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1633B1 - 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 Google Patents

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1633B1
KR100781633B1 KR1020050040441A KR20050040441A KR100781633B1 KR 100781633 B1 KR100781633 B1 KR 100781633B1 KR 1020050040441 A KR1020050040441 A KR 1020050040441A KR 20050040441 A KR20050040441 A KR 20050040441A KR 100781633 B1 KR100781633 B1 KR 100781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fuel
combustion
hot water
chamber
water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044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60118028A (en
Inventor
유병숙
Original Assignee
유병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숙 filed Critical 유병숙
Priority to KR10200500404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1633B1/en
Publication of KR20060118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0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1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163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005Details for water heaters
    • F24H9/0042Clean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탄, 코크스, 조개탄 등의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대용량의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 capacity hot 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such as coal, coke, briquettes and the like.

본 발명은 적재실에는 많은 양의 고체연료를 투입 및 적재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연소실에서는 적정한 양의 고체연료를 공급 및 연소시킬 수 있는 단차형의 적재실 및 연소실 구조를 통해 고체연료의 적절한 공급 및 연소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용량에 적합한 온수보일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한편, 온수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관을 일직선상으로 나란한 여러 줄이 밀집형태로 모여있는 구조로 구성하고, 또 전열관의 앞뒤쪽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충분한 전열면적의 확보로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높은 열효율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연소실의 상부에서 전열관측으로 연소열이 도입되게 하여 고온의 연소열로부터 전열관을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전열관의 모든 통로를 쉽게 개방하여 내부 청소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의 열효율 향상 및 보일러의 수명 연장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input and load a large amount of solid fuel into a loading chamber, and at the same time, to supply an appropriate amount of solid fuel through a stepped loading chamber and a combustion chamber structure capable of supplying and combusting an appropriate amount of solid fuel in a combustion chamber. By enabling the combustio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hot water boiler system suitable for a large capacity, while the heat pipes installed inside the hot water chamber are composed of several line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nd the front and rear of the heat pipes. By configuring the passage to be selectively opened, high heat efficiency can be obtained while minimizing heat loss by securing sufficient heat transfer area, and the heat of combustion can be introduc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heat transfer tube to protect the heat pipe from high temperature heat of combustion. Especially, all the passages of the heat pipe can be easily opened to make the internal cleaning very easy. To do so provides a solid fuel combustion boiler large heated to obtain a long life effect of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and the boiler.

또한, 본 발명은 기어 구조를 통해 서로 접하면서 돌아가는 회전방식과 편심 구조를 통해 위아래로 반복해서 움직이는 요동방식을 조합한 형태로 구성한 복합식의 재털이장치를 적용하여 딱딱하게 굳은 큰 덩어리의 연소재 등을 효과적으로 분쇄하면서 배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소재의 신속하고 완벽한 제거에 따른 보일러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온수보일러의 전체적인 관리와 취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한편, 다수의 격판을 엇배열 형태로 배치하여 연소재의 효율적인 여과를 가능하게 하고, 모터구동으로 작동하는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고체연료의 손쉬운 투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연소가스 중의 오염물질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고체연료를 옮길 수 있으며, 따라서 환경오염방지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또 작업자를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composite ashtray device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a rotating method and a swinging method that repeatedly moves up and down through the eccentric structure to rotate while contacting each other through a gear structure, such as a large solid combustion material By effectively pulverizing and discharging,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due to the rapid and complete removal of the combustion material, and ultimately to make the overall management and handling of the hot water boiler safe and easy, Can be arranged in an array to enable efficient filtration of the combustion materials, and by the easy operation of solid fuel by using a motor-driven elevating de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llutants in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to the atmosphere as much as possible. The worker can transfer solid fuel without effort. Therefore, it provides a solid fuel combustion hot water boiler that can proactively cope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and protect workers from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고체연료, 대형 온수보일러, 단차형 적재실/연소실, 통로개방식 전열관, 복합식 재털이장치 Solid fuel, large hot water boiler, stepped loading chamber / combustion chamber, aisle heating tube, composite ashtray

Description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측면도2 is a side view of FIG. 1

도 3은 도 1의 평면도3 is a plan view of FIG.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에서 재털이장치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정면도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ashtray apparatus in a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도 4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FIG.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의 재털이장치에서 파쇄드럼의 배치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Figure 6 is a front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shredding drum in the ashtray of the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도 6의 평면도7 is a plan view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 : 적재실 11 : 연소실10: loading chamber 11: combustion chamber

12 : 온수실 13 : 점화구12: hot water chamber 13: ignition hole

14 : 본체 15 : 연소열 유입관14: main body 15: combustion heat inlet pipe

16 : 전열관 17 : 재털이장치16: heat pipe 17: ashtray

18 : 블로어장치 19 : 보호판18: blower device 19: protective plate

20a,20b : 커버 21 : 구획판20a, 20b: cover 21: partition plate

22 : 파쇄드럼 23 : 모터22: shredding drum 23: motor

24 : 구동용 체인장치 25 : 전동용 체인장치24: drive chain device 25: electric chain device

26 : 베어링블럭 27 : 리턴스프링26: bearing block 27: return spring

28 : 파쇄봉 29 : 수집관28: crushing rod 29: collection pipe

30 : 블로어 31 : 수직격판30: blower 31: vertical plate

32 : 덕트 33 : 챔버32: duct 33: chamber

34 : 서랍식 집진통 35 : 승강모터34: drawer dust collector 35: lifting motor

36 : 승강대 37 : 가이드레일36: platform 37: guide rail

38 : 가이드롤러 39 : 승강장치38: guide roller 39: lifting device

40 : 브라켓 41 : 덮개40: bracket 41: cover

42 : 사다리 43 : 가드레일42: ladder 43: guardrail

44 : 연결관44 connector

본 발명은 석탄, 코크스, 조개탄 등의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대용량의 온수보 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체연료의 효과적인 공급 및 연소가 가능한 단차형의 적재실 및 연소실 구조, 우수한 전열효과를 기대할 수 있고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선택적인 통로개방식의 밀집형 전열관 구조, 연소재의 적절한 처리가 가능한 요동식 및 회전식의 복합형 자동 재털이장치, 연소가스의 배출 및 여과처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블로어장치, 고체연료의 투입을 용이하게 해주는 승강장치 등을 포함하는 대형 온수보일러를 제공함으로써, 관리 및 취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특히 전열관 내부의 청소가 용이하여 높은 열효율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보일러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으며, 고체연료의 공급 및 연소, 연소재의 처리, 배출가스의 흐름 등이 유기적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대용량의 온수보일러에 적합한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rge-capacity hot water boiler using solid fuels such as coal, coke, and coal briquettes, and more particularly, has a stepped loading chamber and combustion chamber structure capable of effectively supplying and combusting solid fuels, and excellent heat transfer effect. Selective opening-type dense heat pipe structure that can be expected and facilitates internal cleaning, rocking and rotary type automatic reshaping device for proper treatment of combustion materials, efficient discharge and filtration of combustion gas By providing a large-scale hot water boiler including a blower device that can be used and a lifting device that facilitates the injection of solid fuel, it is possible to safely and easily manage, and in particular, the inside of the heat pipe can be easily cleaned to achieve high thermal efficiency. Can extend the life of the boiler, and supply and burn solid fuel, Lee, such as the flow of exhaust gas directed to a solid fuel combustion boiler appropriate for large heated mass of hot water boiler according to the organic smoothly constituted by any.

일반적으로 보일러는 전기 점화방식 등의 제어시스템에 의하여 버너가 점화된 채 운전되면서 온수 및 난방을 위해 순환되는 물탱크를 가열시키는 수단으로서, 연료는 주로 기름이나 가스를 사용한다. In general, a boiler is a means for heating a water tank circulated for hot water and heating while the burner is operated by a control system such as an electric ignition method, and the fuel mainly uses oil or gas.

이러한 기름이나 가스 등을 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의 경우 연료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는 등 유지비가 많이 들기 때문에 소득수준이 어려운 농촌 등에서는 보일러 사용에 따른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In the case of boilers using oil or gas as fuel, the burden of using boilers is increasing in rural areas where income levels are difficult because maintenance costs are high, such as excessive cost of purchasing fuel.

이러한 특성을 감안하여 농촌 등에는 석탄, 나무, 조개탄 등의 고체연료로 사용하는 보일러가 많이 보급되고 있는 것이 최근의 추세이다. In view of these characteristics, it is a recent trend that a lot of boilers used as solid fuels such as coal, wood, and coal briquettes are spread in rural areas.

위와 같은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대부분의 보일러들은 온수통의 하부에서 단순히 연료를 연소시키는 방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연소실의 외벽을 통한 연 손실이 크고, 이로 인해 전반적인 열효율이 낮은 단점이 있으며, 또한 연소실 주변의 부재들이 고온에 노출되는 관계로 쉽게 부식되는 등 보일러의 전체적인 수명이 짧아지는 단점이 있다. Most of the existing boilers using solid fuel have a disadvantage in that a large amount of lead loss through the outer wall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caused by simply burning the fuel at the bottom of the hot water tank, and thus, the overall thermal efficiency is low. Since the members are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they are easily corroded, which shortens the lifetime of the boiler.

