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1224Y1 -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 Google Patents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1224Y1
KR200371224Y1 KR20-2004-0026474U KR20040026474U KR200371224Y1 KR 200371224 Y1 KR200371224 Y1 KR 200371224Y1 KR 20040026474 U KR20040026474 U KR 20040026474U KR 200371224 Y1 KR200371224 Y1 KR 2003712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monitor
variable frame
frame
stand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6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만수
Original Assignee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케이텍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6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12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12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122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3Supporting arrangements, e.g. for filters or documents associated to a laptop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플랫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엘씨디 모니터의 상,하 높이를 설정높이로서 자유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구성의 간소화로 컴팩트하고 슬림화된 제품을 제공함은 물론 그 제작단가가 저렴한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엘씨디 모니터가 틸트(Tilt)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어세이(118)와; 상기 힌지어세이(118)가 고정설치되는 가변프레임(110)과; 상기 가변프레임(110)의 양 측단부에 대응하는 가이드홈(106)이 그 양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가변프레임(110)이 상하 이동이 가능하되, 상기 가변프레임(110)이 상하 이동되는 범위만큼 전면에 개구부(108)가 형성되며, 지지대(10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4)과; 상기 고정프레임(104)의 가이드홈(106) 상에 설치되며, 상기 엘씨디 모니터와 힌지어세이(118) 및 가변프레임(110)의 총 자중에 대응하는 탄력을 갖는 플랫스프링(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Lift apparatus of stand for LCD monitor}
본 고안은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플랫스프링의 탄력을 이용하여 엘씨디 모니터의 상,하 높이를 설정높이로서 자유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구성의 간소화로 컴팩트하고 슬림화된 제품을 제공함은 물론 그 제작단가가 저렴한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씨디(LCD : Liquid Crystal Display) 모니터는, 액정에 전압을 가하여 그 분자배열을 변화시킴에 따라, 이와 같은 분자 배열의 변화에 의해 발광하는 액정셀의 복굴절성, 선광성, 2색성, 광산란 등의 광학적 성질의 변화를 시각적으로 변환한 수광형 표시장치이다.
이러한 엘씨디 모니터는 그 크기가 소형화이고, 휴대가 간편하며, 전력이 적게 소모되는 장점을 갖게 되어 텔레비전, 컴퓨터, 비디오 카메라 등의 출력장치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엘씨디 모니터 및 이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결합시킨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종기능버튼이 장착되는 프론트케이스(12)와, 프론트케이스(12)에 내설되는 디스플레이용 액정평판(14)과, 프론트케이스(12)에 결합되는 리어케이스(16)에 내설되어 액정평판(14)에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인쇄회로기판(PCB)을 포함하는 액정화상표시장치(10)와, 인쇄회로기판에 전기적인 신호를 인가하는 전원케이블 및 시그널케이블의 단자(18)가 접속되는스탠드본체(20)와, 스탠드본체(20) 상에 장착되어 내설되는 스위블(Swivel) 및 힌지 어셈블리 장착구조에 의해 액정화상표시장치(10)를 좌우방향으로 회전 및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스탠드 탑부재(22)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엘씨디 모니터의 스탠드 장치에서는, 상기 액정 화상표시장치가 스탠드 본체에 대하여 단순하게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 및 제한된 각도 범위내에서 상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엘씨디 모니터를 사용하는 장소의 여건, 사용자의 기호도 및 신체적인 조건에 부응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엘씨디 모니터를 사용장소 또는 사용자의 신체적인 체형에 따라 최적의 조건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엘씨디 모니터의 상,하 높이를 조절하여 사용자의 요구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가 다수 제공되고 있다.
그 일예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씨디 모니터가 자체하중에 의해 선택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한 리프트 장치가 있다.
