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7195Y1 -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 Google Patents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7195Y1
KR200367195Y1 KR20-2004-0023561U KR20040023561U KR200367195Y1 KR 200367195 Y1 KR200367195 Y1 KR 200367195Y1 KR 20040023561 U KR20040023561 U KR 20040023561U KR 200367195 Y1 KR200367195 Y1 KR 2003671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solid fuel
combustion chamber
boile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561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유병숙
Original Assignee
유병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숙 filed Critical 유병숙
Priority to KR20-2004-00235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7195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71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7195Y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JREMOVAL OR TREATMENT OF COMBUSTION PRODUCTS OR COMBUSTION RESIDUES; FLUES 
    • F23J1/00Removing ash, clinker, or slag from combustion chambers
    • F23J1/06Mechanically-operated devices, e.g. clinker push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3/00Details solely applicable to stoves or ranges burning solid fuels 
    • F24B13/006Arrangements for cleaning, e.g. soot removal; Ash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5/007Ash-sif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48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 F24H1/52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incorporating heaters for domestic water incorporating heat exchangers for domestic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석탄, 코크스, 조개탄 등의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boiler using a solid fuel such as coal, coke, coal briquettes.

본 고안은 온수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관을 코일형태 구성하여 충분한 전열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높은 열효율을 얻을 수 있고, 연소실의 하부에는 모터구동방식의 자동 재털이장치를 설치하여 보일러 가동시 또는 가동 후에도 연소하고 남은 재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고온의 연소실 주변에 노출되는 전열관 등의 부재에 냉각수단을 구비하여 장기간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제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한편, 덮개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일러 내부에 잔류하는 연소가스를 자동으로 배출시켜줌으로써 안전성 측면에서도 적극 대처할 수 있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obtains high heat efficiency by minimizing heat loss by constructing a coil in the form of a heat pipe installed inside the hot water chamber, and operates a boiler by installing an automatic re-attaching device of a motor driving method in the low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It is possible to easily process the ash remaining after combustion or during start-up, and in particular, a cooling means is provided in a member such as a heat transfer tube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combustion chamber to maintain its function continuously even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cover to automatically discharge the combustion gas remaining in the boiler provides a hot water boiler using a solid fuel that can cope with safety.

Description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본 고안은 석탄, 코크스, 조개탄 등의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코일형의 전열관구조, 자동 재털이장치, 자체 온수를 위한 연소실 냉각구조, 잔류 연소가스 자동 배출을 위한 덮개구조 등을 포함하는 온수보일러를 제공함으로써, 높은 열효율을 얻을 수 있고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관리 및 취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boiler using solid fuels such as coal, coke, and coal briquett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il-type heat pipe structure, an automatic ashtray, a combustion chamber cooling structure for self-heating water, and automatic discharge of residual combustion gas. By providing a hot water boiler including a cover structure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t water boiler using a solid fuel that can obtain high thermal efficiency, extend the life of the boiler, and can safely and easily manage and handle.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전기 점화방식 등의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버너가 점화된 채 운전되면서 온수 및 난방을 위해 순환되는 물탱크를 가열시키는 수단으로서, 연료는 주로 기름이나 가스를 사용한다.In general, a boiler is a means for heating a water tank circulated for hot water and heating while the burner is operated by a control system such as an electric ignition method, and the fuel mainly uses oil or gas.

이러한 기름이나 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의 경우 연료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 유지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소득수준이 어려운 농촌 등에서는 보일러 사용에 따른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In the case of boilers using oil or gas as fuel, the burden of using boilers is increasing in rural areas where income levels are difficult because maintenance costs are high, such as excessive cost of purchasing fuel.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농촌 등에는 석탄, 나무, 조개탄 등의 고체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In view of these characteristics, it is a recent trend that a lot of boilers used as solid fuels such as coal, wood, and coal briquettes are spread in rural areas.

위와 같은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대부분의 보일러들은 온수통의 하부에서 단순히 연료를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실의 외벽을 통한 연손실이 크고, 이로 인해 전반적인 열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으며, 또한 연소되고 남은 재의 처리작업을 사람이 직접 하기 전에는 탄 재가 그대로 남게 되어 이로 인한 불의 숨구멍이 막히게 되어 불이 쉽게 꺼져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등 관리 및 취급상의 어려움이 있고, 특히 연소실 주변의 금속으로 된 부재들이 고온에 노출되는 관계로 쉽게 부식되는 등 보일러의 전체적인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Most of the existing boilers using solid fuels have a disadvantage in that the loss of heat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large because the boiler simply burns the fuel in the lower part of the hot water tank. There is a difficulty in management and handling such that the ash remains as it is before a person takes care of the remaining ashes, which causes the pores of the fire to be clogged, causing the fire to be easily extinguished. In particular, the metal parts around the combustion chamber Due to exposure to high temperatures, the overall life of the boiler is shortened, such as being easily corroded.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온수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관을 코일형태로 구성하여 충분한 전열면적을 확보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높은 열효율을 얻을 수 있고, 연소실의 하부에는 모터구동방식의 자동 재털이장치를 설치하여 보일러 가동시에도 탄 재만을 시간타임에 의해 주기적으로 털어 배출시켜 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료가 원활하게 공급됨은 물론 불구멍이 막혀 불이 꺼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또 가동 후 배출된 재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으며, 특히 고온의 연소실 주변에 노출되는 전열관 등의 부재에 냉각수단을 구비하여 장기간 고온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제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한편, 덮개의 구조를 개선하여 보일러 내부에 잔류하는 연소가스를 자동으로 배출시켜줌으로써 안전성 측면에서도 적극 대처할 수 있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such a point, and the heat transfer tube installed inside the hot water chamber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il to obtain a sufficient heat transfer area, thereby minimizing heat loss, thereby obtaining high thermal efficiency, and lowering the combustion chamber. By installing a motor-driven automatic ashtray, it is possible to periodically shake off only the ash in time when the boiler is running, so that the fuel can be supplied smoothly and the fire is blocked to prevent the fire from extinguishing. The ash discharged after operation can be easily handled. In particular, a cooling means is provided in a member such as a heat transfer tube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combustion chamber to maintain its function even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for a long time. By automatically venting the remaining combustion gas inside the boil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ot 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that can cope with aggressively.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온수보일러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정단면구성도1 is a front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ot water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측단면구성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도 3은 도 1의 A-A 선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는 도 1의 B-B 선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of FIG.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보일러에서 재털이장치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정면도5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shtray device in the hot water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온수보일러에서 재털이장치의 또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ashtray device in the hot water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사용상태도7 is a state diagram used in FIG.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냉각자켓의 다른 구현예를 보여주는 정면구성도8 is a front configuration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ooling j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적재실 11 : 온수실10: loading room 11: hot water room

