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931Y1 - 화분파렛트 - Google Patents

화분파렛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931Y1
KR200369931Y1 KR20-2004-0025559U KR20040025559U KR200369931Y1 KR 200369931 Y1 KR200369931 Y1 KR 200369931Y1 KR 20040025559 U KR20040025559 U KR 20040025559U KR 200369931 Y1 KR200369931 Y1 KR 200369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allet
water supply
pots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Original Assignee
이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원 filed Critical 이종원
Priority to KR20-2004-0025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9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4Flower-pot saucers
    • A01G9/045Trays for receiving multiple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2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having a water reservoir, the main part thereof being located wholly around or directly beside the growth substrat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분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수개의 화분을 수납한 상태에서 화분의 보관이나 운반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체적으로 막힌 판재로 이루어지고 화분고정을 위한 수납부와 물의 흐름을 위한 각각의 수납부의 사이의 골고 상기 골에는 채워진 물의 일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배수구와 수납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화분에 의하여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로와 파렛트를 서로 연결하여 한곳에서 물을 공급하면 연속으로 공급되어지기 위한 공급연결수단을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분파렛트{A palette for a flowerpot}
본 고안은 화분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그 특징은 사출성형되어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식재된 화분을 수납한 상태에서 식재된 화분의 보관이나 운반이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체적으로 사출 또는 진공성형에 의하여 막힌 판상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본체의 일정간격으로 식재된 화분수납과 고정을 위한 수납부와 수납부에 수납된 화분에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구와 급수된 물이 각각의 수납부로 채워지도록 하기 위한 골과 상기 골에는 채워진 물의 일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배수구와 다수개의 본체가 연결되어 한곳에서 물을 급수하게 되면 다수개의 본체에 모두 급수가 가능토록 하기 위한 배수구에 형성되는 공급연결수단을 포함하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화분파렛트로는 판상이 아닌 관상으로 이루어져 많은 화분 특히 크기가 좀 큰 화분을 수납한 상태에서는 파렛트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는 단점과 이러한 것들에서는 물을 급수하고자 할 경우에 일일이 하나씩 급수토록 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 급수된 물이 식재된 화분이 수납되어진 수납부의 바닥면에 형성된 골을 통하여 흐르면서 서로 연결되어지도록 함으로 어느 정도의 문제점을 해소하였으나 이러한 것은 채워진 물이 넘칠 경우에 그냥 일정한 방향이 없이 각각의 수납부에서 넘쳐나게 됨으로 주변을 어지럽히게 되는 단점과 이러한 것들이 관상으로 이루어짐으로 견고하지 못하다는 단점과 또한 이러한 파렛트 들이 서로 연결이 불가능하여 한곳에서 물을 급수하지 못하고 일일이 급수하여야 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판상의 본체로 이루어져 화분이 수납되어지는 수납부의 사이로는 급수된 물의 흐름을 위한 골이 형성토록 하고 수납부의 측변의 어느 하나에는 수납부의 측방에서 경사지게 급수로를 형성토록 함으로서 급수로를 통한 급수만으로 전체적인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와 같이 급수된어진 양이 많을 경우에는 배수로를 통하여 배출토록 하고 이러한 배수로를 특정된 위치에 형성토록 하고 이러한 배수로에 연결수단이 형성되어 호스등을 연결함으로서 특정된 장소로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동시에 이러한 연결수단에 각각의 호스를 연결함으로서 다수개의 파렛트가 모두 연결된 상태에서 물을 급수할 수 있게 함으로서 문제점을 해결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배면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도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3의 b-b선단면도이고,
도 6은 연결수단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개략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체 2: 수납부
3: 골 4: 배수구
5: 급수로 6: 연결수단
7: 평탄면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화분파렛트는 전체적으로 사출 또는 진공성형에 의하여 막힌 판상의 본체(1)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본체(1)의 일정간격으로 식재된 화분수납과 고정을 위한 수납부(2)와 상기 수납부(2)에 수납된 화분에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구(5)와 상기 급수구(5)를 통하여 급수된 물이 각각의 수납부(2)로 채워지도록 하기 위한 골(3)과 상기 골(3)을 형성하는 벽면에는 채워진 물의 일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배수구(4)와 상기 배수구(4)는 평탄면(7)의 중앙에 형성되어지고, 상기 배수구의 이면에는 호스등의 연결을 위한 연결수단(6)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의 수납부는 화분의 형태에 따라 상광하협의 형상으로 이루어지고화분의 고정을 위하여 일정한 깊이를 갖게 되는 것이고, 수납부의 바닥면에는 요철돌기가 형성되어 화분의 바닥면은 수납부의 바닥면에서 어느 정도 덜어지게 됨으로서 화분에 식재된 화초들이 수분을 흡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수납부(2)의 바닥면은 골(3)보다고 약간 낮은 상태를 갖게 됨으로서 수납부의 바닥면에는 항상 어느 정도의 물이 채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배수구는 골을 형성하는 벽면의 어느 일측에 평탄면을 형성토록 한 후 천공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때 배수구가 형성되는 평탄면의 이면으로는 연결수단이 형성되어 호스등의 연결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연결수단(6)은 배수구(4)가 형성된 평탄면(7)의 이면에 돌출되어진 형태로 돌출부가 일체로 형성토록 되거나 또는 별도의 연결관을 연결토록 하거나 또는 배수구에 나사산을 형성토록 한 후 나사연결에 의하여 나사관으로 연결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이러한 것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급수로(5)에 대하여는 수납부(2)의 상측 테두리에서 일정간격이 떨어져 하방으로 경사지게 경사면(5a)으로 형성토록 하는 것이고, 이러한 경사면(5a)은 화분이 수납부(1)에 수납된 상태에서도 물의 급수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중 도 1은 본 고안 전체적인 외관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도시하는 본 고안 화분파렛트의 본체(1)는 플라스틱으로 사출 또는 시트를 열을 가하여 말랑말랑하게 한 후 진공에 의하여 성형하게 되는 진공성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이고, 일정한 배열의 규칙에 의하여 복수개가 형성되는 수납부(2)에는 식재된 화분이 수납되어 고정되는 것이고, 이렇게 수납된 상태에서 본체(1)는 판상으로 되어 있가 강도가 우수함으로 들어올리거나 이동시에도 형태의 변형이 없게 됨으로 운반이나 보관이 우수한 것이고, 식재된 화분이 본체(1)의 수납부(2)에 수납된 상태에서 장기보관시에 관리하게 되는 급수가 수납부의 일측으로 연장된 급수로(5)를 통하여급수하게 되면 급수된 물은 수납부에서 골을 통하여 다른 수납부로 이동하게 되고 채워진 물은 수납부의 바닥면이 골의 바닥면보다 낮게 되어 있고 그 바닥면에 화분이 놓여지게 됨으로 화분의 바닥면으로 물의 흡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런 상태에서 수납부에 일정량의 이상으로 물이 채워지면 골을 형성하는 벽면에 형성된 평탄면의 배수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배출되는 물은 배수구의 연결수단에 연결된 호스등에 의하여 한곳으로 배수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어 보관시에 주변의 환경을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결수단은 파렛트 본체를 여러개 연결한 상태에서 하나의 급수로에서 물을 급수하게 되면 호스를 타고 이동하면서 한곳에서의 물의 주입으로 전체적인 화분에 물을 급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 화분받침대는 판상으로 이루어져 우수한 받침강도를 갖게 되는 것이고, 골과 배수구 및 급수로에 의하여 식재된 화분에 급수가 용이함은 물론 연결수단에 의하여 한곳으로의 배수는 물론 연결방법을 달리함으로서 한곳에서의 급수만으로 각각의 서로 다른 화분 파렛트에 수납되어진 식재된 화분에 급수가 가능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화분 파렛트에 있어서,
    막힌 판상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본체의 일정간격으로 식재된 화분수납과 고정을 위한 수납부와 수납부에 수납된 화분에 물을 급수하기 위한 급수구와 급수된 물이 각각의 수납부로 채워지도록 하기 위한 골과 상기 골에는 채워진 물의 일정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배수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파렛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구는 골을 형성하는 벽면에 형성된 평탄면에 천공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파렛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면에 천공된 배수구의 이면에는 연결수단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파렛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배수구에 일체로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파렛트.
  5.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파렛트 본체의 연결수단에 호스가 연결되어 하나의 급수로의 급수로 모두 파렛트의 수납부에 수납된 식재된 화분에 급수가 가능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분 파렛트.
KR20-2004-0025559U 2004-09-06 2004-09-06 화분파렛트 KR200369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559U KR200369931Y1 (ko) 2004-09-06 2004-09-06 화분파렛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559U KR200369931Y1 (ko) 2004-09-06 2004-09-06 화분파렛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0978A Division KR20060022175A (ko) 2004-09-06 2004-09-06 화분파렛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931Y1 true KR200369931Y1 (ko) 2004-12-14