즉, 상기한 리프트 장치(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52)에 대하여 양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레일(54a)이 형성된 고정프레임(54)과, 상기 고정프레임(54)의 가이드레일(54a)에 대응하는 가이드홈(56a)이 양측에 형성된 가변프레임(56)과, 상기 가변프레임(56)의 상부에 대하여 고정설치되고 그 일측의 판 브래킷(62)에 엘씨디 모니터(미도시됨)가 장착되어 상기 엘씨디 모니터가 틸트(Tilt)되도록 하는 힌지어세이(60)와, 상기 가변프레임(56)에 고정된 홀더(72)에 감싸여진 상태로 감겨져 있고, 그 일단은 상기 고정프레임(54)의 내측에 고정된 고정부(미도시됨)에 대하여 고정설치되는 스파이럴 스프링(70)을 포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상기 힌지어세이(60)의 판 브래킷(62)에 엘씨디 모니터를 장착한 상태에서 상기 엘씨디 모니터를 아래로 누르게 되면, 엘씨디 모니터, 이 엘씨디 모니터가 장착된 힌지어세이(60), 이 힌지어세이(60)가 고정설치된 가변프레임(56)이 동시에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가변프레임(56)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56a)이 고정프레임(54)의 가이드레일(54a)을 따라 슬라이드 되어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70)은 그 일단이 고정프레임(54)의 고정부에 고정되어 있는 바, 상기 가변프레임(56)의 하방 이동에 따라 상기 가변프레임(56)에 고정된 홀더(72)의 미는 작용에 의해 풀려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70)의 탄력 즉,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70)이 다시 감기고자 하는 탄력이 작용하게 되는데, 이때 작용되는 탄력은 엘씨디 모니터와, 힌지어세이(60) 및 가변프레임(56)의 총 자중에 대응하는 탄력이 작용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70)의 탄력은 상기 엘씨디 모니터와, 힌지어세이(60) 및 가변프레임(56)의 총 자중보다 크지도 작지도 않은 힘이 작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엘씨디 모니터를 설정 높이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더 이상 풀려지거나 감기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예컨대, 상기 엘씨디 모니터와 힌지어세이(60) 및 가변프레임(56)의 총 자중이 3kg이라 가정할 때,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70)은 3kg의 힘이 가해지면 더 이상늘어나거나 감기지 않는 중립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엘씨디 모니터를 아래로 내리고자 할 경우에는 엘씨디 모니터를 아래로 누르게 됨으로써, 이때 작용되는 힘이 엘씨디 모니터와 힌지어세이(60) 및 가변프레임(56)의 총 자중에 더해지게 되는 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70)이 풀려지게 되면서, 상기 가변프레임(56)이 고정프레임(54)에 대하여 슬라이드 되어 아래로 이동된다.
반대로, 상기 엘씨디 모니터를 위로 올리고자 할 경우에는 엘씨디 모니터를 위로 당기게 됨으로써, 이때 작용되는 힘이 엘씨디 모니터와 힌지어세이(60) 및 가변프레임(56)의 총 자중을 줄여주게 되는 바,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70)이 감겨지게 되면서, 상기 가변프레임(56)이 고정프레임(54)에 대하여 슬라이드 되어 위로 이동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는, 지지대에 고정되는 고정프레임과, 이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가변프레임이 서로 중첩되게 설치되어서 그 두께가 두꺼울 수밖에 없었으며, 또한 상기 가변프레임에는 양측으로 스파이럴 스프링 및 이를 지지하기 위한 홀더가 설치되어 더욱 두께가 두꺼울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상기 리프트 장치를 감싸는 스텐드의 커버 전체가 두껍게 형성될 수밖에 없어 다소 투박한 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최근에 모든 가전제품을 비롯한 전자제품이 소형화,슬림화 되는 추세에 어긋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스파이럴 스프링은 그 자체가 매우 고가여서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전체적인 제작단가가 높아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가변프레임이 상하로 슬라이드 되는 것이, 상기 가변프레임의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이 고정프레임의 가이드레일 상을 슬라이드 함에 따라 이루어짐으로써, 상호 마찰력에 의해 상하 이동이 부드럽지 않고 다소 빡빡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플랫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엘씨디 모니터의 상,하 높이를 설정높이로서 자유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그 구성의 간소화로 컴팩트하고 슬림화된 제품을 제공함은 물론 그 제작단가가 저렴한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가변프레임이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롤러의 구동에 의해 상하로 슬라이드 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하 리프트 작용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다 향상된 품질성능을 제공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엘씨디 모니터 및 이를 지지하는 스탠드를 결합시킨 상태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엘씨디 모니터 및 이를 지지하는 스탠드의 리프트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내부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씨디 모니터 및 이를 지지하는 스탠드의 리프트 구조를 나태내기 위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102 : 지지대
104 : 고정프레임 106 : 가이드홈
110 : 가변프레임 112 : 롤러