12 : 연소실 13 : 점화구12 combustion chamber 13 ignition port

14 : 본체 15 : 전열관14 body 15 heat transfer tube

16 : 재털이장치 17 : 물통로16: ashtray device 17: water passage

18 : 홀 19 : 냉각판18: hole 19: cooling plate

20 : 냉각자켓 21 : 덮개20: cooling jacket 21: cover

22 : 가이드 23 : 지지대22: guide 23: support

24 : 온수파이프 25 : 힌지부24: hot water pipe 25: the hinge portion

26a,26b : 돌기부 27a,27b : 재털이판26a, 26b: projection 27a, 27b: ashtray board

28a,28b,28c : 모터 29 : 링크28a, 28b, 28c: motor 29: link

30 : 편심판 31 : 축관30: eccentric plate 31: shaft

32 : 배출홀 33 : 재털이블럭32: discharge hole 33: ashtray block

34 : 체인 35 : 스프로킷34: Chain 35: Sprocket

36 : 요철돌기 37 : 가이드부재36: uneven protrusions 37: guide member

38 : 축 39 : 캠38: axis 39: cam

40 : 입구 41 : 출구40: entrance 41: exit

42 : 배출팬 43 : 연소가스 유입홀42: exhaust fan 43: combustion gas inlet hole

50 : 수거함 60 : 수온조절기50: collection box 60: water temperature controller

70 : 보조물탱크70: auxiliary tank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체연료 적재를 위한 내부 중심의 적재실과 출입가능한 온수의 저장을 위한 주변의 온수실 및 고체연료 연소를 위한 하부의 연소실로 구분되고 일측에는 연소실과 통하는 점화구를 갖는 본체와, 상기 연소실의 내부에 일정길이 위치되는 동시에 적재실의 둘레를 따라 코일형태로 배치되면서 외부로 연장되며 내부를 통과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전열작용을 수행하는 전열관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지지되면서 연소실의 내부까지 진입하여 연소된 재를 털어주는 모터구동방식의 재털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divided into a load chamber of the inner center for the solid fuel loading and the surrounding hot water chamber for the storage of accessible hot water and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lower portion for the combustion of solid fuel and has an igni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mbustion chamber on one side. A main body, a heat pipe which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length inside the combustion chamber and is disposed in a coil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ading chamber and extends to the outside and performs heat transfer using combustion heat passing through the inside, and is supported o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re-attachment device of the motor drive method to enter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shake off the burned ash.

또한, 상기 연소실의 바닥에는 온수실과 통하는 한쪽의 입구 및 반대쪽의 출구를 갖고 있으며 물흐름을 위한 다수의 나란한 물통로 및 그 사이사이의 홀을 갖는 사각 판부재 형태의 냉각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ing plate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member having one inlet and the other side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hot water chamber and a plurality of parallel water passages for the water flow and holes therebetween. do.

또한, 상기 전열관의 연소실 내의 배치구간에는 온수실과 통하면서 관둘레의 적어도 1/2 이상을 감싸는 냉각자켓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rrangement s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heat transfer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ing jacket for covering at least 1/2 or more of the circumference of the tube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hot water chamber is installed.

또한, 상기 적재실의 상부에는 개폐가능한 덮개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덮개는 이중덮개 방식으로, 상부덮개 저면 중심부에 하향으로 지지대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 지지대가 상하 연통되도록 하는 중앙홀을 가진 하부덮개의 중심에 지지되어 있는 관형태의 가이드 내에 끼워져 상하 슬라이드가능하게 되므로서, 내부 압력에 의해 상부덮개가 자연 개폐가 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top of the loading chamber is provided with a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 cover is a double cover type, the support is provided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of the upper cover, the lower cover having a central hole that allows the support to communicate up and down The upper co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over can be naturally opened and closed by the internal pressure by being inserted in the guide of the tubular shape supported at the center.

또한, 상기 전열관은 그 코일형태의 홈부를 따라 연속해서 밀착 배치되면서 외부 인출이 가능하며 직접적인 열전도를 통해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온수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heat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ot water pipe which is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portion of the coil form is possible to draw outside and heat the water inside through direct heat conduction.

