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458Y1 -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 Google Patents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458Y1
KR200368458Y1 KR20-2004-0025191U KR20040025191U KR200368458Y1 KR 200368458 Y1 KR200368458 Y1 KR 200368458Y1 KR 20040025191 U KR20040025191 U KR 20040025191U KR 200368458 Y1 KR200368458 Y1 KR 2003684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lamp
lamps
ceiling
transparent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1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형
Original Assignee
최수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수형 filed Critical 최수형
Priority to KR20-2004-00251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4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4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458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F21S8/06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 F21S8/061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by suspension with a non-rigid pendant, i.e. a cable, wire or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0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sources having contact pins, wires or blades, e.g. pinch sealed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10Pendants, arms, or standards; Fixing lighting devices to pendants, arms, or standards
    • F21V21/104Pend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6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coupling devices, e.g. conn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2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for decorative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 – F21W2107/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62/00Illumination
    • Y10S362/806Ornamental or decorative

Abstract

본 고안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 박판상의 패널 전면에 복수개의 조명호울을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하고, 각각의 조명호울에는 소켓에 삽입되어진 램프를 각각 고정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램프는 패널 상부면에 형성된 리드와이어와 연결되게 하고, 상기 리드와이어의 각 단부는 외부로부터 전원 인가되게 함으로서,
박판상 패널의 내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램프에 의해 뛰어난 발광력을 갖으면서도 다양한 반사각을 갖는 패널에 의해 발광시 시각차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갖게 되므로 보다 화려한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투명 박판 내에 램프가 위치하는 초슬림형 디자인으로서 그 장식성은 물론 공간활용성 및 인테리어 효과까지 다양한 부가효과를 누릴 수 있는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Ceiling lighting using transparent liminated pannel}
본 고안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의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명 박판상의 패널에 복수의 조명호울을 형성하고, 각각의 조명호울에는 소형 램프를 소켓에 의해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램프는 패널 상부면에 형성된 전도체를 통해 전원을 인가받게 하며, 각각의 전도체는 상기한 패널을 천정으로부터 이격 고정하기 위한 와이어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게 함으로서, 보다 미려하고 화려한 입체감을 갖는 조명등을 실현할 수 있어 그 조명효과는 물론 장식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천정용 조명등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음식점 또는 연회장 같은 실내의 천정에는 그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천정용 조명등이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천정용 조명등은 실내 전부를 조명할 수 있어야 하면서도 고른 빛의 확산작용을 하여야 하는 것이다.
또한, 근자에 들어서 상기한 천정용 조명등은 단순히 실내를 조명하기 위한 목적 이외에도 인테리어 장식품으로의 효과도 함께 기대하게 됨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 및 형태, 구조를 갖도록 제작되어 사용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천장용 조명등은 천정에 고정되는 본체와, 그 본체내에 내장되는 전등과, 상기 본체의 하측 개방부를 마감하는 커버체로 구성되는 기본구조를 탈피하지 못하므로,
그 디자인의 가변폭이 매우 제한되어 있으므로, 단순한 외형의 변형이나 색상 또는 재질 변경에 불과한 수준이어서 쉽게 식상해 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조명등은 내부에 전등을 내장하고 있고, 그 전등으로부터 본체 및 커버체가 일정간격 이격되는 구조를 갖게 되므로 불필요하게 두께운 형태를 취하므로 좁은 실내공간이나 낮은 실내공간에서는 갑갑함을 느끼거나 그 크기에 부담감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투명 박판상의 패널 전면에 복수개의 조명호울을 일정간격으로 연속하여 형성하고, 각각의 조명호울에는 소켓에 삽입되어진 램프를 각각 고정 형성하며, 상기 각각의 램프는 패널 상부면에 형성된 리드와이어와 연결되게 하고, 상기 리드와이어의 각 단부는 외부로부터 전원 인가되게 함으로서,