특히, 연소되고 남은 재의 처리작업을 사람이 직접하기 전에는 탄 재가 그대로 남게 되고, 이로 인해 불의 숨구멍이 막히게 되면서 불이 쉽게 꺼져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는 등 관리 및 취급상의 어려움이 있다. In particular, there is a difficulty in management and handling such that the ash remains as it is before a human directly handles the burned and left ash, which causes the fire pores to be clogged and the fire is easily turned off.

간혹 하부에서 충격을 가해 연소재를 털어주는 장치들이 일부 제시되어 있기는 하지만, 석탄이나 조개탄의 경우 종류도 많고 성질도 다양한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 연소 후 연소실 내에서 서로 엉겨붙어 딱딱하고 큰 덩어리로 굳게 되므로 털어주는 수단만으로는 덩어리를 분쇄, 배출시킬 수 없으며 일일이 수작업으로 연소재를 처리해야 하는 등 기존의 재털이장치로는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Although there are some devices that give off the combustion materials by impacting from the bottom, coal or briquettes have many types and various characteristics, so most of them are entangled with each other in the combustion chamber after combustion to give a hard and large mass. As it hardens, it is hard to expect a great effect with conventional ashtrays, such as pulverization alone, which cannot be pulverized and discharged.

또한, 기존에 제공되어 있는 온수보일러들은 소용량의 것들이 대부분이고, 이러한 것들은 고체연료의 적당한 공급과 연소, 연소재의 효과적인 처리 등이 곤란한 적재실이나 연소실의 구조적인 제약때문에 대용량으로 구조를 변경하여 사용하는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대용량의 온수보일러를 필요로하는 관련분야에서의 요구에 적극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In addition, the existing hot water boilers are mostly small-capacity, and these are used in a large-capacity structure due to structural limitations in the loading chamber or the combustion chamber, which are difficult to properly supply solid fuel, combust, and effectively treat the combustion materials. There is a limit to this, and thus, it is unable to actively cope with the demand in related fields that require a large capacity hot water boiler.

또한, 기존 대부분의 온수보일러들은 전열관이 코일형 구조를 갖는 밀폐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를 청소하기가 용이하지 않고, 간혹 압축공기를 이용하여 관 내부에 쌓여있는 연소재를 불어내는 방식으로 청소를 수행하고 있기는 하지만, 벽면에 고착되어 있는 연소재 찌꺼기 등을 완전하게 제거하기란 거의 불가능하며, 이로 인해 사용기간이 경과할수록 열효율이 떨어지고 수명도 단축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most of the existing hot water boilers are not easy to clean the inside because the heat transfer tube is a coiled structure, and the cleaning is sometimes performed by blowing the combustion material accumulated in the inside of the pipe using compressed air. Although it is performed, it is almost impossible to completely remove the combustion material residues, etc. adhered to the wall surface, which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thermal efficiency is lowered and the service life is shortened as the use period elapses.

또한, 기존 온수보일러들의 경우 별다른 여과처리없이 연소가스를 블로어로 빨아낸 후 덕트를 통해 그대로 대기 중에 배출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등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측면에서는 매우 취약한 면을 보이고 있다. In addition, the existing hot water boilers are very vulnerable in terms of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such as acting as a factor causing environmental pollution, since the combustion gas is sucked into the blower without any filtration treatment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through the duct. Is showing.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적재실에는 많은 양의 고체연료를 투입 및 적재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연소실에서는 적정한 양의 고체연료를 공급 및 연소시킬 수 있는 단차형의 적재실 및 연소실 구조를 통해 고체연료의 적절한 공급 및 연소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용량에 적합한 온수보일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and a stepped stack capable of supplying and loading a large amount of solid fuel in a loading chamber and at the same time supplying and burning an appropriate amount of solid fuel in a combustion chambe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capable of constructing a hot water boiler system suitable for a large capacity by enabling proper supply and combustion of solid fuel through the chamber and combustion chamber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온수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전열관을 일직선상으로 나란한 여러 줄이 밀집형태로 모여있는 구조로 구성하고, 또 전열관의 앞뒤쪽 통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충분한 전열면적의 확보로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높은 열효율을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연소실의 상부에서 전열관측으로 연소열이 도입되게 하여 고온의 연소열로부터 전열관을 보호할 수 있으며, 특히 전열 관의 모든 통로를 쉽게 개방하여 내부 청소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일러의 열효율 향상 및 보일러의 수명 연장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structure in which the heat pipes installed inside the hot water chamber are arranged in a dense line of lines arranged in a straight line, and configured to selectively open the front and rear passages of the heat pipes, thereby providing sufficient heat transfer area. High heat efficiency can be obtained by minimizing heat loss, and the heat of combustion can be introduc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heat pipe side to protect the heat pipe from the high temperature combustion heat.In particular, all the passages of the heat pipe can be easily opened to clean the inside. It is another object to provide a solid fuel-fired large-scale hot water boiler that can be carried out very easily so that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and to extend the life of the boiler.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어 구조를 통해 서로 접하면서 돌아가는 회전방식과 편심 구조를 통해 위아래로 반복해서 움직이는 요동방식을 조합한 형태로 구성한 복합식의 재털이장치를 적용하여 딱딱하게 굳은 큰 덩어리의 연소재 등을 효과적으로 분쇄하면서 배출 처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연소재의 신속하고 완벽한 제거에 따른 보일러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온수보일러의 전체적인 관리와 취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apply a composite ashtray device consisting of a combination of the rotation method that rotates while contacting each other through the gear structure and the swinging method repeatedly moving up and down through the eccentric structure of the large solid hardened By effectively combusting and discharging the combustion materials,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due to the rapid and complete removal of the combustion materials, and ultimately the solid fuel which can safely and facilitate the overall management and handling of the hot water boiler. To provide a large combustion hot water boiler.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격판을 엇배열 형태로 배치하여 연소재의 효율적인 여과를 가능하게 하고, 모터구동으로 작동하는 승강장치를 이용하여 고체연료의 손쉬운 투입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대기 중으로 방출되는 연소가스 중의 오염물질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작업자가 힘들이지 않고 고체연료를 옮길 수 있으며, 따라서 환경오염방지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또 작업자를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by placing a plurality of diaphragm arrangement in the form of an arrangement to enable efficient filtration of the combustion material, and by the easy operation of the solid fuel using a lifting device operated by a motor drive,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into the atmosphe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ollutants in the water as much as possible, to move the solid fuel without effort, and thus to actively deal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and to protect the worker from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a boiler.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체연료의 적재를 위하여 내부 중심 의 윗쪽에 조성되며 호퍼형태의 바닥부를 갖는 적재실과, 고체연료의 연소를 위하여 내부 중심의 아래쪽에 조성되면서 적재실의 하단에서 일정길이 수직으로 연통되는 관형태의 연소실과, 공급 및 배출가능한 온수의 저장을 위하여 적재실과 연소실의 주변에 조성되는 온수실로 구분되고, 한쪽 측면부에는 연소실과 통하는 점화구가 갖추어져 있는 본체와; 상기 연소실의 상단부 일측과 통하는 연소열 유입관으로부터 연장되는 동시에 온수실 내에서 연소실의 측면부를 따라 다수개의 나란한 관이 밀집되어 있는 형태로 배치되면서 외부와 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내부를 통과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전열작용을 수행하는 적어도 2세트의 전열관과;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상에 지지되면서 연소실의 저부에 배치되며 연소실의 내부까지 진입하거나 연소실의 바닥부를 구성하면서 연소된 재를 털어주거나 파쇄시켜주는 요동식 및 회전식 복합형의 재털이장치와; 상기 본체의 바깥쪽 일측에 설치되며 전열관의 배출측과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주는 블로어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formed at the top of the inner center for the loading of the solid fuel and having a hopper-shaped bottom portion, and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chamber while being formed below the inner center for the combustion of the solid fuel A main body having a tubular combustion chamber connected vertically in length and a hot water chamber formed around the loading chamber and the combustion chamber for storage of supply and discharge hot water, and having a ignition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ombustion chamber at one side thereof; It extends from the combustion heat inlet pipe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is arranged in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side-by-side pipes are concentrated along the side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in the hot water chamber and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and is transferred using the combustion heat passing through the inside. At least two sets of heat pipes to perform an action; It is supported on the fram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swinging and rotating hybrid rehairing device to enter or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to shake off or crush the burned ash and ; It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heat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blower device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또한, 상기 연소실의 내부에는 연소열 유입관의 입구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위치되어 고체연료에 의한 막힘을 방지해주는 적어도 2개의 보호판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is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inlet of the combustion heat inlet pip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t least two protective plates to prevent clogging by solid fuel.

