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15812B1 - 이동통신단말기의 용승가능한 키패드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용승가능한 키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15812B1
KR100715812B1 KR1020050136001A KR20050136001A KR100715812B1 KR 100715812 B1 KR100715812 B1 KR 100715812B1 KR 1020050136001 A KR1020050136001 A KR 1020050136001A KR 20050136001 A KR20050136001 A KR 20050136001A KR 100715812 B1 KR100715812 B1 KR 100715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pad
sliding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6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6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158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5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58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8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keyboard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키패드부분이 자동적으로 용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용승가능한 키패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는, 단말기의 본체에 구비되며 다수의 숫자 또는 문자가 자판되고 내측 소정의 기울기가 형성되어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조립되는 키패드와, 키패드의 기울기를 따라 상기 키패드를 용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받침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아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로 구성된다.
휴대폰, 키패드, 승강, 슬라이딩, 숫자키, 스프링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용승가능한 키패드{Rising key-pa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멀티키부분을 오픈하였을 경우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를 측면에서 본 경우을 보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키패드부분만의 구조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받치는 받침판의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을 위한 구조를 보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키부분만이 아래방향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키패드가 용승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 주요 도면의 부호설명 ]
100 : 멀티키부 110 : 단말기상체
112 : 디스플레이패널 120 : 슬라이딩부
130 : 단말기하체 200 : 키패드
300 : 슬라이딩면 311 : 레일홈
323 : 받침판 400 : 챔퍼(Chamfer)
410 : 안치부 610 : 밴딩스프링
본 발명은 슬라이딩시 키패드를 용승시키는 이동통신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이동통신단말기에는 문자나 기호를 입력하기 위하여 키패드를 가지고 있고, 이러한 키패드는 항상 고정되어 있다. 물론 키패드는 메탈돔구조에 의하여 키동작이 이루어진다.
일반적인 슬라이드방식의 이동통신단말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이동통신단말기는 전면에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폴더가 있고, 이 폴더와 연결되어 각종 회로부품과 키패드가 구성된 본체를 갖는다.
그리고 폴더의 하단에는 간단하게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멀티키부분이 구성된다. 이와 동일한 위치에 키패드가 본체에 구성된다. 따라서 폴더가 위쪽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키패드가 노출되어 사용이 가능해지게 된다. 즉 폴더의 개폐에 따라 키패드가 노출되기도 하고, 은닉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방식의 키패드는 항상 고정되어 있게 되므로 키패드의 스트로크가 일정하게 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키패드 메탈돔구조로 되어 있어 일정한 힘을 가해야만 스위치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런데 종래방식에 의할 경우 스토르크하는 손가락의 위치가 위쪽에 있게 되므로 키패드가 작동되지 않아 사용자는 스토르크하는데 더 많은 힘을 가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방식의 경우 키패드를 한 곳에 고정하게 되므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키패드부분이 자동적으로 용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용승가능한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키패드를 한 곳에 고정시키지 않으므로 단말기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용승가능한 키패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말기의 본체에 구비되며 다수의 숫자 또는 문자가 자판되고 내측 소정의 기울기가 형성되어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탄성부재와 조립되는 키패드와, 키패드의 기울기를 따라 상기 키패드를 용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받침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아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단말기를 제공한다.
이때, 받침판은 상기 슬라이딩부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상기 키패 드를 라이딩(Riding)시키기 위해 측면방향에서 보면 전면에 기울기가 있는 빗변사각형모양의 형상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키패드는 받침판의 빗변사각형모양의 형상을 역으로 가지도록 빗변이 형성되는 챔퍼와 빗변사각형의 등변에 정합되는 안치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슬라이딩부가 단말기의 본체상에서 일정궤도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면에 레일모양의 형상이 형성되고, 이 레일모양의 형상에 형합하여 상기 슬라이딩부가 일직선상으로 일정궤도를 움직이도록 하는 레일홈모양의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받침판은 슬라이딩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슬라이딩부가 완전히 슬라이딩되었을 경우 상기 키패드가 상기 받침판의 등면에 완전히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슬라이딩부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키패드를 아래쪽 방향으로 눌러서 하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밴딩스프링을 두어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키패드부분이 자동적으로 용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키패드를 한 곳에 고정시키지 않고 용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므로 단말기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슬림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이루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통신단말기는 간단한 조작키버튼을 구비하는 멀티키부(100)와, 상하로 슬라이딩되어 개폐되는 슬라이딩부(120)와, 단말기의 상부외관을 이루는 단말기상체(110)와, 단말기의 하부외관을 이루는 단말기하체(130)로 구성된다.
