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939Y1 -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조립식 브라켓 - Google Patents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조립식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939Y1
KR200366939Y1 KR20-2004-0021600U KR20040021600U KR200366939Y1 KR 200366939 Y1 KR200366939 Y1 KR 200366939Y1 KR 20040021600 U KR20040021600 U KR 20040021600U KR 200366939 Y1 KR200366939 Y1 KR 2003669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upport
formwork
pile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6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무용
Original Assignee
박무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무용 filed Critical 박무용
Priority to KR20-2004-00216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9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9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9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6Tools or apparatus
    • E04G21/18Adjusting tools; Tem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거푸집 지지용 브라켓이 거푸집 지지를 위하여 흙막이벽의 엄지말뚝으로 선 시공된 H-파일에 직접 용접 설치되어 브라켓 해체시 용접 절단방식 등을 이용해 해체해야 했는 바, 이로 인해 브라켓의 재사용이 곤란하고, 자재 손실 및 시공성 결여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H-파일에 고정 설치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용접 고정방식이 아닌 클램프 고정방식이 채용됨으로써, 사용 후 클램프를 풀어주는 경우 간단히 이동 및 재조립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자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Bracket for supporting forms for perimeter girder construction}
본 고안은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거푸집 지지를 위하여 흙막이벽의 엄지말뚝으로 선 시공된 H-파일에 고정 설치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용접 고정방식이 아닌 클램프 고정방식이 채용됨으로써, 사용 후 클램프를 풀어주는 경우 간단히 이동 및 재조립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자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구조물을 구축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즉, 지하구조물이 축조되는 지반에 흙막이 공사를 한 다음 지반을 굴착하면서 흙막이를 지지할 수 있는 가시설물을 설치하고 토사를 전부 반출한 뒤 맨 아래층에서부터 구조물을 축조해 올라가는 순타설공법과, 흙막이를 시공하고 1층 구조물을 축조한 뒤 그 구조물을 흙막이용 버팀대로 이용하여 상부에서 하부로 지반을 굴착하면서 구조물을 축조해 내려가는 역타설공법이 그것이다.
최근에는 토지 이용의 극대화 차원에서 지하공사가 고심도화 되어 가고 있고, 특히 순타설공법에 의한 시공시에는 흙막이 붕괴의 위험이나 주변 건물들 침하 등으로 인한 균열 발생 등 문제와 함께 시각상으로도 불안하고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등 여러 문제가 있어서, 근래에는 역타설공법이 많이 개발되어 널리 적용되고 있다.
이 역타설공법은 지하구조물 축조시에 지상 1층으로부터 지하층을 향하여 시공하여 나가는 방식이므로, 지하구조물과 지상구조물의 시공이 동시에 진행 가능하고, 지상 1층의 바닥을 작업장으로 활용할 수 있어 별도의 복공판이 불필요하며, 무지보 거푸집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역타설공법으로는 지반을 정지한 상태에서 지반 위에 콘크리트 슬래브와 보를 타설하는 방법(Concrete on Grade)과, 지반을 어느 정도 굴착하고 지반을 고른 뒤 동바리를 세우고 거푸집을 설치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Form on Supporting)과, 거푸집 지지를 위한 동바리를 세우지 않는 대신에 선(先) 시공한 상층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거푸집 지지를 위한 거푸집 지지거더를 현수시켜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무지보 역타설 현수 거푸집 공법) 등이 있다.
한편, 역타설 시공시에 흙막이 벽체와 바닥 슬래브가 만나는 외곽 경계부분에는 띠장 또는 접합거더 역할을 하는 철근 콘크리트 테두리보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철근 콘크리트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작업에 대하여 다음의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은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종래 거푸집 작업도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면부호 2는 흙막이벽(1)을 이루는 엄지말뚝, 즉 수직 빔인 H-파일(pile)을 나타내며, 미설명부호 3은 도우웰(dowel) 철근을 나타낸다.
잘 알려진 바대로, 흙막이벽 형식으로는 주열식 벽으로서 SCW(soil cement wall)와 CIP(cast in-place pile) 등이 있으며, 모두 엄지말뚝으로 H-파일을 사용하고, 이 H-파일이 배면의 토압 및 수압을 직접 지지하는 수직 휨부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테두리보의 시공을 위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흙막이벽(1)을 시공한 뒤 굴토작업을 먼저 하고, 버림 콘크리트(4)를 타설한 뒤 동바리(5)를 설치하여 거푸집을 지지시키게 된다.