또한, 상기 전열관은 수평으로 나란한 다수 개의 파이프가 행과 열을 이루면서 길다란 사각블럭 모양의 밀집형태로 배치되고, 각 파이프들의 앞쪽과 뒷쪽 단부는 같은 열에 배치되는 위아래 파이프를 2개씩 독립적으로 연결시켜주도록 구획되어 있는 커버로 각각 마감되는 동시에 앞뒤쪽 각 커버는 서로 한 행이 엇갈리게 장 착되어 연소열의 흐름을 각 파이프를 통해 지그재그 형태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heat pipes are arranged in a dense shape of a long rectangular block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horizontally parallel pipes form a row and a column, and the front and rear ends of each pipe to independently connect two up and down pipes arranged in the same column. At the same time, each cover is finished with a partitioned cover at the same time, the front and rear each cover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structure so that the flow of combustion heat can proceed in a zigzag form through each pipe.

또한, 상기 각 파이프들은 본체의 프레임 전후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each of the pipe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before and after the frame of the body.

또한, 상기 커버의 안쪽면은 적어도 위아래 2개씩의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보유하면서 일정높이로 세워지는 격자형태의 구획판에 의해 다수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independent spaces by a grid-shaped partition plate standing at a certain height while maintaining an area capable of accommodating at least two pipes up and down.

또한, 상기 커버는 위아래 플랜지부위를 이용하여 본체의 프레임 외부 벽면상에 스크류 또는 볼트 체결방식으로 착탈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over is mounted on the frame out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using a flange portion up and down in a removable structure by screw or bolt fastening method.

또한, 상기 재털이장치는 연소실의 바닥부에서 서로 나란한 동시에 마주 보는 상태로 수평 배치되면서 본체의 하부 프레임상의 브라켓에 회전가능하게 양단 지지되어 상부에 놓여지는 연소재를 분쇄하는 적어도 2쌍의 파쇄드럼과, 상기 파쇄드럼의 구동을 위한 모터와, 상기 모터의 동력을 각 파쇄드럼에 전달하기 위하여 모터측과 각 쌍의 파쇄드럼측 사이에 연결되는 구동용 체인장치 및 각 쌍의 파쇄드럼 간에 연결되는 전동용 체인장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ashtray device is at least two pairs of shredding drum for crushing the combustion material placed on the upper side rotatably supported by the bracket on the lower frame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horizontally arranged side by side and at the same time facing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And a drive chain device connected between the motor side and each pair of the shredding drums for transmitting the motor power to each of the shredding drums, and a pair of motors for driving the shredding drums.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chain device for.

또한, 상기 재털이장치의 2쌍의 파쇄드럼은 브라켓상에서 상하면 안내를 받는 베어링블럭에 의해 그 양단 축이 지지되어 드럼 간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two pairs of shredding drum of the ashtray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ft is supported by the bearing block is guided up and down on the bracke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capable of sliding a predetermined section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between the drums.

또한, 상기 2쌍의 파쇄드럼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양편 2개의 파쇄드럼의 축 사이에는 리턴스프링이 연결 설치되어 드럼 간의 일정한 근접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return spring is connected between two shafts of two shredding drum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paired shredding drums so that a constant proximity state between the drums can be maintained.

또한, 상기 재털이장치의 2쌍의 파쇄드럼에는 드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드럼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서로 1열씩 엇배열되면서 그 사이사이로 끝부분이 일부 진입하여 중첩 위치되는 다수 열의 파쇄봉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wo pairs of shredding drums of the ashtray device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rum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rum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e arranged one by one with each other, and end portions partially enter between the overlapping positio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ows of crushing rods are provided.

또한, 상기 2쌍의 파쇄드럼의 회전 중심축은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요동궤적을 그릴 수 있는 편심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two pairs of crushing dru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ccentric shaft that can draw the swing trajectory in the vertical direction during rotation.

또한, 상기 블로어장치는 전열관의 최종 배출구를 하나로 모아주는 수집관과, 상기 수집관과 통하는 블로어와, 상기 블로어의 토출측과 연결되면서 본체의 외측 후면부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한쪽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1개씩 위아래로 엇배열되는 수직격판을 갖고 있으며 외부와 통하는 덕트를 구비한 집진용 챔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blower devic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rear portion of the main body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ollection pipe, the blower communicating with the collection pipe, and the discharge side of the blower tube to collect the final discharge port of the heat transfer pipe into one, and there is a predetermined interval in one direction therein At the same time, it has a vertical plate that is arranged up and down one by one at the same time and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dust collecting chamber having a duct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또한, 상기 블로어장치의 챔버는 수납/인출가능한 서랍식 집진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chamber of the blower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draw-type dust collector that can be stored / withdrawn.

또한, 상기 본체는 와이어 견인방식을 이용한 승강모터와, 상기 승강모터를 탑재한 승강대와, 상기 승강대의 상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 및 가이드롤러로 구성되어 고체연료를 위로 운반할 수 있는 승강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a lifting motor using a wire traction method, a lifting platform equipped with the lifting motor, a guide rail and guide rollers for gui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of the lifting platform to further carry a lifting device capable of carrying solid fuel upwards.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1 to 3 are a front view, a side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보일러의 본체(14)는 대략 사각형의 통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각틀 형태의 프레임 구조물 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면서 일정한 높이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body 14 of the hot water boiler is made of a substantially rectangular tubular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constant height while being stably supported in the frame structure of the rectangular frame.

상기 본체(14)의 내부는 크게 세부분으로 나누어지는데, 중심부는 고체연료를 채울 수 있는 적재실(10)로 조성되고, 그 아래쪽은 적재실(10)과 곧바로 통하는 연소실(11)로 조성되며, 적재실(10)과 연소실(11)의 주변은 물을 채울 수 있는 온수실(12)로 조성된다. The interior of the main body 14 is largely divided into subdivisions, the central portion is composed of a loading chamber 10 that can fill the solid fuel, the lower portion is composed of a combustion chamber 11 directly communicating with the loading chamber 10, The surroundings of the loading chamber 10 and the combustion chamber 11 are composed of a hot water chamber 12 that can fill water.

상기 온수실(12)은 외부와 물의 순환을 위하여 측면부 위아래에 각각 입구와 출구가 갖추어져 있어서 이곳을 통해 물을 공급하거나 고온의 물을 빼내어 쓸 수 있게 된다. The hot water chamber 12 is provided with an inlet and an outlet, respectively, above and below the side parts for circulation of the outside and the water, so that the water can be supplied or used to draw out hot water.

또한, 상기 적재실(10)은 석탄, 조개탄 등과 같은 고체연료를 채울 수 있는 곳으로서, 내부에 고체연료를 채워 넣게 되면 아래쪽의 연소실(11)부터 위로 쌓이게 된다. In addition, the loading chamber 10 is a place that can fill the solid fuel, such as coal, briquettes, etc. If the solid fuel is filled in the interior of the lower combustion chamber 11 is stacked up.

또한, 상기 연소실(11)의 일측은 외부와 통하는 점화구(32)와 연결되어 있으며, 점화구(32)의 도어를 오픈한 후 보일러 가동 초기에 불을 붙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opening 32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and after opening the door of the ignition opening 32, it is possible to ignite the initial operation of the boiler.

또한, 상기 적재실(10)의 상부는 덮개(41)로 마감되어 있으며, 덮개(41)를 연 후 언제든지 소비되는 고체연료를 보충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ading chamber 10 is closed with a cover 41, it is possible to replenish the solid fuel consumed at any time after opening the cover 41.

특히, 상기 적재실(10)과 연소실(11)은 한번에 많은 양의 고체연료를 수용하 면서도 적정량의 고체연료만 공급 및 연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구조를 갖는다. In particular, the loading chamber 10 and the combustion chamber 11 has an effective structure capable of supplying and burning only an appropriate amount of solid fuel while accommodating a large amount of solid fuel at a time.

이를 위하여, 상기 적재실(10)은 바닥부가 호퍼형태로 좁아지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한번에 많은 양의 고체연료를 적재할 수 있는 동시에 적재실에 채워져 있는 고체연료가 적정량 자연스럽게 아래쪽으로 흘러내려가면서 공급될 수 있게 되며, 상기 연소실(11)은 적재실(10)의 하단과 동일한 면적으로 통하면서 아래쪽으로 일정길이 수직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서 고체연료는 막힘없이 원활하게 아래쪽의 연소영역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the loading chamber 1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ttom portion is narrowed in the form of a hopper, so that a large amount of solid fuel can be loaded at a time, and solid fuel filled in the loading chamber is naturally supplied downward while supplying an appropriate amount. The combustion chamber 11 has a structure extending vertically vertically downward while passing through the same area as the lower end of the loading chamber 10 so that the solid fuel can be smoothly sent to the combustion region below without clogging. do.

즉, 이러한 적재실 및 연소실의 단차형 구조에서는 많은 양의 고체연료를 투입한 상태에서도 항상 일정한 양이 연소실측으로 꾸준히 공급되므로, 고체연료가 과다하게 공급되면서 그 만큼 연소가 과다하게 진행되었던 기존의 직선형 통구조의 적재실 및 연소실에 비해 열효율을 효과적으로 관리 및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대용량에 적합한 온수보일러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in such a stepped structure of the loading chamber and the combustion chamber, a constant amount is constantly supplied to the combustion chamber side even when a large amount of solid fuel is input. Compared to the loading chamber and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tubular structure, the thermal efficiency can be effectively managed and controlled, and thu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hot water boiler system suitable for a large capacity.