또한, 상기 재떨이장치는 연소실의 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한쪽의 힌지부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연소실의 내부까지 연장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부를 이용하여 재를 털어주는 재털이판과, 보일러 본체의 다리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재털이판의 다른 한쪽과 모터의 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재털이판에 전달하는 링크 및 편심판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shtray device is disposed side by side at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at the same time installed to swing to one of the hinge portion and ash ash board us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protruding ashes, and the legs of the boiler body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fixed motor and a link and an eccentric plat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ashtray plate and the shaft of the motor to transfer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the ashtray plate.

또한, 상기 재털이장치는 연소실의 바닥부를 구성하면서 보일러 본체의 중심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며 상하단의 축관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둘레의 갭과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홀을 이용하여 재를 털어주는 원추형의 재털이블럭과, 상기 재털이블럭의 하단 축관에 체인 및 스프로킷으로 연결되어 재털이블럭을 회전시켜주는 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shtray is composed of a concentric circle in the center of the boiler body while forming the bottom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is installed rotatably around the upper and lower shaft pipes and at the same time us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penetrating vertically through the circumference gap and the inside. Cone ash ashes to shake off the ashes,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otor that is connected to the lower shaft tube of the ashtrays by a chain and a sprocket to rotate the ashtrays.

또한, 상기 재털이블럭의 표면에는 다수의 요철돌기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urface of the ashtray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rregularities are provided.

또한, 상기 재털이블럭의 축관은 파이프수단을 통해 온수실측과 연결되어 재털이블럭의 내부로 냉각을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haft tube of the ashtray block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chamber side through the pipe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that can supply the water for cooling into the ashtray block.

또한, 상기 재털이장치는 연소실의 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양쪽 가이드부재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승 및 하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소실의 내부까지 연장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부를 이용하여 재를 털어주는 재털이판과, 보일러 본체의 다리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동시에 보일러 본체의 저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양단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한 축 및 이 축에 관통 결합되면서 재털이판의 저면과 접촉 전동되는 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shtray device is arranged side by side at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while being guided by both guide members are installed to be up and down and ash ash board using a plurality of projections extending to the interior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motor fixed to the leg of the boiler body, and a cam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and simultaneously supported both ends horizontally across the bottom of the boiler body and rotatable through the shaft and in contact with the bottom of the ash tray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s of.

또한, 상기 온수실의 상부에는 온수의 일정온도 유지 및 오버히트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수온조절기와 이에 따라 배출된 물을 일정하게 보충해 줄 수 있도록 하는 보조물탱크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cha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water temperature controller for maintaining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and to prevent overheating and an auxiliary water tank for constantly replenishing the discharged wate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온수보일러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정면도와 측면도이다.1 and 2 are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hot water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보일러의 본체(14)는 대략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수의 다리를 통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본체(14)는 다리와 볼팅체결되어 분리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들의 외면으로는 내측으로 단열재를 구비한 커버(C)로 싸여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1 and 2, the body 14 of the hot water boiler is made of a substantially cylindrical and can maintain a constant height through a plurality of legs. At this time, the main body 14 has a structure that can be separated by bolting fastening with the legs, the outer surface is configured to be wrapped in a cover (C) provided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inward.

상기 본체(14)의 내부는 크게 세부분으로 구획되는데, 중심부에는 고체연료를 채울 수 있는 적재실(10)로 조성되고, 그 주변은 물을 채울 수 있는 온수실(11)로 조성되며, 아래쪽은 적재실(10)과 통하는 연소실(12)로 조성된다.The inside of the main body 14 is largely divided into subdivisions, the center of which is composed of a loading chamber 10 for filling solid fuel, the periphery of the body is formed of a hot water chamber 11 for filling water, Is composed of a combustion chamber 12 communicating with the loading chamber 10.

상기 온수실(11)은 외부와 물의 순환을 위하여 측면부 위아래에 각각 입구(40)와 출구(41)가 구비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물을 공급하거나 고온의 물을 빼내어 쓸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온수실(11)의 상부에는 온수의 일정온도 유지 및 오버히트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수온조절기(60, 통상 "서머스탭"이라고 함)와 이에 따라 배출된 물을 일정하게 보충해 줄 수 있도록 하는 보조물탱크(70)가 더 설치된다.The hot water chamber 11 is provided with an inlet 40 and an outlet 41 above and below the side portions for circulation of the outside and the water, respectively, so that water can be supplied or hot water can be drawn out.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chamber (11) to maintain a constant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and to prevent overheating (60, commonly referred to as "summer thermostat") and accordingly to replenish the water discharged accordingly The auxiliary tank 70 is further installed.

또한, 상기 적재실(10)은 석탄, 조개탄 등의 고체연료를 채울 수 있는 곳이며, 상부로부터 내부에 고체연료를 넣게 되면 아래쪽의 연소실(12)부터 차곡차곡 위로 쌓이게 된다.In addition, the loading chamber 10 is a place that can fill the solid fuel, such as coal, briquettes, and when the solid fuel is put from the top to the inside is stacked up from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또한, 상기 연소실(12)의 일측은 외부와 통하는 점화구(13)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곳을 통해 보일러 가동 초기에 불을 붙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점화구(13)의 바깥쪽 단에는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개폐창(13a)을 설치하여 연소실(12)의 점화여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is provided with an ignition opening 13 to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which it is possible to ignite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boiler.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the opening and closing window 13a through which the outside end of the ignition port 13 can see the inside to check whether the combustion chamber 12 is ignited.

