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9740Y1 - 메추리용 케이지 - Google Patents

메추리용 케이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9740Y1
KR200369740Y1 KR20-2004-0027585U KR20040027585U KR200369740Y1 KR 200369740 Y1 KR200369740 Y1 KR 200369740Y1 KR 20040027585 U KR20040027585 U KR 20040027585U KR 200369740 Y1 KR200369740 Y1 KR 20036974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age
side plates
quail
latt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75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인기
Original Assignee
고인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인기 filed Critical 고인기
Priority to KR20-2004-00275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974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974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974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02Poultry cages, e.g. transport boxes
    • A01K31/007Flo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06Cages, e.g. for singing birds
    • A01K31/08Collapsible cag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31/00Housing birds
    • A01K31/22Poultry runs ; Poultry houses, including auxiliary features, e.g. feeding, watering, deman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는 각 측판들을 수지로서 사출 성형하여 이들을 끼움 결합함에 의해 케이지를 구성하여 제작을 간편하게 함과 아울러 케이지의 선단에 모이판을 고정할 수 있는 모이판 고정수단을 일체로 형성함에 의해 모이판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 메추리용 케이지이다.

Description

메추리용 케이지{quail cage}
본 고안은 메추리용 케이지(cage)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이지의 각 면들을 이루는 각 판들을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도록 수지재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 후 이들을 끼움 결합함에 의해 케이지를 구성함과 아울러 케이지의 선단에 모이판을 고정할 수 있는 모이판 고정수단을 일체로 형성함에 의해 모이판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 메추리용 케이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추리를 사육하기 위한 케이지(cage)는 철망을 이용하여 속이 빈 사각 형상의 함체를 제작하였다.
그러나, 철망을 이용한 케이지의 제작은 단가의 상승은 물론 제작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즉, 케이지를 구성하는 각 면들을 철망을 이용하여 소정 크기로 절단한 후 용접 등에 의한 방법으로 고정하여 제작하게 됨에 의해 제작 공정이 복잡하고 제작단가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케이지의 선단에는 모이판이 설치되는데 종래에는 상기 모이판을 설치하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여야 함에 의해 불편하였고, 또 모이판의 고정상태가 약하여 모이판을 견고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케이지는 다단으로 적층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와 같이 철망을 이용하여 케이지를 구성하게 되면 적층하는 데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메추리용 케이지를 구성하기 위해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는각 측판들을 수지로서 사출 성형하여 이들을 끼움 결합하여 구성함과 아울러 케이지의 선단에 모이판을 고정할 수 있는 모이판 고정수단을 일체로 형성함에 의해 모이판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한 메추리용 케이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추리용 케이지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추리용 케이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추리용 케이지의 전방에 먹이통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에서 케이지의 내부에 메추리를 넣거나 빼기 위해 상부판의 일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메추리용 케이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케이지 본체 110 - 받침대
120a,120b - 양측판 130 - 후면판
140 - 전면판 150 - 상부판
200 - 결합수단 210 - 결합공
220 - 결합돌기 300 - 모이판 고정수단
