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8003Y1 - A snow-board - Google Patents

A snow-boar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8003Y1
KR200368003Y1 KR20-2004-0024583U KR20040024583U KR200368003Y1 KR 200368003 Y1 KR200368003 Y1 KR 200368003Y1 KR 20040024583 U KR20040024583 U KR 20040024583U KR 200368003 Y1 KR200368003 Y1 KR 2003680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owboard
riding
present
stop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5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철수
Original Assignee
강철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철수 filed Critical 강철수
Priority to KR20-2004-0024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8003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8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8003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4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 A63C5/044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of the running 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5/00Skis or snowboards
    • A63C5/04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 A63C5/0417Structure of the surface thereof with fins or longitudinal protrusions on the running so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노우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의 접설면 하부에 레일을 형성함으로서, 사용자가 라이딩을 할 때 진행방향을 쉽게 제어할 수 있고, 라이딩을 멈추고 정지하고자 할 때에는 마찰을 증가시켜 정지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스노우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board,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a rail under the tangential surface of the body,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direction of travel when riding, increase the friction when you want to stop and stop ri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board that can be easily controlle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stop.

Description

스노우보드{A SNOW-BOARD}Snowboarding {A SNOW-BOARD}

본 고안은 스노우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의 접설면 하부에 레일을 형성함으로서, 사용자가 라이딩을 할 때 진행방향을 쉽게 제어할 수 있고, 라이딩을 멈추고 정지하고자 할 때에는 마찰을 증가시켜 정지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스노우보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board, more specifically, by forming a rail under the tangential surface of the body,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direction of travel when riding, increase the friction when you want to stop and stop rid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nowboard that can be easily controlled according to a user's intention 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stop.

스노우보드는 스키에 비하여 장비가 간단하고 라이딩이 역동적이어서 젊은 세대에게 큰 인기를 얻어 대표적인 겨울 레저 스포츠의 하나로 발전하고 있다.Snowboarding is becoming one of the most popular winter leisure sports with its simple equipment and dynamic riding compared to skiing.

도 1은 종래의 스노우보드를 하부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종래의 스노우보드는 양 끝단이 약간 굴곡되게 형성된 몸체(12)로 형성된다. 상기 몸체(12)는 플레이트 또는 데크라고도 호칭하는데, 스노우보드의 진행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몸체(12)의 앞쪽의 굴곡된 부분을 노우즈라고 하고, 뒷쪽의 굴곡된 부분은 탭이라고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가 노면에 접촉되는 부분을 접설면이라고 한다.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몸체(12)의 접설면 상부에 사용자의 부츠를 고정하도록 바인딩을 설치하여 양쪽 발이 몸체(12)를 벗어나지 않도록 고정된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nowboard from below. According to Figure 1, the conventional snowboard is formed of a body 12 formed so that both ends are slightly curved. The body 12 is also referred to as a plate or deck, the curved portion of the front of the body 12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the snowboard is called a nose, the rear curved portion is called a tab. And the part that the body is in contact with the road surface is called the folding surface. Although not shown, by installing a binding to secure the user's boots on the folding surface of the body 12, both feet are fixed so as not to leave the body 12.

그런데 상기 몸체는 마찰을 줄여서 라이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상기 노우즈와 탭이 약간 굴곡되어 있고 접설면은 일반적인 평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진행방향을 제어하거나 정지를 하고자 할 때 보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는 별다른 장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자의 운동감각과 경험에 의존하게 되어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약간만 이동하여도 진행방향이 바뀌어버리기 때문에 초보자의 경우 스노우보드 타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 쉽지 않았다.By the way, the nose and the tab is slightly bent and the folded surface is formed in a general flat shape so as to facilitate riding by reducing friction. Therefore, there is no device installed to assist the user in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r when the user wants to stop, so that the user is dependent on the user's motion and experience. Therefore, even if the user's center of gravity shifts slightly, the direction of travel changes, making it difficult for beginners to learn how to ride a snowboard.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몸체의 접설면 하부에 레일을 형성함으로서, 사용자가 라이딩을 할 때 진행방향을 쉽게 제어할 수 있고, 라이딩을 멈추고 정지하고자 할 때에는 마찰을 증가시켜 정지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스노우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orm a rail under the folded surface of the body,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direction of travel when riding, to stop and stop riding To reduce the time it takes to stop by increasing the friction to provide a snowboard that can be easi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도 1은 종래의 스노우보드를 하부에서 도시하는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nowboard from below.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를 하부에서 도시하는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wboard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를 하부에서 도시하는 단면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nowboard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를 하부에서 도시하는 단면도.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nowboard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 snowbo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of a snow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종래의 스노우보드10: conventional snowboard

