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279Y1 - 건축용 외장패널 - Google Patents

건축용 외장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279Y1
KR200368279Y1 KR20-2004-0025550U KR20040025550U KR200368279Y1 KR 200368279 Y1 KR200368279 Y1 KR 200368279Y1 KR 20040025550 U KR20040025550 U KR 20040025550U KR 200368279 Y1 KR200368279 Y1 KR 2003682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panel
exterior panel
bent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5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석규
Original Assignee
아이케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케이스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케이스틸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5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2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2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2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46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 E04F13/084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ngaging holes or grooves in the side faces of the cover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in sheet-like materials, e.g. sheet-metal or plastic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58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fixed by means of spr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metal or with an outer layer of metal or enameled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fibres or chips, e.g. bonded with synthetic resins, or with an outer layer of fibres or c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면서도 시공의 오차의 발생이 적으며 오염물질의 부착이 적은 외장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본체부(12)와 이 본체부(12)의 양단에 형성되는 연결부(20,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20,30) 중 일측의 연결부(20)는 본체부(12)의 단부에서 내향절곡되어 본체부(12) 패널면를 향해 돌출되는 산형부(22)와, 이 산형부(22)의 일측 경사면에 형성된 오목홈(24)를 포함하며, 타측 연결부(30)는 그 선단부가 인접하는 패널의 산형부(22)를 향해 벽체(1)로부터 이격되어 산형부(22)를 타고 넘도록 된 돌출절곡부(32)와, 이 돌출절곡부(32)의 선단부에서 내향절곡되며 상기 산형부(22)의 오목홈(24)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걸림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패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건축용 외장패널 {Decoration panel}
본 고안은 건축용 외장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히는 패널의 조립이 신속하고 용이하면서도 시공의 오차의 발생이 적으며, 오염물질의 부착이 적어서 외관이 미려하고 위생적이 새로운 구조의 외장패널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전원주택이나 기타의 건물의 외장패널로서, 기설치된 벽체에 마감재로서 금속재 또는 수지재 사이딩패널이나 기타의 외장패널이 부착되어 시공된다. 도 1은 종래의 이러한 외장패널의 구조를 보여주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1)에 경사진 톱니형상의 단면을 가진 외장패널(2)이 연결부(5)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벽에 부착된다. 이러한 외장패널(2)의 연결부(5)는 일단에 볼트체결용 통공(6)이 형성되고 그 내측으로는 대략 S자형상의 단면을 가진 S자만곡부(7)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외장패널의 타단부에 절곡형성된 걸림부(8)가 S자만곡부(7)에 끼워져서 조립된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외장패널(2)은 인접하는 외장패널의 걸림부(8)가 끼워지는 S자만곡부(7)의 결합부위의 유격이 상대적으로 크게 형성되므로, 인접패널의 걸림부(8)가 패널의 S자만곡부(7)에 정밀하게 위치설정되지 못하므로, 외장패널의 조립시에 조립오차가 많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시공의 정밀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이러한 외장패널은 나무판자의 형상을 보여주기 위해 돌출된 톱니형상의 단면부의 돌출단부(3)가 외부로 많이 돌출되므로, 이 부분에 흙이나 이물질 등의 오염물질(3)이 잘 부착되어 떨어지지 않아서, 외장패널의 외관이 전체적으로 지저분하여 미관상 바람직스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건축용 외장패널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시공이 신속용이하면서도 시공오차의 발생이 적고, 패널의 외부면에 먼지나 흙 등의 이물질이 잘 부착되지 않아서 외관상으로도 미려한 새로운 구조의 건축용 외장패널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외장패널의 예시도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벽체 10. 외장패널
