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586Y1 - 높이조절형 작업대 - Google Patents

높이조절형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586Y1
KR200367586Y1 KR20-2004-0024447U KR20040024447U KR200367586Y1 KR 200367586 Y1 KR200367586 Y1 KR 200367586Y1 KR 20040024447 U KR20040024447 U KR 20040024447U KR 200367586 Y1 KR200367586 Y1 KR 2003675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ydraulic
base
working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4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양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양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양테크
Priority to KR20-2004-0024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5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5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5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7Comprising essentially pre-assembled three-dimensional elements, e.g. cub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8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adjustable in height
    • E04G1/22Scaffolds having a platform on an extensible substructure, e.g. of telescopic type or with lazy-tongs mechanis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24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base constructions; comprising essentially special ground-engaging parts, e.g. inclined struts, wheels
    • E04G2001/242Scaffolds movable on wheels or tracks

Abstract

본 고안은 높이조절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유압펌프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작업발판이 기부(基部)에 고정된 유압실린더와 기부 각끝단에 설치된 고정활차에 폐곡되어 걸려있는 와이어에 측면으로 지지되거나 결합되어 있어 종래의 작업대와 달리 지면 근처에서부터 작업발판의 높이를 가변시킬수 있고, 또한 작업발판이 와이어에 결합되어 있어 상하이동함으로써 한개의 유압실린더로도 정확히 높이를 제어하며 발판을 이동시킬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서로 체결되어 있는 프레임앵글에 이동바퀴와 유압실린더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앵글의 각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활차에 와이어가 폐곡되어 걸려 있는 기부와, 상기 기부에 설치된 와이어에 측면으로 결합되고 유압펌프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발판과, 상기 작업발판의 각 끝단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유압실린더에 삽입되어 있는 실린더로드에 일측면이 고정되어 있는 핸드레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의 유압장치에 의해 작업발판이 기부의 상하단으로 이동되는 높이조절형 작업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높이조절형 작업대{A lifting adjuster}
본 고안은 높이조절형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압펌프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작업발판이 기부(基部)에 고정된 유압실린더와 기부 각끝단에 설치된 고정활차에 폐곡되어 걸려있는 와이어에 측면으로 지지되거나 결합되어 있어 종래의 작업대와 달리 지면 근처에서부터 작업발판의 높이를 가변시킬수 있고, 또한 작업발판이 와이어에 결합되어 있어 함께 상하이동함으로써 한개의 유압실린더로서도 정확히 높이를 제어하며 작업발판을 이동시킬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형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내부공사나 자동차나 선박 등의 제조에 있어서 작업자보다 높은 높이에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할 경우 사다리나 받침대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작업을 위한 이동이 잦을 경우 일일이 사다리나 받침대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불편하였고, 또한 부주의로 인한 사고의 위험도 가지고 있으므로, 높이조절형 작업대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높이조절형 작업대는 일정높이의 프레임앵글로 구성된 작업발판지지부 상단에 가위의 원리와 같은 원리로 작동하여 작업발판을 상승, 하강시키는 X자형 승강레일이 설치되고 상기 X자형 승강레일 위에 작업발판이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X자형 승강레일은 공기압펌프나 유압펌프 등의 펌프장치나 유압모터등에 의해 승강되는데, 작업발판의 높이가 정확히 제어되면서 안정된 상태로 지지하기 위해선 X자형 승강레일의 각 끝단부를 지지하거나 이동시키는 기구가 다수개 설치되어야 했다.