단말기상체(110)는 단말기하체(130)와 조립되어 고정되며,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패널(112)과 카메라(114), 그리고 이 카메라의 방향을 제어하는 조절다이얼(116)이 구성된다. 이는 일반적인 이동통신단말기의 외관을 보인 것이므로 다른 기능을 위한 부품들이 탑재가능하다.
여기서 디스플레이패널(112)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유기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OLED), 터치스크린(Touch screen) 등과 같은 표시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112)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선택하는 메뉴화면과 이에 따른 실행화면, 결과화면을 표시하게 된다.
이 단말기상체(110)와 형합되는 슬라이딩부(120)가 구성된다. 슬라이딩부(120)는 상하로 슬라이딩되면서,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키패드(미도시)를 노출시키게 된다. 오픈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 2에 도시된다. 즉 슬라이딩부(120)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키패드(200)가 나타나는 모습이다.
또한 슬라이딩부(120)에는 멀티키부(100)가 형성되어 있어 간단한 조작은 이 멀티키부(100)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하다. 여기서 멀티키(Multi-key)는 키패드(200) 를 열지 않고서도 간단히 통화를 하거나, 메시지를 확인하는 기능을 위한 기능버튼이다.
보통 슬라이드방식을 채용하고 있는 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에는 폴더에 디스플레이패널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게 되므로, 단말기의 공간을 절약하고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멀티키를 두고 있게 된다. 따라서 폴더에 있는 멀티키와 동일 위치에 단말기의 본체상에 키패드를 구성하는 구조로 되어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종래의 슬라이드방식 이동통신단말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멀티키와 키패드가 상하로 동일한 위치에 놓인다. 즉 슬라이딩부(120)에 멀티키부(100)가 구성되고 단말기하체(130)에 키패드(미도시)가 구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부(120)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 경우 단말기하체(130)의 키패드(미도시)가 노출된다.
따라서, 단말기하체(130)는 단말기상체(110)와 슬라이딩부(120)에 각각 형합되며, 각종 회로부품을 내장한다. 물론 앞서 기술한 키패드(미도시)도 내장하고 있게 된다.
이외에도 단말기에는 전원공급을 위한 배터리팩(140), 무선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50), 사진촬영을 위한 카메라(114), 이 카메라(114)의 위치를 조절하는 조절다이얼(116) 등이 구비된다.
도 2는 도 1의 이동통신단말기에서 멀티키부분을 오픈하였을 경우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슬라이딩부(120)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멀티키부(100)의 아래쪽에 숨겨져 있던 키패드(200)가 위쪽으로 용승하게 된다.
키패드(200)는 입력으로 사용되어지는 디지트버튼(0 - 9)과, 특수키버튼(*, # ....), 한글자모 또는 알파벳이 새겨진 문자키버튼,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키버튼으로 이루어진다. 물론 키패드(200)는 메탈돔구조로 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절연시트에 메탈돔들이 부착된 것으로 메탈돔들에는 전기적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스위치들이 놓이게 된다. 따라서, 메탈돔이 눌려지게 되면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하게 되어 해당 메탈돔에 해당하는 신호가 발생하게 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키패드(200)가 노출된 도면을 측면으로 보인 도면이 도 3에 도시된다. 즉 도 3은 도 2의 평면도를 측면에서 본 경우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슬라이딩면(300)을 따라 슬라이딩부(120)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를 위해 레일구조가 형성되는데, 슬라이딩면(300)은 제1점선원(310)과 같은 구조를 보이고, 이러한 슬라이딩면(300)과 형합되기 위해 슬라이딩부(120)는 제2점선원(320)과 같은 구조를 보인다.
따라서 슬라이딩면(300)에 형성된 레일(311)과 형합되기 위해 반대편의 슬라이딩부(120)에 레일홈(321)이 형성된다. 용이한 이해를 위해 제2점선원(320)을 더 설명하면, 제2점선원(320)은 슬라이딩부(120)의 양쪽에 집게모양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부재(325)의 안쪽에 형성된 모양을 단면으로 보인 것이다.
