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362Y1 -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362Y1
KR200370362Y1 KR20-2004-0025876U KR20040025876U KR200370362Y1 KR 200370362 Y1 KR200370362 Y1 KR 200370362Y1 KR 20040025876 U KR20040025876 U KR 20040025876U KR 200370362 Y1 KR200370362 Y1 KR 2003703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toilet
seat
hole
sanitary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우
Original Assignee
장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용우 filed Critical 장용우
Priority to KR20-2004-0025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3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3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362Y1/ko
Priority to JP2005006625U priority patent/JP3115806U/ja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A47K13/16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of single sheets of paper or plastic foil or film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위생 시트에 비하여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고 안전한 특징이 있다.
[구성]
몸체(10)의 가로와 세로가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하여 좌대(5) 위에 올려놓았을 때 좌대(5)의 좌우 방향으로 손잡이(11)가 돌출 되도록 하고, 중앙의 구멍(12)에는 최소 1개 이상의 지탱부(13)가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11)와 구멍(12) 사이의 면적 일부에는 점착제 코팅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Sanitary sheet for Toilet}
본 고안은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위생 시트에 비하여 사용하기가 매우 편리하고 안전한 특징이 있다.
개인 전용 변기를 마련하여 혼자만 사용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하나의 변기를 여러 사람이 사용할 수밖에 없는데, 이 경우 위생적인 문제가 가장 크게 대두된다. 즉, 앞에 사용한 사람이 좌대(5)에 오물이나 기타 이물질을 묻혀 놓는 경우가많기 때문에 다음 사람이 변기를 사용할 때 매우 비위생적이고 불쾌한 기분을 가지도록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화장지를 사용하여 좌대(5)에 묻은 이물질이나 오물을 닦은 후 사용하거나 아예 좌대(5)에 묻은 이물질이나 오물을 닦아 낸 후 좌대 위에 화장지나 신문지 등을 얹고 사용을 하는 예가 많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매우 불편하고 불쾌할 뿐만 아니라 비위생적이라 할 수 있을 것이며 화장지의 소모가 지나치게 많아져서 비경제적인 문제도 대두되는 것이다.
이에 여러 겹의 일회용 시트를 좌대 위에 부착시켜두고 사용 시 한 장씩 분리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위생 시트가 안출 된 바 있는데, 이는 제작 단가가 다소 비싸고 제작 기술이 어려워서 현재까지는 보편화가 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이외에 좌대 전체를 비닐 봉지가 감싸도록 하고 1회 사용 후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사용한 비닐 봉지는 장치 안으로 들어가고 동시에 사용하지 않은 새 비닐 봉지가 다시 좌대를 감싸도록 하는 고가의 위생 시트도 있으나 이는 가격적인 면과 잦은 고장의 발생 및 비싼 유지보수비용 등의 문제로 인하여 역시 극히 제한된 일부에서만 사용이 되고 있다.
이에 가격이 매우 저렴하고 제작하기에 간단하며 휴대하기에 편리하도록 한 1회용 위생 시트가 안출된 바 있으나 이 역시 사용하기에 불편하고 사용 시 비위생적인 문제가 수반될 수 있으며 좌대 위에 펼쳐서 사용코자 할 때 많은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1회용 위생 시트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어 오고 있다.