310 - 상부고정부재 320 - 하부고정부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메추리용 케이지에 있어서, 배설물이 낙하될 수 있는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게 철선을 종횡으로 설치하여 구성됨과 아울러 전방으로는 알받이가 구비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판의 양단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수지재로서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는 판구조를 이루게 형성된 양측판과, 상기 양측판과 같은 재질로서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는 판구조를 이루게 형성되어 양측판의 뒤쪽에 결합되는 후면판과, 상기 양측판과 같은 재질로서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는 판구조를 이루게 형성되고 하단부는 메추리알이 통과될 수 있게 상기 받침대의 상부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기 양측판의 전방으로 결합된 전면판 및 상기 양측판과 같은 재질로서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는 판구조를 이루게 형성되어 전면판과 양측판 및 후면판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어느 일부위에는 개폐문을 구비한 상부판으로 이루어진 케이지 본체; 상기 케이지 본체를 구성하는 각 판들이 서로 만나는 대면 부위에는 서로 대응하는 결합공과 훅크형의 결합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각 판들을 끼움 결합하도록 한 결합수단; 및 상기 케이지 본체를 구성하는 양측판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그 양측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모이판의 어느 일단을 고정할 수 있는 상부고정부재와 상기 상부고정부재의 하부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돌출 형성되어 모이판을 감싸 그 모이판의 저부를 받혀 지지함과 동시에 다른 일단을 고정할 수 있는 하부고정부재로 이루어진 모이판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지 본체를 구성하는 양측판의 선단부 저면에는 케이지 설치용 프레임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이 더 형성되고, 양측판의 후단부 저면에는 케이지 설치용 프레임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림돌기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판에 구비된 개폐문에는 걸림공을 형성하고 그 걸림공에 대응되게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걔폐문이 착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메추리용 케이지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해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메추리용 케이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메추리용 케이지의 전방에 먹이통이 설치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표시에서 케이지의 내부에 메추리를 넣거나 빼기 위해 상부판의 일부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메추리용 케이지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 표시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지 본체(10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케이지 본체(100)는 메추리를 수용할 수 있는 속이 빈 사각 형상의 함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함체를 이루는 각 면들을 수지재로서 판구조로 이루게 구성하여 이들을 서로 결합함에 의해 형성된다.
이와 같은 케이지 본체(100)는 철선을 이용하여 만든 받침대(110)와 수지재를 이용하여 만든 양측판(120a,120b), 후면판(130), 전면판(140) 및 상부판(1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대(110)는 배설물이 낙하될 수 있는 격자상의 구멍(112)들을 갖게 철선(114)을 종횡으로 설치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받침대(110)의 전방은 케이지 본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그 돌출되는 전방으로는 알받이(11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양측판(120a,120b)은 상기 받침대(110)의 양단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홈(124)이 형성되며 수지재로서 격자상의 구멍(122)들을 갖는 판구조를 이루게 형성되고, 상기 후면판(130)은 상기 양측판(120a,120b)과 같은 재질로서 격자상의 구멍(132)들을 갖는 판구조를 이루게 형성되어 양측판(120a,120b)의 뒤쪽에 결합된다.
상기 전면판(140)은 상기 양측판(120a,120b)과 같은 재질로서 격자상의 구멍(142)들을 갖는 판구조를 이루게 형성되고 하단부는 메추리알이 통과될 수 있게 상기 받침대(110)의 상부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기 양측판(120a,120b)의 전방으로 결합된다.
상기 상부판(150)은 상기 양측판(120a,120b)과 같은 재질로서 격자상의 구멍(152)들을 갖는 판구조를 이루게 형성되어 전면판(140)과 양측판(120a,120b) 및 후면판(130)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어느 일부위에는 개폐문(154)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개폐문(154)을 통해 메추리를 케이지 본체(100)의 내부로 넣거나 빼낼 수있게 한다.
