴대형 저장장치가 상기 플로피디스크를 대체해 나갈 것으로기대되며, 이러한 휴대형 저장장치는 자체 저장용량이 적은 PDA의 보조 저장장치로서 적당하다는 점을 들어 PDA 업체들의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형 저장장치의 가장 큰 특징은 별도의 어댑터(Adapter)가 필요 없이 간단하게 접속할 수 있다는 것과, USB 포트로부터 공급되는 전원만으로도 충분하여 별도의 전원공급이 필요 없다는 것, 그리고 뛰어난 휴대성과 이동성이라 할 수 있으며, 주머니 속에도 들어갈 수 있는 콤팩트(Compact)하고, 가볍다는 것에 있 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장점들을 가진 휴대용 저장장치는 USB 기술을 근간으로 하고 있는데, 상기 USB는 최초에 컴퓨터와 전화기를 통합하기 위한 간단한 방식을 제공하기 위해 컴팩, IBM,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등 몇몇 회사에 의해 개발된 주변버스 규약이라 할 수 있다.
이 규약이 발전하여 PC에서 최대 127개의 주변장치들을 손쉽게 통합시키기 위한 개념으로 확장되어 USB 1.0 규격으로 발표되었고, 상기 USB 1.0의 문제점을 보안한 것이 USB 1.1이다. 이러한 USB 기술은 음성과 압축된 비디오에 대한 실시간 데이터에 대한 완벽한 지원. 혼합된 모드의 동기, 다양한 PC구성과 PC성능을 증가시키는 새로운 장치 개발 등으로 발전되었다.
한편, USB는 마스터(master)/슬레이브(slave) 개념과, 호스트와 각 주변장치간의 직접적인 연결이나 허브를 통한 연결 하에서 작용하며, 기본적으로 시리얼 버스(Serial bus) 즉, 직렬버스 형태로 구성된다.
현재에는 상기와 같은 USB 인터페이스를 갖는 많은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으며, PC와 연결이 되는 대부분의 주변장치들 예를 들면, 프린터, 스캐너,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게임패드, 비디오 카메라, 스틸 화상 카메라, 모뎀, ISDN어댑터, 이더넷 어댑터 등을 모두 연결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기존에 사용하던 장치를 USB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커넥터(Connecter), 예를 들면 USB to IDE, USB to PS/2, USB to Printer Port, USB to Serial Port 등 이미 사용되고 있는 각종 장치들을 USB 장치처럼 사용할 수 있다
USB 단자를 구비한 종래의 휴대형 저장 장치는 하우징에 의해 내부 본체가 완전히 밀폐되어 있는 구조이며 상기 내부 본체는 각종 메모리(ROM 및 RAM) 그리고 클럭신호 발생부 및 인터럽트 컨트롤러 등이 실장되어 상기 USB 단자를 통해 주변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다운로드(Download) 받을 수 있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주변장치로 업로드(Upload)할 수가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휴대형 USB 저장장치는 USB 단자가 메모리 사용의 주된 입출력부로서 보호되어야 하고, 또한 재질상 날카로움 때문에 사용자를 보호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뚜껑을 필요로 하는 구조로 설계되어 사용되고 있다.