여기서, 시공하고자 하는 테두리보의 길이방향에 대해 그 횡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는 각재(6)를 복수개의 동바리(5)로 지지시키고, 이 각재(6) 위에는 테두리보 하면 성형을 위한 합판 거푸집(7a)을 수평으로 배치하여 지지시키며, 이 수평의 합판 거푸집(7a) 위로는 테두리보 측면 성형을 위한 합판 거푸집(7b)을 수직으로 고정 배치하여 지지시킨다.
이때, 상기 각재(6)는 다수개가 시공하고자 하는 테두리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데, 각각의 각재(6)가 모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동바리(5)로 지지되며, 상기의 수직 배치된 합판 거푸집(7b)은 H-파일(2)에 일단이 용접된 상측 및 하측의 폼 타이(8)에 의해 고정되어 지지된다.
또한, 테두리보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 즉 H-파일(2) 및 수평의 합판 거푸집(7a), 수직의 합판 거푸집(7b)이 형성하는 사각 단면형상의 테두리보 성형공간 내에 철근(9)을 설치하는 배근작업을 하고, 슬래브 및 보용 콘크리트의 타설시 상기 테두리보 성형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함께 타설하여, 테두리보를 성형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의 테두리보 거푸집 작업시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먼저, 종래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바리를 이용한 테두리보 거푸집 작업이 진행됨으로써, 동바리 설치에 따른 토공작업 지연과 콘크리트 타설시 가끔 거푸집 파괴 등에 의해 작업 차질이 많이 발생하게 된다.
동바리의 이용시에는 연약지반상에서의 지지가 불안정하고, 또한 콘크리트 강도가 일정 한도 이상으로 보양되지 않으면 해체가 불가하기 때문에 콘크리트 양생 중 동바리의 존치로 인하여 아래층의 굴토공사가 진행될 수 없다.
더구나, 동바리 등 가설자재는 역타설 시공시 굴토작업장 외부로 반출한 뒤 굴토 후 다시 아래층으로 이동하여 설치해야 하고, 이를 각 층의 시공시마다 반복해야 하는 바, 이러한 작업을 반복 수행하는데 있어서 번잡한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동바리의 소운반 및 재조립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이 과다하여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모든 작업이 인력에 의존하므로 노동집약적이어서 기능공의 인력 부족이 심화되는 현실에서 원가 절감이 어려워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고 H-파일에 거푸집 지지를 위한 별도의 브라켓을 설치하는 방법이 있다.
즉, 이는 앵글 브라켓을 현장에서 H-파일에 직접 용접하여 설치한 후 이 앵글 브라켓에 거푸집 등을 지지시키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앵글 브라켓을 설치한 경우, 브라켓 해체시에도 용접 절단방식 등을 이용하여 해체하여야 하는 바, 브라켓의 재사용이 곤란하고, 자재 손실 및 시공성 결여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거푸집 지지를 위하여 흙막이벽의 엄지말뚝으로 선 시공된 H-파일에 고정 설치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용접 고정방식이 아닌 클램프 고정방식이 채용됨으로써, 사용 후 클램프를 풀어주는 경우 간단히 이동 및 재조립이 가능해지고,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자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종래 거푸집 작업도를 도시한 개략도,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의 설치상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조립식 브라켓에서 클램프 고정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조립식 브라켓에서 상부 경사부재와 수평지지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흙막이벽 2 : H-파일
2a : 측벽 110 : 수직지지부재
111 : 클램핑 수단 111a : 클램프
112 : 스토퍼 113 : 체결판
120 : 수평지지보 120a : 삽입홀
130 : 하부 경사부재 131 : 길이조절수단
140a, 140b : 상부 경사부재 141a, 141b : 길이조절수단
142a, 142b : 피봇 힌지 143a, 143b : 체결부
144 : 체결 브라켓 144a : 종판
144b : 횡판 144c : 돌출판
145a : U-형 볼트 145b : 너트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은,
흙막이벽(1)의 엄지말뚝으로 선 시공된 각 H-파일(2)의 측벽(2a) 상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 하단 끝부분이 상기 H-파일(2)의 측벽(2a) 바깥면에 용접 설치된 스토퍼(112)에 지지된 상태로 클램핑 수단(111)에 의해 상기 H-파일(2)의 측벽(2a)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재(110)와;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부재(11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수평 배치되어 거푸집 등 테두리보 구축용 구조체를 지지하게 되는 수평지지보(120)와;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단이 상기 수직지지부재(110)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수평지지보(120)에 힌지 결합되어서 상기 수직지지부재(110) 및 수평지지보(120)와 함께 역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하부 