상기 적재실(10)의 상부는 덮개(21)로 마감되는데, 이때의 덮개(21)는 연소실 내부의 이상압력을 자동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이중덮개 방식으로, 상부덮개(21a) 저면 중심부에 지지대(23)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것이 상하 연통되도록 하는 중앙홀을 가진 하부덮개(21b)의 중심에 지지되어 있는 관형태의 가이드(22) 내에 끼워져 상하 슬라이드가능하게 지지되므로서, 상부덮개(21a)는 연소실(12)로부터 이상압력이 발생하게 되면 상측으로 밀려나면서 열려 자연스럽게 이상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킬수 있게 된다.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chamber 10 is finished with a cover 21, in which the cover 21 is a double cover method for automatically discharging the abnormal pressure in the combustion chamber,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cover (21a) A support 23 is provided, which is inserted into a tubular guide 22 support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cover 21b having a central hole for vertically communicating with the upper cover 21a. When the abnormal pressure is generat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2 is pushed upwards to naturally discharge the abnormal pressure to the outside.

즉, 보통 보일러의 재사용을 위해 불을 붙이게 되면 남아있던 잔류가스가 "퍽" 하고 폭발하게 되는데, 이때의 이상압력으로 상부덮개(21a)가 자동으로 열리면서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켜주게 되므로서 폭발과 관련한 위험요소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the fire is usually turned on for the reuse of the boiler, the remaining residual gas "pucks" and explodes. At this time, the upper cover 21a is automatically opened and the pressur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while the explosion and The risks involved can be completely excluded.

이렇게 열리는 상부덮개(21a)는 자체 무게로 닫힐 수 있으며, 열릴 때에는 지지대(23)의 끝에 있는 턱이 가이드(22)에 걸리게 되므로 상부덮개(21a)가 완전히 탈거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덮개(21b)는 연료를 공급할 때 탈거할 수 있도록 됨으로써 용이하게 연료를 공급할 수 있다.The upper cover 21a opened in this way can be closed by its own weight, and when opened, the jaw at the end of the support 23 is caught by the guide 22, thereby preventing the upper cover 21a from being completely removed. And the lower cover 21b can be easily removed when supplying the fuel can be supplied.

본 고안에서는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갖고 있는 고온의 열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전열관 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 pipe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the high temperature heat source of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즉, 상기 전열관(15)은 연소실(12)에서부터 온수실(11)을 경유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게 되며, 온수실(11)을 경유하는 구간을 이용하여 전열작용을 수행하게 된다.That is, the heat transfer tube 15 has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2 to the outside via the hot water chamber 11, and performs the heat transfer operation by using a section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chamber 11.

이를 위하여, 상기 전열관(15)은 한쪽이 연소실(12)의 내부 상측에서 수평으로 길게 연장 배치되고, 이곳에서부터 온수실(11)의 내부에서 적재실(10)의 주위를 코일형태로 감아올라간 후 본체(14)의 측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To this end, one side of the heat transfer pipe 15 is horizontally extended from the upper side of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and from there it is wound around the load chamber 10 in the form of a coil in the interior of the hot water chamber 11, It has a structure extending through the side of the main body 14 to the outside.

이때 상기 전열관(15)의 연소실(12)측 구간은 아래쪽으로 다수의 연소가스 유입홀(43)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전열관 내부로 연소가스가 유입될 수 있으며, 외부측 구간에는 배출팬(42)이 설치되어 있어서 연소가스의 흐름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연소가스는 배출팬(42) 입구측에 필터를 구비하여 흡입되기 전 필터링하여 대기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combustion chamber 12 side section of the heat transfer pipe 15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combustion gas inlet holes 43 downward,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may be introduced into the heat transfer pipe, and an external fan may include an exhaust fan. 42) is installed so that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can proceed smoothly. Here, the combustion gas is more preferably provided with a filter at the inlet side of the discharge fan 42 so as to be filtered before being sucked to prevent air pollution.

특히, 상기 전열관(15)의 연소실(12)측 구간은 고온의 고체연료가 직접 연소되고 있는 곳에 그대로 노출되는데, 본 고안에서는 전열관(15)의 길이를 따라가면서 그 둘레를 반경방향으로 적어도 1/2 이상을 감싸는 냉각자켓(20)을 제공함으로써, 고온에 노출되는 전열관(15)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combustion chamber 12 side section of the heat transfer tube 15 is exposed as it is where the high-temperature solid fuel is directly burned, in the present design along the length of the heat transfer tube 15 in the radial direction at least 1 / By providing two or more cooling jackets 20,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heat transfer pipe 15 exposed to high temperature.

이때의 냉각자켓(20)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쪽이 온수실(11)과 그대로 통하는 터널형태로 되어 있으며 온수실(11) 내의 물이 이곳에 통하여짐에 따라 고온과 접하는 전열관(15) 외측으로 냉각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ooling jacket 20 is, as shown in Figure 4, both sides of the tunnel form that is in direct communication with the hot water chamber 11, the heat transfer tube in contact with the high temperature as the water in the hot water chamber 11 is passed through it. (15) Cooling can be made to the outside.

본 고안에서는 본체(14)의 내부에 별도의 온수파이프(24)를 설치하여 순간온수기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hot water pipe 24 may be installed inside the main body 14 to provide a function of the instant water heater.