한편 조선소에서 선박의 하단부를 제조하거나 수리하는 경우, 선박을 1.9~2.5M 높이의 고정받침대에 받쳐서 제조 또는 수리작업을 행하게 되는데, 이를 위하여 종래의 높이조절형 작업대를 사용할 경우 작업발판이 작업발판지지부에 의해 이미 일정높이로 올라가 있으므로 키가 큰 작업자는 몸을 구부린 자세에서 작업을 행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높이조절형 작업대는 작업발판이 일정높이에서부터 높이가 가변됨에 따라 다양한 조건에서 작업대를 활용하여 작업을 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압펌프에 의해 상하이동되는 작업발판을 기부(基部)에 고정된 유압실린더와 기부 각끝단에 설치한 고정활차에 폐곡되어 걸려있는 와이어에 측면으로 지지하거나 결합하여 지면 근처에서부터 작업발판의 높이를 가변시킬수 있도록 하고, 또한 상기 작업발판이 와이어에 결합되어 함께 상하이동됨으로써 한개의 유압실린더로서도 정확히 높이를 제어하며 작업발판을 이동시킬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형 작업대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설치된 활차부와 유압부의 결합 구성도
도 3은 활차부의 작동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4는 유압부의 작동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해 작업발판이 상하이동하는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작업대 2 : 프레임앵글
3 : 이동바퀴 4 : 기부
5 : 작업발판 6 : 핸드레일
7 : 와이어결합구 8 : 와이어클립
9 : 와이어 10 : 고정활차
11 : 유압펌프 12 : 유압실린더
13 : 실린더로드 14 : 유압관
15 : 펌프작동판 16 : 유압밸브
17 : 하강속력조절밸브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높이조절형 작업대에 설치되어 있는 활차부와 유압부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3은 활차부의 작동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는 유압부의 작동구성을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높이조절형 작업대가 상하이동하는 정면도이다.
본 고안의 높이조절형 작업대는, 작업대(1)의 하부로서 프레임앵글(2)이 서로 체결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앵글(2)의 각 끝단에 고정되는 고정활차(10)에 와이어(9)가 폐곡되어 걸려 있으며 이동바퀴(3)와 유압실린더(12)가 상기 프레임앵글(2)에 고정되어 있는 기부(4)와, 상기 기부(4)에 설치된 와이어(9)에 측면으로 결합되고 유압펌프(11)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작업발판(5)과, 상기 작업발판(5)의 각 끝단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유압실린더(12)와 연결된 실린더로드(13)에 일측면이 고정되어 있는 핸드레일(6)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작업발판(5)은 유압장치에 의해 기부(4)의 상하단 사이를 이동한다.
프레임앵글(2)로 이루어진 기부(4)의 각 모서리에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활차(10)가 고정되고 한줄로 폐곡된 와이어(9)가 상기 고정활차(10)에 일정정도 인장된 상태로 팽팽하게 걸리게 된다.
여기서 상기의 와이어(9)는 단선으로 되어 있거나 다수개의 선이 한묶음으로되어 있으며 탄성과 굽힘성질이 뛰어난 재질로 되어 있어 고정활차(10)에 인장되어 걸리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와이어(9)에 작업발판(5)이 측면으로 결합되는데, 와이어(9)가 고정활차(10)에 걸려 움직이게 될 때 도 3과 같이 동일방향으로 수직이동하게 되는 와이어(9)의 일부분과 결합하게 된다.
이는 도 2의 상세부처럼 상기 작업발판(5)이 결합된 높이의 와이어(9)에 개방된 와이어클립(8)을 압착하여 고정하고, 상기 와이어클립(8)을 작업발판(5)의 끝단에 각각 형성되는 와이어결합구(7)에 용접 또는 압착하여 고정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작업발판(5)의 각 끝단이 와이어(9)에 결합되므로 와이어(9)가 유압장치에 의해 상하이동될 때 작업발판(5)이 함께 움직이게 되고, 상기 와이어(9)는 일정정도 인장된 상태로 팽팽하게 고정활차(10)에 걸린 상태로 이동함으로써 결합되어 있는 작업발판(5)을 고정활차(10)로 지지하면서 이동방향으로 당겨주게 된다.
이로써 와이어(9)는 작업대(1)의 각 끝단에서 작업발판(5)을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12)의 역할을 하게 됨에 따라 일측에서만 하나의 유압실린더(12)를 설치하여, 작업발판(5)에 고정된 핸드레일(6)을 상기 유압실린더(12)의 실린더로드(13)에 고정하여 이동시키더라도 정확한 높이제어를 하면서 작업발판(5)을 이동시킬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작업발판(5)의 상측으로는 핸드레일(6)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핸드레일(6)은 일측부에서 실린더로드(13)의 끝단과 결합되어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가능하다.