한편, 본 발명에서는 고체연료의 공급을 위한 운반을 힘들이지 않고 보다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승강장치(39)를 제공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lifting device (39) that can be carried out more easily and effortlessly for the supply of solid fuel.

이를 위하여, 본체(14)의 한쪽 측면부에는 고체연료를 실을 수 있는 일정면적의 승강대(36)가 구비되며, 승강대(36)의 선단부 양편에는 각각 1쌍의 가이드롤러(38)가 부착되어 있어서 이것이 본체(14)의 프레임 구조물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는 양쪽의 가이드레일(37)을 따라 이동가능함에 따라 승강대(36)는 가이드롤러(38)를 바퀴수단으로 하여 위아래로 상승 및 하강될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one side of the main body 14 is provided with a lifting platform 36 having a predetermined area for loading solid fuel, and a pair of guide rollers 38 are attached to both ends of the lifting platform 36, respectively. As it is movable along both guide rails 37 which are installed perpendicular to the fram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4, the platform 36 can be raised and lowered up and down using the guide roller 38 as a wheel means. do.

상기 승강대(36)의 상승 및 하강을 위한 동력은 승강대(36) 내에 탑재되어 있는 와이어 견인방식의 승강모터(35)가 제공된다.Power for raising and lowering the platform 36 is provided with a lifting motor 35 of the wire traction method mounted in the platform 36.

상기 승강모터(35)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프레임 구조물의 상단부에 와이어의 한쪽을 고정한 후 계속해서 와이어의 다른 한쪽을 다수의 아이들러를 거쳐 아래로 연장한 다음 승강모터(35)의 권취드럼에 연결하면 권취드럼으로 와이어를 감고 푸는 방식으로 승강모터(35)를 포함하는 승강대(36) 전체를 위아래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게 된다. The lifting motor 35 may use a conventional one, for example, after fixing one side of the wire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structure, and then continuously extending the other side of the wire down through a plurality of idlers, and then the lifting motor 35. When connected to the winding drum of the lifting and winding the wire by the winding drum, the lifting platform 36 including the lifting motor 35 can be raised and lowered up and down.

따라서, 이러한 승강장치(39)는 작업자가 중량물인 고체연료를 직접 본체(14)의 상부까지 갖고 올라가던 수고를 덜어주는 편리함을 제공한다. Thus, the elevating device 39 provides a convenience for the operator to save the effort of lifting the heavy fuel directly up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4).

고체연료의 보충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본체(14)의 상부로 올라간 후 승강장치(39)를 이용하여 윗쪽으로 운반한 고체연료를 적재실(10) 내에 채워야 하는데, 이때 본체(14)의 프레임 구조물 측면부와 상부 가장자리에는 사다리(42)와 가드레일(43)이 갖추어져 있어서 작업자를 추락 등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In order to replenish the solid fuel, the operator must climb to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14 and fill the solid fuel transported upward by using the elevating device 39 in the loading chamber 10. In this case, the side of the fram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4 And the upper edge is provided with a ladder 42 and the guard rail 43 is able to safely protect the worker from dangers such as falling.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소시 발생되는 연소가스가 갖고 있는 고온의 열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동시에 관 내부의 청소를 수월하게 수행할 수 있는 전열관 구조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eat transfer tube structure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the high temperature heat source of the combustion gas generated during combustion and at the same time can easily clean the inside of the tube.

이를 위하여, 상기 전열관(16)은 온수실(12)의 내부 공간에서 연소실(11)의 측면부를 따라 다수 개의 나란한 관이 밀집되어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To this end, the heat transfer tube 16 has a form in which a plurality of side-by-side tube is concentrated along the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hot water chamber (12).

예를 들면, 상기 전열관(16)은 본체(14)의 앞뒤쪽을 가로질러 수평으로 나란한 다수 개의 파이프가 행(좌우방향)과 열(상하방향)을 이루면서 규칙적으로 배치 되되, 전체적으로 볼 때 마치 길다란 사각블럭 형태의 외형을 나타내도록 밀집 배치되고, 이러한 각 파이프들의 앞쪽과 뒷쪽 단부는 같은 열에 배치되는 위아래 파이프를 2개씩 독립적으로 연결시켜주도록 구획되어 있는 커버(20a),(20b)로 각각 마감되고, 또 앞뒤쪽의 각 커버(20a),(20b)는 서로 한 행이 엇갈리게 장착되어, 즉 파이프의 앞쪽 단부를 마감하는 커버(20a)가 뒷쪽 단부를 마감하는 커버(20b) 보다 한 행 낮게 장착되어 연소열의 흐름이 각 파이프를 통해 지그재그 형태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For example, the heat pipe 16 is arranged regularly in a row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a row (left and right direction) in a horizontal line across the front and back of the body 14, but as a whole long Placed close to each other to form a rectangular block shape, the front and rear ends of each of these pipes are respectively finished with covers 20a and 20b, which are partitioned to independently connect two upper and lower pipes arranged in the same row. In addition, the front and rear covers 20a and 20b are alternately mounted in a row, that is, the cover 20a closing the front end of the pipe is mounted one row lower than the cover 20b closing the rear end. Thus, the flow of combustion heat can be carried out in a zigzag form through each pipe.

즉, 1개의 파이프롤 통해 흐르는 연소열은 커버(20a),(20b)가 있는 쪽에서 아래쪽으로 방향이 꺽이면서 그 아래의 파이프쪽으로 흐르게 되고, 계속해서 이러한 수차례의 꺽임작용이 일어나면서 가장 아래쪽의 파이프를 통해 최종 배출될 수 있게 된다. In other words, the heat of combustion flowing through one pipe roll flows downward from the side with the cover 20a, 20b toward the pipe below it, and continues with this bending several times. Through the final discharge.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는 3행 및 5열의 파이프 조합을 적용하였으며, 이러한 파이프 조합을 2세트 채용하여 연소실(11)의 양쪽 측면부에 각각 나란하게 배치하였다. I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mbination of three rows and five columns of pipes is employed, and two sets of these pipe combinations are arranged side by side on both sides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respectively.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각각 독립된 경로를 갖는 양편 6행의 연소가스 진행경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ombustion gas traveling path of six rows on each side having independent paths.

이러한 전열관(16)의 가장 윗쪽에 배치되는 파이프들은 연소실(11)의 내부 윗쪽과 통하는 연소열 유입관(15)에 연결되고, 가장 아래쪽에 배치되는 파이프들은 블로어장치(18)측과 통하는 수집관(29)에 연결되므로서, 연소열 유입관(15)을 통해 연소실(11)로부터 파이프 내부로 유입된 연소열은 각 열의 파이프를 지그재그 형태 로 차례로 경유하면서 최종 수집관(29)을 통해 블로어장치(18)측으로 보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pipes disposed at the uppermost portion of the heat transfer tube 16 are connected to the combustion heat inlet tube 15 communicating with the inner upper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and the pipe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communicate with the blower device 18. 29, the combustion heat introduced into the pipe from the combustion chamber 11 through the combustion heat inlet pipe 15 passes through the pipes of each row in a zigzag fashion, in turn, through the final collecting pipe 29 and through the blower device 18. It can be sent to the side.

여기서, 전열관(16)으로 제공되는 연소열의 도입측을 연소실(11)의 상부측에 구성함으로써, 즉 고체연료가 직접 연소되고 있는 고온영역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배치함으로써, 전열관(16)의 연소열 유입관(15)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combustion heat inlet tube of the heat transfer tube 16 is formed by arranging the introduction side of the combustion heat provided to the heat transfer tube 16 on the upper 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that is, as far as possible from the high temperature region where the solid fuel is directly burned. 15) can be protected.

특히, 연소열이 처음 도입되는 연소열 유입관(15)의 입구 앞쪽에는 일정거리를 유지하면서 연소실(11)의 벽면상에 고정되는 보호판(19)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고체연료에 의해 연소열 유입관(15)이 막히는 문제를 완전히 배제할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a guard plate 19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distance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inlet of the combustion heat inlet tube 15 into which the combustion heat is first introduced. It becomes possible to completely exclude the problem of blockage (15).

또한, 전열관(16)의 각 파이프 간의 연소열 흐름방향 꺽임을 위하여 커버(20a),(20b)의 안쪽면에는 적어도 위아래 2개씩의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보유하면서 일정높이로 세워지는 격자형태의 구획판(21)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구현예와 같이 커버(20a),(20b)의 안쪽면은 6개의 독립된 구역으로 구획되고, 이렇게 구획된 각각의 구역 내에서 2개의 파이프 단부가 서로 통하게 되므로, 연소열이 파이프의 단부가 속하는 영역에서 방향이 꺽여 진행될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in order to bend the direction of combustion heat flow between the pipes of the heat transfer tube 16,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20a), (20b) has a grid shape that is at a certain height while maintaining an area that can accommodate at least two pipes up and down The partition plate 21 is provided, 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nner surfaces of the covers 20a and 20b are divided into six independent zones, and each of the two partitioned zones is divided into two separate zones. Since the two pipe ends are in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it becomes possible for the heat of combustion to proce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end of the pipe belongs.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제공하는 커버(20a),(20b)는 12개의 파이프 단부를 동시에 마감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커버의 크기는 파이프의 수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고, 커버의 재질은 단열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vers 20a and 20b provided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ized to finish 12 pipe ends at the same time, the size of such a cover may vary depending on the number of pipes, It is preferable to use a heat insulating material for the cover.