먼저, 종래 1회용 위생 시트에 있어서 도4, 4a와 같이 가로의 길이보다 세로의 길이가 더 길도록 물에 녹을 수 있는 얇은 종이로 몸체(30)를 만들어서 도4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좌대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는 제품을 살핀다. 먼저 도4의 경우, 후방의 일부분만을 제외하고 중앙에는 타원형을 가지는 구멍의 형태가 되도록 절취선(31)을 형성시켜 중앙부의 종이(32)가 매달린 것처럼 만든 것으로 몸체(10)를 펼친 후 손을 사용하여 절취선(31)을 찢고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좌대 위에 얹으면 찢어진 중앙부의 종이(32)가 아래로 쳐지면서 변기 안의 물에 잠기게 된다. 그리고 도4a의 경우도 도4와 같은 형태를 띠는 몸체(40)의 중앙에서 후방의 일부분을 제외하고 그 나머지 부분은 아예 절단을 하여서 중앙의 종이(42)가 매달려 있도록 한 곳인 바, 한 장을 펼치면 도4의 예와 같이 자연스럽게 중앙의 종이(42) 끝 부분이 아래로 쳐지면서 변기 안의 물에 잠기게 된다. 그 상태에서 좌대 위에 얹어서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들은 모두 중앙 부분의 종이(32, 42)가 변기 안의 물에 접촉이 되는 긴 길이를 가지고 있다. 즉, 타원형의 구멍이 중앙에 형성되도록 하였다가 타원형 구멍의 긴 지름 쪽의 일부만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취시키거나 또는 미리 절단을 하여 둔 것이기 때문에 중앙 부분의 종이는 아래로 젖혀지면시 변기 안의 물에 적셔진다. 그러므로 변기 안의 물이 상술한 중앙 부분의 종이를 점점 적시면서 상승하게 되고 좀 더 시간이 경과하면 몸체에까지 변기의 물이 적셔져서 매우 불쾌하고 비위생적인 결과가 초래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중앙 부분의 종이를 아예 절단하여 버리고 몸체만을 사용하고 있는 것이 현실인데, 이렇게 하는 것 자체가 매우 불편하고 불쾌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고 손으로 절취선을 찢어야 하는경우(도4)는 한번 사용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되는 단점도 크게 부각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중앙의 절취선을 찢어서 사용하는 것이거나(도4) 또는 도4a와 같이 이미 중앙 부분이 절단이 되어 있는 것 모두 좌우측 부분을 손으로 잡고 좌대(5) 위에 도면과 같이 놓아야 하기 때문에 손가락이나 손바닥이 좌대 표면에 접촉되는 예가 많아서 비위생적이다. 그리고 이때 천천히 여유를 가지고 하지 않으면 몸체(30, 40)의 좌우측을 좌대(5)의 좌우측과 정확하게 맞추기가 힘들어서 좌대(5) 위에 비뚤어진 상태로 놓은 경우도 많아서 비위생적이고 불편하다. 만일 이동수단에 설치된 화장실을 사용하여야 할 경우에는 더욱 사용하기가 불편하고 비위생적이며 안전하지 못한 문제가 수반되는 것이다.
또한, 도4의 경우 일단 절취선(31)을 찢고 좌우측 부분을 손으로 잡은 후 좌대(5) 위에 몸체(30)를 정확하게 놓아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당연히 양쪽 손에는 힘이 들어가게 되어서 몸체(30)는 좌우측으로 늘어지고 중앙의 구멍도 찌그러져서 좌대(5) 위에 정확하게 맞추어서 놓기가 어려운 단점과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는 도4a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도4, 4a의 예를 제외하고서도 현재까지 제품화가 된 적은 없지만 좌대(5)의 형태와 동일한 형태가 되도록 몸체를 만들고 중앙에 큰 구멍을 형성시킨 고안이 있다. 이는 몸체를 좌대와 동일한 형태로 만들기 때문에 몸체 자체에 너무 힘이 없고 사용 시 펄럭거리기 때문에 도4, 4a의 예에 비하여 더욱 불편하고 안전하지 못하다. 그리고 좌대(5)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하나씩의 시트를 따로 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고안이 있다. 이는 말 그대로 좌대(5)의 좌측과 우측의 위에 각각하나씩의 위생 시트를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인데, 이 역시 사용하기가 불편함은 물론 시간이 많이 소요되어 좋지 못하고 좌대 위에 정확하게 놓기가 힘들어서 안전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좌대 후방의 변기 뚜껑이 몸체의 후방에 형성된 긴 길이의 구멍 안으로 삽입되도록 하고 나머지 부분은 좌대에 얹히도록 한 고안도 안출된 바 있다. 이는 변기의 뚜껑에 일일이 몸체를 끼우고 빼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이때 잘 찢어지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변기 뚜껑을 한 손으로 잡거나 두 손으로 잡으면서 몸체를 변기 뚜껑에 끼워야 하기 때문에 비위생적이고 불편한 문제를 해결할 수 없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종래의 제품이나 종래의 고안은 노약자나 병약자가 사용하기에 더욱 불편한 문제를 안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에 있어서, 무엇보다도 손으로 잡고 펼쳐서 사용할 때 그 과정이 불편하고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반면 정확하고 위생적으로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점과, 위생 시트가 변기 안의 물과 접촉된다는 비위생적이고 불쾌한 점과, 중앙 부분을 손으로 찢어서 구멍을 형성시켜야 하는 불편한 점 등을 해결하고자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펼친 상태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몸체가 1/2로 접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도4, 4a는 종래 일회용 위생 시트 중 가장 보편적인 것을 나타낸 참고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몸체 11, 11a: 손잡이
12: 구멍 13: 지탱부
14: 점착제 코팅부
먼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살핀다.