상기의 실린더로드(13)는 기부(4)의 일측에 수직으로 입설되어 고정되어 있는 유압실린더(12)에 삽입되어 유압펌프(11)의 작동에 따라 상하이동하게 되는데, 상기 작업발판(5)이 실린더로드(13)에 결합되어 일측으로 지지되어 있으므로, 실린더로드(13)의 이동에 의해 작업발판(5)이 상하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작업발판(5)은 상기 와이어(9)와 측면으로 결합되어 있고, 작업발판(5)에 고정된 핸드레일(6)은 일측부로 상기 실린더로드(13)에 의해 고정지지되고 있으므로, 종래의 높이조절형 작업대의 발판이 하단지지되면서 상하이동됨에 따라 하단지지부에 해당하는 일정높이에서부터 높이가 가변되던 것과는 달리 본 고안의 작업발판(5)은 지면 근처 높이의 기부(4) 하단에서부터 높이를 가변시킬수 있게 된다.
이때 도 5와 같이 작업발판(5)은 기부(4)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9)와 결합되어 상하이동하므로 작업발판(5)의 높이가변범위는 기부(4)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가 된다.
본 고안에서 유압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작동판(15)에 의해 작동되는 유압펌프(11)와, 작동유체가 이동되고 유압밸브(16)가 설치되어 있는 유압관(14)과, 실린더로드(13)가 삽입되어 상하이동되는 유압실린더(12)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유압펌프(11)는 작업발판(5)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작업자가 작업중에도 손쉽게 펌프작동판(15)을 밟아 유압펌프(11)를 작동시킬수 있게 된다.
여기서 작업발판(5)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때는 상기의 펌프작동판(15)을 밟아 작동유체를 유압실린더(12)로 보내 실린더로드(13)를 상측으로 밀어내고, 작업발판(5)을 하측으로 이동시킬때는 유압펌프(11)에 직접 연결된 유압관(14)에 설치된 유압밸브(16)를 열어 유압실린더(12)의 작동유체를 다시 유압펌프(11)로 보내어 실린더로드(13)를 하강시킨다.
여기서, 펌프작동판(15)을 밟아 작동유체를 작동시킬 때에는 작동유체의 역류를 방지하는 밸브가 유압관(14)의 일정 부위에 설치됨은 당연하고, 유압밸브(16)를 열어 작업발판(5)을 하강시킬 때에는 갑작스런 하강에 의한 위험요소를 제거하기 위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유압밸브(16)가 설치된 유압관(14)에 하강속력조절밸브(17)가 설치된다. 상기의 하강속력조절밸브(17)는 작동유체의 흐름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에 의해 작업발판(5)의 하강 속도가 조절된다.
핸드레일(6)은 금속의 봉이나 관을 가공하여 가이드를 형성시켜 작업발판(5)에 단단히 고정시킨 것으로 작업시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고 작업자가 안정된 자세로 작업을 할수 있도록 몸을 지탱할 수 있도록 한다.
기부(4)의 하단에는 이동바퀴(3)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대(1)를 원하는 높이로 수평이동시킬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은 작업발판(5)이 기부(4)에 고정된 유압실린더(12)와 기부(4) 각끝단에 형성되어 있는 와이어(9)에 측면으로 지지되거나 결합되어 있어종래의 작업대와 달리 지면 근처에서부터 작업발판(5)의 높이를 가변시킬수 있게 됨에 따라 보다 다양한 조건의 작업환경에서도 작업대(1)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작업을 행할수 있게 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작업발판(5)이 와이어(9)에 결합되어 있어 함께 상하이동함으로써 한개의 유압실린더(12)로도 정확히 높이를 제어하며 작업발판(5)을 이동시킬수 있게 되어 작업대(1)의 제조비용을 절감시키는 효과를 가지는 동시에 작업발판(5)의 높이를 정확히 제어하는 구조가 고정활차(10)에 걸리는 와이어(9)를 이용하는 기계적 구성으로 되어 있어 오동작없이 오래동안 사용할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전후좌우 모서리면의 양끝단부에 각각 고정활차(10)가 설치되고, 상단에 고정활차(10)가 설치된 프레임앵글(2)이 네 꼭지점부근에 각각 고정되게 입설된 기부(4)와; 상기 기부(4)의 네 프레임앵글(2)의 내측부에 승강되게 설치되고, 와이어결합구(7)가 네 꼭지점 부근에 고정되게 입설된 작업발판(5)과; 상기 작업발판(5)의 와이어결합구(7)의 상단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난간의 역할을 하는 " ∩"형상의 핸드레일(6)과; 상기 작업발판(5)에 고정되게 설치된 유압펌프(11)와; 상기 기부(4)에 고정설치되고, 신장수축하는 실린더로드(13)의 단부가 상기 핸드레일(6)에 고정되며, 유압펌프(11)와 유압관(14)으로 연결된 유압실린더(12)와; 상기 모든 고정활차(10)에 순환되게 설치되고, 와이어결합구(7)에 고정된 한 가닥의 폐구된 와이어(9);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조절형 작업대.