이를 위하여, 상기 온수파이프(24)는 본체(14)의 벽면을 관통하여 내부로 인입된 후 코일형태로 이루어져 서로 접하는 부분의 전열관(15)의 외면 홈부를 따라 연속해서 밀착 배치된 다음 외부로 인출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따라서 전열관(15)과의 직접적인 접촉을 통한 전열구조로 온수파이프(24) 내의 물은 급속히 가열될 수 있으므로 온수를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hot water pipe 24 is introduced through the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4 into the inside and then formed in a coil form in a continuous close contact along the outer groove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pipe 15 of the portion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n withdrawn to the outside Since the water in the hot water pipe 24 can be rapidly heated by the heat transfer structure through direct contact with the heat transfer pipe 15, the hot water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또한, 본 고안에서는 연소실(12)의 주변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냉각수단, 즉 냉각판(19)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oling means, that is, the cooling plate 19 that can more effectively protect the periphery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상기 냉각판(19)은 연소실(12)의 바닥을 구성하는 요소이며, 그 위에서 직접 고체연료가 연소된다.The cooling plate 19 is an element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the solid fuel is directly burned thereon.

상기 냉각판(19)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판부재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내부는 물이 흐를 수 있는 다수의 나란한 물통로(17)가 갖추어져 있고 한쪽의 입구 및 반대쪽의 출구는 각각 온수실(11)과 통해 있어서 온수실(11) 내의 물이 물통로(17)로 흐를 수 있게 된다.The cooling plate 19, as shown in Figure 3, is formed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member, the inside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side-by-side water passages 17 through which water flows and one inlet and the other outlet is The water in the hot water chamber 11 can flow through the water passage 17 through the hot water chamber 11, respectively.

즉, 냉각판(19)의 내부 전체에 물이 채워질 수 있게 된다.That is, water can be filled in the entire interior of the cooling plate 19.

특히, 상기 물통로(17)의 사이사이에는 홀(18)이 조성되어 있어서 이곳을 통해 후술하는 재털이장치(16)의 돌기부(26a),(26b)들이 연소실(12) 내부까지 진입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a hole 18 is formed between the water passages 17 so that the projections 26a and 26b of the ashtray 16,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enter the combustion chamber 12 through the holes 18. do.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의 경우 연소 중 또는 연소 후 남는 재의 처리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재의 처리는 화력 및 연소효율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주기적으로 완전 연소된 재를 털어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In the case of boilers using solid fuel, the treatment of ash remaining during or after combustion is very important, and the treatment of such ashes also affects the thermal power and combustion efficiency, so a means to periodically shake off the completely burned ash is needed. .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세가지 타입의 재털이장치(16)를 제공한다.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ree types of ashtrays 16 using a motor as a power source.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링크(29)와 편심판(30)에 의해 요동되면서 재를 털어주는 재털이판(27a)을 보여준다.As shown in Fig. 1 and Fig. 2, here the ashtray plate 27a is shaken by the link 29 and the eccentric plate 30 to shake off the ashes.

상기 재털이판(27a)은 연소실(12)의 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한쪽의 힌지부(25)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다른 한쪽은 링크(29)와 편심캠(30)을 매개로 하여 본체(14)의 다리측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28a)의 축과 연결된다.The ashtray 27a is arranged side by side at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and is swingably installed at one hinge portion 25, and the other is provided via a link 29 and an eccentric cam 30. It is connected with the shaft of the motor 28a provided in the leg side of the main body 14. As shown in FIG.

이러한 재털이판(27a)의 상면에는 연소실(12)의 내부까지 연장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부(26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부(26a)가 냉각판(19)의 홀(18)을 통해 연소실(12)까지 진입하여 재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26a a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shtray plate 27a and protrude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and the protrusions 26a are formed through the holes 18 of the cooling plate 19. It enters up to 12 and comes in direct contact with the ash.

이에 따라, 모터(28a)가 작동되면 그 축에 연결되어 있는 편심캠(30)이 회전하게 되고, 계속해서 링크(29)가 함께 위아래로 운동하는 동시에 링크(29)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재털이판(27a)의 앞쪽 끝이 위아래로 당겨지게 되므로 재털이판(27a)은 뒷쪽 끝의 힌지부(25)를 중심으로 요동하면서 돌기부(26a)를 이용하여 재를 털어줄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motor 28a is operated, the eccentric cam 30 connected to the shaft is rotated, and the ash 29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ink 29 is continuously moved while the link 29 moves up and down together. Since the front end of the plate 27a is pulled up and down, the ashtray plate 27a can shake off the ash using the protrusion 26a while swinging about the hinge portion 25 of the rear end.

이때, 재털이 판(27a)의 작동은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보일러 동작 중에 일정시간대별로 주기적으로 털어줄 수 있도록 하여 완전 연소된 재를 아래쪽으로 계속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연료가 차례차례 아래로 진입하며 불구멍이 막히지 않고 잘 탈 수 있도록 되며, 아래로 떨어지는 재는 별도의 수거함(50) 등을 이용하여수집한 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operation of the ash tray 27a by the controller (not shown) to periodically shake off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oiler to continuously discharge the completely burned ash downwards and the fuel enters the fire down one after another The hole can be burned well without being blocked, and the ash falling down can be easily processed after being collected using a separate collection box 50 or the like.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회전방식의 재털이블럭(33)을 이용하여 재를 터는 구조를 보여준다.As shown in FIG. 5, the ash ashing structure is shown using a ashtray block 33 of a rotation method.

상기 재털이블럭(33)은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홀(32)과 표면에 형성되어 엉어리진 재를 분쇄하는 다수의 요철돌기(36)를 갖는 원추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연소실(12)의 바닥부에 배치되어 이것이 직접 연소실 바닥 역할을 한다.The ashtray block 33 has a conical shape hav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2 vertically penetrating the inside and a plurality of convex and concave protrusions 36 formed on the surface to crush tangled ash.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urnace, which serves as the direct combustion chamber floor.