몸체(10)의 가로(a)와 세로(b)가 도2와 같이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하여 좌대(5) 위에 올려놓았을 때 좌대(5)의 좌우 방향으로 손잡이(11)가 돌출 되도록하고, 중앙의 구멍(12)에는 최소 1개 이상의 지탱부(13)가 구멍(12)의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11)와 구멍(12) 사이의 면적 일부에는 점착제 코팅부(14)가 형성되도록 하여 완성한다. 이는 점착제 코팅부(14)가 좌대(5)의 표면에 점착되도록 하여서 사용하는 제품으로서, 점착제 코팅부(14)의 점착성의 세기는 통상의 3M사(社의) 메모지인 "POST-IT"에 형성되어 있는 점착제의 세기 정도 또는 그것보다 약간 약한 세기로 하는 것이 좋았다. 그 이유는, 점착제 코팅부(14)의 점착성이 너무 강하면 용변을 본 후 손잡이(11)를 잡고 위로 당겨서 몸체(10) 전체를 좌대(5)로부터 분리시킬 때 잘 분리가 되지 않고 몸체(10)가 찢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점착제 코팅부(14)는 몸체(10)가 좌대(5)의 표면에서 움직이지 않고 제위치를 유지할 수 있을 정도의 점착성만 가지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점착제 코팅부(14)는 색상을 가지도록 하고 몸체(10)의 적당한 부분에는 "점착제 코팅부가 좌대에 접촉되도록 하세요" 라는 안내 문구를 인쇄해 놓으면 더욱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안전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손잡이(11)의 가로 방향 폭(1)은 도2를 기준하여 볼 때 일반적인 좌대(5)의 좌우측 정점(가장 볼록한 부분)을 기준하여 최소 20mm 이상이고 최대 300mm 이내로 정하는 것이 좋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1 = 150mm 가 적당함을 알 수 있었다. 이 손잡이(11) 부분은 본 고안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데, 종래의 위생 시트에는 적용되어 있지 않은 기술이다. 본 고안의 손잡이(11)가 가로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손으로 펼쳐서 좌대(5) 위에 안착시키기가 매우 편리함은 물론 흔들리는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을 사용할 경우더욱 편리하게 된다. 즉, 손잡이(11)를 잡고 몸체(10)를 좌우로 펼친 다음 좌대(5) 중앙의 구멍과 본 고안의 구멍(12)이 대충 일치하도록 하면서 손잡이(11)를 손으로 잡고 도2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약간 힘을 가하면서 몸체(10)가 좌대(5)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하면 점착제 코팅부(14)가 좌대(5) 표면에 점착되면서 그 상태로 안정적인 안착이 되기 때문이다. 이때 손이나 손가락은 좌대(5)에 전혀 접촉이 되지 않아 위생적이고, 용변을 본 다음 좌대(5)의 좌우측으로 늘어져 있는 본 고안의 손잡이(11)를 잡고 몸체(10) 전체를 좌대(5)로부터 분리시킬 경우에도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손잡이(11)는, 용변을 보기 위하여 본 고안을 사용하고자 할 때와 용변을 본 후 본 고안을 좌대(5)로부터 제거시킬 때 모두 위생적이고 편리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노약자나 병약자 및 어린이들도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손잡이(11)를 잡고 몸체(10)를 좌대(5) 위에 안착시킬 때 도2와 같이 손잡이(11)에 약간 힘을 가하여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줄 때 구멍(12)의 지탱부(13)가 없으면 구멍(12)의 형태가 가로 방향으로 찌그러지면서 손잡이(11) 부분은 화살표 방향을 향하여 필요 이상으로 길게 연장이 되어 버린다. 다시 말해서, 구멍(12)에 지탱부(13)가 없으면 몸체(10)를 펼쳐서 사용하고자 할 때 손잡이(11)를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살짝만 당겨도 몸체(10) 전체가 세로 방향으로 찌그러지고 비틀어짐과 아울러 구멍(12)의 형태도 가로 방향으로 늘어지고 변화되어서 그 상태로는 좌대(5) 위에 몸체(10)를 정확하게 안착시키기가 힘들고 이때 손가락이 좌대(5)에 접촉될 우려가 크며 특히 이동수단에 설치되어 있는 화장실을 사용할 경우에는 더욱 사용하기가 불편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과 같이 구멍(12)의 가로 방향으로 지탱부(13)가 최소 1개 이상 형성이 되어 있으면, 손잡이(11)를 잡고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도 몸체(10) 전체가 원형을 유지하면서 구멍(12)도 찌그러지지 않게 되는 것이어서 본 고안을 정확하고 편리하며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지탱부(13)는 폭이 10mm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좋고 폭을 5mm 이하로 하여 2줄을 형성시킬 수도 있는데, 이는 자유롭게 변화가 될 수 있다.