경사부재(130)와; 상기 수평지지보(120) 상측으로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단부에 설치된 체결 브라켓(144)을 매개로 상기 수평지지보(120)에 체결되고 상단에는 피봇 힌지(142a,142b)를 매개로 체결부(143a,143b)가 설치된 상부 경사부재(140a,140b)와; 테두리보 측면 성형을 위한 합판 거푸집(3)을 바깥쪽에서 밀착 지지하도록 수직 설치되고 상기 상부 경사부재(140a,140b)의 체결부(143a,143b)에 체결된 상태로 상부 경사부재(140a,140b)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 지지부재(146)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클램핑 수단(111)은, H-파일(2)의 측벽(2a)과, 상기 수직지지부재(11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H-파일(2)의 측벽(2a) 바깥면에 접합되는 체결판(113)을 함께 클램핑하는 복수개의 클램프(111a)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경사부재(140a,140b)는 하나의 체결 브라켓(144)에 상측 및하측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경사부재(140a,140b)가 2개의 강관이 길이조절수단(141a,141b)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어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경사부재(130)가 2개의 강관이 길이조절수단(131)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어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 브라켓(144)은 종판(144a)과 횡판(144b)이 수직 연결된 구조로 되어, 종판(144a)에 상기 상부 경사부재(140a,140b)의 하단이 연결 고정되고, 횡판(144b)이 상기 수평지지보(120)의 상부면에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 브라켓(144)의 횡판(144b) 하면에는 상기 수평지지보(120)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등간격 형성된 삽입홀(120a)에 끼워지는 돌출판(144c)이 설치되어, 상기 체결 브라켓(144)의 전후 결합 위치가 조정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 브라켓(144)은 상기 수평지지보(120)를 감싼 상태로 양 단부가 체결 브라켓 횡판(144b)에 형성시킨 체결홀(144d)에 삽입된 후 너트(145b)로 체결되는 복수개의 U-형 볼트(145a)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에 관한것으로, 거푸집 지지를 위하여 흙막이벽의 H-파일에 고정 설치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용접 고정방식이 아닌 클램프 고정방식이 채용됨으로써, 사용 후 클램프를 풀어주는 경우 간단히 해체, 이동 및 재조립이 가능하고, 따라서 종래와는 달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것에 주안점이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거푸집 지지용 브라켓이 H-파일에 직접 용접 설치되어 브라켓 해체시 용접 절단방식 등을 이용해 해체해야 했는 바, 이로 인해 브라켓의 재사용이 곤란하고, 자재 손실 및 시공성 결여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고안의 이동 조립식 브라켓은 클램프에 의해 H-파일에 고정되고, 해체시에는 간단히 클램프를 풀어 해체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재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a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의 설치상태도이다.
또한, 첨부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조립식 브라켓에서 클램프 고정구조를 나타낸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조립식 브라켓에서 상부 경사부재와 수평지지보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도면부호 2는 흙막이벽(1)을 이루는 엄지말뚝, 즉 수직 빔인 H-파일을 나타낸다.
본 고안의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은 SCW(soil cement wall) 또는CIP(cast in-place pile) 등과 같이 H-파일이 사용된 흙막이벽에 적용 가능한 것으로, 흙막이벽(1) 내 소정 간격으로 설치된 각 H-파일(2)에 직접 고정 설치된다.
잘 알려진 바대로, 흙막이벽 형식으로는 주열식 벽으로서 SCW(soil cement wall)와 CIP(cast in-place pile) 등이 있으며, 모두 엄지말뚝으로 H-파일을 사용하고, 이 H-파일이 배면의 토압 및 수압을 직접 지지하는 수직 휨부재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참고로, SCW 흙막이 공법은 지반을 굴착한 후 시멘트 밀크(cement milk)를 주입하면서 굴착토사와 혼합시키고, 응력재로서 도시한 바의 H-파일을 넣어 소일 시멘트(soil cement) 기둥을 형성하는 공법이다.
또한, CIP는 천공기를 이용하여 천공 후 공내에 조립된 철근 및 조골제를 채우고 콘크리트를 주입하여 시공한 흙막이벽으로서, 이 또한 주지된 바와 같이 응력재로 H-파일을 사용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은 흙막이벽(1)으로 선 시공된 SCW 또는 CIP의 안쪽면(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면)에 노출된 상태로 되어 있는 H-파일(2)의 측벽(2a)에 상하로 길게 설치되어 지지되는 수직지지부재(110)를 포함한다.