  2. 제 1항에 있어서, 유압펌프(11)에는 레버작동으로 가압하는 펌프작동판(15)과, 유압관(14)으로 연결되어 압력을 해제하는 유압밸브(16)가 설치된 높이조절형 작업대.
  3. 제 2항에 있어서, 유압밸브(16)가 설치된 유압관(14)에는 작동유체의 흐름량을 조절하여 작업발판(5)의 하강 속도를 제어하는 하강속력조절밸브(17)가 설치된 높이조절형 작업대.
KR20-2004-0024447U 2004-08-26 2004-08-26 높이조절형 작업대 KR2003675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447U KR200367586Y1 (ko) 2004-08-26 2004-08-26 높이조절형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4447U KR200367586Y1 (ko) 2004-08-26 2004-08-26 높이조절형 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586Y1 true KR200367586Y1 (ko) 2004-11-12

Family

ID=49441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4447U KR200367586Y1 (ko) 2004-08-26 2004-08-26 높이조절형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586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778B1 (ko) * 2009-08-20 2012-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KR101917870B1 (ko) * 2018-03-16 2018-11-12 박시우 스카이 브릿지의 공중 부상시 건물과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09873A (ko)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KR20200099661A (ko) 2019-02-15 2020-08-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업환경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작업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778B1 (ko) * 2009-08-20 2012-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KR101917870B1 (ko) * 2018-03-16 2018-11-12 박시우 스카이 브릿지의 공중 부상시 건물과 충돌을 방지하는 완충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09873A (ko) * 2018-03-19 2019-09-27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KR102105675B1 (ko) * 2018-03-19 2020-04-28 주식회사 수산씨에스엠 고소 작업용 승강작업대
KR20200099661A (ko) 2019-02-15 2020-08-25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작업환경에 따라 변형이 가능한 가변형 작업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361B1 (ko) 고소작업대
US20100001241A1 (en) Stern Drive Jack Stand
KR20120101963A (ko) 안전 작업대를 구성한 리프트장치
CN104148517B (zh) 一种用于管件快速连接的加工装置
KR20140002915U (ko) 선박 블록 작업용 높이조절사다리
KR101326793B1 (ko) 고소작업대
KR200367586Y1 (ko) 높이조절형 작업대
KR102111846B1 (ko) 고소작업대 난간용 가설발판
CN203603429U (zh) 粉墙机及其升降导轨装置
KR101212340B1 (ko) 가변형 조립 작업대
KR20170035171A (ko) 하중 조절형 승강작업대
JP4560146B2 (ja) 金型取付装置
KR20170043489A (ko) 저상 탑승이 가능한 고소작업차
KR200415961Y1 (ko) 승강 작업대
JP4707466B2 (ja) 作業台着脱式昇降台及び作業台
KR102017503B1 (ko) 보일러용 이동식 비계장치
KR101461257B1 (ko) 솔리드 타이어 림 조립장치
KR20130000337U (ko) 높이 조절용 경사 사다리
JP2008179469A (ja) エレベータ装置におけるガイドレールの配設方法
KR101955416B1 (ko) 중장비를 이용하여 승강 및 좌우 이동이 가능한 선미 축/타계 작업대
JP3583560B2 (ja) 中間ステージ付き高所作業台
KR200245277Y1 (ko) 이동식 작업용 활차
CN220667428U (zh) 移动人字梯
CN215617896U (zh) 升降式组装工装台
KR101122778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작업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