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608Y1 - 거푸집 고정구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608Y1
KR200367608Y1 KR20-2004-0024753U KR20040024753U KR200367608Y1 KR 200367608 Y1 KR200367608 Y1 KR 200367608Y1 KR 20040024753 U KR20040024753 U KR 20040024753U KR 200367608 Y1 KR200367608 Y1 KR 2003676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fixing
spiral shaft
hole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7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인재
Original Assignee
허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허인재 filed Critical 허인재
Priority to KR20-2004-00247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6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6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60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 E04G17/065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 E04G17/0658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the element consisting of several parts remaining completely or partially embedded in the cast material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를 비롯하여 각종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할 때 사용하는 거푸집을 일정간격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갱폼(2)의 외측에 끼워져 갱폼(2)의 상부면과 좌우측면을 감싸게 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판(7)과, 상기 고정판(7)이 갱폼(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2개의 고정핀(9,9')과, 상기 고정판(7)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중앙통공(701)에 몸체(601)가 삽입되어 환상걸림턱(603)에 의해 결착되는 핸들(6)과, 상기 핸들(6)을 고정판(7)에 삽입하기 전에 핸들(6)의 몸체(601)에 끼워져 고정판(7)과 암나사핸들(6)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긴장기구(3)와, 상기 핸들(6)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핸들(6)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에는 왼 나사선(20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세파타이(100)가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에 오른 나사선이 형성된 암나사부(202)가 형성된 나선축(200)과, 상기 나선축(200)의 하부 끝단 외측에 와셔(4)와 받침부재(8)와 함께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콘형상의 고정구(4)로 구성된 거푸집 고정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 고정구{Mold fixing unit}
본 고안은 아파트를 비롯하여 각종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할 때 사용하는거푸집을 일정간격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인 것은 유로폼 거푸집과 갱폼거푸집을 보다 편리하게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또 콘크리트가 응고된 후에 거푸집을 이동시킬 때 고정구를 분리하고 다시 조립하는 작업이 편리하여 작업능율이 향상되게 고정구를 개량시킨 것이다.
종래에는 유로폼 거푸집과 갱폼거푸집을 고정시키기 위해 유로폼 거푸집에 고정되는 세파타이와 갱폼거푸집에 지지되어서 유로폼거푸집의 세파타이에 결합되는 체결용 볼트를 한조가 되게 구성하여 유로폼거푸집과 갱폼거푸집을 고정시키고 있으나 콘크리트가 응고된 후에 고정구를 분리하려면 세파타이와 체결볼트의 결합부가 콘크리트 응고부에 매설되어 쉽게 분리가 되지 않는 결점이 있고, 이로인해 작업이 매우 더디게 진행되는 불편이 있었다.
이를 해소시키기 위한 선행고안으로서 실용신안등록 제326598호가 공지되어있고, 상기 고안은 유로폼 거푸집에 고정되는 세파타이와 상기 세파타이의 나사부에 결합되는 콘형태의 거푸집 고정부를 가지면 이 거푸집 고정부는 일측에 연장되는 나선축이 형성되며 갱폼거푸집에 설치되는 콘을 포함하고 상기 나선축에는 스프링이 개재되도록 고정판이 구성되고 거푸집 고정부는 일단에 걸림턱이 형성되고 양 측면에 동일선상에 연장되며 외주면에 나사를 갖는 고정축과 나선축이 일체로 형성되고 나선축에는 스프링이 끼워지는 구성으로 되어 콘에 스프링을 탄지시켜서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상기 유로폼거푸집과 갱폼거푸집이 일정간격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콘크리트 타설시에 발생되는 압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고안에 의하여도 갱폼거푸집에 