이 수직지지부재(110)는 사각 단면구조를 가지는 박스형 강관으로 제작되며, H-파일(2)의 측벽(2a) 상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서 상단의 체결판(113)이 클램핑 수단(111)에 의해 H-파일(2)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그 하단 끝부분이 H-파일(2)의 측벽(2a) 바깥면에 용접 설치한 별도의 스토퍼(112)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수직지지부재(110)는 스토퍼(112)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단의 체결판(113)이 상기 클램핑 수단(111)에 의해 H-파일(2)의 측벽(2a) 상에 체결됨으로써 H-파일(2)에 고정되게 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클램핑 수단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해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클램핑 수단(111)은 수직지지부재(110)와 H-파일(2)을 압축 체결하는 것으로, 이는 H-파일(2)의 측벽(2a)과, 수직지지부재(110) 상단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H-파일(2)의 측벽(2a) 바깥면에 접합된 상태의 체결판(113)을 함께 클램핑하는 복수개의 클램프(111a)로 구성되는 바,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클램핑 수단(111)으로서 체결판(113)의 상부에 좌우 각 1개씩, 그리고 하부에 좌우 각 1개씩 총 4개의 클램프(111a)가 설치되고 있으며, 이 4개의 클램프(111a)가 H-파일(2)의 측벽(2a)과 상기 체결판(113)을 상측 및 하측에서 좌우 양측으로 각각 물어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클램핑 수단(111)에 의하여 수직지지부재(110)가 H-파일(2)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각 클램프(111a)가 H-파일(2)의 측벽(2a)을 물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하므로, 본 고안의 브라켓을 사용할 경우에 H-파일(2)의 클램핑 되는 위치에서 H-파일(2) 주변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를 부분적으로 파쇄한 후 클램프(111a)를 고정시켜주게 된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브라켓은 거푸집 등 테두리보 구축용 구조체가 실제로지지되는 부분인 수평지지보(120)를 포함한다.
이 수평지지보(120)는 그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부재(110)의 상단부와 힌지 결합되어 있는 바, 수직지지부재(110)와는 대략 90°의 각도로 결합되어 브라켓을 구성하며, 특히 수직지지부재(110)와의 사이에 설치된 하부 경사부재(130)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하부 경사부재(130)는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직지지부재(110)에서 수평지지보(120)를 지지하는 것으로, 하단이 수직지지부재(110)의 하단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이 수평지지보(120)의 일측과 힌지 결합되는 지지용 부재이다.
상기 수직지지부재(110)와 수평지지보(120), 그리고 하부 경사부재(130)는 서로 조립된 상태에서 측면 상으로 볼 때 전체적으로는 역삼각형 지지구조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경사부재(130)가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강관(예를 들면, 2개의 원형 강관)이 길이조절수단(131)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H-파일(2)은 수직 시공이 어려우므로, 상기 길이조절수단(131)을 설치하게 되면, 하부 경사부재(130)의 전체 길이가 쉽게 조절될 수 있어, 수평지지보(120)의 수평 레벨 유지가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상기 하부 경사부재(130)는 길이조절수단(131)에 의해 전체 길이가 조금씩 조절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수평지지보(120)와 수직지지부재(110)가 이루는 각도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미세하게 조절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수평지지보(120)의 상측으로는 상부 경사부재(140a,140b)가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되며, 이 상부 경사부재(140a,140b)는 수평지지보(120)에서테두리보 측면 성형을 위한 합판 거푸집(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상부 경사부재(140a,140b)의 하단부에는 수평지지보(120)의 상부면에 체결되는 체결 브라켓(144)이 설치되어 있고, 하부 경사부재(130)와 마찬가지로 중간에 길이조절수단(141a,141b)이 구비된다.