이러한 재털이블럭(33)은 본체(14)의 중심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며, 윗면과 밑면에서 각각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축관(3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is ashtray block 33 is arranged concentrically in the center of the main body 14,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shaft tube 31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이때의 축관(31)은 상단쪽은 적재실(10)의 내벽에서 연장되는 지지관에 의해 베어링 등과 함께 지지될 수 있고, 하단쪽은 양편의 다리를 가로지르는 지지관에 의해 베어링 등과 함께 지지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haft tube 31 may be supported with the bearing and the like by the support tube extending from the inner wall of the loading chamber 10, the upper side, the lower side to be supported with the bearing and the like by the support tube across the legs of both sides. Can be.

상기 재털이블럭(33)은 본체(14)의 다리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28b)에 의해 회전되며, 이때의 동력전달은 체인(34) 및 스프로킷(35)이 담당하게 된다.The ashtray 33 is rotated by the motor 28b fixedly installed on the leg side of the main body 14, and the power transmission at this time is in charge of the chain 34 and the sprocket 35.

이에 따라 재털이블럭(33)이 회전하게 되면 그 위에 쌓여있는 재들은 그 둘레의 배출홀(32)을 통해 밑으로 떨어져 처리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when the ashtray block 33 is rotated, the ashes stacked thereon can be treated to fall down through the discharge hole 32 around the ash ash block 33.

특히, 재털이블럭(33)의 내부에는 축관(31)을 통해 물이 공급되어 연소실의 고온 조건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wate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ashtray 33 through the shaft tube 31 to be protected from the high temperature condi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이를 위하여, 상기 축관(31)은 파이프수단을 통해 온수실(12)측과 연결되어있으며, 이에 따라 재털이블럭(33)의 내부로 온수실(12)측의 물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shaft tube 31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chamber 12 side through a pipe means, so that the water of the hot water chamber 12 side can be supplied into the ashtray block 33.

이때의 파이프수단과 축관(31)의 연결부위는 누수방지를 위한 실링부재로 마감 처리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pipe means and the shaft tube 31 can be finished with a sealing member for preventing leakage.

도 6 및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기서는 캠방식으로 재털이판(27b)을 움직여주는 구조를 보여준다.As shown in Figures 6 and 7, here shows a structure for moving the ash tray 27b in a cam method.

상기 재털이판(27b)은 연소실(12)의 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면서 양쪽 가이드부재(37)의 안내를 받아 상승 및 하강가능하게 설치된다.The ash tray 27b is disposed to be parallel to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and is installed to be moved up and down by the guidance of both guide members 37.

이때의 가이드부재(37)는 양쪽 2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브라켓 등을 통해 다리측 또는 상기 냉각판(19)의 저측에 고정되면서 수직으로 세워지는 가이드봉과 이 가이드봉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면서 재털이판(27b)의 측면에서 수직 형성되는 가이드관으로 구성된다.At this time, the guide member 37 may be provided with two sides, and the guide rod which is vertically fixed while being fixed to the leg side or the bottom side of the cooling plate 19 through a bracket or the like and slidably fitted to the guide rod. It consists of a guide tube vertically formed at the side of the board 27b.

이러한 재털이판(27b)에는 연소실(12)의 내부까지 연장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부(26b)가 갖추어져 있어서 이것을 이용하여 쑤셔 재를 털어줄 수 있게 된다.The ash tray 27b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rotrusions 26b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so that the ashes can be shoved and used to shake off the ashes.

상기 재털이판(27b)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수단으로는 본체(14)의 다리측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28c)와, 상기 모터(28c)의 동력을 전달하는 축(38)과 캠(39)이 구비된다.As a means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ashtray 27b, a motor 28c fixedly installed on the leg side of the main body 14, a shaft 38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motor 28c, and a cam 39 ) Is provided.

상기 축(38)은 모터(28c)의 축에 연결되면서 본체(14)의 저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양단이 베어링 등과 함께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되고, 상기 캠(39)은 축(38)에 관통 결합되면서 재털이판(27b)의 저면과 접촉되면서 재털이판(27b)을 올려주거나 내려줄 수 있게 된다.The shaft 38 is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28c, and both ends of the shaft 14 are horizontally supported with the bearing and the like so as to be rotatable, and the cam 39 penetrates the shaft 38. While being combined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shtray plate 27b, the ashtray plate 27b may be raised or lowered.

상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기술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고안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냉각자켓의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즉 냉각자켓(20')을 온수실(11)과 직접 용접하여 연결하지 않고 연소실(12)측 전열관(15)을 커버할 수 있도록 분리가능하게 구성하되, 그 길이방향 양단을 마감하고 일측에 온수실(11)과 통하도록 하는 연결관을 형성하여 물이 채워질 수 있도록 하여도 연소실(11) 내 전열관(15)의 냉각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이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to describe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the structure of the cooling jacket as shown in FIG. 8, that is, the heating jacket 15 on the combustion chamber 12 side without directly connecting the cooling jacket 20 ′ with the hot water chamber 11. The heat pipe 15 in the combustion chamber 11 is formed to be separable so as to cover the end, and ends of the longitudinal ends thereof and form a connection tube to communicate with the hot water chamber 11 on one side so that the water can be filled. Cooling can be carried out. It is natural that such modifications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코일형의 전열관구조, 자동 재털이장치, 연소실 냉각구조, 잔류 연소가스 자동 배출구조 등을 포함하는 온수보일러를 제공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높은 열효율을 얻을 수 있는 효과와, 연소 중에 완전 연소된 재를 주기적으로 털어주어 불구멍의 막힘이 없이 불이 꺼지지 않고 연료가 잘 탈 수 있도록 되며 또 연소하고 남은 재를 손쉽게 처리할 수 있는 효과와, 보일러의 수명을 한층 연장할 수 있는 효과와, 보일러를 안전하게 관리 및 취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ot water boiler including a coil-type heat pipe structure, an automatic ashtray, a combustion chamber cooling structure, an automatic residual combustion gas discharge structure, and the like, thereby minimizing heat loss and achieving high thermal efficiency. In addition, by periodically brushing the completely burned ash during combustion, the fuel can be burned well without being burned out without the blockage of the fire, and it is possible to easily deal with the remaining ashes and extend the life of the boiler.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nd that the boiler can be safely managed and handled.