114 : 리프트 가이드 118 : 힌지어세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정한 자중을 갖는 엘씨디 모니터를 상하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씨디 모니터가 틸트(Tilt) 가능하게 장착되는힌지어세이와; 상기 힌지어세이가 고정설치되는 가변프레임과; 상기 가변프레임의 양 측단부에 대응하는 가이드홈이 그 양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가변프레임이 상하 이동이 가능하되, 상기 가변프레임이 상하 이동되는 범위만큼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지지대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가이드홈 상에 설치되며, 상기 엘씨디 모니터와 힌지어세이 및 가변프레임의 총 자중에 대응하는 탄력을 갖는 플랫스프링;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플랫스프링은 그 일단으로부터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 지그재그로 교차, 반복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변프레임의 상하 양측에는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롤러가 고정프레임의 가이드홈 상을 상하로 구동함에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변프레임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가이드홈 상에 슬라이드 됨을 보조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리프트 가이드가 더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결합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100)는, 지지대(102)의 일측에서 상부로 연장형성되며 그 양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06)이 형성된 고정프레임(104)과, 이 고정프레임(104)에 대하여 승강되는 가변프레임(110)과, 상기 가변프레임(110에 대하여 고정설치되며, 엘씨디 모니터(미도시됨)가 틸트(tilt)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어세이(118)와, 상기 고정프레임(104)의 가이드홈(106)에 삽설되고, 그 상단이 상기 가변프레임(110)과 밀착되어서 상기 가변프레임(11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플랫스프링(Flat spring)(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위의 구성을 보다 세분화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프레임(104)의 양 내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106)이 형성되고, 상기 가변프레임(110)이 승강되는 범위의 일정길이만큼 전면에 개구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변프레임(110)의 상하 양측에는 각각 롤러(1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롤러(112)들은 고정프레임(104)의 가이드홈(106) 상을 구동하게 된다.
이때, 가변프레임(110)의 양측에는 이 가변프레임(110)이 고정프레임(104)의 가이드홈(106) 상을 슬라이드 할 때 보조적으로 안내 역할을 하도록 하는 리프트 가이드(114)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가변프레임(110)은 엘씨디 모니터가 장착되는 힌지어세이(118)와 브래킷(116)에 의해 고정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프레임(104)의 가이드홈(106) 상에 삽설되고, 그 일단이 상기 가변프레임(110)의 하단부와 밀착지지되는 플랫스프링(120)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플랫스프링(1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으로부터 지그재그로 연장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때 그 형상은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 교차,반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물론, 본 고안에 적용되는 플랫스프링(120) 또한 종래의 스파이럴 스프링과 마찬가지로 엘씨디 모니터와, 힌지어세이(118) 및 가변프레임(110)의 총 자중에 대응하는 탄력을 갖도록 설계된 것이 적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100)에 엘씨디 모니터가 장착되어 상하로 승강되는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씨디 모니터가 장착된 힌지어세이(118)는 브래킷(116)에 의해 가변프레임(110)에 대하여 고정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엘씨디 모니터를 상하로 이동시킴에 따라 가변프레임(110)도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가변프레임(110)의 상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롤러(112)들이 고정프레임(104)의 가이드홈(106) 상을 슬라이드 하면서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가변프레임(110)의 양 측단부에 설치된 리프트 가이드(114)에 의해 안내되어 상기 롤러(112)들의 유동이 없이 보다 확실한 승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가변프레임(110)의 하단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4)의 가이드홈(106) 상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플랫스프링(120)의 단부와 밀착되어 있는 바, 상기 엘씨디 모니터의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플랫스프링(120)이 압축,복원된다.
상기 플랫스프링(120)은 상기한 바와 같이, 엘씨디 모니터와, 힌지어세이(118) 및 가변프레임(110)들의 자중에 대응하는 탄력을 가지도록 설계된 것이 적용됨으로써, 엘씨디 모니터를 설정 높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더 이상 압축되지도 복원되지도 않는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종래의 스파이럴 스프링의 고정원리와 동일하다.
즉, 사용자가 상기 엘씨디 모니터를 아래로 내리고자 할 경우에는 엘씨디 모니터를 아래로 누르게 됨으로써, 이때 작용되는 힘이 엘씨디 모니터와 힌지어세이(118) 및 가변프레임(110)의 총 자중에 더해지게 되는 바, 상기 플랫스프링(120)이 압축되면서, 상기 가변프레임(110)이 고정프레임(104)에 대하여 슬라이드 되어 아래로 이동된다.
반대로, 상기 엘씨디 모니터를 위로 올리고자 할 경우에는 엘씨디 모니터를 위로 당기게 됨으로써, 이때 작용되는 힘이 엘씨디 모니터와 힌지어세이(118) 및 가변프레임(110)의 총 자중을 줄여주게 되는 바, 상기 플랫스프링(120)이 복원되면서, 상기 가변프레임(110)이 고정프레임(104)에 대하여 슬라이드 되어 위로 이동된다.
