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951Y1 -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필터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951Y1
KR200369951Y1 KR20-2004-0025814U KR20040025814U KR200369951Y1 KR 200369951 Y1 KR200369951 Y1 KR 200369951Y1 KR 20040025814 U KR20040025814 U KR 20040025814U KR 200369951 Y1 KR200369951 Y1 KR 2003699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ater
filtration
tank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8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창기
Original Assignee
성창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창기 filed Critical 성창기
Priority to KR20-2004-00258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9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9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95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4Supports for the filtering elements
    • B01D2201/0461Sp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처리수가 유입하여 여과되도록 여과탱크의 내부에 필터가 내장된 수처리용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40)는,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에 일단이 고정된 코일 스프링으로 된 스프링 필터(44)와, 상기 스프링 필터를 감싸는 신축 가능한 여과포로 된 여과포 필터(46)로 이루어지므로, 여과효율을 극대화하여 세정시간을 단축시키고 여과조건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필터{filter for water filtering}
본 고안은 폐수, 오수 및 하수를 1차로 처리한 1차 처리수나 기타 공업용수에 함유된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여과탱크 내부에 설치되는 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수, 오수 및 하수는 환경을 오염시키므로, 1차로 정화시켜 1차 처리수로 만든 후, 내나 강으로 방류시키게 되는데, 1차로 처리한 상기 1차 처리수 및 공업용수는 각종 부유물질(Suspended Solids)을 함유하고 있다. 여기서, 부유물질(Suspended Solids)은 0.1 미크론 이상의 크기로 된 입자(유기물과 무기물)로 이루어진 고형물질로서, 물을 현탁하게 하므로 현탁물질이라고도 일컬어진다.
상기 부유물질(현탁물질)을 함유한 물(즉, 1차 처리수 및 공업용수, 이하, '전처리수'라 한다)은 그 상태로 가정이나 산업현장에서 일반용수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따라서 전처리수를 2차로 처리하여 사용하므로써 상수 및 수자원을 절약하여 에너지 절감효과를 높이는 수처리 여과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종래 예로서, 실용신안등록 제0258063호가 있다.
상기 실용신안등록 제0258063는 여과되기 전의 전처리수가 유입되는 전처리수탱크(2)와, 상기 전처리수탱크(2)로부터 유입된 물을 여과하도록 상기 전처리수 탱크에 연통된 여과탱크(4)와, 상기 여과탱크(4)에서 여과된 후처리수가 모이도록 상기 여과탱크(4)에 연통된 후처리수탱크(6)와, 상기 여과탱크내에 일정한 압력의 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기(8)를 구비하는 한편, 물을 저장하는 전처리수조(10)와 후처리수조(12) 및 집수조(14)를 구비한 시스템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전처리수탱크(2)의 내부에는 전처리수에 함유된 협잡물을 1차적으로 제거하여 상기 여과탱크(4)내에서의 오염부하를 줄이도록 제1필터(16)가 배설되고, 상기 여과탱크(4)의 내부에는 상기 전처리수탱크에서 유입된 전처리수를 여과하도록 제2필터(18)가 배설되며, 상기 후처리수탱크(6)의 내부에는 처리수의 용도에 따라 상기 여과탱크내에서 여과되지 않은 오염물질을 여과시키도록 제3필터(20)가 배설되어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탱크(4)의 내부에는 처리수의 압력에 따라 이동하는 누름판(22)이 삽입되어 있다. 상기 제2필터(18)는 링부재(24, 26)을 매개로 상기 누름판(22) 및 여과탱크의 캡(28)에 그 양단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2필터(18)는 물 및 산도(PH)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인조섬유나 천연섬유 등의 섬유사로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여과탱크 내에 배설되는 필터를 개량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여과효율을 극대화하여 세정시간을 단축시키고 여과조건을 조절할 수 있는 수처리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종래 수처리용 여과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2는 도1에서 여과탱크 내의 필터를 나타낸 구성도,
도3은 본 고안의 필터가 적용된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구성도,
도4는 도3에서 여과탱크 내의 필터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수처리용 여과장치에서 여과제 코팅시의 작동상태도,
도6은 도5의 작동상태에서 필터의 작용상태도,
도7은 본 고안이 적용된 수처리용 여과장치에서 여과시의 작동상태도,
도8은 도7의 작동상태에서 필터의 작용상태도,
도9는 본 고안이 적용된 수처리용 여과장치에서 역세척시의 작동상태도,
도10은 도9의 작동상태에서 필터의 작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여과탱크 40 : 필터
42 : 플레이트 44 : 스프링 필터
44a : 요철부 46 : 여과포 필터
본 고안에 의한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필터는, 전처리수가 유입하여 여과되도록 여과탱크의 내부에 필터가 내장된 수처리용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에 일단이 고정된 코일 스프링으로 된 스프링 필터와, 상기스프링 필터를 감싸는 신축 가능한 여과포로 된 여과포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 필터의 코일 표면에는 서로 밀착하는 표면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된 수처리용 여과장치는, 여과되기 전의 전처리수가 유입되어 여과되는 필터(40)가 내장된 여과탱크(30)와, 상기 여과탱크(30)를 통해 소정시간 여과시킨 후 역세척을 할 경우 오염물질을 거르는 스러지 필터(34)가 내장된 탈수탱크(32)와, 상기 여과탱크(30)를 통해 원수를 여과시키기 전에 상기 필터(40)에 코팅되는 여과제(규조토 또는 활성탄)를 저장하는 프리코트 탱크(36 : Precoat Tank)를 구비한다.