휴대형 USB 저장장치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USB 단자를 감싸고 있는 뚜껑에 힘을 가하여 분리한 상태에서 노출된 USB 단자를 컴퓨터의 USB 포트에 연결해서 사용하고, 사용이 끝난 경우에는 상기 USB 단자를 뚜껑에 삽입한 상태에서 보관하면 된다. 이때 사용자는 분리된 뚜껑을 별도 보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므로, 기존의 분리형 뚜껑을 갖는 휴대형 USB 저장장치는 정상적인 사용의 경우에도 뚜껑을 분실할 우려가 있으며, 선단 밀 결합부가 헐거워져서 뚜껑이 본체로부터 저절로분리되어 분실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하므로, 이런 경우에 휴대형 USB 저장장치의 핵심부품인 USB 단자가 손상되어 휴대형 USB 저장장치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두껑 없이 USB 단자를 보호하기 위한 휴대형 USB 저장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USB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USB 저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USB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회전캡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휴대형 USB 저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제1 하우징 112 ; 관통홀
114 : 제1 홈 120 : 제2 하우징
122 : 가이드 124 : 제2 홈
126 : 제3 홈 130 : 본체부
132 : USB 단자 133 : 고정홈
134 : 가이드 홈 135 : 슬라이딩 홈
136 : 고정축 138 : 제1 고정턱
140 : 복원력 제공부 142 : 슬라이더
143 : 제2 고정턱 144 : 제1 토션 스프링
150 : 푸시캡 152 : 제1 돌출부
160 : 스톱 레버 162 : 걸림턱
164 : 제2 돌출부 166 : 힌지축
168 : 제2 토션 스프링 210 : 제1 하우징
212 : 제1 홈 214 : 제1 스프링홈
220 : 제2 하우징 222 : 제2 홈
224 : 제3 홈 226 : 가이드
230 : 본체부 232 : USB 단자
234 : 제2 스프링홈 236 : 수용실린더
238 : 돌기 240 : 코일 스프링
250 : 캠 252 : 가이드 홈
254 : 체결홈 260 : 고정축
262 : 키 270 : 회전캡
271 : 걸림턱 272 : 제1 회전캡
274 : 제2 회전캡 276 : 키홈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형 USB 저장 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저장 장치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에 정보 단말 장치의 USB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단자를 갖는다. 푸시캡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돌출 부분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USB 단자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시킨다. 스톱 레버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힌지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USB 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USB 단자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를 고정하며, 상기 돌출 부분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의 고정을 해제한다.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USB 단자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USB 단자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형 USB 저장 장치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를 포함한다. 저장 장치 본체부는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에 정보 단말 장치의 USB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단자를 갖는다. 캠은 상기 일단과 대응하는 상기 저장 장치 본체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USB 단자가 돌출 위치와 수용 위치 사이를 왕복하도록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를 안내한다. 회전캡은 상기 캠에 고정되도록 구비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캠을 회전시킨다. 코일 스프링은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USB 단자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USB 단자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휴대형 USB 저장 장치는 스톱 레버 또는 캠 등의 조절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USB 단자의 돌출과 수납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휴대형 USB 저장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USB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형 USB 저장 장치(100)는 크게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120), 본체부(130), 복원력 제공부(140), 푸시캡(150) 및 스톱레버(16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하우징(110)은 하방이 개방된 중곡의 직육면체 형태이다.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상부면에는 길이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홀(112)이 형성된다. 또한 제1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측면의 하부에는 제1 홈(11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홈(114)은 제1 하우징(110)의 후단 부위에 형성된다.
제2 하우징(120)은 상기 제1 하우징(110)과 대응하는 형태로 상방이 개방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이다. 제2 하우징(120)의 하부면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갖는 가이드(122)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2 하우징(120)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측면의 상부에는 제2 홈(1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홈(114)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홈(124)은 제2 하우징(120)의 후단 부위에 형성된다. 즉 제1 홈(114)과 제2 홈(124)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제2 하우징(120)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타측 측면의 상부에는 제3 홈(126)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홈(126)은 제2 하우징(120)의 전단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120)의 하부면 외측에는 고정핀(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핀은 소정의 폭을 갖는 갈고리 모양이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휴대형 USB 저장 장치를 허리 벨트나 상의의 호주머니에 부착시 용이하다.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결합을 통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홈(114)가 제2 홈(124)는 결합되어 하나의 홀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은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공간에 상기 본체부(130), 복원력 제공부(140), 푸시캡(150) 및 스톱레버(160) 등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3 홈(126)이 형성된 방향을 전단이라 하고, 상기 제1 홈(114) 및 제2 홈(124)이 형성된 방향을 후단이라고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 및 복원력 제공부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30)는 길이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로, 상기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1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130)의 내부에는 각종 메모리(ROM 및 RAM) 그리고 클럭신호 발생부 및 인터럽트 컨트롤러 등이 실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130)의 전단에는 정보 단말 장치의 USB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단자(132)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USB 단자(132)는 상기 제3 홈(126)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수납된다.
