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842Y1 -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842Y1
KR200367842Y1 KR20-2004-0024685U KR20040024685U KR200367842Y1 KR 200367842 Y1 KR200367842 Y1 KR 200367842Y1 KR 20040024685 U KR20040024685 U KR 20040024685U KR 200367842 Y1 KR200367842 Y1 KR 20036784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plate
fixed
top plate
r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국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24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84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84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842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드형 휴대폰 잠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판과 하판을 갖고 상판이 하판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개방되는 형태의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상판상의 액정표시화면과 멀티키 사이의 공간상에 설치된 누름노브와; 상기 누름노브와 연결되고 상기 상판을 관통하여 배설된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가 관통된 상판의 내면 일부에 고정된 걸림턱과; 상기 하판상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며 상기 작동로드와 접촉가능하게 배설된 회동자와; 상기 회동자의 힌지 대향단 하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판상에 고정되어 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슬라이드형 휴대폰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판의 개방상태를 미연에 방지하므로 휴대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슬라이드의 동작을 제한하게 되어 가이드레일의 수명도 연장되며, 궁극적으로는 휴대폰 사용환경을 고양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LOCKING DEVICE OF SLIDE TYPE MOBILE PHONE}
본 고안은 슬라이드형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휴대폰의 상판과 하판이 슬라이딩되면서 개방되어 사용가능한 상태에 놓이게 하도록 개선된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란 기지국, 기지국제어국 및 교환국으로 구성되는 이동통신시스템에 의하여 대국과 음성데이터를 주고 받는 기기를 말하며, 최근에는 정보통신 기술의 비약적인 발달로 단순히 음성만을 송수신하는 기능 이외에도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된 휴대폰들이 출시되고 있다.
예컨대, 도 1은 휴대폰의 폴더 개폐방식이 변형된 일 예를 보여 주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의 상판(10)이 하판(20)에 형성된 가이드레일(미도시)을 따라 상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휴대폰을 통화가능상태로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판(10)에는 액정표시화면(12)과 멀티키(메뉴키)(14)가 마련되고, 하판(20)에는 숫자키(22)와 특수키(24)가 마련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휴대폰은 상판(10)과 하판(20)을 잠금시키는 특별한 키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가 주머니 혹은 가방과 같은 곳에 보관하고 다닐때 사용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상판(10)이 슬라이딩되어 유동됨으로써 불필요한 동작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전류의 소모가 급증하여 휴대폰 사용환경이 취약하다는 단점이 파생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한 것으로, 상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별도의 잠금수단을 마련하여 사용자가 필요로 할 때에만 상판을 유동시켜 개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폰사용환경을 고양시키도록 한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잠금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사용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잠금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인 개략적인 모식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상판 12....액정표시화면
14....멀티키 20....하판
22....숫자키 24....특수키
30....잠금장치 32....노름노브
34....작동로드 36....걸림턱
38....회동자 40....힌지
42....탄성스프링
본 고안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상판과 하판을 갖고 상판이 하판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개방되는 형태의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상판상의 액정표시화면과 멀티키 사이의 공간상에 설치된 누름노브와; 상기 누름노브와 연결되고 상기 상판을 관통하여 배설된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가 관통된 상판의 내면 일부에 고정된 걸림턱과; 상기 하판상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며 상기 작동로드와 접촉가능하게 배설된 회동자와; 상기 회동자의 힌지 대향단 하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판상에 고정되어 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를 제공함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잠금장치를 이용한 휴대폰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잠금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인 개략적인 모식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 잠금장치는 상판(10)과 하판(20)에 모두 구비된다.
이때, 상판(10)과 하판(20)은 기존과 동일한 구성을 갖도록 구성되는 바, 예컨대 상판(10)에는 액정표시화면(12) 및 멀티키(14)가 마련되고, 하판(20)에는 1~9 및 0의 숫자키(22)와 #, * 등의 특수키(24)가 마련된다.
잠금장치(30)는 상판(10)상의 설치된 누름노브(32)와, 상기 누름노브(32)와 연결되고 상기 상판(10)을 관통하여 배설된 작동로드(34)와, 상기 작동로드(34)가 관통된 상판(10)의 내면 요부에 고정된 걸림턱(36)과, 상기 작동로드(34)에 의해 탄성유동되도록 하판(20)상에 설치된 회동자(38)와, 상기 회동자(38)를 회동가능하게 고정하는 힌지(40)와, 상기 힌지(40) 대향단 하면을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42)으로 구성된다.
누름노브(32)는 사용자의 손가락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어 압하력을 받는 부재이다.
이때, 상기 누름노브(32)는 그 동작의 유연성과 외적 심미감을 고려하여 도시와 같이 양단이 뾰족하고 중앙부가 두터운 타원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누름노브(32)는 상판(10)에 마련된 액정표시화면(12)과 멀티키(14) 사이의 공간상에 배치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작동로드(34)는 봉상의 로드가 바람직하며, 그 형상에 있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작동로드(34)가 관통되는 상판(10) 내부에는 코일스프링(미도시)이 개재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작동로드(34)는 도시되지 않은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자체 탄성복귀력을 갖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도 3의 도시와 같이 코일스프링을 구비하지 않고도 설치가능함은 물론이다.
회동자(38)는 그 일단이 하판(20)상에 힌지(4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구조를 취하게 되며, 그 타단은 상판(10) 내면에 마련된 걸림턱(36)에 걸림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힌지(40)는 축에 의해 고정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탄성스프링(42)은 상기 회동자(38)의 힌지(40) 대향단 하면에 일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하판(20)에 고정된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휴대폰을 이용하여 통화 기타 부대 서비스를 수행하지 않고 주머니 혹은 가방 등에 보관할 경우에는 상판(10)이 하방향으로 최대한 이동되어 위치한 상태, 즉 상판(10)의 하단과 하판(20)의 하단이 서로 일치되어 있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에는 회동자(38)의 하단 일부가 상판(10)상에 마련된 걸림턱(36)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약간의 충격이나 밀림력(상판이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려고 하는 힘)을 받게 되더라도 상기 걸림턱(36)이 회동자(38)에 로킹되어 있으므로 쉽게 상향이동되지 못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통화를 위해 상판(10)을 밀어올리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을 누름노브(32)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을 가하여 누르게 되면 그와 연결된 작동로드(34)가 상판(10)에서 하판(20)으로 위치이동되면서 회동자(38)와 접촉되게 되고, 가압력을 받은 회동자(38)는 힌지(40)를 중심으로 회동되면서눌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탄성스프링(42)은 회동자(38)의 일단에 의해 압축되면서 탄성에너지를 갖게 되고, 상기 누름노브(32)에 가해진 압하력이 제거되게 되면 상기 탄성스프링(42)의 탄성에너지, 즉 복귀력에 의해 회동자(38)는 원래 위치로 되돌아가 초기 상태와 같은 잠금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슬라이드형 휴대폰에서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상판의 개방상태를 미연에 방지하므로 휴대폰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나아가 슬라이드의 동작을 제한하게 되어 가이드레일의 수명도 연장되며, 궁극적으로는 휴대폰 사용환경을 고양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2)