Family

ID=49352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559U KR200369931Y1 (ko) 2004-09-06 2004-09-06 화분파렛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93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84957B1 (en) Planting container
TWI321034B (ko)
EP1339275B1 (de) Formkörper zur verbesserung der kultivierungsbedingungen von pflanzen
US6182394B1 (en) Plant watering device
US11130614B2 (en) Stackable container
US6955008B2 (en) Aerating base plate for a flowerpot
JP4564984B2 (ja) 育苗装置
US20010052199A1 (en) Stackable planter
KR200472746Y1 (ko) 식물 재배 용기
US20190289802A1 (en) Planting system
KR20110009476A (ko) 작물 재배용기
JP4928992B2 (ja) 底面潅水用給水パネル及び同パネル用の栽培ポット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栽培システム
KR200369931Y1 (ko) 화분파렛트
US20180064041A1 (en) Growing system
KR20060022175A (ko) 화분파렛트
KR100840966B1 (ko)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대
WO2017208008A1 (en) Plant self-watering device
KR200423501Y1 (ko) 식생매트를 설치하기 위한 받침부재
CN203884353U (zh) 防挥发自动吸水花盆
EP1894466A2 (en) Pot for growing a plant
KR200257598Y1 (ko) 물저장용 자동급수 조경화분
RU173971U1 (ru) Моду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ертикального или наклонного размещения растений
JPH065449U (ja) 着生植物用鉢
KR102406445B1 (ko) 배수 유량 및 수위 조절이 가능한 화분 및 배수 구조
KR200363002Y1 (ko) 급수 화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