이어서 본 고안을 도2와 같이 안착시킨 후 사용자가 본 고안의 몸체(10) 위에 앉으면 손으로 절단할 필요가 없이 사용자의 체중에 의하여 상기 지탱부(13)는 중앙부 또는 좌측이나 우측 연결 부분이 자연스럽게 절단이 된다. 따라서 사용하는데 아무런 지장과 불편이 없고 사용자의 체중에 의해 거의 중앙 부분이 절단되는 지탱부(13)는 종래와 달리 절단된 길이가 짧기 때문에 변기 안의 물에 접촉이 되지 않아 불안하지도 않게 된다. 여기서 지탱부(13)에는 절취선을 그 중앙부 또는 중앙부와 가까운 곳에 최소 1개 이상 형성을 시켜서 사용자가 좌대에 앉았을 때 더욱 쉽게 절단이 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도3과 같이 몸체(10)를 1/2로 접고 이것을 다시 반으로 접는 방식으로 손바닥의 크기 정도 또는 손바닥의 반 크기 정도로 접어서 휴대용 팩(package)안에 보관하면서 휴대하거나 벽에 부착된 보관 통 안에 보관을 하다가 필요 시 하나를 빼낸 후 도3과 같은 상태까지 펼쳤을 때 손잡이끼리 잘 분리가 되도록 하기 위하여 어느 한쪽의 손잡이(11a)의 길이를 다른 쪽의 손잡이(11) 보다좀 더 길게 형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손잡이끼리 쉽게 분리가 되고 그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고 좌우로 펼치면 서로 접촉되어 있던 점착제 코팅부(14)가 분리되면서 도1과 같은 상태에서 뒤집어진 상태가 된다. 물론 이 경우 점착제 코팅부(14)는 사용자의 눈에 직접 노출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안내 문구대로 점착제 코팅부(14)가 좌대에 접촉되도록 몸체(10)를 뒤집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점착제 코팅부(14)가 생략된 것인데, 제1실시예와 같이 점착제 코팅부(14)를 의무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사용하는데 큰 지장이 없는 제품이다. 이 역시 도2와 같이 좌대(5) 위에 펼쳐서 사용을 할 때 손잡이(11) 부분은 좌대(5)의 좌우측 하방으로 쳐져서 몸체(10)의 무게 중심이 좌대(5) 위에서 잘 잡히기 때문에 사용하는데 큰 어려움이 없었으며 제1실시예의 제품에 비하여 싼 가격으로 구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재질은 물에 잘 녹는 아주 얇은 종이나 수용성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데, 물에 녹지 않는 다양한 재질을 사용하여 시트 형태로 만들어진 것도 사용 후 쓰레기통에 담아서 수거 후 재활용을 하면 되므로 재질을 선택하는데에 어려움은 없다. 그리고 몸체(10) 전체에는 항균처리 및 향수처리, 색상처리등을 자유롭게 구사할 수 있음도 당연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좌대의 정면을 향하여 선 상태에서 좌대에 놓았을 때 가로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의 몸체를 형성시키고 몸체의 좌우에는 더 연장된 손잡이를 형성시키며, 좌대에 사용자가 앉을 때까지 구멍의 형태가 잘 보존될 수 있도록 하는 1회용 위생 시트를 제공함으로서, 종래의 제품에 비하여 사용하기에 편리하고 안전함은 물론 위생적이고 남녀노소 및 병약자를 포함하여 누구라도 신속하고도 정확하며 편리하게 사용을 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몸체(10)의 가로와 세로가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하여 좌대(5) 위에 올려놓았을 때 좌대(5)의 좌우 방향으로 손잡이(11)가 돌출 되도록 하고, 중앙의 구멍(12)에는 최소 1개 이상의 지탱부(13)가 가로 방향으로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11)와 구멍(12) 사이의 면적 일부에는 점착제 코팅부(1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