고정되는 콘형태의 거푸집 고정부가 콘크리트 즙액과 접촉하여 콘크리트즙액이 응고되면 고정부가 콘크리트에 응집되어 나선축을 돌릴 때 힘이 많이 들고 쉽게 분리가 되지않아 분리시키는 작업이 매우 힘이 들고 시간도 오래 소요되어 작업능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으며 나선축을 세파타이 나사부에 조립하는 작업도 불편한 결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이 선 출원하여 등록받은 등록번호 제20-0345109호, 고안의 명칭 : 거푸집 고정구를 개량한 것으로서, 세파타이에 결합하는 나선축을 왼나사 나선축으로 구성하고 세파타이와 결합하는 선단 암나사부 외면에 콘형상의 고정구를 끼워서 나선축이 세파타이에서 분리되면 콘형상의 고정구는 나선축의 분리작동에 따라 강제 분리가 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조립과 해체에 따른 작용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고안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상세도
도 2,3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분해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단면 상태도(세퍼타이 결합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단면 상태도(세퍼타이 분리시)
도 6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다른 형태의 나선축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유로폼(1), 갱폼(2), 고정구멍(2a), 긴장기구(3), 고정구(4,4'), 통공(4a), 와셔(5), 핸들(6), 고정판(7), 외측 고정판(7-1), 받침부재(8), 고정핀(9,9'), 세파타이(100), 수나사부(101), 나선축(200,200'), 왼나사선(201), 암나사부(202), 걸림턱(203,204), 고정홈(205), 일자홈(301), 결착부(302), 돌출부(303), 몸체(601), 암나사부(602), 환상걸림턱(603), 손잡이(604), 걸림부재(605), 고정돌기(606), 중앙통공(701), 고정돌기(702), 핀삽입통공(703,703')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고안은 아파트를 비롯하여 각종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할 때 사용하는 거푸집을 일정간격에 고정시키는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갱폼(2)의 외측에 끼워져 갱폼(2)의 상부면과 좌우측면을 감싸게 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판(7)과, 상기 고정판(7)이 갱폼(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2개의 고정핀(9,9')과, 상기 고정판(7)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중앙통공(701)에 몸체(601)가 삽입되어 환상걸림턱(603)에 의해 결착되는 핸들(6)과, 상기 핸들(6)을 고정판(7)에 삽입하기 전에 핸들(6)의 몸체(601)에 끼워져 고정판(7)과 암나사핸들(6)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긴장기구(3)와, 상기 핸들(6)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핸들(6)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에는 왼 나사선(20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세파타이(100)가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에 오른 나사선이 형성된 암나사부(202)가 형성된 나선축(200)과, 상기 나선축(200)의 하부 끝단 외측에 와셔(4)와 받침부재(8)와 함께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콘형상의 고정구(4)로 구성된 거푸집 고정구인 것이다.
본 고안은 거푸집 고정구의 구성요소인 고정판(7), 암나사핸들(6), 긴장기구 (3), 나선축(200)의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갱폼(2)의 외측에 볼트에 의해 부착되던 종래의 사각패널 형상의 고정판을 "ㄷ"자 형상의 구조로 제작하여 갱폼(2)의 외측에 끼울 수 있도록 하였으며,
좌,우측면에는 크기가 다른 두 개의 핀삽입통공(703,703')을 형성하여, 갱폼(2)에 볼트가 아닌 고정핀(9,9')에 의해 체결할 수 있도록 하였고,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중앙통공(701)의 좌우측에 고정돌기(702)를 형성시켜, 암나사핸들(6)과 고정판(7) 사이에 위치되는 긴장기구(3)가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하였다.
핸들(6)은 손잡이(604)의 중앙에 몸체(601)의 관통공과 연장선상에 위치되도록 걸림부재(605)를 형성하여, 핸들(6)을 조작하여 나선축(200)이 상승시 걸림부재 (605)에 의해 상승하게 되는 높이를 제한하였다.
종래에는 나선축(200)이 상승하는 높이를 제한하기 위해 암나사핸들의 하부에 형성된 환상걸림턱(603)에 나선축(200)의 중앙부에 형성된 걸림턱이 걸리도록 구성되 있으나, 강제적으로 암나사핸들을 회전시 하부에 형성된 환상걸림턱(603)과 나선축의 걸림턱이 마모가 되어, 나선축(200)이 풀리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상기와 같이 걸림부재(605)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핸들(6)에 걸림부재(605)를 형성함으로서 나선축(200)에 걸림턱을 형성시킬 필요가 없다.
