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0040Y1 - 차광막을 갖는 유모차 보호덮개 - Google Patents

차광막을 갖는 유모차 보호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0040Y1
KR200370040Y1 KR20-2004-0027444U KR20040027444U KR200370040Y1 KR 200370040 Y1 KR200370040 Y1 KR 200370040Y1 KR 20040027444 U KR20040027444 U KR 20040027444U KR 200370040 Y1 KR200370040 Y1 KR 2003700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hielding
shielding film
protective cover
stroller
baby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4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성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탈키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탈키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탈키즈
Priority to KR20-2004-00274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00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00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00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B62B9/142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by flexible canopies, covers or 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유아를 유모차에 태우고 외출할 때 외부의 기후환경에 대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유모차 보호덮개로서, 불투명 또는 반투명의 차광막을 구비한 유모차 보호 덮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투명한 전면부(101), 투명 또는 불투명한 후면부(102), 및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를 연결하는 바이어스부(104)를 포함하는 유모차 보호 덮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의 바이어스부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몸체부와 차광막을 결합시키는 차광막 연결부(105), 및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몸체부에 결합되는 차광막(103)을 포함하며, 유모차에 적용시, 상기 차광막(103)이, 몸체부(100)의 투명한 전면부(101)를 투과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면에 조사되는 태양광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이 설치된 유모차 보호덮개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별도의 차광막(103)을 유모차 보호덮개의 상단부에 설치하여, 필요한 경우 차광막을 자유로이 내리거나 올릴 수 있도록 하여, 태양의 고도가 낮은 아침이나 초저녁에 유아의 안면에 쏟아지는 빛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수면 중인 아이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빛의 양을 조절해 줄 수 있는 차광막이 부착된 유모차 보호덮개를 제공한다. 특히 본 차광막을 사용치 않을 경우는 보호덮개의 상단부에 수납하여 평상시의 유모차 보호덮개의 이용이나 보관 등에 전혀 불편치 않은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차광막을 갖는 유모차 보호덮개 {STROLLER WEATHER SHIELD HAVING SUN SHIELD}
본 고안은 유아를 유모차에 태우고 외출할 때 기후나 방충 등의 외부 환경에 대처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유모차 보호덮개에 관한 것이다.
유모차 보호덮개는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로부터 황사나 자동차의 매연 또는각종 공기 중의 오염물질의 직접 흡입을 방지하고, 특히 차가운 외부의 기온이나 눈 비 등의 급작스런 기후로부터 유아를 보호하거나 방충 등을 위하여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통상적으로 유아와 보호자가 안팎을 볼 수 있도록, 전면부가 투명한 비닐이나 망사 등의 소재로 제작된다. 그러나 이러한 투명한 소재의 재질은 빛이 자유롭게 투과하여 아침이나 초저녁의 태양고도가 낮은 빛이 유아의 안면을 자극하는 경우를 종종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모차에는 태양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양(301)이 설치되어 있으나, 차가운 외부 기후에 대처하기 위해 유모차 보호덮개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경우는 유모차의 차양을 유아의 머리 상단부에 반만 펼치고 이 차양을 지지대로 이용하여 유모차 보호덮개를 설치하게 되어, 고도가 낮은 태양 빛이 유모차 보호덮개의 투명한 재질을 투과하여 유아의 안면부에 비치는 현상을 막을 수 없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 유모차 보호덮개를 해체한 후 유모차의 차양을 유아의 전면부 까지 내리고 다시 유모차 보호 덮개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보호자는 이 과정을 번거롭게 여겨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많은 유모차의 차양이 반만 펼쳐지는 간이형 유모차가 점점 늘어가는 실정이어서 상기의 조작조차 가능치 않아서, 추운 외부공기를 차단하거나 방충 등을 위해서 유모차에 보호덮개를 설치하고 사용하는 경우 간단한 조작으로 낮은 고도의 태양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유모차 보호덮개의 출현이 간절히 요구되고 있다.