  2. 몸체(10)의 가로와 세로가 직사각형을 이루도록 하여 좌대(5) 위에 올려놓았을 때 좌대(5)의 좌우 방향으로 손잡이(11)가 돌출 되도록 하고, 중앙의 구멍(12)에는 최소 1개 이상의 지탱부(13)가 가로 방향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지탱부(13)의 세로 방향에는 1개소 이상의 절취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손잡이(11)의 가로 방향 폭은 일반적인 좌대(5) 위에 놓았을 때를 기준하여 20mm 이상 300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몸체(10)가 1/2로 접혔을 때 어느 한쪽의 손잡이의 끝이 다른 한쪽의 손잡이의 끝보다 더 길게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
  6. 제1항에 있어서, 점착제 코팅부(14)는 색상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
KR20-2004-0025876U 2004-09-06 2004-09-06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 KR2003703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76U KR200370362Y1 (ko) 2004-09-06 2004-09-06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
JP2005006625U JP3115806U (ja) 2004-09-06 2005-08-12 携帯用使い捨て便座シー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76U KR200370362Y1 (ko) 2004-09-06 2004-09-06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362Y1 true KR200370362Y1 (ko) 2004-12-20

Family

ID=43278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876U KR200370362Y1 (ko) 2004-09-06 2004-09-06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115806U (ko)
KR (1) KR20037036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15806U (ja) 200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74869B2 (en) Portable toilet seat cover
EP1993423A2 (en) Tissue and toilet seat-cover sanitary paper
US20080256694A1 (en) Toilet seat cover system
JP3206228U (ja) ステッカーブランク製の衛生用つまみ
US20120216329A1 (en) Disposable hand cover
US20060288470A1 (en) Disposable protective toilet seat cover
US7328465B1 (en) Toilet seat cover made of a disposable paper sheet containing finger holes to facilitate easy tearing off a center portion of the sheet
KR200370362Y1 (ko) 좌변기용 일회용 위생 시트
US7356855B1 (en) Smiley face toilet seat cover for easily tearing off a center portion of the cover and rapidly flushing the cover down the toilet
US10292547B2 (en) Toilet seat cover
KR100958074B1 (ko) 남성 소변용 휴지를 제조하는 방법
US20080190954A1 (en) Personal hygienic wipe
JPH087U (ja) 携帯用使い捨て便座シート
WO2011116734A1 (en) Disposable sanitary sheet, especially for use in wc
US1490488A (en) Sanitary toilet-seat protector
US20060277672A1 (en) Portable sanitary sheet for seated toilet bowl
JP2001078919A (ja) ホルダー用ペーパー容器。
JP3227971U (ja) マスク収納紙袋
JP3134411U (ja) 付箋
US10660489B2 (en) Biodegradable magnetic toilet seat cover
KR20090033574A (ko) 어린이용 좌변기 안전커버
KR0129238Y1 (ko) 사용한 패드를 은폐시켜 깨끗이 폐기처분할 수 있는 생리대
JP2001169964A (ja) 携帯用便座カバー
JPH0571Y2 (ko)
JP2022140187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の先端つまみ部自動出し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