박판상 패널의 내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램프에 의해 뛰어난 발광력을 갖으면서도 다양한 반사각을 갖는 패널에 의해 발광시 시각차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갖게 되므로 보다 화려한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투명박판 내에 램프가 위치하는 초슬림형 디자인으로서 그 장식성은 물론 공간활용성 및 인테리어 효과까지 다양한 부가효과를 누릴 수 있는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을 제공함에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천정용 조명등의 전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천정용 조명등의 평면전체도
도 3은 본 고안 천정용 조명등의 발광부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천정용 조명등의 설치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천정용 조명등의 타실시예를 보인 설치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패널 2,2' : 조명호울
3,3' : 램프 4 : 소켓
5,5' : 고정구 6,6' : 리드와이어
7,7' : 접속와이어 8,8' : 현수와이어
9 : 면취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천정용 조명등의 전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 천정용 조명등의 평면전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 천정용 조명등의 발광부 확대사시도이다.
가장자리 모서리부에 면취부(9)를 갖는 투명 박판상의 패널(1) 전면에, 관통상의 조명호울(2)(2')을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조명호울(2)(2')에는 램프(3)(3')가 삽입된 소켓(4)을 횡상으로 내장하며,
상기 패널(1)의 외측 가장자리부에는 복수개의 현수용 고정구(5)(5')를 복수개 상향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5)(5')로부터 인출되어 각각의 램프(3)(3')와 접속되게 한 리드와이어(6)(6')를 상기 패널(1)의 상부면에 매입 형성하며,
상기한 램프(3)(3')는 서로 이웃하는 램프(3)(3')를 두가닥의 접속와이어(7)(7')에 의해 연결되게 하고, 전도체인 리드와이어(6)(6')를 상기 접속와이어(7)(7')와 연결되게 하되,
일측 고정구(5)로부터 인출된 리드와이어(6)는 각각의 램프(3)(3')를 연결하고 있는 하나의 접속와이어(7)에 결선되게 하고, 타측 고정구(5')로부터 인출된 또다른 리드와이어(6')는 상기한 램프(3)(3')를 연결하고 있는 또다른 접속와이어(7')에 결선되게 하여,
상기 패널(1)을 천정으로부터 이격 지지하기 위한 현수와이어(8)(8')를 상기고정구(5)(5')와 연결하여, 외부전원이 제공되는 현수와이어(8)(8') 및 리드와이어(6)(6'), 접속와이어(7)(7')를 통해 램프(3)(3')가 점등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 천정용 조명등은 종래의 조명등 구조와는 달리 투명 박판상의 패널(1) 내부의 램프(3)(3') 발광에 의해 조명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기한 패널(1)은 합성수지재 또는 유리재의 투명한 재질로서 반사효율이 우수하고 투광성이 뛰어나며 관측방향에 따라 그 반사면을 통해 입체감이 더욱 향상되는 것이다.
이러한 패널(1)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천정으로부터 하향 인출되는 현수와이어(8)(8')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한 현수와이어(8)(8')의 하단은 상기한 패널(1)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된 고정구(5)(5')와 연결되어 있어 그 패널(1)은 천정으로부터 일정간격 하향 이격되어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패널(1)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조명호울(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조명호울(2)(2')의 내부에는 램프(3)(3')가 위치하게 되는데, 상기한 램프(3)(3')는 그 조명호울(2)(2') 내에 고정된 소켓(4)에 삽입된 형태를 취하므로서 용이한 교체가 가능한 것이다.
특히, 상기한 램프(3)(3')에 전원을 공급하는 구조로는, 상기한 패널(1)의 상부면에 매설된 복수개의 리드와이어(6)(6')에 의한 것으로서, 상기한 리드와이어(6)(6')는 전술한 고정구(5)(5')로부터 인출되어 이웃하는 램프(3)(3')를 서로 연결하고 있는 두가닥의 접속와이어(7)(7')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한 현수와이어(8)(8')의 내부에 삽입되는 전원선(도면에는 미도시함)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그 전원은 상기 리드와이어(6)(6')로 전달되고, 그 리드와이어(6)(6')와 연결되어 있는 접속와이어(7)(7')로 전류가 흘러 램프(3)(3')가 점등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한 접속와이어(7)(7')는 서로 이웃하는 소켓(4)을 서로 연결하는 두가닥의 전도체로서, 일측 고정구(5)로부터 인출된 리드와이어(6)는 한가닥의 접속와이어(7)와 각각 접속되어 있고, 타측 고정구(5')로부터 인출된 리드와이어(6')는 또다른 접속와이어(7')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므로, 전원이 양측의 고정구(5)(5')에 모두 인가되면 두가닥의 접속와이어(7)(7')에 각각 전원이 공급되어 그 램프(3)(3')가 점등되는 것이며, 상기한 리드와이어(6)(6')와 접속와이어(7)(7')의 교차부에는 접속부와 밴딩에 의한 비접속부가 함께 대칭상으로 존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한 램프(3)(3')에 전원이 인가되어 발광하게 되면 그 빛은 상기한 투명재의 패널(1)을 통해 반사 및 확산되는 것이며, 상기한 패널(1)의 단부 모서리에 면취부(9)를 형성함으로서 반사각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갖게 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한 패널(1)은 상기한 바와 같이 사각 또는 오각, 육각, 팔각형 등의 다각형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 도 5의 도시와 같이 원형으로도 제작할 수있으므로 소비자의 취향이나 사용처 또는 실내 인테리어와 알맞도록 선택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그 두께가 매우 얇으면서도 심플하므로 장식효과가 배가 되면서도 공간활용도가 매우 뛰어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은, 박판상 패널의 내부에 내장된 복수개의 램프에 의해 뛰어난 발광력을 갖으면서도 다양한 반사각을 갖는 패널에 의해 발광시 시각차에 따라 다양한 입체감을 갖게 되므로 보다 화려한 장식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투명박판 내에 램프가 위치하는 초슬림형 디자인으로서 그 장식성은 물론 공간활용성 및 인테리어 효과까지 다양한 부가효과를 누릴 수 있는 것이다.