하절기의 태양광선으로부터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를 보호하기 위해 고안된 종래의 기술들로는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159420호, 제20-210353호, 제20-263363호, 제20-265944호, 제20-299056호, 제20-322465호 등이 있으나, 이러한 고안들은 한결같이 유모차에 직접 설치되어 사용되는 차양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모차 보호 덮개와 같이 사용하기에는 오히려 불편을 초래하거나 추가의 비용부담이 있는 것으로서, 사실상 보호덮개와 병용이 어렵거나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추운 외부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유모차 보호덮개를 사용하게 되는 경우, 간단한 조작으로 낮은 고도의 태양 빛을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유모차 보호덮개의 출현이 간절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외선 등의 유해한 태양광선에 대한 인식이 커감에 따라 거의 모든 유모차에는 차양이 설치되어 있다. 유모차 보호 덮개는 유모차의 상단에 펼쳐진 이러한 차양을 지지대로 이용하여 사용되는 물품으로서, 유아의 시야확보와 보호자의 보살핌을 위하여 거의 예외 없이 유모차 보호덮개의 전면부에는 비닐류나 망사 등을 이용한 투명한 소재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투명한 소재의 재질은 빛이 투과할 수 있어서, 태양고도가 낮은 빛이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면에 비스듬히 쏟아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없게 된다. 간혹 유모차 보호덮개의 전면부 일부에 짙은 색의 자외선 차단용 선팅지 등이 붙여진 경우가 있으나 이는 선팅지 주위로 투과되는 빛의 차단에 효과가 없을 뿐더러 채광량이 부족한 어두운 날씨에는 유아 및 보호자의 시야확보에 오히려 방해가 되는 폐단을 줄 수 있다.
본 고안은 유모차 보호덮개의 지지대 역할을 하고 있는 유모차의 차양에 의해 유해한 태양광선이 충분히 차단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치 않다가, 태양고도가 낮은 아침 햇살이나 석양빛이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면에 비추게 되는 경우나, 유아의 수면시 편안한 수면을 돕기 위해 채광량을 줄일 필요가 있는 경우에, 간단한 조작으로 유모차 보호덮개로부터 태양 빛을 차단할 수 있는 차광막이 부착 되어 있는 유모차 보호 덮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차광막이 설치된 유모차 보호덮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차광막을 설치한 유모차 보호덮개가 사용되고 있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차광막이 유모차 보호덮개의 상단부 위로 젖혀 올려 수납되고 있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차광막이 지퍼부 안으로 수납되고 있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투명한 전면부(101), 투명 또는 불투명한 후면부(102), 및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를 연결하는 바이어스부(104)를 포함하는 유모차 보호 덮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의 바이어스부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몸체부와 차광막을 결합시키는 차광막 연결부(105), 및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몸체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차광막(103)을 포함하며, 유모차에 적용시, 상기 차광막(103)이, 몸체부(100)의 투명한 전면부(101)를 투과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면에 조사되는 태양광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이 설치된 유모차 보호덮개를 제공한다. 상기한 유모차 보호 덮개 몸체부(100)는 방충을 위하여 망사 등의 재질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막(103)은 태양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불투명 직물이나 불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103)은 차광막 연결부(105)에 봉제로 접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차광막(103)은 차광막 연결부(105)와 벨크로와 같은 한 쌍의 체결장치로서 연결되어 탈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 연결부(105)는 수납공간이 있는 지퍼부(401)를 포함하여 차광막이 상기 지퍼부 안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유모차 보호덮개는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로부터 외부의 찬 공기를 막아 주기위한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므로 계절적으로 보면 늦은 가을부터 겨울 및 이른 봄에 이르는 시기에 가장 많이 사용된다.
여기서 태양이 관측자의 남쪽 자오선 상에 오는 남중고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관계에 있다.
태양의 남중고도 h=900- ψ+ δ(ψ:관측 지방의 위도, δ:태양의 적위)
여기서 늦은 가을에서 이른 봄에 이르는 태양의 적위(δ)는 하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이 시기의 태양의 남중고도는 하기보다 낮게 된다. 따라서 이 시기의 아침과 초저녁의 태양의 고도는 매우 낮게 되어 유모차 보호 덮개를 설치한 유모차의 차양만으로는 탑승한 유아의 안면에 비스듬히 쏟아지는 태양 빛을 차단 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유모차 보호 덮개를 설치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낮은 고도의 유해한 태양광선을 효율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유모차 보호덮개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르는 유모차 보호덮개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유모차 보호덮개의 평면도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 보호덮개는 투명한 전면부(101), 투명 또는 불투명한 후면부(102), 및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를 연결하는 바이어스부(104)를 포함하는 유모차 보호 덮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의 바이어스부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여 몸체부와 차광막을 결합시키는 차광막 연결부(105), 및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서 상기 연결부에 의해 몸체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차광막(103)을 포함한다.