긴장기구(3)는 일측 끝단을 걸고리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고정판(7)에 걸어서 작업시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였다.
나선축(200)은 상기 핸들(6)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에 왼 나사선(201)을 형성시키고, 하부 끝단에는 오른 나사선이 형성된 암나사부(202)를 형성시켜, 핸들(6)을 좌회전시, 나선축(200)이 핸들(6)의 암나사부(602)를 통해 상승하게 되며,
핸들(6)을 계속해서 좌회전시켜 나선축(200)이 핸들(6)의 걸림부재(605)에 의해 걸리게 되면 나선축(200)의 상승은 정지되고, 나선축(200)의 암나사부(202)에 나사결합된 수나사부(오른 나사선)(101)이 형성된 세파타이(100)가 풀리도록 하였다.
본 고안은 상부에 왼 나사선(201)이 형성된 나선축(200)이 핸들(6)에 나사결합하고, 핸들(6)은 갱폼(2) 외측에 고정핀(9,9')에 의해 결착된 고정판(7)의 중앙통공에 몸체(601)가 삽입되어 그 하부에 형성된 환상걸림턱(603)에 의하여 고정판(7)에 결착되며, 나선축(200)은 갱폼(2)의 외측 고정판(7-1)의 중앙에 형성된 고정구멍(2a)에 삽입되어 외측 고정판(7-1)에 지지되어 갱폼(2)에서 분리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되며,
본 고안을 조립할 때는 도4와 같이 유로폼 거푸집(1)의 세파타이(100)의 수나사부(오른 나사선)(101)를 나선축(200)의 암나사부(202)에 끼울 수 있게 왼나사 나선축(200)을 당겨서 나선축(200)이 세파타이(100) 수나사부(101)에 나사조립되게 결합시키면 콘형태의 고정구(4)가 갱폼(2)의 고정구멍(2a)에 결합되어 받침부재(8)가 고정구멍(2a) 외측면에 접촉하여 받침으로서 나선축(200)이 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암나사핸들(6)을 우회전시키면 나선축(200)이 왼나사이기 때문에 내측방향으로 약간 진행하여 콘형태의 고정구(4)를 갱폼고정구멍(2a)에 긴장시켜 갱폼(2)의 외측고장판(7-1)에 밀착시키므로 긴장기구(3)를 핸들(6)의 손잡이(604)와 고정판(7) 사이에 개입시켜서 유로폼(1) 및 갱폼(1,2) 사이의 간격을 고정시키게 되며, 이때 긴장기구(3)는 고정판(7)의 중앙통공(701)의 좌우측에 형성된 고정돌기(702)에 의해 고정되며, 손잡이(604)는 하부에 형성된 걸림턱(606)이 상기 고정판(7)에 걸리게 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유로폼(1) 및 갱폼(2)을 고정한 상태에서 콘크리트즙액을 타설하여 응고시킨 후, 고정구(4)를 분리할 때는 도5와 같이 긴장기구(3)를 뽑아 고정판(7)에 걸어 놓고, 나선축(200)이 핸들(6)의 걸림부재(605)에 접촉할 때까지 핸들(6)을 좌회전시켜, 나선축(200)이 암나사 핸들(6)의 걸림부재(604)에 접촉하게 되면, 나선축(200)은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고, 나선축(200)과 핸들(6)이 일체가 되어 좌회전하므로, 오른 나사선이 형성된 세파타이(100)가 나선축(200)의 암나사부(202)에서 분리되어 나선축(200)이 외향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용에 의하여 콘형태의 고정구(4)는 나선축(200)의 걸림턱(204)에 의하여 갱폼(2)의 고정구멍(2a)에서 강제 분리되어 외측으로 이간되는 분리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고안은 핸들(6)을 좌회전시키는 작용으로 나선축(200)과 콘형태의 고정구(4)를 갱폼(2)의 고정구멍(2a)에서 이간시켜 고정구멍(2a)과 고정판(7) 사이에서 지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을 이동시킬 때 나선축(200)의 선단이 장애를 받지 않아 이동작업에 쉽게 대처할 수 있게 되고 이로인해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된다.