상기 본체부(130)의 하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13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134)에는 상기 가이드(122)가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13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130)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상기 본체부(130)의 상부면 후단 부위에는 고정홈(133)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홈(133)은 사각형 형태로 상기 본체부(130)가 상기 USB 단자(132)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전진된 상태를 유지하는데 이용된다.
상기 본체부(130)의 상부면 전단 부위에는 슬라이딩 홈(135)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 홈(135)은 상기 본체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130)의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 홈(135)은 양 측벽까지 슬롯 형태로 연장된다.
상기 슬라이딩 홈(135)이 형성된 상기 본체부(130)의 상부면 양측에는 각각 고정축(136)과 제1 고정턱(138)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축(136)은 원기둥 형태로 상기 본체부(13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 고정턱(138)은 상기 고정축(136)보다 약간 후단 방향에 위치한다. 상기 제1 고정턱(138)은 L자 형태로 상기 본체부(130)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턱(138)은 서로 마주보도록 구비된다. 다시말해 상기 한 쌍의 제1 고정턱(138)은 상기 본체부(130)의 길이 방향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복원력 제공부(140)는 상기 본체부(130)의 상부면 전단 부위에 구비된다. 상기 복원력 제공부(140)는 상기 USB 단자(132)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130)의 고정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USB 단자(132)를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의 내부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본체부(13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복원력 제공부(140)는 슬라이더(142), 제2 고정턱(143) 및 제1 토션 스프링(144)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더(142)는 사각의 플레이트 형태로 양 측면에 단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더(142)는 상기 슬라이딩 홈(135)에 끼워진다. 특히 상기 슬라이더(142)의 양 측면에 형성된 단은 상기 슬라이딩 홈(135)의 슬롯 형태의 연장부에 끼워진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142)의 상부면은 상기 본체부(130)의 상부면보다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42)는 상기 슬라이딩 홈(135)을 따라 상기 본체부(1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더(142)의 상부면에는 제2 고정턱(143)이 형성된다. 상기 제2 고정턱(143)은 한 쌍이 구비되며, L자 형태로 상기 슬라이더(142)의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턱(143)은 상기 슬라이더(142)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따라 나란히 구비된다. 상기 한 쌍의 제2 고정턱(143)은 상기 슬라이더(142)의 후단 방향을 향한다.
상기 제1 토션 스프링(144)은 비틀림을 이용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며, 한 쌍이 구비된다. 상기 제1 토션 스프링(144)은 코일링된 중심 부분이 상기 고정축(136)에 고정된다. 상기 제1 토션 스프링(144)의 일단이 상기 제1 고정턱(138)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 고정턱(143)에 고정된다.
상기 USB 단자(132)를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110, 120)의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해 상기 본체부(130)가 전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더(142)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전단 부위에 위치하는 측면 부위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42)는 이동이 차단된다. 그러므로 상기 본체부(130)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상기 슬라이더(142)가 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따라서 상기 제1 토션 스프링(144)이 비틀려지게 된다. 상기 전단 방향으로 이동된 상기 본체부(130)의 고정이 해제되는 경우 비틀려진 상기 제1 토션 스프링(14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130)는 원위치인 후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본체부(130)를 기준으로 생각하면 상기 슬라이더(142)가 비틀려진 상기 제1 토션 스프링(144)의 복원력에 의해 전단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상기에서 상기 슬라이더(142)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전단 부위에 위치하는 측면 부위의 내측에 별도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푸시캡(150)은 일측면이 개방된 중공의 직육면체 형태이며, 상기 개방된 일측면과 반대되는 측면에 제1 돌출부(152)가 형성된다. 상기 푸시캡(150)은 상기 개방된 면이 상기 본체부(130)의 후단에 끼워진다. 상기 제1 돌출부(152)는 상기 제1 홈(114)가 제2 홈(124)는 결합되어 형성되는 홀을 통해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제1 돌출부(152)가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푸시캡(150)은 상기 본체부(130)를 상기 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USB 단자(132)를 상기 제1, 제2 하우징(110, 120)의 외부로 돌출시킨다.