이 점선원(320)을 보면, 오른쪽에 슬라이드부재(325)가 구성되고, 왼쪽에 키패드(200)를 받치기 위한 받침판(323)이 형성된다. 여기서 키패드(200)와 받침판(323)은 일정한 챔퍼(Chamfer:빗변)를 가진다. 이를 보인 사시도가 도 4와 도 5에 도시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키패드(200)는 후면에서 본 정면사시도로써, 받침판(323)을 타고 오르기 위한 빗변형상의 챔퍼(400)가 앞쪽에 형성되고, 뒤쪽에는 비교적 평평한 부분인 안치부(410)가 형성되어 받침판(323)의 상부에 완전히 안착하게 된다. 이를 측면으로 보여주는 도면이 제3점선원(430)에 도시된다. 즉 도 4의 키패드(200)를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켜서 보면, 키패드(200)의 챔퍼(400)로부터 안착부(410)에 이르는 비탈면을 볼 수 있다.
물론 받침판(323)에도 이와 동일한 챔퍼(미부호)와 안착부(미부호)를 가진다. 이 받침판(323)은 슬라이딩부(120)의 슬라이드부재(325)에 부착되며, 이를 보이는 도면이 도 5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키패드를 받치는 받침판의 외관을 보이는 사시도이다.
받침판(323)은 슬라이딩부(120)가 상하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슬라이드부재(325)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물론 이때 슬라이딩부(120)가 일정한 궤도를 따라 움직이도록 하기 위하여 받침판(323)에는 도 3에서 볼 수 있는 레일(311)과 형합되는 레일홈(321)이 형성된다. 여기서 레일(311)은 가이드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이 받침판(323)은 슬라이드부재(325)의 일측에서부터 시작되어 점점 기울기를 따라 올라가는 구조를 보인다. 즉 앞쪽에 챔퍼가 형성되고, 후면에 안치부가 있는 형상이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을 위한 구조를 보이는 개념도이다. 전술한 도 1 내지 도 5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슬라이딩부(120)가 아랫방향쪽 으로 슬라이딩이 되면, 키패드가 용승하게 된다. 도 6은 이러한 용승이 발생하는 구조를 보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키패드(200)는 단말기하체(130)에 구비되며, 밴딩스프링(610)과 조립된다. 따라서, 밴딩스프링(610)의 복원력에 의하여 키패드(200)는 위쪽으로 용승하는 것이 가능하다. 물론 키패드(200)는 슬라이딩부(120)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에는 키패드(200)를 아랫방향으로 압착하여 키패드(200)가 하강하도록 한다. 즉 밴딩스프링(610)이 압죽되면서 눌려지게 된다.
도 6은 슬라이딩부(120)가 완전히 클로즈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밴딩스프링(610)이 완전히 압축되어 있는 상태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키부분만이 아래방향쪽으로 슬라이딩되면서 키패드가 용승하는 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슬라이딩부(120)를 사용자가 아래쪽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슬라이딩부(120)가 서서히 아래쪽 방향(기준선 아래)으로 움직이면서, 키패드(200)를 누르고 있던 압력이 낮아지면서 밴딩스프링(610)이 복원되기 시작한다. 즉 밴딩스프링(610)의 복원력에 의하여 밴딩스프링(610)이 위쪽으로 올라가게 된다.
도면에서는 직선으로 밴딩스프링(610)이 보이나 일정한 폭을 가지는 판스프링이 사용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패드(200)의 바닥면을 충분히 닿을 수 있도록 하는 면적을 가지는 밴딩스프링(610)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슬라이딩부(120)가 아래쪽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밴딩스프링(610)이 키패드(200)를 위쪽으로 밀어 올리면, 키패드(200)의 챔퍼(400)가 받침판(323) 의 경사면을 따라 위로 상승하게 된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받침판(323)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면서 받침판(323)을 경사면에 따라 올라타도록 한다.
슬라이딩부(120)가 계속하여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받침판(323)도 계속 슬라이딩되어 키패드(200)를 받침판(323)의 등에 올리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완전히 슬라이딩된 상태가 도 6의 (c)이다. 즉 도 6의 (c)는 키패드(200)의 안착면(410)이 완전히 받침판(323)의 등에 닿아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를 순서대로 보면 다음과 같다.
(a) 슬라이딩부(120)가 슬라이딩됨에 따라 키패드(200)가 받침판(323)의 경사면을 타기 시작한다.
(b) 슬라이딩부(120)가 계속 슬라이딩을 진행함에 따라 키패드(200)가 받침판(323)의 등을 타기 시작한다.