이러한 개폐문(154)은 상기 전면판(140)에 착탈될 수 있게 상기 개폐문(154)에는 걸림공(154a)을 형성하고 그 걸림공(154a)에 대응되게 상기 전면판(140)의 상단에 걸림돌기(140a)를 형성하여 개폐문(154)을 사용하지 않을 시 걸림돌기(140a)에 걸림공(154a)을 걸어 개폐문(154)이 쉽게 열리지 않게 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140a)는 훅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각 판들을 끼움 결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결합수단(2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결합수단(200)은 상기 케이지 본체(100)를 구성하는 각 판들이 서로 만나는 대면 부위에 서로 대응되게 결합공(210)과 훅크형의 결합돌기(220)를 각각 형성하여 이들을 끼움 결합함에 의해 결합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케이지 본체(100)를 구성하는 각 판들을 수지재로서 제작함에 의해 금형으로 대량 생산을 할 수 있고, 또 결합공(210)과 결합돌기(220)에 의해 끼움 결합함에 의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다. 즉, 받침대(110)의 양측부를 양측판(120a,120b)에 구비된 삽입홈(124)에 끼워 고정한 후, 상기 양측판(120a,120b)의 뒤쪽에 후면판(130)을 결합하고, 양측판(120a,120b)의 앞쪽에 전면판(140)을 결합하며, 상기 양측판(120a,120b)과 후면판(130) 및 전면판(140)의 상부로 상부판(150)을 결합하여 케이지 본체(100)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각 판들의 대면 부위에 형성된 걸림공(210)과 훅크형의 걸림돌기(220)에 의해 간편하게 끼움 고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케이비 본체(100)의 전방에 모이판(400)을 설치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모이판 고정수단(300)을 구비하고 있다. 이 모이판 고정수단(300)은 케이지 본체(100)를 구성하는 상기 양측판(120a,120b)에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그 양측판(120a,120b)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고정수단(300)은 모이판(400)의 어느 일단을 고정할 수 있는 상부고정부재(310)와 상기 상부고정부재(310)의 하부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돌출 형성되어 모이판(400)을 감싸 그 모이판(400)의 저부를 받혀 지지함과 동시에 모이판(400)의 다른 일단을 고정할 수 있는 하부고정부재(420)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모이판 고정수단(300)을 상기 케이지 본체(100)에 일체형으로 형성함에 의해 모이판(4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이판 고정수단(300)은 모이판(400)의 일단과 다른 일단을 모두 지지함에 의해 견고한 지지가 이루어짐은 물론, 하부고정부재(320)에 의해 모이판(400)을 감싸 지지함과 동시에 그 모이판(400)을 받혀지게 지지함에 의해 더욱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케이지 본체(100)를 구성하는 양측판(120a,120b)의 저면에는 고정홈(126)과 고정돌기(128)를 더 형성하여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지 설치용 프레임(500)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케이지 설치용 프레임(500)에 케이지 본체(100)를 설치하였을 경우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양측판(120a,120b)의 저면에 구비된 고정홈(126)은 양측판(120a,120b)의 선단부에 위치되게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128)는 양측판(120a,120b)의 후단부에 위치되게 형성하여 케이지 설치용 프레임(500)에 구비된 지지봉(502)에 걸려지게 설치함에 의해 케이지가 떨어지지 않게 한다.
이때, 상기 케이지 설치용 프레임(50))에 구비된 지지봉(502)은 상부로 위치되게 설치하여 상기 케이지 본체(100)를 케이지 설치용 프레임(500)에 선단부가 기울어지게 설치하여 메추리가 낳은 알이 받침대(110)의 전방으로 구비된 알받이(116)로 모이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케이지 본체(100)를 구성하기 위한 각 판들을 수지재를 이용하여 낱개로 제작한 후 결합수단(200)에 의해 끼움 결합함에 의해 간편하게 케이지 본체(10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케이지 본체(100)의 전방으로 모이판 고정수단(300)을 일체형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에 의해 모이판(400)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지 본체(100)의 저면에 고정홈(126)과 고정돌기(128)를 형성하여 케이지 설치용 프레임(500)에 기울어지게 설치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돌기(128)가 지지봉(502)에 걸려 떨어지지 않게 하고 설치 후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는 각 측판들을 수지로서 사출 성형하여 이들을 끼움 결합함에 의해 케이지를 구성함으로 제작을 간편하게 함은 물론 가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케이지의 선단에 모이판을 고정할 수 있는 모이판 고정수단을 일체로 형성함에 의해 모이판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메추리용 케이지에 있어서,