  1. 상판과 하판을 갖고 상판이 하판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개방되는 형태의 휴대폰에 있어서;
    상기 상판상의 액정표시화면과 멀티키 사이의 공간상에 설치된 누름노브와;
    상기 누름노브와 연결되고 상기 상판을 관통하여 배설된 작동로드와;
    상기 작동로드가 관통된 상판의 내면 일부에 고정된 걸림턱과;
    상기 하판상에 일단이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턱에 걸림되며 상기 작동로드와 접촉가능하게 배설된 회동자와;
    상기 회동자의 힌지 대향단 하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하판상에 고정되어 이를 탄성지지하는 탄성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에는 그것이 관통배설되는 상판과의 사이에서 탄성복귀력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
KR20-2004-0024685U 2004-08-28 2004-08-28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 KR20036784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685U KR200367842Y1 (ko) 2004-08-28 2004-08-28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685U KR200367842Y1 (ko) 2004-08-28 2004-08-28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842Y1 true KR200367842Y1 (ko) 2004-11-16

Family

ID=4944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685U KR200367842Y1 (ko) 2004-08-28 2004-08-28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84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125A (ko) * 2005-04-07 2006-10-13 김중철 팝업형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7125A (ko) * 2005-04-07 2006-10-13 김중철 팝업형 힌지모듈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0910B2 (ja)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用モジュール
KR100735304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662869B1 (ko) 단말기
WO2003021913A3 (en) Telephone set having a touch pad device
KR200308165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US7142667B2 (en) Self operating opening mechanism for use in hand-held electronic device
KR200367842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
KR200338957Y1 (ko) 슬라이드식 휴대폰의 활주모듈.
KR20100084325A (ko) 팝업 키패드 구조의 슬라이드 휴대폰
KR1008536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식 개폐장치
KR100756907B1 (ko) 전자기기용 개폐장치의 슬라이딩 구조
JP2012022793A (ja) シートスイッチ及び入力装置
KR200375891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86639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100824816B1 (ko) 상하방향으로 개폐되는 슬라이드형 폰의 구동장치
KR101103021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개폐 장치
KR1007158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용승가능한 키패드
KR100986776B1 (ko)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식 힌지 장치
KR101042818B1 (ko) 휴대단말기의 슬라이딩 키패드 장치
KR200218486Y1 (ko) 자석을 이용한 휴대폰용 플립개방장치
KR101175223B1 (ko) 슬라이드 타입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KR100642475B1 (ko) 2단 키패드부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904074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식 힌지장치
KR100704973B1 (ko) 휴대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KR19990010399A (ko) 복합입력방식의 플립형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