(c) 슬라이딩부(120)가 완전히 슬라이딩됨에 따라 키패드(200)가 받침판(323)의 등에 완전히 안착된다.
도 7은 슬라이딩이 아래쪽 방향으로 되는 경우를 보인 것이나, 슬라이딩이 위쪽방향으로 되는 경우에도 동일한 과정을 역순으로 진행하게 된다. 따라서, 슬라이딩이 상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당업자라면 당연히 이해가능하므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 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밴딩스프링을 두어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 키패드부분이 자동적으로 용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키패드를 한 곳에 고정시키지 않고 용승 또는 하강이 가능하므로 단말기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슬림형 이동통신단말기를 이루게 하는데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단말기의 본체에 구비되며 다수의 숫자 또는 문자가 자판되고, 내측 소정의 기울기가 형성되어 용승 또는 하강하는 탄성부재와 조립되는 키패드; 및
    상기 키패드의 기울기를 따라 상기 키패드를 용승 또는 하강하도록 하는 받침판이 형성되어 있으며 위아래로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부;
    를 포함하는 키패드가 용승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상기 슬라이딩부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될 경우, 상기 키패드를 라이딩(Riding)시키기 위해 측면방향에서 보면 전면에 기울기가 있는 빗변사각형모양의 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가 용승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패드는 상기 받침판의 빗변사각형모양의 형상을 역으로 가지도록 빗변이 형성되는 챔퍼와 상기 빗변사각형의 등변에 정합되는 안치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가 용승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가 단말기의 본체상에서 일정궤도를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슬라이딩부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면에 레일모양의 형상이 형성되고,
    상기 레일모양의 형상에 형합하여 상기 슬라이딩부가 일직선상으로 일정궤도를 움직이도록 하는 레일홈모양의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가 용승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판은 슬라이딩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가 완전히 슬라이딩되었을 경우 상기 키패드가 상기 받침판의 등면에 완전히 안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가 용승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경우, 상기 키패드를 아래쪽 방향으로 눌러서 하강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패드가 용승가능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20050136001A 2005-12-30 2005-12-30 이동통신단말기의 용승가능한 키패드 KR1007158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001A KR100715812B1 (ko) 2005-12-30 2005-12-30 이동통신단말기의 용승가능한 키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6001A KR100715812B1 (ko) 2005-12-30 2005-12-30 이동통신단말기의 용승가능한 키패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15812B1 true KR100715812B1 (ko) 2007-05-08

Family

ID=38270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6001A KR100715812B1 (ko) 2005-12-30 2005-12-30 이동통신단말기의 용승가능한 키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1581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180A (ko) * 2004-10-21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75803A (ko)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팬택 2층식 키패드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35180A (ko) * 2004-10-21 2006-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75803A (ko) * 2004-12-29 2006-07-04 주식회사 팬택 2층식 키패드를 가지는 이동 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67094B1 (en) Touch sensitive keypad with tactile feedback
US7627335B2 (en) Cover plate for a mobile device having a push-through dial keypad
KR100454203B1 (ko) 휴대폰용 키패드 조립체
US8831691B2 (en) Keypad assembly for portable radiotelephon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5931907A (zh) 按键及其键盘
DE60214618D1 (de) Mobilfon mit verbesserter Steuertastatur
KR20160034355A (ko) 키패드
KR100715812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용승가능한 키패드
JP5489213B2 (ja) 電子機器及びプログラム
JPH06309992A (ja) キーパッド
KR100633046B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키버튼 어셈블리 및 그 운용 방법
JP2012022793A (ja) シートスイッチ及び入力装置
CN208044547U (zh) 一种键盘装置
EP1571539B1 (en) Mobile terminal with erroneous operation eliminated
KR200364952Y1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KR10091718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어셈블리
CN217902950U (zh) 电子装置
KR20050055841A (ko) 네비게이션 키 겸용 서브 엘씨디를 구비하는 이동 통신단말기
CN212727088U (zh) 一种具有多功能触控键盘的智能翻盖手机
KR200367842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잠금장치
KR20060010096A (ko) 휴대 단말기의 키패드 조립체
CN113707480A (zh) 键盘以及电子设备
CN101587792A (zh) 键盘模块、具该键盘模块的便携式电子装置及输入文字的方法
JP4501001B2 (ja) 携帯端末
KR100606604B1 (ko) 키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