이와 같은 커버(20a),(20b)는 착탈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데, 예를 들면 위아래 플랜지부위를 이용하여 본체(14)의 프레임 외부 벽면상에 스크류 또는 볼트 체결방식으로 착탈가능하게 장착되고, 이렇게 장착된 상태에서 커버(20a),(20b)의 안쪽면 구획판(21)은 위아래 2개씩의 파이프 단부를 하나의 격리된 공간 속에 각각 수용할 수 있게 되며, 필요시 커버(20a),(20b)만 탈거하면 관 내부의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Such covers 20a and 20b are mounted in a detachable structure, for example, by a screw or bolt fastening method on a fram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14 using upper and lower flange portions. In the mounted state, the inner partition plates 21 of the covers 20a and 20b can accommodate two pipe ends, one each up and down, in one isolated space, and the covers 20a and 20b as necessary. Removing only) makes it easy to clean the inside of the pipe.

예를 들면, 전열관(16)의 각 파이프의 앞쪽과 뒷쪽을 막고 있는 커버(20a),(20b)를 떼어내면, 각 파이프들은 앞뒤쪽이 그대로 뚫린 상태가 되고, 또 파이프 길이도 본체(14)의 프레임 구조물 전후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고 있어서 작업자가 외부에서 간편하게 관 내부 벽면에 부착되어 있는 끄으름이나 바닥에 쌓여있는 연소재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For example, if the cover 20a, 20b which blocks the front and the back of each pipe of the heat exchanger tube 16 is removed, each pipe will be in the state which the front and back were perforated as it is, and the pipe length is also the main body 14 It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before and after the frame structure, so that the operator can easily remove from the outside, such as the haul attached to the inner wall of the pipe or the combustion material accumulated on the floor.

즉, 작업자가 막대나 브러시 등의 청소도구로 앞뒤로 뚫려 있는 관 내부를 긁어가면서 직접 청소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코일형 전열관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거의 완벽한 청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청소의 용이함으로 보일러 관리나 취급이 수월해지면서 전열관의 막힘 등에 의한 열손실을 상당히 줄일 수 있고, 보일러의 수명 또한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That is, since the worker can directly clean the inside of the pipe that is drilled back and forth with a cleaning tool such as a stick or a brush, it is possible to expect an almost perfect cleaning effect that cannot be compared with a conventional coil type heat pipe, and this cleaning is easy. This facilitates boiler management and handling,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heat loss due to clogging of heat pipes, and can significantly extend the life of boilers.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연소열, 즉 연소가스의 흐름을 좀더 원활히 진행시킬 수 있는 블로어장치(18)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lower device 18 that can more smoothly proceed the combustion heat, that is, the flow of the combustion gas.

이러한 블로어장치(18)는 본체(10)를 빠져나와 외부로 연장되는 전열관(16)의 끝부분에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연소가스의 최종 배출부인 전열관 (16)의 끝부분을 전열관 전체 높이로 볼 때 가장 아래쪽에 배치하고, 이곳에 블로어장치(18)를 연결 설치함으로써, 연소가스의 흡입시 연소가스 중에 포함되어 있는 분진을 보다 효과적으로 빨아낼 수 있다. The blower device 18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heat transfer pipe 16 which extends out of the main body 10 to the outside, and at this time, the end of the heat transfer pipe 16, which is the final discharge portion of the combustion gas, is used as the total heat transfer pipe height. In the lowermost position, by installing the blower device 18 connected thereto,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suck out the dust contained in the combustion gas when the combustion gas is inhaled.

이를 위하여, 상기 블로어장치(18)는 본체(14)의 후면 하단부를 수평으로 배치되어 프레임 구조물상에 지지되면서 전열관(16)의 최종 배출구, 예를 들면 각 열의 아래쪽 6개의 파이프 단부를 하나로 모아주는 수집관(29)과, 상기 수집관(29)의 길이 중간부와 연결관(44)에 의해 통하는 블로어(30)와, 상기 블로어(30)의 한쪽 옆에서 그 토출측과 연결되면서 본체(14)의 외측 후면부 일측에 설치되는 집진용 챔버(33)로 이루어져 있으며, 블로어(30)의 가동을 이용하여 연소가스는 빨아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To this end, the blower device 18 is arranged horizontally on the lower end of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body 14 to support the frame structure to bring the final outlet of the heat pipe 16, for example, the lower six pipe ends of each row into one. The main body 14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by the collection pipe 29, the blower 30 which communicates by the intermediate | middle length part of the collection pipe 29, and the connection pipe 44, and one side of the blower 30. Consists of a dust collecting chamber 33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rear, the combustion gas by us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30 serves to suck.

즉, 상기 블로어(30)의 흡입측은 수집관(29)측과 연결되어 있고, 토출측은 집진용 챔버(33)측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블로어(30)의 가동시 수집관(29) 내의 연소가스가 집진용 챔버(33)측으로 진행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the suction side of the blower 30 is connected to the collection pipe 29 side, the discharge side is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chamber 33 side, so that the combustion gas in the collection pipe 29 is collected when the blower 30 is operated. It is possible to proceed to the chamber chamber 33 side.

이때의 상기 블로어(30)는 연결관(44)의 상부에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상기 연결관(44)의 경우에도 한쪽 끝(수집관측의 반대쪽)이 개폐가능한 덮개로 마감되어 있어서 그 내부 청소를 수월하게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blower 30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is suppor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ipe 44, and in the case of the connecting pipe 44, one end (the opposite side of the collecting pipe side) is closed with a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therein. It can make cleaning easier.

특히, 상기 집진용 챔버(33)의 내부에는 한쪽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1개씩 위아래로 엇배열되는 수직격판(31)이 설치되어 있어서 블로어(30)의 토출력에 의해 한쪽방향으로 흐르는 연소가스는 각각의 수직격판(31)에 그 흐름이 부딪히면서 수차례 방향이 꺽이는 과정을 거친 후 외부로 배출되므로, 외부로 방출되는 연소가스는 분진 등의 오염물질이 상당량 제거된 상태가 된다.In particular, the inside of the dust chamber 33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one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one vertical plate 31 which is arranged up and down one by one is installed in one direction by the output of the blower (30) The combustion gas flowing into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the direction is deflected several times as the flow hits each vertical plate 31, so that the combustion gas discharged to the outside becomes a state in which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such as dust are removed. .

또한, 상기 집진용 챔버(33)의 하부에는 수납/인출가능한 서랍식 집진통(34)이 갖추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수직격판(31)에 부딪혀 밑으로 떨어지는 분진 등을 서랍식 집진통(34) 내에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일정량 모이면 간편하게 빼내어 처리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33 is provided with a draw-type dust collector 34 that can be stored / withdrawn, thereby effectively collecting dust and the like falling down the vertical plate 31 in the drawer-type dust collector 34. If a certain amount is collected, it can be easily taken out and processed.

또한, 상기 집진용 챔버(33)의 후단측에는 덕트(3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곳을 통해 연소가스를 최종 대기 중으로 방출하게 된다. In addition, the rear end side of the dust collecting chamber 33 is provided with a duct 32, through which the combustion gas is discharged to the final atmosphere.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의 경우 연소 후 남는 재의 처리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재의 처리는 연소효율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재를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In the case of boilers using solid fuels, the treatment of ash remaining after combustion is very important, and the treatment of such ashes also affects combustion efficiency, so a means for periodically treating ashes is required.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모터를 동력원으로 하는 복합형의 재털이장치(15)를 제공한다.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hybrid ashtray 15 that uses a motor as a power source.

상기 복합형의 재털이장치(17)는 상하 요동운동과 회전운동 두가지 일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The re-mounting device 17 of the complex means that both the up and down rocking motion and the rotary motion to perform at the same time.

즉, 복합형의 재털이장치(17)는 상하로 요동운동하면서 연소재를 털어주거나 또 회전하면서 연소재를 직접 파쇄시켜주는 방식으로 연소재를 처리할 수 있다.That is, the composite ashtray device 17 can process the combustion material in such a manner that the combustion material is directly crushed while rotating and swinging up and down.