특히, 본 고안의 콘형태 고정구(4)는 중심공(4a)이 나선축(200)의 고정홈 (205)에 끼워져서 내외측에 걸림턱(203)(204)사이에 지지되므로 제자리에 회전이 가능할 뿐 나선축(200)과 같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나선축(200)을 좌회전시켜 세파타이(100)에서 분리할 때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고, 나선축(200)과,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아서 거듭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세파타이(100)는 그 수나사부(101) 외면에 카버를 씌울 경우 콘크리트 즙액을 타설할때 콘형태의 고정구 표면에 즙액이 과중하게 접하는 것도 막아 주므로, 콘크리트 타설후 나선축(200)의 분리작업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어서 작업성이 탁월한 편리한 고정구(4)를 얻게 되는 효과를 내는 것이다.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상세도, 도 2,3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분해 상세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단면 상태도(세퍼타이 결합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단면 상태도(세퍼타이 분리시), 도6은 본 고안에 사용되는 다른 형태의 나선축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유로폼(1), 갱폼(2), 고정구멍(2a), 긴장기구(3), 고정구(4,4'), 통공(4a), 와셔(5), 핸들(6), 고정판(7), 외측 고정판(7-1), 받침부재(8), 고정핀(9,9'), 세파타이(100), 수나사부(101), 나선축(200,200'), 왼나사선(201), 암나사부(202), 걸림턱(203,204), 고정홈(205), 일자홈(301), 결착부(302), 돌출부(303), 몸체(601),암나사부(602), 환상걸림턱(603), 손잡이(604), 걸림부재(605), 고정돌기(606), 중앙통공(701), 고정돌기(702), 핀삽입통공(703,703')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고정구의 구조를 살펴보면, 도1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갱폼(2)의 외측에 끼워져 갱폼(2)의 상부면과 좌우측면을 감싸게 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판(7)과, 상기 고정판(7)이 갱폼(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2개의 고정핀(9,9')과, 상기 고정판(7)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중앙통공 (701)에 몸체(601)가 삽입되어 환상걸림턱(603)에 의해 결착되는 핸들(6)과, 상기 핸들(6)을 고정판(7)에 삽입하기 전에 핸들(6)의 몸체(601)에 끼워져 고정판(7)과 암나사핸들(6)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긴장기구(3)와, 상기 핸들(6)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핸들(6)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에는 왼 나사선(20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세파타이(100)가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에 오른 나사선이 형성된 암나사부(202)가 형성된 나선축(200)과, 상기 나선축(200)의 하부 끝단 외측에 와셔(4)와 받침부재(8)와 함께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콘형상의 고정구(4)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판(7)은 "ㄷ"형 구조로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중앙통공(701)과, 상기 중앙통공(701)의 좌우측부에 형성된 고정돌기(702)와, 좌,우측면의 하부 일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된 크기가 다른 2개의 핀삽입통공(703,703')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핸들(6)은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의 몸체(601)와, 상기 몸체(601)의 관통공, 즉 내측면에 오른 나사선이 형성된 암나사부(602)와, 상기 몸체(601)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환상걸림턱(603)과, 상기 몸체(601)의 상부에 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120도 각도로 라운드진 돌기가 형성된 손잡이(604)와, 상기 손잡이(604)의 중앙에 몸체(601)의 관통공과 연장선상에 있도록 돌출되며, 내측에는 나선축(200)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걸림부재(605)와, 상기 손잡이(604)의 후면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606)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나선축(200)은 