Claims (11)

고체연료 적재를 위한 내부 중심의 적재실(10)과 출입가능한 온수의 저장을 위한 주변의 온수실(11) 및 고체연료 연소를 위한 하부의 연소실(12)로 구분되고 일측에는 연소실(12)과 통하는 점화구(13)를 갖는 본체(14)와, 상기 연소실(12)의 내부에 일정길이 위치되는 동시에 적재실(10)의 둘레를 따라 코일형태로 배치되면서 외부로 연장되며 내부를 통과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전열작용을 수행하는 전열관(15)과, 상기 본체(14)의 하부에 지지되면서 연소실(12)의 내부까지 진입하여 연소된 재를 털어주는 모터구동방식의 재털이장치(1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It is divided into a loading chamber 10 of the inner center for loading solid fuel, a surrounding hot water chamber 11 for storing accessible hot water, and a lower combustion chamber 12 for burning solid fuel, and on one side a combustion chamber 12 and A main body 14 having an ignition opening 13 to communicate with the combustion chamber 12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disposed in a coil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loading chamber 10 and extends to the outside and passes the combustion heat passing through the interior. Including a heat transfer tube 15 for performing the heat transfer action, and a motor drive re-attachment device 16 is supported by the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14 to enter the combustion chamber 12 and shake off the burned ashes. Hot water boiler using a solid fuel, characterized in that mad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2)의 바닥에는 온수실(11)과 통하는 한쪽의 입구 및 반대쪽의 출구를 갖고 있으며 물흐름을 위한 다수의 나란한 물통로(17) 및 그 사이사이의 홀(18)을 갖는 사각 판부재 형태의 냉각판(19)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according to claim 1, having one inlet and an opposite outlet communicating with the hot water chamber (11) and a plurality of side-by-side water passages (17) and a hole (18) between them for water flow. Hot water boiler using a solid fue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oling plate 19 is installed in the form of a square plate member hav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15)의 연소실 내의 배치구간에는 온수실(12)과 통하면서 관둘레의 적어도 1/2 이상을 감싸는 냉각자켓(20)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2. The solid fuel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oling jacket (20) covering at least one-half of the circumference of the tube while passing through the hot water chamber (12) is provided in an arrangement section in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heat transfer pipe (15). Use hot water boi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실(10)의 상부에는 개폐가능한 덮개(21)가 설치되어 있되, 상기 덮개(21)는 이중덮개 방식으로 상부덮개(21a) 저면 중심부에 하향으로 지지대(23)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 지지대(23)가 상하 연통되도록 하는 중앙홀을 가진 하부덮개(21b)의 중심에 지지되어 있는 관형태의 가이드(22) 내에 끼워져 상하 슬라이드가능하게 되므로서, 내부 압력에 의해 상부덮개(21a)가 자연 개폐가 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lid 21 is provid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chamber 10, the cover 21 is a double lid method, the support 23 is downward in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pper cover 21a It is equipped with the upper cover by the internal pressure, so that the support 23 is inserted into the guide 22 of the tubular shape support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cover (21b) having a central hole for vertical communication Hot 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characterized in that the (21a) can be opened and closed naturall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15)은 코일형태의 홈부를 따라 연속해서 밀착 배치되면서 외부 인출이 가능하며 직접적인 열전도를 통해 내부의 물을 가열하는 온수파이프(2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eat pipe 15 is continuously arranged in close contact with the groove in the form of a coil is possible to take out the outside and further comprises a hot water pipe 24 for heating the water inside through direct heat conduction Hot 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떨이장치(16)는 연소실(12)의 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한쪽의 힌지부(25)로 요동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연소실(12)의 내부까지 연장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부(26a)를 이용하여 재를 털어주는 재털이판(27a)과, 보일러 본체의 다리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28a)와, 상기 재털이판(27a)의 다른 한쪽과 모터(28a)의 축에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력을 재털이판(27a)에 전달하는 링크(29) 및 편심판(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ashtray device 16 is arranged side by side at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and a plurality of projections extending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while being slidably installed to one hinge portion 25 Ash hair plate 27a for brushing ash using 26a, a motor 28a fixed to the leg of the boiler main body, the other side of the ash board 27a, and connected to the shaft of the motor 28a, Hot water boiler using a solid fue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link 29 and the eccentric plate 30 for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of the motor to the ashtray plate (27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털이장치(16)는 연소실(12)의 바닥부를 구성하면서 보일러 본체의 중심에 동심원상으로 배치되며 상하단의 축관(3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둘레의 갭과 내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다수의 배출홀(32)을 이용하여 재를 털어주는 원추형의 재털이블럭(33)과, 상기 재털이블럭(33)의 하단 축관(31)에 체인(34) 및 스프로킷(35)으로 연결되어 재털이블럭(33)을 회전시켜주는 모터(28b)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ashtray 16 is arranged concentrically in the center of the boiler body and constitutes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and is rotatably installed around the upper and lower shaft pipes 31, The chain 34 and the sprocket 35 in the conical ash tray 33 to shake the ashes using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2 vertically penetrating the inside, and the lower shaft tube 31 of the ash tray 33. Hot water boiler using a solid fuel,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motor (28b) connected to the ashtray block 33 is connected to.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재털이블럭(33)의 표면에는 다수의 요철돌기(36)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8. The hot 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a plurality of uneven protrusions (36) ar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ashtray block (33). 청구항 7 또는 8에 있어서, 상기 재털이블럭(33)의 축관(31)은 파이프수단을통해 온수실(12)측과 연결되어 재털이블럭(33)의 내부로 냉각을 위한 물을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or 8, wherein the shaft tube 31 of the ashtray block 33 is connected to the hot water chamber 12 side through a pipe means to supply water for cooling to the interior of the ashtray block 33. Hot water boiler using a solid fuel,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털이장치(16)는 연소실(12)의 저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양쪽 가이드부재(37)의 안내를 받으면서 상승 및 하강가능하게 설치되며 연소실(12)의 내부까지 연장 돌출되는 다수의 돌기부(26b)를 이용하여 재를 털어주는 재털이판(27b)과, 보일러 본체의 다리에 고정 설치되는 모터(28c)와, 상기 모터(29c)의 축에 연결되는 동시에 보일러 본체의 저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양단 지지되면서 회전가능한 축(38) 및 이 축(38)에 관통 결합되면서 재털이판(27b)의 저면과 접촉 전동되는 캠(3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The ashtray 16 is disposed side by side at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while being guided by both guide members (37) to be installed up and down and protrudes to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2). Ash board 27b for brushing ash by us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26b, a motor 28c fixedly installed on the legs of the boiler body, and a shaft of the motor body 29c and the bottom of the boiler body. Using a solid fuel,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rotatable shaft (38) and a cam (39)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ashboard (27b) while being coupled to the shaft (38) while being supported at both ends horizontally. Hot water boi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온수실(11)의 상부에는 온수의 일정온도 유지 및 오버히트를 막을 수 있도록 하는 수온조절기(60)와 이에 따라 배출된 물을 일정하게 보충해 줄 수 있도록 하는 보조물탱크(70)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온수보일러.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hot water chamber 11, the water temperature controller 60 to prevent the constant temperature of the hot water and prevent overheating and the auxiliary water tank so as to constantly replenish the discharged water ( 70) hot water boiler using a solid fuel,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installed.
KR20-2004-0023561U 2004-08-18 2004-08-18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KR20036719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561U KR200367195Y1 (en) 2004-08-18 2004-08-18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561U KR200367195Y1 (en) 2004-08-18 2004-08-18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4997A Division KR20060016513A (en) 2004-08-18 2004-08-18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7195Y1 true KR200367195Y1 (en) 2004-11-09