그리고, 역세척시 일정한 압력의 압축공기를 공급하도록 상기 여과탱크(30)에 연결된 압축공기 공급수단(52)과, 원수를 저장하는 원수조(54)에서 퍼올린 전처리수를 저장하는 전처리수 저장탱크(56), 상기 전처리수 저장탱크(56)의 전처리수 및 상기 프리코트 탱크(36)의 여과제를 상기 여과탱크(30)내로 공급하는 펌프(58)와, 여과처리 전후의 물(원수, 전처리수, 여과수)과 압축공기의 통로인 다수의 파이프 라인과, 상기 물과 압축공기의 흐름을 조정하도록 상기 파이프 라인에 설치된 다수의 밸브를 포함한다.
상기 여과탱크(30)는 상기 필터(40)의 설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62)와 캡(64)으로 나누어져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탈수탱크(32)는 상기 스러지 필터(34)의 설치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하도록 본체(66)와 캡(68)으로 나누어져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되어 있다.
상기 필터(4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62)와 캡(64) 사이에 끼워져 체결부재(65)로 고정되는 플레이트(42)에 여과용량에 따라 다수개가 결합되는데, 상부 커플링(43)과 하부 커플링(47) 사이에 코일 스프링으로 된 스프링 필터(44)가 결합되는 한편, 상기 스프링 필터(44)를 감싸는 신축가능한 여과포로 된 여과포 필터(46)가 결합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4에서는 하나의 필터(40)만 도시되어 있다.
상기 상부 커플링(43)은 그 상부가 상기 플레이트(42)에 나사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커플링(43)의 하부의 외측에 상기 스프링 필터(44)의 상단부가 끼워져 고정되고, 상기 하부 커플링(47)의 상부 외측에 상기 스프링 필터(44)의 하단부가 끼워져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 필터(44)를 이루는 코일 스프링의 표면은 서로 밀착되어 있는데, 서로 밀착하는 표면 사이에 공극(C)이 생기도록 요철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요철부(44a)의 크기는 미세여과, 중여과 등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이 적용된 수처리용 여과장치에서, 여과탱크(30)를 통해 전처리수를 여과하기 전에 그 내부의 필터(40)에 여과제를 코팅하게 되는데, 도5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펌프(58)에 의해 프리코트 탱크(36)내의 여과제(규조토 또는 활성탄)를 포함하는 여과제수가 여과탱크(30)의 하측에서 유입되어 상측으로 배출되고 다시 프리코트(36)내로 유입하는 순환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여과제수가 순환하는 중에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40)의 여과포 필터(46) 외면에 여과제가 부착되어 여과제 코팅층(P)이 형성된다.
다음에 도7에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펌프(58)를 통해 전처리수 저장탱크(56)내의 전처리수를 여과탱크(30)내로 유입시켜 전처리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시키게 된다. 이때 필터(40)에서 여과되는 작용이 도8에 화살표로 표시되어 있는데, 큰 오염물질(S)은 여과제 코팅층(P)과 여과포 필터(46)에 의해 걸러지고, 작은 오염물질은 스프링 필터(44)의 공극(C)에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 필터(44)의 표면에 형성된 요철부(44a)의 크기에 따라 미세여과, 중여과가 가능하게 된다.