12. 본체부 20. 연결부
22. 산형부 24. 오목홈
30. 연결부 32. 돌출절곡부
34. 걸림부
본 고안에 따르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제작되며 건물의 벽체(1)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건축용 외장패널(10)에 있어서, 상기 외장패널(10)은 절곡형성되는 본체부(12)와 이 본체부(12)의 양단에 형성되는 연결부(20,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20,30) 중 일측의 연결부(20)는 본체부(12)의 단부에서 내향절곡되어 본체부(12) 패널면를 향해 돌출되는 산형부(22)와, 이 산형부(22)의 일측 경사면에 형성된 오목홈(24)를 포함하며, 타측 연결부(30)는 그 선단부가 인접하는 패널의 산형부(22)를 향해 벽체(1)로부터 이격되어 산형부(22)를 타고 넘도록 된 돌출절곡부(32)와, 이 돌출절곡부(32)의 선단부에서 내향절곡되며 상기 산형부(22)의 오목홈(24)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걸림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패널이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본체부(12)는 벽체(1)에 밀착되는 오목평탄부(13)와 벽체(1)에서 이격되는 돌출평탄부(15)와, 상기 오목평탄부(13)와 돌출평탄부(15)를 연결하는 경사부(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패널이 제공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와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구성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성형되는 외장패널(10)은 소정의 단면형태로 절곡형성된 본체부(12)와, 이 본체부(12)의 양단부에 형성되는 연결부(20,30)로 이루어진다. 연결부(20,30) 중 일측의 연결부(20)는 벽체로부터 이격되도록 돌출된 본체부(12)의 일단에서 내향 절곡된 후에 다시 본체부(12)의 패널면을 향해서 돌출된 단면 산형상의 산형부(22)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이 산형부(22)의 일측 경사면에는 오목홈(24)이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외장패널(10)의 타측 연결부(30)는 인접하는 외장패널(10)의 산형부(2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선단부가 벽체(1)로부터 이격된 돌출절곡부(32)로 이루어진다. 즉, 이 돌출절곡부(32)는 인접하는 산형부(22)가 탄성적으로 삽입될 수 있을 정도의 간격을 두고 벽체(1)로부터 이격되며, 그 형상은 대체로 산형부(22)와 비슷한 산형상으로 되어 산형부(22)를 타고 넘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돌출절곡부(32)의 형상은 도시된 형상으로 국한되지 않으며, 탄성변형되면서 산형부(22)를 타고 넘을 수 있는 임의의 다른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돌출절곡부(32)의 선단부에는 내향절곡되어 이루어진 걸림부(34)를 포함하는데, 이 걸림부(34)는 돌출절곡부(32)가 탄성변형되면서 산형부(22)를 타고 넘을 때, 산형부(22)의 오목홈(24)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이 때, 돌출절곡부(32)의 걸림부(34)는 산형부(22)의 오목홈(24)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므로, 이러한 탄성결합은 거의 유격이 없이 결합되므로, 시공시의 오차가 적다. 한편, 시공시에는 외장패널(10)의 산형부(22)를 돌출절곡부(32)의 벽체와의 이격된 공간부로 밀어넣으면 원터치식으로 걸림부(34)가 오목홈(24)에 결합되므로, 시공이 매우 간편하게 된다.
한편, 이 돌출절곡부(32)의 본체부(12)로부터 절곡된 절곡단부(35)은 길게 연장되어 벽체(1)에 볼트(36)로 체결된다.
한편, 외장패널(10)의 본체부(12)의 전체적인 형상은 연결부(30)에 이어지며 벽체(1)에 밀착되는 오목평탄부(13)와, 이 오목평탄부(13)에서 경사지게 상승되는 경사부(14) 및 이 경사부(14)의 상단에서 평탄하게 연장되는 돌출평탄부(15)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고안의 외장패널의 형태는 본체부(12)의 돌출된 부분이 종래의 외장패널과 같이 뾰족하게 연장되어 외부로 크게 돌출되지 않고, 돌출부가 절취된 것처럼 평탄한 돌출평탄부(15)로 이루어지므로, 흙이나 먼지 기타 이물질이 낙하되면서 부착될 공간이 줄어들므로, 외장패널의 외부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적되는 것이 감소된다. 따라서, 외장패널의 외관이 오염물질에 의해 지저분하지 않고 깔끔하고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하나의 외장패널유닛의 본체부(12)에 오목평탄부(13)와 돌출평탄부(15)가 두개씩 배치되어 패널의 면적을 두배로 확장한 것을 보여준다.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본 고안의 특징적인 연결부의 구조 및 본체부의 구조를 가지면서 그 크기나 규격은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외장패널의 일측 연결부에 산형부(22)와 오목홈(24)을 형성하고, 타측 연결부에는 상기 산형부(22)를 타고 넘어서 원터치로 결합되는 걸림부(34)를 구비한 돌출절곡부(32)를 형성함으로써, 인접패널의 산형부(22)를 미리 설치된 패널의 돌출절곡부(32)로 밀어넣으면 산형부(22)의 오목홈(24)에 돌출절곡부(32)의 걸림부(34)가 탄성결합되어 조립이 완성된다. 따라서, 시공이 매우 간편해지고, 오목홈(24)과 걸림부(34)의 탄성결합은 유격이 적은 구조로 이루어져서 시공오차가 작게 된다.
