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593Y1 - 결속홈형 조립식 상자 - Google Patents

결속홈형 조립식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593Y1
KR200367593Y1 KR20-2004-0024489U KR20040024489U KR200367593Y1 KR 200367593 Y1 KR200367593 Y1 KR 200367593Y1 KR 20040024489 U KR20040024489 U KR 20040024489U KR 200367593 Y1 KR200367593 Y1 KR 200367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nding
wall
groove
box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4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영
Original Assignee
정인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영 filed Critical 정인영
Priority to KR20-2004-00244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5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 B65D11/18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 B65D11/1833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 collapsible, i.e. with walls hinged together or detachably connected whereby all side walls are hingedly connected to the base pa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결속홈형 조립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 상자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일정용적을 차지하는 상자를 판상으로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점유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면벽체을 절첩조립 및 판형 전개되게 구성하고 벽체의 모서리에 결속을 위한 홈형결속수단을 구비하되, 홈형결속수단을 네개 벽체 중 마주대하는 두개의 벽체 양쪽 내면 단부측에 결속부를 요입형성하고, 상기 결속부의 외측 내벽에 결속돌기를 형성하며, 이와 대응되는 벽체에 결속홈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벽에 결속돌기를 형성한 결속부와 이와 대응되는 벽체한 결속홈으로 구성된 홈형결속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상자를 사용시는 용이하게 절첩 조립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판상으로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결속홈형 조립식 상자{A groove-locker type a box}
본 고안은 결속홈형 조립식 상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면벽체을 절첩조립 및 판형 전개되게 구성하고 벽체의 모서리에결속을 위한 홈형결속수단을 구비하여서 상자를 사용시는 용이하게 절첩 조립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판상으로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홈형결속수단을 네개 벽체 중 마주대하는 두개의 벽체 양쪽 내면 단부측에 결속부를 요입 형성하고, 상기 결속부의 외측 내벽에 결속돌기를 형성하며, 이와 대응되는 벽체에 결속홈을 형성하여서 원터치에 의하여 벽체의 모서리를 결속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결속부의 외측에 결속돌기의 이탈을 위한 해체손잡이를 구비하여서 결속된 상자 모서리의 해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자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에 물건등을 수납할 수 있게 일정체적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사면에 벽체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상자는 대부분이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하여 제조되고 있으며, 생산원가를 줄이고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에 종이로 형성하 실시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상자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견고하고 가벼워서 사용이 용이하나 내용물이 담아지지 않은 경우에도 일정체적의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점이 있어 물류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이로 만들어진 상자의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판상으로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그 강도가 약하여 중량물을 담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도 일정용적을 차지하는 상자를 판상으로 전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점유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면벽체을 절첩조립 및 판형 전개되게 구성하고 벽체의 모서리에 결속을 위한 홈형결속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홈형결속수단을 네개 벽체 중 마주대하는 두개의 벽체 양쪽 내면 단부측에 결속부를 요입형성하고, 상기 결속부의 외측 내벽에 결속돌기를 형성하며, 이와 대응되는 벽체에 결속홈을 형성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결속부의 외측에 결속돌기의 이탈을 위한 해체손잡이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벽에 결속돌기를 형성한 결속부와 이와 대응되는 벽체한 결속홈으로 구성된 홈형결속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상자를 사용시는 용이하게 절첩 조립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판상으로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부분 확대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조립상태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부분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결속부
11 : 결속돌기
20 : 결속홈
30 : 해체손잡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박스의 벽체를 절첩전개 및 조립이 가능하게 구성한 것으로,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면벽체을 절첩조립 및 판형 전개되게 구성하고 벽체의 모서리에 결속을 위하여 끼움 걸림결속되는 홈형결속수단을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홈형결속수단을 네개 벽체 중 마주대하는 두개의 벽체 양쪽 내면 단부측에 요입되어 나머지 두 개 벽체의 단부가 결합되게 "ㄷ"형으로 요입된 결속부(10)를 형성하고, 상기 결속부(10)의 외측 내벽에 결합되는 벽체 단부를 구속할 수 있게 개구부측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반대측게 걸림턱을 형성하는 결속돌기(11)를 형성하며, 상기 결속돌기(11)와 대응되는 벽체의 측면에 상기 결속돌기(11)에 의하여 구속되는 결속홈(20)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결속부(10)의 외측에 결속돌기(11)의 이탈 분리를 위한 해체손잡이(30)를 일체로 구비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면벽체을 절첩조립 및 판형 전개되게 구성하고 벽체의 모서리에 결속을 위하여 끼움 걸림결속되는 홈형결속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홈형결속수단을 네개 벽체 중 마주대하는 두개의 벽체 양쪽 내면 단부측에 요입되어 나머지 두 개 벽체의 단부가 결합되게 "ㄷ"형으로 요입된 결속부(10)를 형성하고, 상기 결속부(10)의 외측 내벽에 결합되는 벽체 단부를 구속할 수 있게 개구부측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반대측게 걸림턱을 형성하는결속돌기(11)를 형성하며, 상기 결속돌기(11)와 대응되는 벽체의 측면에 상기 결속돌기(11)에 의하여 구속되는 결속홈(20)을 형성하고, 상기 결속부(10)의 외측에 결속돌기(11)의 이탈 분리를 위한 해체손잡이(30)를 일체로 구비한 본 고안의 상자를 이용하여 물건을 담고자 할 경우에는 벽체의 측면에 결속홈(20)이 형성된 벽체를 먼저 세우고 결속부(10)가 형성된 벽체를 세운 후 상기 결속부(10)의 후방을 타격하게 되면 결속부(10)의 결속돌기(11)가 결속홈(20)에 안착되면서 이를 구속하여 모서리의 결속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이상과 같이 모서리를 결속하여 사용하던 상자를 사용하지 않고 보관하고자 할 경우에는 결속부(10)의 외측에 구비된 해체손잡이(30)를 잡아 당겨서 벽체의 결속홈(20)을 구속하고 있는 결속돌기(11)를 이탈시켜 주므로서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판상으로 해체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내벽에 결속돌기를 형성한 결속부와 이와 대응되는 벽체한 결속홈으로 구성된 홈형결속수단을 구비하므로서 상자를 사용시는 용이하게 절첩 조립하여 사용하고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판상으로 전개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상자를 구성함에 있어서 사면벽체을 절첩조립 및 판형 전개되게 구성하고 벽체의 모서리에 결속을 위하여 끼움 걸림결속되는 홈형결속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홈형결속수단을 네개 벽체 중 마주대하는 두개의 벽체 양쪽 내면 단부측에 요입되어 나머지 두 개 벽체의 단부가 결합되게 "ㄷ"형으로 요입된 결속부(10)를 형성하고, 상기 결속부(10)의 외측 내벽에 결합되는 벽체 단부를 구속할 수 있게 개구부측으로 경사면을 이루고 반대측게 걸림턱을 형성하는 결속돌기(11)를 형성하며, 상기 결속돌기(11)와 대응되는 벽체의 측면에 상기 결속돌기(11)에 의하여 구속되는 결속홈(2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홈형 조립식 상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10)의 외측에 결속돌기(11)의 이탈 분리를 위한 해체손잡이(30)를 일체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홈형 조립식 상자.
KR20-2004-0024489U 2004-08-26 2004-08-26 결속홈형 조립식 상자 KR200367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489U KR200367593Y1 (ko) 2004-08-26 2004-08-26 결속홈형 조립식 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489U KR200367593Y1 (ko) 2004-08-26 2004-08-26 결속홈형 조립식 상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593Y1 true KR200367593Y1 (ko) 2004-11-12