상기 푸시캡(150)은 경우에 따라서 상기 본체부(130)의 측면 부위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푸시캡(150)은 상기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제1, 제2 하우징(110, 120)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된다.
상기 스톱 레버(160)는 상기 USB 단자(132)가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USB 단자(132)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본체부(130)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스톱 레버(160)는 상기 본체부(130)의 고정을 해제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스톱 레버(160)는 크게 상기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플레이트 형태이다.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면 후단 부위에는 걸림턱(162)이 상기 하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62)은 상기 고정홈(132)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162)의 전단 모서리는 상기 고정홈(132)에 잘 걸리도록 각이 진 형태를 가지고, 상기 걸림턱(162)의 후단 모서리는 상기 걸림턱(162)이 상기 고정홈(132)에 잘 삽입되도록 라운드 진 형태를 갖는다.
상기 플레이트의 상부면 전단 부위에는 제2 돌출부(164)가 상기 상부면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돌출부(164)는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관통홀(112)을 통하여 외부로 돌출된다.
힌지축(166)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과 평행한 양 측면에 걸쳐 구비된다. 상기 스톱 레버(160)는 상부면 중앙 부위가 상기 힌지축(166)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166)에는 제2 토션 스프링(168)도 고정된다. 상기 제2 토션 스프링(168)은 상기 스톱 레버(160)에서 걸림턱(162)이 형성된 후단 부위를 누르는 힘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힌지축(166)에 의한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스톱 레버(160)에서 돌출부(164)가 형성된 전단 부위는 상대적으로 들어올려지는 힘이 작용한다.
도 3 및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휴대형 USB 저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3은 USB 단자가 수납된 상태에서의 휴대형 USB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USB 단자가 돌출된 상태에서의 휴대형 USB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며, 상기 휴대형 USB 저장 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3은 USB 단자(132)가 제1, 제2 하우징(110, 12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푸시캡(150)의 제1 돌출부(152)가 돌출되어 있고, 스톱 레버(160)의 제2 돌출부(164)는 약간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1 돌출부(152)에 외력을 가하여 누르면, 상기 본체부(130)가 상기 USB 단자(132)를 외부로 돌출시키는 방향, 즉 전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USB 단자(132)가 외부로 돌출될 때까지 상기 본체부(130)가 이동하면, 상기 제2 토션 스프링(168)의 작용에 의해 상기 스톱 레버(160)의 걸림턱(162)이 상기 고정홈(132)에 끼워진다. 상기 스톱 레버(160)의 제2 돌출부(164)는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외부로 더욱 돌출된다. 상기 제1 돌출부(152)에 작용하는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본체부(130)는 상기 USB 단자(132)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130)가 이동할 때 상기 슬라이더(142)는 상기 제1 하우징(110)에 걸려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본체부(130)를 기준으로 하면 상기 슬라이더(142)는 길이 방향의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제1 토션 스프링(144)에 토션이 작용한다. 상기 도 4는 상기와 같은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형 USB 저장 장치(100)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USB 단자(132)를 상기 제1, 제2 하우징(110, 120)의 내부로 삽입한다. 상기 USB 단자(132)를 내부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제2 돌출부(164)에 외력을 가한다.
상기 제2 돌출부(164)에 외력이 가해지면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기 스톱 레버(130)의 걸림턱(162)이 상부로 들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부(130)를 고정하던 힘이 제거된다. 상기 힘이 제거됨과 동시에 토션이 작용되던 상기 제1 토션 스프링(144)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42)가 상기 본체부(130)를 기준으로 전단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더(142)는 상기 제1 하우징(110)에 의해 전단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므로 작용 반작용에 의해 상기 본체부(130)가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SB 단자(132)는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푸시캡(150)의 제1 돌출부(152)는 외부로 돌출된다. 또한 상기 스톱 레버(160)의 제2 돌출부(164)는 외력에 의해 눌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휴대형 USB 저장 장치(100)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상기 USB단자(132)를 돌출 또는 삽입한다. 따라서 상기 USB 단자(13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USB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휴대형 USB 저장 장치(200)는 크게 제1 하우징(210), 제2 하우징(220), 본체부(230), 코일 스프링(240), 캠(250) 및 회전캡(27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하우징(210)은 직사각형 형태의 곡면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곡면판의 내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측벽이 연장된다. 또한 제1 하우징(210)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측벽의 하부에는 제1 홈(2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홈(212)은 제1 하우징(210)의 후단 부위에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1 하우징(210)의 내측면 전단 부위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제1 스프링홈(214)이 형성된다.