유모차 보호덮개의 몸체부의 전면부(101)는 탑승한 유아와 보호자의 시야확보를 위하여 투명한 소재의 연질 비닐류나 망사 등으로 구성되며, 후면부(102)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시야확보를 위하여 유모차 보호덮개의 몸체부의 전면부(101)가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태양 빛이 자유롭게 투과할 수 있으며 유모차의 차양에 설치되어 있는 유모차 보호 덮개의 상단부를 통하여 아침, 저녁의 낮은 고도의 태양 빛이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면에 비추게 되어 유아가 눈이 부셔 얼굴을 찡그리게 되고 유해한 자외선의 피해를 막을 수 없게 되는 폐단을 막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유모차 보호 덮개는 유모차 보호 덮개가 설치된 상태에서 간단한 조작으로 유아의 안면에 비추는 유해한 태양 광선을 막아 주는 차광막(103)을 구비한다. 상기 차광막(103)은,유모차 보호덮개를 유모차에 사용하는 경우, 유모차 보호덮개의 몸체부(100)의 투명한 전면부(101)를 투과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면에 조사되는 태양광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차광막의 소재로는, 통상적으로 태양광선을 차단하기 위해유모차의 차양이나 양산 등에 사용되는 면직물, T/C,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의 직물 또는 그물망, 또는 자외선 차단용으로 사용되어지는 선캡의 소재인 불투명이나 반투명의 합성 수지가 사용될 수 있으나 제한적인 것으로 아니며, 차광의 목적에 부합하여 태양광선을 차단하고 유아에게 그늘막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적당히 채택되어 질 수 있다.
차광막(103)은 유모차 보호덮개의 전면부(101)와 후면부(102)가 연결되는 부위인 바이어스부(104)를 경계로 적당한 상단면에 위치한 차광막 연결부(105)에 봉제 접합을 하거나, 차광막(103)의 상단부와 차광막 연결부(105)에 암수로 구성된 벨크로 등의 체결수단을 장착하여 탈 부착 할 수 있도록 차광막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차망막 연결부(105)가 차광막(103)을 수납할 수 있는 지퍼부를 구성하여 지퍼 등으로 개폐하게 할 수도 있다.
본고안에 따른 차광막은 사용되지 않을 때는 유아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뒤로 젖히거나 또는 말아서 수납되어질 수 있다.
이하 도2에서 사용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2는 차광막이 사용되고 있는 일 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고도가 낮은 태양 빛이 유모차(201)에 탑승하고 있는 유아의 안면에 조사될때, 유모차 보호덮개 몸체부(100)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차광막을 유모차 보호덮개의 전면부(102) 상단으로 내려서 태양 빛을 차단하게 하고 유아의 안면부에 그늘막을 형성케 하여 유아로부터 유해한 태양 광선을 차단하고 편안한 수면을 유도해 준다. 이때 차광막(103)이 유모차 보호덮개의 전면부(102)를 적당히 덮어서, 유아의 안면에 쏟아지는 태양광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면서도 유아가 차광막의 하단부를 통하여 외부를 볼 수 있게 하면 유아는 답답해하지 않게 되고 보호자는 유아를 살필 수 있게 되어 더 편리하다.
이하 도3을 참고로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태양의 고도가 높아 유모차의 차양(301)만으로 충분히 태양광선을 차단하여, 유모차 보호덮개 설치 시 별도의 차광막(103)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 차광막이 수납되어진 사용상태 예시도이다. 차광막이 유모차 보호덮개의 차광막 연결부에 봉제나 벨크로 등으로 연결된 경우 간단하게 차광막을 유모차 보호덮개의 상단부(302)위로 젖혀 놓아 유아와 보호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다. 이러한 조작은 아주 간단하여 보호자가 사용하기에 매우 편리하다.