또한, 외장패널(10)의 본체부(12)를 종래와 같이 뾰족한 톱니형상이 외부로 연장되지 않고, 평탄한 돌출평탄부(15)가 외부로 돌출되므로, 그 만큼 벽체 외부로의 돌출길이가 상대적으로 적어서, 외장패널(10)의 본체부(12)에 먼지나 흙 기타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침적될 가능성이 작으므로, 패널의 외관이 깔금하고 청결하게 유지되어 시공된 구조물의 외관이 미려하고 단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Claims (2)

  1.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로 성형제작되며 건물의 벽체(1)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건축용 외장패널(10)에 있어서, 상기 외장패널(10)은 절곡형성되는 본체부(12)와 이 본체부(12)의 양단에 형성되는 연결부(20,30)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20,30) 중 일측의 연결부(20)는 본체부(12)의 단부에서 내향절곡되어 본체부(12) 패널면를 향해 돌출되는 산형부(22)와, 이 산형부(22)의 일측 경사면에 형성된 오목홈(24)를 포함하며, 타측 연결부(30)는 그 선단부가 인접하는 패널의 산형부(22)를 향해 벽체(1)로부터 이격되어 산형부(22)를 타고 넘도록 된 돌출절곡부(32)와, 이 돌출절곡부(32)의 선단부에서 내향절곡되며 상기 산형부(22)의 오목홈(24)에 탄성적으로 결합되는 걸림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2)는 벽체(1)에 밀착되는 오목평탄부(13)와 벽체(1)에서 이격되는 돌출평탄부(15)와, 상기 오목평탄부(13)와 돌출평탄부(15)를 연결하는 경사부(1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외장패널.
KR20-2004-0025550U 2004-09-06 2004-09-06 건축용 외장패널 KR2003682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550U KR200368279Y1 (ko) 2004-09-06 2004-09-06 건축용 외장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5550U KR200368279Y1 (ko) 2004-09-06 2004-09-06 건축용 외장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279Y1 true KR200368279Y1 (ko) 2004-11-18

Family

ID=49352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5550U KR200368279Y1 (ko) 2004-09-06 2004-09-06 건축용 외장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27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249B1 (ko) * 2012-02-08 2012-10-12 롯데건설 주식회사 건식벽체 스터드의 원터치 결착구조
KR101198370B1 (ko) 2009-12-11 2012-11-07 주식회사 디엔피 주방용 패널 및 패널 설치구조
KR20200114458A (ko) 2019-03-28 2020-10-07 이상미 결합부재와 결합부재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8370B1 (ko) 2009-12-11 2012-11-07 주식회사 디엔피 주방용 패널 및 패널 설치구조
KR101190249B1 (ko) * 2012-02-08 2012-10-12 롯데건설 주식회사 건식벽체 스터드의 원터치 결착구조
KR20200114458A (ko) 2019-03-28 2020-10-07 이상미 결합부재와 결합부재를 이용한 건축용 외장 패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5495B2 (en) Mop with attached scrubber
KR200456095Y1 (ko) 건목 스타터 및 그것을 사용한 시공 구조
KR200368279Y1 (ko) 건축용 외장패널
US6892415B2 (en) Mop with attached scrubber
AU2006201028B2 (en) An improved cleaning element for brooms or brushes
KR200368280Y1 (ko) 볼트은폐식 외장패널
JP5575568B2 (ja) 止水材
JP4711888B2 (ja) 長押
KR200213669Y1 (ko) 콘테이너박스 외벽구조
JP2006265985A (ja) 巾木
JP4178054B2 (ja) 化粧材取付具及びそれを用いた化粧材取付構造
KR200144796Y1 (ko) 천정 패널
JP7409915B2 (ja) 竪樋固定具及び竪樋取り付け構造
KR20010008080A (ko) 걸레받이의 장착구조
KR200224329Y1 (ko) 걸레받이의 장착구조
KR100796563B1 (ko) 장식부재 및 끼움홈이 형성된 문틀의 구조
JP4394300B2 (ja) 出隅材取付具、出隅材及び出隅材取付構造
JPS61157633U (ko)
JP3067322U (ja) スポンジクリ―ナと柄取り付け部材の組立品及び柄付きスポンジクリ―ナ
KR200410819Y1 (ko) 건축내외장용 부재
KR200264151Y1 (ko) 후면에 접착 보강홈을 갖는 걸레받이
KR100579952B1 (ko) 차량의 웨이스트 라인 몰딩 부착 구조
JP3547829B2 (ja) 竪樋取付具
JP2001327418A (ja) 浴槽のエプロン取付構造
KR100349796B1 (ko) 손 보호 구조를 구비하는 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