Family

ID=49351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561U KR200367195Y1 (en) 2004-08-18 2004-08-18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7195Y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918B1 (en) * 2005-02-25 2006-08-25 이점수 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KR100781633B1 (en) * 2005-05-16 2007-12-05 유병숙 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CN106016245A (en) * 2016-07-19 2016-10-12 郑州永邦电气有限公司 Biomass particle heating furnace lagging prevention device
CN117606036B (en) * 2023-11-22 2024-06-04 广东宝杰环保科技有限公司 Solid waste combustion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equipment and ash accumulation prediction method thereof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918B1 (en) * 2005-02-25 2006-08-25 이점수 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KR100781633B1 (en) * 2005-05-16 2007-12-05 유병숙 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CN106016245A (en) * 2016-07-19 2016-10-12 郑州永邦电气有限公司 Biomass particle heating furnace lagging prevention device
CN106016245B (en) * 2016-07-19 2017-12-15 郑州永邦电气有限公司 A kind of biological particles heating stove slag-bonding protective device
CN117606036B (en) * 2023-11-22 2024-06-04 广东宝杰环保科技有限公司 Solid waste combustion pollution prevention and control equipment and ash accumulation prediction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9694B1 (en) A firewood boiler
US20070240583A1 (en) Roaster with a Door on an Upper Portion
KR101288589B1 (en) The firewood and wood-pellet boiler
RU104290U1 (en) SOLID FUEL WATER HEATING BOILER
PL202124B1 (en) Solid fuel burning method and heating boiler
RU203544U1 (en) LONG BURNING BOILER
KR200367195Y1 (en)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US6325000B1 (en) Waste incineration machine
KR101258023B1 (en) stove that power for pellets does not need
KR20060016513A (en)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KR101958092B1 (en) The firewood steam boiler of flue tube-smoke type
KR101148696B1 (en) Wood-pellet boiler
KR101009260B1 (en) Boiler for solid fuel
KR19990007892U (en) Hot Water Boiler for Wood
KR101892127B1 (en) A combustion furnace for boiler
KR101713083B1 (en) A wood pellet steam boiler
RU2296920C1 (en) Hot-water boiler
KR20110043564A (en) Insulation vertical wood combustor and heat-exchanger
KR101809896B1 (en) Solidfuel of boiler
KR200400020Y1 (en) A soft coal boiler lay a soft coal igniter
RU2044217C1 (en) Heating unit
KR102447699B1 (en) Camping stove
KR100857528B1 (en) Boiler for solid fuel
JPH07332646A (en) Tire incineration device
KR100388439B1 (en) a briquet stov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