이하 도4를 참고로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차광막(103)이 필요치 않은 경우 차광막을 돌돌 말아 지퍼부(401)가 구성된 차광막 연결부(105)에 수납되어진 적용 예시도이다. 이 경우에는 차광막이 유모차 보호 덮개의 외부로 노출 되지 않아 깔끔한 외관의 장점이 있다. 물론 여기서 돌돌 말린 차광막을 지퍼 안으로 수납치 않고 차광막 연결부에 간단한 끈 등을 설치하여 간단히 묶어서 수납해 놓을 수도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구성에 따르면, 유모차 보호덮개를 사용하는 보호자들은 그 이용과 조작에 번거로움이 없으며 수납 및 보관 등에도 전혀 불편함이 없이, 유해한 태양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유모차 보호덮개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는 유모차 보호덮개는 별도의 차광막(103)이 유모차 보호덮개 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필요한 경우 이러한 차광막을 자유로이 내리거나 올릴 수 있도록 하여, 태양의 고도가 낮은 아침이나 초저녁에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면에 쏟아지는 유해한 직사광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수면 중인 아이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채광 량을 낮춰 줄 수 있다. 특히 본 차광막을 사용치 않을 경우는 유모차 보호덮개의 상부(302)에 수납하거나 지퍼나 끈 등을 이용해 간단히 수납하여, 평상시 유모차 보호덮개의 이용이나 보관 등이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6)

  1. 투명한 전면부(101), 투명 또는 불투명한 후면부(102), 및 상기 전면부 및 후면부를 연결하는 바이어스부(104)를 포함하는 유모차 보호 덮개 몸체부(100), 상기 몸체부의 바이어스부의 중간에 위치하여 몸체부와 차광막을 결합시키는 차광막 연결부(105), 및 불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서 상기 연결부(105)에 의해 몸체부에 결합되는 별도의 차광막(103)을 포함하며, 유모차에 적용시, 상기 불투명 또는 반투명 차광막(103)이, 상기 몸체부의 전면부(101)의 전면에 위치하여, 투명한 전면부(101)를 투과하여 유모차에 탑승한 유아의 안면에 조사되는 태양광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광막이 설치된 유모차 보호덮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103)은 태양광선을 차단할 수 있는 불투명 직물이거나 불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보호덮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한 전면부(101)는 투명한 비닐이나 망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보호덮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103)은 차광막 연결부(105)에 봉제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보호덮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103)은 차광막 연결부(105)와 벨크로와 같은 한 쌍의 체결장치로서 연결되어 탈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보호덮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막 연결부(105)는 수납공간이 있는 지퍼부(401)를 포함하여 차광막이 상기 지퍼부 안으로 수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 보호덮개.
KR20-2004-0027444U 2004-09-23 2004-09-23 차광막을 갖는 유모차 보호덮개 KR2003700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444U KR200370040Y1 (ko) 2004-09-23 2004-09-23 차광막을 갖는 유모차 보호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444U KR200370040Y1 (ko) 2004-09-23 2004-09-23 차광막을 갖는 유모차 보호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0040Y1 true KR200370040Y1 (ko) 2004-12-13

Family

ID=49442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444U KR200370040Y1 (ko) 2004-09-23 2004-09-23 차광막을 갖는 유모차 보호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004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2756A (en) UV50+protector-pram/stroller/capsule covers
US6217099B1 (en) Multi-layer protective sheild for stroller
AU2005327531B2 (en) Thermally insulated cover for baby stroller
US5975613A (en) Stroller shading device
US5924129A (en) Sunguard for use with headgear
US5730490A (en) Handle supported cover for infant car seat carrier
US7000625B2 (en) Sunshade attachment for strollers, car seats, carriages and joggers
KR200453145Y1 (ko) 차양막부가 설치된 유모차 커버
KR200370040Y1 (ko) 차광막을 갖는 유모차 보호덮개
KR101516865B1 (ko) 햇빛 차양막
JP2006021737A (ja) 紫外線防止日除け付きベビーカー
KR20120002831U (ko) 탈착 가능한 차양부를 구비한 유모차 보호덮개
KR200322465Y1 (ko) 유모차용 보조 차양막
KR200480277Y1 (ko) 하부에 개폐부를 갖는 유모차 보호 커버
KR200299056Y1 (ko) 유아탑승기구용 햇빛 차단기
KR20100009033A (ko) 유모차용 햇빛가리개 및 햇빛가리개를 포함하는 유모차덮개
KR200289886Y1 (ko) 썬캡 겸용 모자
AU2007100513A4 (en) Improved pram/stroller cover
KR100334204B1 (ko) 차양용 망사가 일체된 모자
KR200397307Y1 (ko) 유모차의 모기장용 커버
KR960005344Y1 (ko) 차양모
KR830002311Y1 (ko) 농사작업용 다목적 모자
KR200350877Y1 (ko) 유모차용 보호덮개
KR200484575Y1 (ko) 유모차 커버
KR200223388Y1 (ko) 유아용 차양 캐리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