12: 몸체 14: 레일12: body 14: rail

20: 본 고안의 스노우보드20: snow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스노우보드는 라이딩을 할 때 방향을 쉽게 제어하도록 방향키의 역할을 하고, 라이딩을 멈출 때에는 마찰면을 증가시켜 정지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반응성을 향상시키도록, 몸체 하부에 레일이 설치되는데, 상기 레일은 스노우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접설면 양쪽에 각각 설치된다.상기 접설면 양쪽에 설치되는 레일 각각은 스노우보드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다수개의 레일을 포함하여 쌍을 이루어 형성될 수 있다.상기 접설면 양쪽에 설치되는 레일 각각은 다수개의 짧은 레일 단편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snow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as a direction key to easily control the direction when riding, and increase the friction surface when stopping riding to reduce the time required to stop to improve the responsiveness Rails ar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body, and the rails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olding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nowboard. Th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olding surface may be formed by a plurality of short rail segments continuous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스노우보드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snow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를 하부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따르면, 본 고안의 스노우보드는 라이딩을 할 때 방향을 쉽게 제어하도록 방향키의 역할을 하고, 라이딩을 멈출 때에는 마찰면을 증가시켜 정지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반응성을 향상시키도록, 몸체(12) 하부에 레일(14)이 설치되는데, 상기 레일(14)은 스노우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접설면 양쪽에 각각 설치된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wboard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ure 2, the snow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as a direction key to easily control the direction when riding, to increase the friction surface when stopping riding to reduce the time required to stop, to improve the responsiveness, A rail 14 is installed below the body 12, and the rails 14 are respective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olded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nowboard.

종래의 스노우보드는 몸체의 접설면 하부가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무게 중심이 이동함에 따라 쉽게 미끄러져서 어느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지 예측하기가 힘들어, 초보자들이 익히기에는 어려움이 많았다.본 고안에서는 몸체(12)의 접설면 하부에 레일(14)을 형성함으로서, 라이딩을 할 때는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방향키의 역할을 하고, 라이딩을 멈출 때는 마찰면을 증가시켜 정지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즉시적으로 방향을 제어하거나 정지할 수 있어 사용이 쉽고 편리하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snowboard, the lower part of the contact surface of the body is formed in a flat shape, so that it is difficult to predict in which direction it slides easily as the user's center of gravity moves, which is difficult for beginners to learn. By forming the rail 14 under the folded surface of the body 12, it acts as a direction key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ravel when riding, and increase the friction surface when stopping riding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to stop Act to make it work. Therefore, the direction can be controlled or stopped immediatel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f the user, making it easy and convenient to use.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를 하부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에 따르면, 상기 접설면 양쪽에 설치되는 레일 각각은 스노우보드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다수개의 레일을 포함하여 쌍을 이루도록 형성된다.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레일을 설치하면, 라이딩 및 정지시 작용하는 저항이 더 커지므로, 진행방향 제어와 정지가 더 쉽게 이루어진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wboard from belo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ure 3, each of th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olding surface is formed to form a pair including a plurality of long rai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nowboard. When a plurality of rails are installed as shown, when the ride and stop The greater the resistance, the easier the direction control and stop are made.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를 하부에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따르면, 상기 접설면 양쪽에 설치되는 레일 각각은 다수개의 짧은 레일 단편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다수개가 설치되어 형성된다.따라서 레일이 일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에 비하여 라이딩을 멈출 때의 저항은 다소 감소하게 되지만, 라이딩을 하는 동안 속도감은 높이게 되는 장점이 있다.그러므로 상기 레일의 형상에 따라서 제어의 간편성과 속도감 중 원하는 기능을 강조하도록 선택할 수도 있다.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레일(14)의 바닥면은 라운딩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레일(14)의 바닥면을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서, 레일(14)에 마찰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하고, 몸체(12)의 바닥면 전체에 마찰력이 작용하게 된다. 또한, 라이딩을 할 때도 스노우보드의 진행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스노우보드의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따르면, 상기 레일의 바닥면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의 수가 적을수록 라이딩시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데에는 유리하지만 레일에 마찰력이 집중되어 안정성은 저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속도감과 제어성, 및 안정성을 고려하여 상기 레일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고안의 레일은 스키의 플레이트 하부에도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nowboard from below,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ure 4, each of the rail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olding surface is formed by a plurality of short rail pieces are continuous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Therefore, the resistance when stopping riding is somewhat compared to the rail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Although it is reduc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peed is increased while riding. Therefor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rail, it may be selected to emphasize the desired function of the ease of control and the speed. FIG. 5 show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ectional drawing which shows the cross section of a snowboard. According to FIG. 5,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14 is formed in a round shape. By form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14 into a curved surface, the frictional force is prevented from being concentrated on the rail 14, and the frictional force acts on the entir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2.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control the progress of the snowboard even when riding. Figure 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the snowboar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Figure 6,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is formed in a polygonal shape. The smaller the number of angles, the more advantageous it is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ravel when riding, but the frictional force is concentrated on the rail, which may reduce stability.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form the bottom surface of the rail in consideration of the sense of speed, controllability, and stability. Although not shown, the rail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formed and used on the lower plate of the ski.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고안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다. 본 고안의 실용신안청구범위를 구성하는 부가적인 특징과 장점들이 이하에서 상술될 것이다. 개시된 본 고안의 개념과 특정 실시예는 본 고안과 유사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다른 구조의 설계나 수정의 기본으로서 즉시 사용될 수 있음이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인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has outlined rather broadly the features and technical advantages of the subject innovation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utility model claims of the subject matter described below. Additional features and advantages constituting the utility model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t should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conce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ly disclosed subject matter can be used immediately as a basis for designing or modifying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similar purposes as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고안에서 개시된 고안 개념과 실시예가 본 고안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서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된 사람에 의한 그와 같은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기술한 고안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ventive concept and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s a basis for modifying or designing other structures for carrying out the sam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such modifications or altered equivalent structure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be variously changed, substituted and chang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utility model claims.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스노우보드는 몸체의 접설면 하부에 레일을 형성함으로서, 사용자가 라이딩을 할 때 진행방향을 쉽게 제어할 수 있고, 라이딩을 멈추고 정지하고자 할 때에는 마찰을 증가시켜 정지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서 쉽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nowbo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rail under the folded surface of the body, so that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traveling direction when riding, and stops by increasing friction when stopping and stopping the riding. By reducing the time required to do,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controlled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Claims (3)