이러한 재털이장치(17)의 구성요소들은 연소실(11)의 바닥부를 구성하면서 본체(14)의 하부 프레임 구조물을 이용하여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된다. The components of the ashtray device 17 are installed in a structure supported by the lower frame structure of the main body 14 while constituting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상기 재털이장치(17)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원으로서 하부 프레임 구조물상에 설치되는 1개의 모터(23)와 실질적으로 파쇄작업을 수행하는 2쌍의 파쇄드럼(22)을 포함하는데, 이때의 2쌍의 파쇄드럼(22), 즉 4개의 파쇄드럼(22)은 연소실(11)의 저부에서 서로 나란한 동시에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 대하는 상태로 수평 배치되면서 하부 프레임 구조물상에 앞뒤로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브라켓(40)상에 양단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즉 각 드럼의 양단 축이 브라켓(40)에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블럭(26)에 관통되어 지지되며, 그 위에 놓여지는 연소재를 분쇄하는 일을 하게 된다.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ashtray device 17 has two pairs of crushing drums 22 which perform a crushing operation substantially with one motor 23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structure as a driving source. In this case, the two pairs of shredding drums 22, that is, four shredding drums 22 are parallel to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at the same time horizontally arranged in a state facing each other on the lower frame structure Both ends of the drum are rotatably supported on two brackets 40 which are installed back and forth, that is, the shafts of both ends of each drum are supported by the bearing block 26 mounted on the bracket 40 and placed thereon. You will work to grind the material.

이러한 2쌍의 파쇄드럼(22)의 구동을 위하여 각 쌍에 1개씩 배속되는 2개의 구동용 체인장치(24)와 1쌍을 구성하는 2개의 드럼 사이에 연결되는 각각의 전동용 체인장치(25)가 제공된다. In order to drive the two pairs of shredding drums 22, two drive chain devices 24 each assigned to each pair and each electric chain device 25 connected between two drums forming one pair. ) Is provided.

상기 체인장치는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구성되는데, 예를 들면 1쌍의 파쇄드럼(22) 중 어느 1개의 드럼 축에는 2개의 스프로킷이 함께 장착되는 동시에 다른 1개의 드럼 축에는 1개씩의 스프로킷이 각각 장착되고, 각 쌍의 드럼 축이 갖는 어느 1개의 스프로킷 사이에 체인이 각각 연결되어 1쌍의 드럼 간의 전동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모터(23)의 축이 갖는 2개의 스프로킷과 각 쌍의 드럼 축이 갖는 다른 1개의 스프로킷 사이에 체인이 각각 연결되어 모터와 드럼 간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The chain device is composed of a sprocket and a chain. For example, two sprockets are mounted together on one drum shaft of a pair of shredding drums 22, and one sprocket is mounted on one drum shaft. A chain is connected between any one sprocket of each pair of drum shafts, so that transmission between a pair of drums is possible, and two pairs of sprockets of the shaft of the motor 23 and each pair of drum shafts The chains are connected between the other sprockets, respectively, to enable driving between the motor and the drum.

따라서, 모터(23)의 동력이 구동용 체인장치(24)에 의해 각 쌍의 파쇄드럼(22)으로 전달되고, 각 쌍의 파쇄드럼(22)을 구성하는 2개의 드럼은 전동용 체인장치(25)에 의해 회전되므로, 모터(23)의 가동에 의해 2쌍 4개의 파쇄드럼(22)이 동시에 회전될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power of the motor 23 is transmitted to the pair of shredding drums 22 by the drive chain device 24, and the two drums constituting the pair of shredding drums 22 are driven by the electric chain device ( 25, the two pairs of four crushing drums 22 can be rotated at the same time by the operation of the motor 23.

또한, 상기 파쇄드럼(22)의 양단을 지지하는 베어링블럭(26)은 베어링이 일체로 삽입 장착되어 있는 플레이트형 블럭으로서, 브라켓(4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슬롯 내에 끼워져 드럼 간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 즉 드럼 축선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In addition, the bearing block 26 supporting both ends of the shredding drum 22 is a plate-shaped block in which the bearings are integrally inserted and fitted into slots forme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of the bracket 40 to face each other between drums. It is provided so that a slide movement is possible in a viewing direction, i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rum axis.

여기서, 상기 베어링블럭(26)의 이동한계거리, 즉 서로 접하면서 설치되어 있는 4개의 베어링블럭이 최대한 이동할 수 있는 거리는 슬롯의 길이에 의해 구속을 받는다. Here, the moving limit distance of the bearing block 26, that is, the distance in which the four bearing blocks installed while contacting each other as much as possible can be restrained by the length of the slot.

물론, 이때의 각각의 베어링블럭(26)들은 체인이 최대한 긴장된 상태가 될 때까지만 이동가능하게 된다. Of course, each of the bearing blocks 26 at this time is only movable until the chain is as tight as possible.

즉, 평상시 체인은 어느 정도 이완된 상태(약간 아래로 처진 상태)에서 돌아가게 되므로, 긴장할 수 있는 약간의 여유 구간을 갖게 되고, 따라서 베어링블럭(26)은 이때의 여유 구간만큼만 이동될 수 있게 된다. That is, since the chain is normally returned in a relaxed state (slightly down), it has a slight margin of tension, so that the bearing block 26 can be moved only at this margin. .

또한, 상기 2쌍의 파쇄드럼(22)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양편 2개의 파쇄드럼(22)의 축 사이에는 리턴스프링(27)이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스프링의 힘으로 드럼 간의 벌어진 간격을 복원시켜줄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a return spring 27 is connected between two shafts of the two shredding drums 22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two shredding drums 22, and thus the gap between the drums is maintained by the force of the spring. You can restore it.

이에 따라, 4개의 파쇄드럼(22)은 베어링블럭(26)을 이용하여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고, 이러한 탄력적인 슬라이드 구조는 간혹 잘 분쇄되지 않거나 큰 덩어리의 단단한 연소재가 드럼 사이에 끼었을 때 드럼이나 후술하는 파쇄봉(28)이 손상되거나 회전이 멈춰지면서 모터(23)에 부하를 주게 되는 문제를 해결해주면서 원활한 분쇄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Accordingly, the four crushing drums 22 are slidable in the direction facing each other using the bearing block 26, and this elastic slide structure is sometimes not easily crushed or a large amount of solid combustion material is sandwiched between the drums. When the drum or the crushing rod 28 to be described later is damaged or the rotation is stopped to solve the problem of giving a load to the motor 23 to enable a smooth grinding operation can be made continuously.

특히, 상기 재털이장치(17)의 2쌍의 파쇄드럼(22)에는 연소재를 보다 효과적으로 분쇄할 수 있는 다수의 파쇄봉(28)이 갖추어져 있다. In particular, the two pairs of shredding drums 22 of the ash cutter 17 ar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shredding rods 28 that can more effectively crush the combustion material.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드럼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면서 서로 1열씩 엇배열되고, 서로 마주보는 상대 열의 사이사이의 간격 내로 끝부분이 일부 진입하여 중첩 위치되는 다수 열의 파쇄봉(28)이 제공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6 and 7,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rum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rum circumferential direction, are arranged one by one with each other, and between the relative rows facing each other. A plurality of rows of crushing rods 28 are provided, with the ends partially entering within the gap of.

이때의 파쇄드럼(22)에 일정길이를 가지면서 일체로 형성되는 각 열의 파쇄봉(28)은 드럼 원주방향을 따라가면서 90°간격으로 4개, 60°간격으로 6개 등 다양한 갯수로 형성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hredding rods 28 of each row formed integrally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shredding drum 22 may be formed in various numbers such as four at 90 ° intervals and six at 60 ° intervals along the drum circumferential direction. Can be.

또한, 1쌍의 파쇄드럼(22)에서 2개의 드럼에 형성되는 파쇄봉(28)의 각도를 원주방향으로 볼 때 상호 일정한 위상차(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45°의 위상차)를 갖도록 함으로써, 양편의 파쇄봉(28)이 서로 시간차를 두고 연소재 덩어리를 끌어당겨 파쇄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소재 덩어리에 가하는 파쇄력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angles of the crushing rods 28 formed on the two drums in the pair of crushing drums 22 are view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utually constant phase differences (for example, 45 ° phase difference as shown in FIG. 6) By having a, the crushing rods 28 of both sides can be pulled and crushed by the combustion material lump with a time difference from each other, thereby increasing the crushing force applied to the combustion material lump.

이와 같은 파쇄봉(28)을 갖춘 파쇄드럼(24)의 경우에는 봉 간에 여유공간이 충분히 조성되기 때문에 특히 덩치가 큰 연소재 덩어리를 파쇄하는데 더욱 효과적이다. In the case of the crushing drum 24 having such a crushing rod 28, since the free space is sufficiently formed between the rods, it is particularly effective for crushing a large lump of combustion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파쇄드럼(22)은 위의 회전운동 뿐만 아니라 상하 요동운동을 병행함에 따라 연소재를 더욱 강력하게 분쇄하고 털어낼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crushing drum 22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ble to pulverize and shake off the combustion material more powerfully as well as the above-described rotational movement as well as up and down rocking movement.