여과탱크(30)를 통해 일정시간 여과를 계속하게 되면, 오염물질이 필터(40)외부에 많이 쌓이게 되면서 여과탱크(30)내의 압력이 올라가게 된다. 이때에 도시하지 않은 압력스위치의 작동에 의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공기 공급수단(52)에서 공기가 상기 여과탱크(30)의 상측으로 유입되어 필터(40)를 가압함에 의해 필터(40)에 부착된 여과제 코팅층(P) 및 오염물질(S)을 탈거시키는 역세척을 행하게 된다. 탈거된 여과제 및 오염물질(이하, '스러지'라 한다)은 탈수탱크(32)내의 스러지 필터(34)에 걸리게 되어 제거되고 나머지 물은 원수조(54)에 유입된다.
역세척 중에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40)는 공기압에 의해 그 스프링 필터(44)의 코일 스프링 사이 간격이 넓어지고 여과포 필터(46)의 여과포가 늘어나게 되어 스러지가 용이하게 탈거된다.
여과탱크(30)를 통해 전처리수를 여과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공정(여과제 코팅, 여과 및 역세척)을 되풀이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필터에 의하면, 여과효율을 극대화하여 세정시간을 단축시키고 여과조건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데, 필터를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필터가 공기압에 의해 늘어나게 되므로 역세척이 용이하고, 스프링 필터의 요철부 크기가 다른 필터를 사용하여 미세여과 및 중여과로 구분하여 처리할 수 있으며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필터를 결합하여 전처리수의 처리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2)

  1. 전처리수가 유입하여 여과되도록 여과탱크의 내부에 필터가 내장된 수처리용 여과장치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에 일단이 고정된 코일 스프링으로 된 스프링 필터와,
    상기 스프링 필터를 감싸는 신축 가능한 여과포로 된 여과포 필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필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필터의 코일 표면에는 서로 밀착하는 표면 사이에 공극이 생기도록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필터.
KR20-2004-0025814U 2004-09-08 2004-09-08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필터 KR2003699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14U KR200369951Y1 (ko) 2004-09-08 2004-09-08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814U KR200369951Y1 (ko) 2004-09-08 2004-09-08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951Y1 true KR200369951Y1 (ko) 2004-12-13

Family

ID=4935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814U KR200369951Y1 (ko) 2004-09-08 2004-09-08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9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09B1 (ko) * 2005-07-08 2008-05-13 심재수 상향식 막 분리형 여과장치
KR101063275B1 (ko) 2009-01-12 2011-09-07 심우석 자동 정수기능을 가진 어항
KR101310951B1 (ko) * 2012-11-13 2013-09-23 주식회사 파인테크윈 수처리 장치의 전처리 필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009B1 (ko) * 2005-07-08 2008-05-13 심재수 상향식 막 분리형 여과장치
KR101063275B1 (ko) 2009-01-12 2011-09-07 심우석 자동 정수기능을 가진 어항
KR101310951B1 (ko) * 2012-11-13 2013-09-23 주식회사 파인테크윈 수처리 장치의 전처리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0237548A (ja) 中空糸膜式蓄熱槽水浄化装置
CN111228866A (zh) 一种在线自清洗介质过滤装置
CN106830393A (zh) 中水脱盐装置及脱盐方法
KR200369951Y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필터
KR20060089380A (ko) 에너지 저감형 해수담수화 시스템
KR101310951B1 (ko) 수처리 장치의 전처리 필터
KR200450427Y1 (ko) 여과여제를 이용하는 압력식 프리코트여과기에 의해서 분리배출된 액상 슬러지의 케익화 장치
CN204147638U (zh) 纤维转盘滤池
KR101350537B1 (ko) 멀티 화이버층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그 역세방법
CN201473365U (zh) 一种全膜法进行废水回用的装置
KR100404052B1 (ko) 리코팅 여과시스템
KR200459296Y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필터
KR20220122906A (ko) 규조토를 이용한 정수처리시스템 및 이 시스템을 이용하는 정수처리방법
KR200346468Y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규조토 여과시스템
KR100618412B1 (ko) 전자석을 이용한 여과장치 및 역세방법
KR200393368Y1 (ko) 오·폐수 및 정수처리용 바이오 볼
KR200383455Y1 (ko) 에너지 저감형 해수담수화 시스템
CN214829793U (zh) 一种高浓度难降解有机废水处理系统
JP2015085275A (ja) ろ過器の温水逆洗方法
KR20000017277U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0425911Y1 (ko) 정수용 여과재
CN220003239U (zh) 一种氯化锌溶液回收装置
KR100962556B1 (ko) 하향류식 고속 정밀 여과장치
KR102289572B1 (ko) 압력식 프리코트 여과기의 필터 고정구조
KR101387606B1 (ko) 유지관리가 간편한 수처리용 상향류 여과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