Family

ID=49351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489U KR200367593Y1 (ko) 2004-08-26 2004-08-26 결속홈형 조립식 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59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05028321A1 (ja) 物品収納ケース
JP2013532100A (ja) 折畳式組立箱
US20120152799A1 (en) Collapsible plastic container
MX2012003283A (es) Marco de refuerzo para una caja o una tarima de transporte.
KR101875279B1 (ko) 다용도 수납박스
KR200398276Y1 (ko) 물품 포장용 상자
KR101926420B1 (ko) 절첩식 상자
KR200367593Y1 (ko) 결속홈형 조립식 상자
KR200457548Y1 (ko) 절첩식 상자
KR102286540B1 (ko) 이중 잠금 구조가 구비된 친환경 포장 박스
KR102523660B1 (ko) 박스용 테두리 부재보강부재와 에셈블리컨테이너 원터치크립이 포함된 박스
KR200371138Y1 (ko) 결속판형 조립식 상자
JP2001341736A (ja) 組立式コンテナ
JPH11222233A (ja) 組立式コンテナ
KR200367591Y1 (ko) 결속핀형 조립식 상자
KR200346376Y1 (ko) 파렛트 상자용 지지틀
JPH10297630A (ja) 折畳み式収納箱
JP2001124028A (ja) 板材の連結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箱体
KR200477161Y1 (ko) 강화 테두리를 구비한 포장용 박스
JP3139384U (ja) 組立式収納箱
KR101963161B1 (ko) 경량 절첩상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4270B1 (ko) 절첩식 상자
KR200294473Y1 (ko) 매직 박스
KR200404762Y1 (ko) 부직포 다용도 보관함
KR200430540Y1 (ko) 접이형 포장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