이를 위하여, 상기 2쌍의 파쇄드럼(22)의 회전 중심축은 편심축으로 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파쇄드럼(22)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요동궤적을 그릴 수 있으므로, 즉 연소실(11)의 윗쪽 내부까지 드럼이 진입하면서 연소재 속을 들쑤실 수 있게 되고, 따라서 서로 엉커있거나 뭉쳐있는 연소재 덩어리를 효과적으로 파쇄하고 털어낼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the rotation center axis of the two pairs of shredding drum 22 is an eccentric shaft, so that the swing trajectory can be drawn in the vertical direction during the rotation of the shredding drum 22, that is, inside the upper part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As the drum enters, the combustion material can be squeezed into the combustion material, thus effectively crushing and shaking off the lumps of the combustion material that are tangled or stuck together.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복합형 재털이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refore, the operation state of the composite ashtray devic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보일러의 경우 연소 중 또는 연소 후 남는 재의 처리가 매우 중요하며, 이러한 연소재의 처리는 화력 및 연소효율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주기적으로 완전 연소된 재나 딱딱하게 뭉쳐 있는 연소재 덩어리를 분쇄 및 털어서 처리해야 한다. In the case of boilers using solid fuel, the treatment of ash remaining during or after combustion is very important, and the treatment of such combustion materials also affects the thermal power and the combustion efficiency. Grind and whisk to dispose.

이를 위하여, 모터(23)가 작동되면 구동용 체인장치(24)와 전동용 체인장치(25)를 통해 2쌍의 파쇄드럼(22)이 회전하면서 그 사이에 끼여서 들어오는 딱딱하게 뭉쳐 있는 연소재 덩어리들을 파쇄봉(28)를 사용하여 분쇄할 수 있게 된다. To this end, when the motor 23 is operated, two pairs of the crushing drums 22 are rotated through the driving chain device 24 and the electric chain device 25 while being stuck in between them. These can be ground using a crushing rod 28.

여기서, 모터(23)의 작동은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보일러 동작 중에 일정시간대별로 주기적으로 털어줄 수 있도록 하여 완전 연소된 재를 아래쪽으로 계속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고체연료가 차례차례 아래로 진입하며 불구멍이 막히지 않고 잘 탈 수 있도록 되며, 아래로 떨어지는 재는 별도의 수거통 등을 이용하여 수집한 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된다. Here, the operation of the motor 23 by the controller (not shown) to periodically shake off during a certain period of time during the operation of the boiler by continuously discharging the completely burned ash downwards, the solid fuel enters down sequentially The hole can be burned well without being blocked, and the ash falling down can be easily processed after being collected using a separate container.

특히, 파쇄드럼(22)의 파쇄봉(28)을 이용하여 연소재를 파쇄함과 동시에 파 쇄드럼(22) 전체가 위아래로 보다 큰 원궤적을 그리면서 요동되면서 연소재를 들쑤시게 되므로, 딱딱하게 뭉쳐 있는 연소재 덩어리를 쉽게 분쇄시켜가면서 밑으로 털어줄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by using the crushing rods 28 of the crushing drum 22 to crush the combustion material and at the same time the whole crushing drum 22 swings up and down while drawing a larger circular path up and down, You can easily crush the lump of combusted material and whisk it down.

이렇게 연소재의 원활한 처리로 보일러의 연소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보일러의 열효율을 한층 높일 수 있는 동시에 보일러의 수명도 길게 연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smooth treatment of the combustion material can increase the combustion efficiency of the boiler and ultimately increas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and at the same time extend the life of the boiler.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단차형의 적재실 및 연소실 구조를 적용하여 많은 양의 고체연료 투입 및 적재가 가능하고 적정량의 고체연료 공급 및 연소가 가능하므로, 대용량에 적합한 온수보일러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inputting and loading a large amount of solid fuel by applying a stepped loading chamber and combustion chamber structure, and supplying and burning an appropriate amount of solid fuel, so that a hot water boiler system suitable for a large capacity can be constructed. There is an advantage.

또한, 통로개방이 가능한 밀집형태의 전열관 구조를 적용하여 충분한 전열면적의 확보가 가능하고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열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높은 열효율을 얻을 수 있고, 특히 전열관의 내부 청소가 용이하여 보일러의 열효율 향상 및 보일러의 수명 연장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ecure a sufficient heat transfer area and easily perform internal cleaning by applying a dense heat transfer tube structure that can open the passage, and thus it is possible to obtain high thermal efficiency while minimizing heat loss. It is easy to improve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and has the advantage of obtaining the effect of extending the life of the boiler.

또한, 회전방식 및 요동방식의 복합형 재털이장치를 적용하여 딱딱하게 굳은 큰 덩어리의 연소재 등을 효과적으로 분쇄 및 배출 처리할 수 있으므로, 연소재의 신속하고 완벽한 제거에 따른 보일러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온수보일러의 전체적인 관리와 취급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grind and discharge the hardened solid mass of the combustion material by applying a rotary ashing device of the rotation method and swinging method, thereby improving the thermal efficiency of the boiler according to the rapid and complete removal of the combustion material. Of cours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overall management and handling of the hot water boiler can be safe and easy.

또한, 연소재의 여과가 가능한 격판 구조 및 고체연료의 운반을 위한 승강장 치를 적용하여 연소재의 효율적인 여과가 가능하고 고체연료의 손쉬운 투입이 가능하므로, 환경오염방지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으며, 작업자의 수고를 덜어줄 수 있는 동시에 안전사고의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applying the diaphragm structure that can filter the combustor and the lifting device for transporting the solid fuel,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filter the combustor and to easily input the solid fuel, so that it can actively cope with environmental pollution pre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effort and protect from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Claims (14)