물론, 이 경우 상기 가변프레임(110)은 고정프레임(104)에 형성된 개구부(108)의 범위내에서만 상하로 승강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상기 가변프레임(110)의 상하 양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롤러(112)들이 상기 고정프레임(104)의 가이드홈(106) 상을 타고 상하로 구동됨으로써, 상기 가변프레임(110)과, 힌지어세이(118) 및 엘씨디 모니터가 승강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에 의하면, 양측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얇은 고정프레임이 제공되고, 이 고정프레임의 가이드홈에 가변프레임 및 플랫스프링이 삽설되는 간단한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종래에 비하여 스탠드 장치 전체가 매우 컴팩트 하면서도 슬림화되어 상품가치가 향상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엘씨디 모니터와 연동하여 승강되는 가변프레임이 고정프레임에 대하여 롤러에 의해 상하로 승강됨으로써, 그 승강에 따른 마찰이 줄어들어 보다 소프트한 리프팅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플랫스프링에 의하여 엘씨디 모니터를 승강시키도록 구성되는 바, 종래에서와 같이 고가의 스파이럴 스프링의 배제와 아울러 그 구성품이 매우 간소화됨으로써, 전체적인 제작단가가 절감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일정한 자중을 갖는 엘씨디 모니터를 상하 높이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엘씨디 모니터가 틸트(Tilt) 가능하게 장착되는 힌지어세이(118)와;
    상기 힌지어세이(118)가 고정설치되는 가변프레임(110)과;
    상기 가변프레임(110)의 양 측단부에 대응하는 가이드홈(106)이 그 양측에 형성되어서 상기 가변프레임(110)이 상하 이동이 가능하되, 상기 가변프레임(110)이 상하 이동되는 범위만큼 전면에 개구부(108)가 형성되며, 지지대(10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04)과;
    상기 고정프레임(104)의 가이드홈(106) 상에 설치되며, 상기 엘씨디 모니터와 힌지어세이(118) 및 가변프레임(110)의 총 자중에 대응하는 탄력을 갖는 플랫스프링(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랫스프링(120)은 그 일단으로부터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 지그재그로 교차, 반복되게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프레임(110)의 상하 양측에는 롤러(112)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서, 상기 롤러(112)가 고정프레임(104)의 가이드홈(106) 상을 상하로 구동함에 따라 승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프레임(110)의 양측 단부에는 상기 고정프레임(104)의 가이드홈(106) 상에 슬라이드 됨을 보조적으로 안내하기 위한 리프트 가이드(114)가 더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KR20-2004-0026474U 2004-09-15 2004-09-15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KR2003712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474U KR200371224Y1 (ko) 2004-09-15 2004-09-15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6474U KR200371224Y1 (ko) 2004-09-15 2004-09-15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696A Division KR100667970B1 (ko) 2004-09-15 2004-09-15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1224Y1 true KR200371224Y1 (ko) 2005-01-05

Family

ID=4935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6474U KR200371224Y1 (ko) 2004-09-15 2004-09-15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122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099U (ko) 2014-12-09 2016-06-20 조윤휘 높이 조절 가능한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2099U (ko) 2014-12-09 2016-06-20 조윤휘 높이 조절 가능한 다용도 모니터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6244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월 마운트
KR100710313B1 (ko) 영상표시장치
EP1832801A2 (en) Supporting device for display units
KR20070115254A (ko) 모니터 스탠드
KR100793754B1 (ko) 영상표시장치
KR20070033211A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1217123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US20100157564A1 (en) Adjustment module
AU2013204014B2 (en) Support fram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0765242B1 (ko) 평판형 tv용 벽걸이식 거치대
KR100667970B1 (ko)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KR200371224Y1 (ko) 엘씨디 모니터용 스탠드의 리프트 장치
TW201303194A (zh) 支撐架
KR200386693Y1 (ko) 대형 디스플레이의 승하강 기구
KR101667758B1 (ko) 교육용 책상 모니터 각도 조절장치
KR20000074849A (ko) 엘씨디 모니터의 스탠드 장치
KR102628095B1 (ko) 스탠드 및 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장치
KR100459205B1 (ko) 평판형 영상표시장치의 받침대 어셈블리
KR100251127B1 (ko) 평판 디스플레이장치
TWI731661B (zh) 電子裝置的固定座
JP3084346U (ja) 液晶モニターの上下調整装置
KR20010053932A (ko) 거리 조정이 가능한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CN214663173U (zh) 一种显示器支架
KR20140111196A (ko) 다수 개의 배치모드 제어가 가능한 모니터 승하강장치
KR200240968Y1 (ko) 액정모니터의 스탠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13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