제2 하우징(220)은 상기 제1 하우징(210)과 대응하는 형태로, 직사각형 형태의 곡면판 형태를 가지며, 상기 곡면판의 내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내측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측벽이 연장된다. 상기 제2 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일측 측벽의 상부에는 제2 홈(222)이 형성된다. 상기 제1 홈(212)과 마찬가지로 상기 제2 홈(222)은 제2 하우징(220)의 후단 부위에 형성된다. 즉 제1 홈(212)과 제2 홈(222)은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220)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타측 측벽의 상부에는 제3 홈(224)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3 홈(224)은 제2 하우징(220)의 전단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220)의 하부면 내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폭을 갖는 가이드(226)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2 하우징(220)의 하부면 외측에는 고정핀(미도시)이 구비된다. 상기 고정핀은 소정의 폭을 갖는 갈고리 모양이다. 상기 고정핀은 상기 휴대형 USB 저장 장치를 허리 벨트나 상의의 호주머니에 부착시 용이하다.
상기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은 결합을 통해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홈(212)가 제2 홈(222)는 결합되어 하나의 홀을 형성한다. 상기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은 나사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내부 공간에 상기 본체부(230), 코일 스프링(240), 캠(250) 및 회전캡(270) 등이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길이 방향에서 상기 제3 홈(224)이 형성된 방향을 전단 방향이라 하고, 상기 제1 홈(212) 및 제2 홈(222)이 형성된 방향을 후단 방향이라고 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본체부, 캠, 고정축 및 회전캡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체부(230)는 길이 방향으로 긴 직육면체 형태로, 상기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다. 상기 본체부(230)의 내부에는 각종 메모리(ROM 및 RAM) 그리고 클럭신호 발생부 및 인터럽트 컨트롤러 등이 실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본체부(230)의 전단에는 정보 단말 장치의 USB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단자(232)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USB 단자(232)는 상기 제3 홈(224)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거나 내부로 수납된다.
상기 본체부(230)의 후단에는 중공의 실린더 형태를 갖는 수용 실린더(236)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수용 실린더(236)의 내측면에는 돌기(238)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230)의 하부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 홈(미도시)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홈에는 상기 가이드(226)가 삽입되어 상기 본체부(230)가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 상기 본체부(230)의 이동을 가이드 한다.
상기 본체부(230)의 상부면 전단 부위에는 제2 스프링홈(234)이 형성된다.상기 제2 스프링홈(234)은 상기 본체부(2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본체부(230)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240)은 상기 제1 하우징(110)의 내측면의 제1 스프링홈(214), 상기 제1 하우징(110)의 전단 측벽 및 상기 본체부(130)의 상부면의 제2 스프링홈(234)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240)은 상기 USB 단자(232)가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10, 2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상기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230)의 고정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USB 단자(232)를 상기 제1 및 제2 하우징(210, 220)의 내부로 복원시키도록 상기 본체부(230)에 복원력을 제공한다.