    배설물이 낙하될 수 있는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게 철선을 종횡으로 설치하여 구성됨과 아울러 전방으로는 알받이가 구비된 받침대와, 상기 받침판의 양단부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수지재로서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는 판구조를 이루게 형성된 양측판과, 상기 양측판과 같은 재질로서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는 판구조를 이루게 형성되어 양측판의 뒤쪽에 결합되는 후면판과, 상기 양측판과 같은 재질로서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는 판구조를 이루게 형성되고 하단부는 메추리알이 통과될 수 있게 상기 받침대의 상부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상기 양측판의 전방으로 결합된 전면판 및 상기 양측판과 같은 재질로서 격자상의 구멍들을 갖는 판구조를 이루게 형성되어 전면판과 양측판 및 후면판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며 어느 일부위에는 개폐문을 구비한 상부판으로 이루어진 케이지 본체;
    상기 케이지 본체를 구성하는 각 판들이 서로 만나는 대면 부위에는 서로 대응하는 결합공과 훅크형의 결합돌기를 각각 형성하여 상기 각 판들을 끼움 결합하도록 한 결합수단; 및
    상기 케이지 본체를 구성하는 양측판에서 전방으로 돌출되게 그 양측판에 일체로 형성되어 모이판의 어느 일단을 고정할 수 있는 상부고정부재와 상기 상부고정부재의 하부로 소정 간격을 이루게 돌출 형성되어 모이판을 감싸 그 모이판의 저부를 받혀 지지함과 동시에 다른 일단을 고정할 수 있는 하부고정부재로 이루어진모이판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메추리용 케이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지 본체를 구성하는 양측판의 선단부 저면에는 케이지 설치용 프레임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고정홈이 더 형성되고, 양측판의 후단부 저면에는 케이지 설치용 프레임에 구비된 지지봉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걸림돌기가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케이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에 구비된 개폐문에는 걸림공을 형성하고 그 걸림공에 대응되게 상기 전면판의 상단에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걔폐문이 착탈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추리용 케이지.
KR20-2004-0027585U 2004-09-24 2004-09-24 메추리용 케이지 KR20036974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585U KR200369740Y1 (ko) 2004-09-24 2004-09-24 메추리용 케이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7585U KR200369740Y1 (ko) 2004-09-24 2004-09-24 메추리용 케이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9740Y1 true KR200369740Y1 (ko) 2004-12-09

Family

ID=49442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7585U KR200369740Y1 (ko) 2004-09-24 2004-09-24 메추리용 케이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974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661B1 (ko) 2007-03-20 2008-06-26 이범성 양계용 유정란 낳는 케이지
KR101788289B1 (ko) * 2016-06-23 2017-10-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산란계 자동 사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1661B1 (ko) 2007-03-20 2008-06-26 이범성 양계용 유정란 낳는 케이지
KR101788289B1 (ko) * 2016-06-23 2017-10-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산란계 자동 사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30762B1 (en) Baby playpen-bassinet combination
CN101227070B (zh) 电气组件安装架和电气接线盒
KR20190064413A (ko) 가열 장치, 및 가열 장치의 조립 방법
CA2521976A1 (en) Electrical outlet box having attachable walls
KR200369740Y1 (ko) 메추리용 케이지
JP2011072085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KR200418365Y1 (ko) 파티션 패널의 고정구조
JP2008148603A (ja) ペット用トイレ
KR20100002099U (ko) 환풍기 그릴 및 그릴커버의 착탈 구조
JP5651733B2 (ja) 締結手段、締結配列体、及び締結配列体を確立する方法
KR200469666Y1 (ko) 곤충 사육용 조립식 케이스
CN110146958A (zh) 通信配线类转换模块单元及单元盒
KR20190089786A (ko) 조립식 선반
KR200441440Y1 (ko) 정션박스의 커버장착구조
RU2434114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деталь для установки лапки в паз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онтажа объекта, содержащее указанную соединительную деталь (варианты)
KR200408361Y1 (ko) 메추리용 케이지
KR100838789B1 (ko) 박스 조립체
JP2007514393A (ja) 端子箱
JP2015100329A (ja) 養蜂用の巣枠のスペーサ及び巣枠
CN213513540U (zh) 吸顶灯的安装结构及吸顶灯
CN218722324U (zh) 护罩结构及热水器
CN213815347U (zh) 可前后安装的led显示屏以及拼接屏
CN208872792U (zh) 计量箱
KR102475517B1 (ko) 벌통
KR20150024709A (ko) 2단 옷걸이 봉 고정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