상기 핸들(6)의 암나사부(602)에 결합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왼 나사선(201)과, 하부 끝단 내측에 형성되어 세파타이(100)가 결합되는 오른 나사선이 형성된 암나사부(202)와, 상기 암나사부(202)의 외주에 돌기되어 형성된 걸림턱(203,204)과, 상기 걸림턱(203,204)에 의해 형성된 고정홈(205)으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구(4)는 콘형상으로 중앙에 통공(4a)이 형성되어, 상기 나선축 (20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205)에 와셔(5) 및 받침부재(8)와 함께 끼워져 걸림턱(203,204) 사이에 지지되어 공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긴장기구(3)는 가로로 길게 형성되 구조로, 상부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핸들(6)의 몸체가 삽입되는 일자홈(301)과, 상부면 일측 끝단에 형성된 걸고리 형상의 결착부(302)와, 상기 결착부(302)의 타일측에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303)가형성되어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나선축(200)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에 콘형상의 고정구(4')를 일체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나선축이 핸들에 나사결합하고 핸들은 갱폼 외측에 부착된 고정판의 지지공에 본체가 끼워져서 그 내측의 환상걸림턱에 의하여 고정판에서 지지되므로 나선축은 갱폼 고정구멍 외측 고정판에 지지되어 갱폼에서 분리되지 않고 유지되도록 되며, 핸들을 좌회전시키는 작용으로 나선축과 콘형태의 고정구를 갱폼거푸집의 고정구멍에서 이간시켜 고정구멍과 고정판 사이에서 지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거푸집을 이동시킬 때 나선축의 선단이 장애를 받지 않아 이동작업에 쉽게 대처할 수 있게 되고 이로인해 작업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고,
특히, 콘형태 고정구는 중심공이 나선축의 고정홈에 끼워져서 내외측에 걸림턱사이에 지지되므로 제자리에 회전이 가능할 뿐 나선축과 같이 회전하지 않으므로 나선축을 좌회전시켜 세파타이에서 분리할 때 분리가 용이하게 되는 이점이 있으며, 나선축과 완전히 분리되지는 않아서 거듭 사용이 가능하고 세파타이는 그 수나사부 외면에 카버를 씌울 경우 콘크리트 즙액을 타설할때 콘형태의 고정구 표면에 즙액이 과중하게 접하는 것도 막아 주므로 콘크리트 타설후 나선축의 분리작업을더욱 편리하게 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으며,
고정판을 "ㄷ"자 형으로 제하고 좌,우측면에 핀삽입통공을 형성하여 볼트가 아닌 고정핀으로 손쉽게 갱폼에 고정판을 체결할 수 있으며, 고정판의 중앙통공 좌우측에 고정돌기를 형성하여 암나사핸들과 고정판 사이에 위치되는 긴장기구가 외부 충격에 의해 이탈되지 않으며,
핸들에 걸림부재를 형성하여 나선축의 상승 높이를 제한하여, 종래에 환상걸림턱과 나선축의 걸림턱이 마모가 되어 나선축이 풀리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긴장기구의 일측 끝단을 걸고리 형상으로 형성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고정판(7)에 걸어서 작업시 방해가 되지 않아 작업성이 탁월한 편리한 고정구를 얻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거푸집 고정구에 있어서, 갱폼(2)의 외측에 끼워져 갱폼(2)의 상부면과 좌우측면을 감싸게 되는 "ㄷ"자 형상의 고정판(7)과, 상기 고정판(7)이 갱폼(2)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2개의 고정핀(9,9')과, 상기 고정판(7)의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중앙통공(701)에 몸체(601)가 삽입되어 환상걸림턱(603)에 의해 결착되는 핸들(6)과, 상기 핸들(6)을 고정판(7)에 삽입하기 전에 핸들(6)의 몸체(601)에 끼워져 고정판(7)과 암나사핸들(6)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긴장기구(3)와, 상기 핸들(6)에 나사결합되며, 상기 핸들(6)에 나사결합되는 상부에는 왼 나사선(20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세파타이(100)가 나사결합되도록 내측에 오른 나사선이 형성된 암나사부(202)가 형성된 나선축(200)과, 상기 나선축(200)의 하부 끝단 외측에 와셔(4)와 받침부재(8)와 함께 삽입되어 회전되도록 장착되는 콘형상의 고정구(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7)은 "ㄷ"형 구조로 상부면 중앙에 형성된 중앙통공(701)과, 상기 중앙통공(701)의 좌우측부에 형성된 고정돌기(702)와, 좌,우측면의 하부 일측에 대칭되도록 형성된 크기가 다른 2개의 핀삽입통공(703,703')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6)은 중앙이 관통된 원통형의 몸체(601)와, 상기몸체(601)의 관통공, 즉 내측면에 오른 나사선이 형성된 암나사부(602)와, 상기 몸체(601)의 하부 끝단에 형성된 