Claims (5)

  1. 투명 박판상의 패널(1) 전면에 관통상의 조명호울(2)(2')을 일정간격으로 복수개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조명호울(2)(2')에는 램프(3)(3')가 삽입된 소켓(4)을 횡상으로 내장하며,
    상기 패널(1)의 외측 가장자리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현수용 고정구(5)(5')를 복수개 상향 형성하고, 상기 고정구(5)(5')로부터 인출되어 각각의 램프(3)(3')와 접속되게 한 리드와이어(6)(6')를 상기 패널(1)의 상부면에 매입 형성하며,
    상기한 램프(3)(3')는 서로 이웃하는 램프(3)(3')를 두가닥의 접속와이어(7)(7')에 의해 연결되게 하고, 전도체인 리드와이어(6)(6')를 상기 접속와이어(7)(7')와 연결되게 하되,
    상기 패널(1)을 천정으로부터 이격 지지하기 위한 현수와이어(8)(8')를 상기 고정구(5)(5')와 연결하여, 외부전원이 제공되는 현수와이어(8)(8') 및 리드와이어(6)(6'), 접속와이어(7)(7')를 통해 램프(3)(3')가 점등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2. 제 1항에 있어서,
    리드와이어(6)(6')의 전원을 램프(3)(3')에 공급함에 있어, 일측 고정구(5)로부터 인출된 리드와이어(6)는 각각의 램프(3)(3')를 연결하고 있는 하나의 접속와이어(7)에 결선되게 하고, 타측 고정구(5')로부터 인출된 또다른 리드와이어(6')는 상기한 램프(3)(3')를 연결하고 있는 또다른 접속와이어(7')에 결선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3. 제 1항에 있어서,
    패널(1)을, 평면도시상 사각패널상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4. 제 1항에 있어서,
    패널(1)을, 평면도시상 원형패널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5. 제 1항에 있어서,
    패널(1)의 단부 모서리에 경사상의 면취부(9)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KR20-2004-0025191U 2004-09-02 2004-09-02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KR2003684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191U KR200368458Y1 (ko) 2004-09-02 2004-09-02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191U KR200368458Y1 (ko) 2004-09-02 2004-09-02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9890A Division KR20060021070A (ko) 2004-09-02 2004-09-02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458Y1 true KR200368458Y1 (ko) 2004-11-20

Family

ID=49441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191U KR200368458Y1 (ko) 2004-09-02 2004-09-02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4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57847B1 (en) Lighting system employing glass block lens
US10337699B2 (en) Light
KR101089055B1 (ko) 개선된 조립구조를 갖는 천장 매다는 등
KR100940942B1 (ko) 내부광원에 의한 측면 장식발광이 이루어지게 한 천정용 조명등
JP2014120400A (ja) Led照明装置
KR200412764Y1 (ko) 난반사면에 의한 후광 기능을 갖는 천정용 조명등
JP6125662B2 (ja) 蛍光灯型led照明装置
JP3176534U (ja) ウォールウォッシュライトおよび照明システム
KR100898415B1 (ko) 엘이디와 크리스탈 반사체에 의한 부분 장식 조명부를 갖는천정 직착등
KR200368458Y1 (ko)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KR20060021070A (ko) 투명 박판 패널을 이용한 천정용 조명등
KR20110118400A (ko) 조사각 조절장치를 구비한 조명등기구
CN103836385A (zh) Led灯具
KR200468543Y1 (ko) 투톤 칼라로 조사되는 엘이디 조명등
JP2006127885A (ja) 照明器具
KR20110008600U (ko) 엘이디 크리스탈 전구
CN204141496U (zh) 一种照明腔
CN212132175U (zh) 芭蕉叶土楼灯
CN104456427A (zh) 一种光学元件及照明装置
KR200403555Y1 (ko) 장식용 전등 케이스
KR200362105Y1 (ko) 천정등의 투광장식재 조립구조
CN202220994U (zh) 一种多向led照明灯具
WO2022183947A1 (zh) 发光装置及灯具
KR200448754Y1 (ko) 지지체로부터 와이어에 의해 이격 설치되는 점등체를 갖는입체 조명등
KR20100011567U (ko)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