상기 캠(250)은 상하방이 개방된 중공의 실린더 형태를 갖는다. 상기 캠(250)은 상기 수용 실린더(236)의 내부에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캠(250)의 외측 지름이 상기 수용 실린더(236)의 내측 지름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캠(250)의 외측면을 따라 상기 돌기(238)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돌기 가이드홈(252)이 형성된다. 상기 돌기 가이드 홈(252)은 상기 캠(250)의 외측면 전체에 걸쳐 형성되며 하트 형태를 갖는다. 이때 상기 하트 형태의 돌기 가이드 홈(252)은 상기 하트 형태에서 오목한 부분이 상기 길이 방향의 전단 방향에 위치하고, 뾰족한 부분이 상기 길이 방향의 후단 방향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캠(250)의 내측면에는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체결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 캡(270)은 상기 캠(2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 회전캡(272)과 제2 회전캡(274)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회전 캡(270)은 상기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이 결합된 형태와 동일한 폭을 가지며, 상기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의 외부로 돌출되는 외측 부분과, 상기 외측 부분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의 내부에 구비되는 상하방이 개방된 중공의 실린더 형태의 내측 부분으로 형성된다. 상기 내측 부분의 지름은 상기 캠(250)의 지름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 부분에서 상기 실린더의 외측면 전단 부위에는 상기 회전캡(270)이 상기 제1 하우징(210)과 제2 하우징(2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턱(271)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측 부분에서 상기 실린더의 내측면에는 상기 길이 방향으로 따라 키홈(276)이 형성된다.
고정축(260)은 원기둥 형태를 가지며, 외측면에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키(262)가 돌출된다. 상기 고정축(260)은 상기 캠(250) 및 상기 회전캡(270)의 내측 부분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키(262)가 상기 체결홈(254) 및 키홈(276)에 끼워진다. 따라서 고정축(260)은 상기 회전캡(270)의 회전 구동력을 상기 캠(250)으로 전달한다.
도 7 및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휴대형 USB 저장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7은 USB 단자가 수납된 상태에서의 휴대형 USB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고, 도 8은 USB 단자가 돌출된 상태에서의 휴대형 USB 저장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며, 상기 휴대형 USB 저장 장치(2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7은 USB 단자(232)가 제1, 제2 하우징(110, 120)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회전캡(270)의 제1 회전캡(272)가 상부에 위치하고 제2 회전캡(274)가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230)의 돌기(238)은 하트 형태의 가이드 홈(252)에서 뾰족한 부분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회전캡(270)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회전캡(270)을 반바퀴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캡(270)이 반바퀴 회전하면, 상기 회전캡(270)과 고정축(260)에 의해 고정된 캠(250)도 반바퀴 회전한다. 상기 캠(250)이 반바퀴 회전하면 상기 돌기(238)는 상기 하트 형태의 가이드 홈(252)에서 뾰족한 부분에서 오목한 부분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238)를 갖는 상기 본체부(230)도 전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USB 단자(232)가 상기 제1, 제2 하우징(210, 220)의 외부로 돌출된다. 상기 돌기(238)는 상기 하트 형태의 가이드 홈(252)의 오목한 부분에 고정되므로 상기 본체부(230)는 상기 USB 단자(232)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도 8은 상기와 같은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본체부(230)가 전단 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코일 스프링(240)은 상기 제1 하우징(210)의 전단 측벽에 걸려 압축된다. 따라서 상기 코일 스프링(240)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펴지려는 복원력이 작용하게 된다.
한편 상기 코일 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돌기(238)는 상기 하트 형태의 가이드 홈(252)의 오목한 부분에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휴대형 USB 저장 장치(200)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USB 단자(232)를 상기 제1, 제2 하우징(210, 220)의 내부로 삽입한다. 상기 USB 단자(232)를 내부로 삽입하기 위해 상기 회전캡(270)에 외력을 가하여 다시 반바퀴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캡(270)이 반바퀴 회전하면, 상기 회전캡(270)과 고정축(260)에 의해 고정된 캠(250)도 반바퀴 회전한다. 상기 캠(250)이 반바퀴 회전하면 상기 돌기(238)는 상기 하트 형태의 가이드 홈(252)에서 오목한 부분에서 뾰족한 부분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238)를 갖는 상기 본체부(230)도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USB 단자(232)는 상기 제1, 제2 하우징(210, 220)의 내부로 삽입된다.