환상걸림턱(603)과, 상기 몸체(601)의 상부에 몸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120도 각도로 라운드진 돌기가 형성된 손잡이(604)와, 상기 손잡이(604)의 중앙에 몸체(601)의 관통공과 연장선상에 있도록 돌출되며, 내측에는 나선축(200)이 삽입되는 공간이 형성된 걸림부재(605)와, 상기 손잡이(604)의 후면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60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축(200)은 상기 핸들(6)의 암나사부(602)에 결합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왼 나사선(201)과, 하부 끝단 내측에 형성되어 세파타이 100)가 결합되는 오른 나사선이 형성된 암나사부(202)와, 상기 암나사부(202)의 외주에 돌기되어 형성된 걸림턱(203,204)과, 상기 걸림턱(203,204)에 의해 형성된 고정홈(205)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선축(200)은 상기 핸들(6)의 암나사부(602)에 결합되도록 상부에 형성된 왼 나사선(201)과, 하부 끝단 내측에 형성되어 세파타이 100)가 결합되는 오른 나사선이 형성된 암나사부(202)와, 상기 암나사부(202)의 외주면에 일체로 형성된 콘형상의 고정구(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4)는 콘형상으로 중앙에 통공(4a)이 형성되어,상기 나선축(20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205)에 와셔(5) 및 받침부재(8)와 함께 끼워져 걸림턱(203,204) 사이에 지지되어 공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기구(3)는 가로로 길게 형성되 구조로, 상부면 중앙부에 형성되어 핸들(6)의 몸체가 삽입되는 일자홈(301)과, 상부면 일측 끝단에 형성된 걸고리 형상의 결착부(302)와, 상기 결착부(302)의 타일측에 하부로 돌출된 돌출부(303)가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KR20-2004-0024753U 2004-08-30 2004-08-30 거푸집 고정구 KR2003676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753U KR200367608Y1 (ko) 2004-08-30 2004-08-30 거푸집 고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753U KR200367608Y1 (ko) 2004-08-30 2004-08-30 거푸집 고정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608Y1 true KR200367608Y1 (ko) 2004-11-12

Family

ID=4944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753U KR200367608Y1 (ko) 2004-08-30 2004-08-30 거푸집 고정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60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846B1 (ko) * 2011-12-14 2013-09-25 (주)에이원알폼 거푸집용 간격유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846B1 (ko) * 2011-12-14 2013-09-25 (주)에이원알폼 거푸집용 간격유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37401A1 (zh) 模板拼装用连接卡具
KR200367608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437763Y1 (ko) 거푸집의 배관 슬리브 고정구
KR200410235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101285623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KR200467285Y1 (ko) 내구성이 향상된 조적용 서포트장치
KR200426202Y1 (ko) 거푸집 고정구
KR100519804B1 (ko) 콘크리트 거푸집용 고정구
KR100547024B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200450331Y1 (ko) 개량 거푸집 고정구
KR200367609Y1 (ko) 거푸집 고정구
KR101841361B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372680Y1 (ko) 거푸집 고정구
KR100771232B1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200345109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421804Y1 (ko) 건물의 배관 고정용 인서트
KR200285253Y1 (ko) 콘크리트 형틀용 세퍼레이터
KR200349974Y1 (ko) 거푸집 체결부재
KR200363060Y1 (ko) 원터치형 거푸집 고정구조
KR200378155Y1 (ko) 거푸집 고정구
KR200415001Y1 (ko) 거푸집 간격 유지구
KR200300975Y1 (ko) 셋트 앙카볼트
KR100820218B1 (ko) 거푸집판 체결구
KR200339366Y1 (ko) 거푸집 체결부재
KR101162720B1 (ko) 세파타이 고정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