고체연료의 적재를 위하여 내부 중심의 윗쪽에 조성되며 호퍼형태의 바닥부를 갖는 적재실(10)과, 고체연료의 연소를 위하여 내부 중심의 아래쪽에 조성되면서 적재실(10)의 하단에서 일정길이 수직으로 연통되는 관형태의 연소실(11)과, 공급 및 배출가능한 온수의 저장을 위하여 적재실(10)과 연소실(11)의 주변에 조성되는 온수실(12)로 구분되고, 한쪽 측면부에는 연소실(11)과 통하는 점화구(13)가 갖추어져 있는 본체(14); 상기 연소실(11)의 상단부 일측과 통하는 연소열 유입관(15)으로부터 연장되는 동시에 온수실(12) 내에서 연소실(11)의 측면부를 따라 다수개의 나란한 관이 밀집되어 있는 형태로 배치되면서 외부와 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내부를 통과하는 연소열을 이용하여 전열작용을 수행하는 적어도 2세트의 전열관(16); 상기 본체(14)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프레임상에 지지되면서 연소실(11)의 저부에 배치되며 연소실(11)의 내부까지 진입하거나 연소실(11)의 바닥부를 구성하면서 연소된 재를 털어주거나 파쇄시켜주는 요동식 및 회전식 복합형의 재털이장치(17); 상기 본체(14)의 바깥쪽 일측에 설치되며 전열관(16)의 배출측과 연결되어 연소가스를 외부로 강제 배출시켜주는 블로어장치(18);를 포함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1)의 내부에는 연소열 유입관(15)의 입구로부터 일정거리 떨어진 곳에 위치되어 고체연료에 의한 막힘을 방지해주는 적어도 2개의 보호판(19)이 갖추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 I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inner center for loading solid fuel and has a hopper-shaped bottom part, and is formed below the inner center for the combustion of solid fuel, and is vertically constant at the bottom of the loading chamber 10. And a hot water chamber 12 formed around the loading chamber 10 and the combustion chamber 11 for the storage and supply of hot water which can be supplied and discharged. A main body 14 equipped with an ignition port 13 communicating with 11); While extending from the combustion heat inlet pipe 15 communicating with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a plurality of side-by-side pipes are arranged in the hot water chamber 12 along the side portion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and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outside. At least two sets of heat transfer tubes 16 configured to perform heat transfer using combustion heat passing through the inside; It i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while being supported on a frame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4 and enters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or shakes or combusts the combusted ash while forming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Oscillating and rotating hybrid rehair device 17; In the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comprising a; blower device 18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14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of the heat transfer tube 16 for forcibly discharging the combustion gas to the outside. The inside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is located at a certain distance away from the inlet of the combustion heat inlet pipe 15, at least two protective plates 19 to prevent clogging by solid fuel is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solid fuel combustion large Hot water boiler.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열관(16)은 수평으로 나란한 다수 개의 파이프가 행과 열을 이루면서 길다란 사각블럭 모양의 밀집형태로 배치되고, 각 파이프들의 앞쪽과 뒷쪽 단부는 같은 열에 배치되는 위아래 파이프를 2개씩 독립적으로 연결시켜주도록 구획되어 있는 커버(20a),(20b)로 각각 마감되는 동시에 앞뒤쪽 각 커버(20a),(20b)는 서로 한 행이 엇갈리게 장착되어 연소열의 흐름을 각 파이프를 통해 지그재그 형태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According to claim 1, The heat pipe 16 is a plurality of horizontally parallel pipes arranged in rows and columns in a long rectangular block-shaped dense form, the front and rear ends of each pipe is arranged in the same row 2 up and down pipes Each cover 20a, 20b, which is partitioned to connect each other independently, is finished at the same time, and the front and rear covers 20a, 20b are alternately mounted in a row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low of combustion heat is zigzag through each pipe.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ucture made to proceed in the form.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파이프들은 본체(14)의 프레임 전후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The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each of the pipes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a width before and after the frame of the main body (1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20a),(20b)의 안쪽면은 적어도 위아래 2개씩의 파이프를 수용할 수 있는 면적을 보유하면서 일정높이로 세워지는 격자형태의 구획판(21)에 의해 다수 개의 독립된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20a, 20b) is a plurality of partition plate 21 by the grid-shaped partition plate which is set at a certain height while retaining an area capable of accommodating at least two pipes of up and down.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partitioned into an independent space.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커버(20a),(20b)는 위아래 플랜지부위를 이용하여 본체(14)의 프레임 외부 벽면상에 스크류 또는 볼트 체결방식으로 착탈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or 5, characterized in that the cover (20a, 20b) is mounted on the frame outer wall surface of the main body 14 in a detachable structure by screw or bolt fastening using the upper and lower flanges.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재털이장치(17)는 연소실(11)의 바닥부에서 서로 나란한 동시에 마주 보는 상태로 수평 배치되면서 본체(14)의 하부 프레임상의 브라켓(40)에 회전가능하게 양단 지지되어 상부에 놓여지는 연소재를 분쇄하는 적어도 2쌍의 파쇄드럼(22)과, 상기 파쇄드럼(22)의 구동을 위한 모터(23)와, 상기 모터(23)의 동력을 각 파쇄드럼(22)에 전달하기 위하여 모터(23)측과 각 쌍의 파쇄드럼(22)측 사이에 연결되는 구동용 체인장치(24) 및 각 쌍의 파쇄드럼(22) 간에 연결되는 전동용 체인장치(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보일러. The upper rewinder 17 is rotatably supported at both ends rotatably on the bracket 40 on the lower frame of the main body 14 while being horizontally arrang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t the bottom of the combustion chamber 11 and facing each other. At least two pairs of shredding drums 22 for pulverizing the combustion material to be placed, the motor 23 for driving the shredding drums 22, and the power of the motor 23 to each of the shredding drums 22. It consists of a drive chain device 24 connected between the motor 23 side and each pair of shredding drums 22 and a transmission chain device 25 connected between each pair of shredding drums 22 for transmission. Solid fuel combustion type large on-boiler,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재털이장치(17)의 2쌍의 파쇄드럼(22)은 브라켓(40)상에서 상하면 안내를 받는 베어링블럭(26)에 의해 그 양단 축이 지지되어 드럼 간에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일정구간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 The two pairs of crushing drums 22 of the ashtray device 17 are supported on both ends of the drum by bearing blocks 26 which are guided up and down on the bracket 40 so as to face each other between drums.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in a structure that can slide a certain section in the viewing direction.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2쌍의 파쇄드럼(22)의 바깥쪽에 배치되는 양편 2개의 파쇄드럼(22)의 축 사이에는 리턴스프링(27)이 연결 설치되어 드럼 간의 일정한 근접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return springs 27 are connected between the shafts of the two crushing drums 22 on both sides of the pair of crushing drums 22 to maintain a constant proximity between the drums.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재털이장치(17)의 2쌍의 파쇄드럼(22)에는 드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드럼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배치되며 서로 1열씩 엇배열되면서 그 사이사이로 끝부분이 일부 진입하여 중첩 위치되는 다수 열의 파쇄봉(28)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7, wherein the two pairs of shredding drums 22 of the ashtray device 17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rum longitudinal direction an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drum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rranged one by one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rows of crushing rods 28 are provided to overlap the end portion is partially entered therebetween.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2쌍의 파쇄드럼(22)의 회전 중심축은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요동궤적을 그릴 수 있는 편심축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The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according to claim 1 or 7, wherein the rotation center axes of the two pairs of crushing drums (22) are eccentric shafts capable of drawing rocking traces in the vertical direction during rota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장치(18)는 전열관(16)의 최종 배출구를 하나로 모아주는 수집관(29)과, 상기 수집관(29)과 통하는 블로어(30)와, 상기 블로어(30)의 토출측과 연결되면서 본체(14)의 외측 후면부 일측에 설치되고 내부에는 한쪽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동시에 1개씩 위아래로 엇배열되는 수직격판(31)을 갖고 있으며 외부와 통하는 덕트(32)를 구비한 집진용 챔버(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 The blower device (18)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lower device (18) includes a collection pipe (29) for collecting the final discharge port of the heat transfer pipe (16), a blower (30) communicating with the collection pipe (29), and the blower (30). It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side and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outer rear part of the main body 14 and has a vertical plate 31 which is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one direction and is arranged upside down one by one and the duct 32 communicating with the outside.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chamber (33) for collecting dust.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블로어장치(18)의 챔버(33)는 수납/인출가능한 서랍식 집진통(3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 13. The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according to claim 12, characterized in that the chamber (33) of the blower device (18) further comprises a drawable dust collector (34) capable of receiving / draw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14)는 와이어 견인방식을 이용한 승강모터(35)와, 상기 승강모터(35)를 탑재한 승강대(36)와, 상기 승강대(36)의 상승하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레일(37) 및 가이드롤러(38)로 구성되어 고체연료를 위로 운반할 수 있는 승강장치(39)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연료연소식 대형 온수보일러. 2. The guide of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14 includes a lifting motor 35 using a wire traction method, a lifting table 36 on which the lifting motor 35 is mounted, and a lifting guide of the lifting table 36. Solid fuel combustion type hot water boiler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lifting device (39) consisting of a rail (37) and a guide roller (38) to carry up the solid fuel.
KR1020050040441A 2005-05-16 2005-05-16 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KR10078163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441A KR100781633B1 (en) 2005-05-16 2005-05-16 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0441A KR100781633B1 (en) 2005-05-16 2005-05-16 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028A KR20060118028A (en) 2006-11-23
KR100781633B1 true KR100781633B1 (en) 2007-12-05

Family

ID=37705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0441A KR100781633B1 (en) 2005-05-16 2005-05-16 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163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773B1 (en) * 2012-09-28 2014-01-22 류병억 Pellet used bur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5714B1 (en) * 2020-08-10 2021-01-21 아세아시멘트(주) Hand rail for silo device with folding function and silo device containing the sam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6585A (en) * 1986-06-04 1987-12-12 Kenichi Yamashita Waste treatment equipment
KR20000004958U (en) * 1998-08-13 2000-03-15 이순식 Combined Wood Boiler
KR20010104391A (en) * 2001-06-15 2001-11-26 유석준 Fan heater use coal for solid fuel & it's control system
KR20020082303A (en) * 2001-04-20 2002-10-31 김원철 Coal Boiler
KR20040042276A (en) * 2002-11-13 2004-05-20 주식회사 커라텍 boiler For solid fuel
KR200367195Y1 (en) * 2004-08-18 2004-11-09 유병숙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6585A (en) * 1986-06-04 1987-12-12 Kenichi Yamashita Waste treatment equipment
KR20000004958U (en) * 1998-08-13 2000-03-15 이순식 Combined Wood Boiler
KR20020082303A (en) * 2001-04-20 2002-10-31 김원철 Coal Boiler
KR20010104391A (en) * 2001-06-15 2001-11-26 유석준 Fan heater use coal for solid fuel & it's control system
KR20040042276A (en) * 2002-11-13 2004-05-20 주식회사 커라텍 boiler For solid fuel
KR200367195Y1 (en) * 2004-08-18 2004-11-09 유병숙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2773B1 (en) * 2012-09-28 2014-01-22 류병억 Pellet used bur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028A (en) 200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005B1 (en) Auto coal boiler
JP5390723B1 (en) Dry distillation incinerator and dry distillation incineration system equipped with the same
EP0396725B1 (en) Whole tire disposal system
CN101135454A (en) Dangerous waste incineration device
KR100781633B1 (en) 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KR101333955B1 (en) Boiler
KR101445452B1 (en) Movable apparatus for radioactive waste
KR100614918B1 (en) 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KR200385865Y1 (en) large-sized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KR20140045649A (en) Wood pellet boiler
JP2021169882A (en) Combustion device
JP2021021559A (en) Boiler bottom part collecting/transporting device
KR200179548Y1 (en) The system for using the heat of combustion of waste articles
KR101212112B1 (en) RPF(Reuse Plastic Fuel) GAS Boiler
BR112020020992A2 (en) PORTABLE COMBUSTION / PIROLIZATION SYSTEM WITH FIRST AND SECOND AIR SOURCES
KR20100083898A (en) Waste heat recovery system of agricultural product dryer using gas burner
KR20120109938A (en) Pellet boiler having a chamber exchanging heat
KR101894553B1 (en) Automatic type combustion apparatus and boiler incorporating the same
KR101369605B1 (en) Boiler
KR101000683B1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nufacturing carbonized rice husk
KR20090106950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oil from waste tire with pyrolysis method
KR100781632B1 (en) Ash crusher for hot-water boiler using solid fuel
KR101286604B1 (en) Portable cremator system
KR100986027B1 (en) Incineration apparatus
KR20110113065A (en) Combus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