스노우보드에 있어서,In snowboarding, 라이딩을 할 때 방향을 쉽게 제어하도록 방향키의 역할을 하고, 라이딩을 멈출 때에는 마찰면을 증가시켜 정지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여 반응성을 향상시키도록, 몸체(12) 하부에 레일(14)이 설치되는데,The rail 14 acts as a direction key to easily control the direction when riding, and increases the friction surface when stopping to reduce the time required to stop, thereby improving responsiveness. Installed, 상기 레일(14)은 스노우보드의 길이방향으로 접설면 양쪽에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The rails 14 are snowboard, characterized in that each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olded surfa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nowboar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설면 양쪽에 설치되는 레일 각각은 스노우보드의 길이방향으로 기다란 다수개의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Each of the rail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olding surface includes a plurality of rails that ar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nowboard. 제 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접설면 양쪽에 설치되는 레일 각각은 다수개의 짧은 레일 단편이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노우보드.Each of the rail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folding surface is a snowboard,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short rail pieces are continuously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KR20-2004-0024583U 2004-08-27 2004-08-27 A snow-board KR20036800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583U KR200368003Y1 (en) 2004-08-27 2004-08-27 A snow-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583U KR200368003Y1 (en) 2004-08-27 2004-08-27 A snow-boar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8003Y1 true KR200368003Y1 (en) 2004-11-17

Family

ID=49441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583U KR200368003Y1 (en) 2004-08-27 2004-08-27 A snow-boar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8003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885B1 (en) 2020-02-20 2021-04-05 박유란 Snowboard having braking func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6885B1 (en) 2020-02-20 2021-04-05 박유란 Snowboard having braking func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74868A (en) Modified snowboard
US5580078A (en) Double-edged snowboard
US4223909A (en) Ski with improved three-dimensional running surface
JP2010525888A (en) snow board
US8075014B2 (en) Snowboard or ski or the like having a channeled edge or multiple element edge
JP2004534626A (en) Carving small sled
US6254111B1 (en) Snowboard with braking maneuvering and bindings features
KR200368003Y1 (en) A snow-board
EP2921208B1 (en) Snow sliding device
JP3055995U (en) Slide board
KR20090011136U (en) Snow board with flexural supplementary improvement plate
US6308978B1 (en) Attachment for a snowboard for learning snowboard skiing
US20030141700A1 (en) Ski
JP3074096U (en) snow board
KR20100089435A (en) Snow board with flexural supplementary plate
JP3919523B2 (en) Snow slide
US20040161985A1 (en) Novel water sport device
KR200336404Y1 (en) Snow board
US20190247735A1 (en) Snowboard, assembly, and training accessory
JPS62261379A (en) Structure of ski board
KR200169741Y1 (en) Water skis
KR200376060Y1 (en) Inline sledge
KR20210062261A (en) Prefabricated multi-functional sled
KR200378783Y1 (en) A snow board
KR101665348B1 (en) Snowboard having tension adjusting fun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