압축된 상기 코일 스프링(240)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본체부(230)는 용이하게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돌기(238)는 상기 하트 형태의 가이드 홈(252)의 뾰족한 부분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USB 단자(232)는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휴대형 USB 저장 장치(200)는 상기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상기 USB단자(232)를 돌출 또는 삽입한다. 따라서 상기 USB 단자(232)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형 USB 저장 장치는 사용하는 경우에는 USB 단자를 돌출시켜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USB 단자를 삽입하여 보관한다. 따라서 상기 USB 단자가 항상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USB 단자에 의한 물리적 상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휴대형 USB 저장 장치는 사용상, 휴대상 편리함을 제공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휴대형 USB 저장 장치의 USB 단자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컴퓨터 등의 USB 포트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소형 USB 포트에 적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에 정보 단말 장치의 USB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단자를 갖는 저장 장치 본체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일부가 돌출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돌출 부분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를 상기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USB 단자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시키기 위한 푸시캡;
    상기 하우징의 내측면에 일부가 외부로 돌출되도록 힌지 결합되어 구비되고, 상기 USB 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USB 단자가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를 고정하며, 상기 돌출 부분에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의 고정을 해제하기 위한 스톱 레버; 및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USB 단자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USB 단자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USB 저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톱 레버의 힌지축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스톱 레버가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를 고정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을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USB 저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력 제공부는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홈에 구비되고,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 및 슬라이더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USB 단자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슬라이딩되는 상기 슬라이더에 의해 비틀려지며,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의 고정이 해제되는 경우 복원력에 의해 상기 USB 단자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복원시키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USB 저장 장치.
  4.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길이 방향의 일단에 정보 단말 장치의 USB 포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USB 단자를 갖는 저장 장치 본체부;
    상기 일단과 대응하는 상기 저장 장치 본체의 타단에 구비되고, 상기 USB 단자가 돌출 위치와 수용 위치 사이를 왕복하도록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를 안내하는 캠;
    상기 캠에 고정되도록 구비되고,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캠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캡; 및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USB 단자가 상기 하우징 외부로 돌출되는 경우 상기 USB 단자를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복원시키기 위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USB 저장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캠의 외측면에는 상기 저장 장치 본체부를 왕복 이동시키기 위한 하트형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USB 저장 장치.
KR20-2004-0026528U 2004-09-15 2004-09-15 휴대형 유에스비 저장 장치 KR20037122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528U KR200371225Y1 (ko) 2004-09-15 2004-09-15 휴대형 유에스비 저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528U KR200371225Y1 (ko) 2004-09-15 2004-09-15 휴대형 유에스비 저장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225Y1 true KR200371225Y1 (ko) 2005-01-05

Family

ID=49443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528U KR200371225Y1 (ko) 2004-09-15 2004-09-15 휴대형 유에스비 저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22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819B1 (ko) 2008-05-06 2010-05-24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외장형 전자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819B1 (ko) 2008-05-06 2010-05-24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는 외장형 전자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9348B1 (ko) 휴대용 usb 저장장치
US6724615B2 (en) Portable-type information apparatus
TWI301790B (en) Pocket tool
US7416423B2 (en) Portable storage device
CN104834351B (zh) 可旋转伸缩的资料存取装置及相关可携式电子设备
KR200371225Y1 (ko) 휴대형 유에스비 저장 장치
KR200178980Y1 (ko) 휴대용 키보드
US6796819B2 (en) Portable apparatus with inward-pushing triggered mechanism for ejecting add-on device
WO1999047993A1 (en) Portable computer system with modular interchangeable components
US20040252472A1 (en) Information product with a rotational mechanism
US9605446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integrated with a key
KR101400113B1 (ko) 카드형 유에스비 오티지 메모리
CN103178429A (zh) 插拔装置
JP3318976B2 (ja) 電子機器用筺体
KR100871295B1 (ko) Usb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
JP2004021451A (ja) 電子機器
KR100946777B1 (ko) 유에스비 연결플러그용 뚜껑 구조
KR20040023292A (ko) 유에스비 포트를 이용한 휴대용 데이터 저장장치
KR200432130Y1 (ko) 다용도 유에스비 저장장치
KR100575748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착탈 장치
KR100608707B1 (ko) 휴대용 정보기기의 크래들
JP2001022509A (ja) 入力ペン保持構造及び情報端末機器
KR20030079398A (ko) 휴대형 저장장치
CN201170954Y (zh) 具有退出机构的储存装置
KR20080004653U (ko) 폴더형 플래시 메모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