즉, 상부 경사부재(140a,140b)는 하단부에 고정 설치된 체결 브라켓(144)을 매개로 수평지지보(120)와 체결되도록 되어 있으며, 하부 경사부재(130)와 마찬가지로 2개의 강관(예를 들면, 2개의 원형 강관)이 길이조절수단(141a,141b)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이 길이조절수단(141a,141b)에 의해 전체 길이가 조금씩 조절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의 브라켓에서 하부 경사부재(130)와 상부 경사부재(140a,140b)의 길이조절수단(131,141a,141b)은 이를 매개로 연결된 두 강관의 전체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형태로든 실시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현재 건축 및 토목공사 현장에서 버팀 및 지지용 부재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잭 써포트(jack support)로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상부 경사부재(140a,140b)의 상단에는 피봇 힌지(142a,142b)를 매개로 체결부(143a,143b)가 설치되어 있는 바, 상기 상부 경사부재(140a,140b)의 상단이 상기 체결부(143a,143b)를 통해 측면 지지부재(146)와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이 측면 지지부재(146)는 테두리보 측면 성형을 위한 합판 거푸집(3)을 바깥쪽에서 밀착 지지하도록 수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각 체결부(143a,143b)에 의해체결된 상태로 상부 경사부재(140a,140b)에 의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부 경사부재(140a,140b)는 복수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측 및 하측으로 총 2개의 상부 경사부재(140a,140b)가 설치되는 바, 상측의 상부 경사부재(140a)가 하측의 상부 경사부재(140b)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게 되어 있으며, 각 상부 경사부재(140a,140b)는 상단에 피봇 힌지(142a,142b)를 매개로 체결부(143a,143b)가, 중간쯤에는 길이조절수단(141a,141b)이, 하단은 체결 브라켓(144)에 연결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두 상부 경사부재(140a,140b)의 하단은 하나의 체결 브라켓(144)에 일체로 연결 고정된 구조로 되어 있는 바, 체결 브라켓(144)이 수평지지보(120)의 상부면에 체결된 상태에서 각 상부 경사부재(140a,140b)와 수평지지보(120)가 이루는 각도는 일정하게 고정된다.
단, 상기 두 상부 경사부재(140a,140b)는 체결 브라켓(144)이 수평지지보(120)에 결합되는 위치가 조정됨으로써 수평지지보(12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위치가 조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체결 브라켓(144)은 종판(144a)과 횡판(144b)이 수직 연결된 ''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종판(144a)에 상기 각 상부 경사부재(140a,140b)가 고정된 상태로 횡판(144b)이 수평지지보(120)의 상부면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체결 브라켓(144)의 결합 위치가 조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평지지보(120)의 상부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삽입홀(120a)이 형성되어 구비되며, 이 삽입홀(120a)에는 체결 브라켓(144)의 횡판(144b) 하면에 돌출 형성시킨 돌출판(144c)이 끼워져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체결 브라켓(144)의 돌출판(144c)이 상기 수평지지보(120)의 삽입홀(120a)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체결 브라켓(144)은 수평지지보(120)와 복수개의 U-형 볼트(145a)에 의해 체결되는 바, 이 U-형 볼트(145a)는 수평지지보(120)를 감싼 상태로 양 단부가 체결 브라켓(144)의 횡판(144b)에 형성시킨 체결홀(144d)에 삽입되도록 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U-형 볼트(145a)의 단부가 체결 브라켓(144)의 체결홀(144d)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측으로 너트(145b)가 체결됨으로써, 체결 브라켓(144)과 수평지지보(120)가 상호 체결되게 되어 있다.
결국, 상기 두 상부 경사부재(140a,140b)는 체결 브라켓(144)의 돌출판(144c)을 수평지지보(120)의 선택된 삽입홀(120a)에 끼워 그 전후 위치를 적절히 조정한 후 2개의 U-형 볼트(145a)를 전후에서 각각 체결함으로써 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이동 조립식 브라켓을 사용하여 테두리보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 시공된 흙막이벽(1)의 정해진 높이에서 클램프(111a)가 고정되는 위치의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를 부분적으로 파쇄하고, 이후 수직지지부재(110)의 하단 끝단부를 H-파일(2)에 미리 용접한 스토퍼(112) 위에 지지시킨 상태로 하여 수직지지부재(110) 상단의 체결판(113)을 클램핑 수단(111)으로써 H-파일(2)의 측벽(2a)에 고정한다.
이후, 하부 경사부재(130)의 길이조절수단(131)을 조작하여 수직지지부재(110)와 수평지지보(120)의 각도를 어느 정도 조절한 후, 수평지지보(120) 위로 시공될 테두리보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중열로 길게 배치되는 박스형 강관(4)을 지지시킨다.
이때, 엄지말뚝의 시공이 불량하여도 하부 경사부재(130)에 구비된 길이조절수단(131)을 조작하게 되면 수평지지보(120)의 수평 유지가 가능해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박스형 강관(4)이 3열로 배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물론, 상기 박스형 강관(4)은 서로 이웃한 두 개 또는 그 이상의 브라켓의 수평지지보(120) 위에 함께 걸쳐서 지지시킨다.
이후, 상기 박스형 강관(4) 위로 지지철근(5)이 박스형 강관(4)의 횡방향으로 배치되어 다수개가 소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이 지지철근(5) 위로는 철망형 거푸집(6)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철근(5)은 박스형 강관(4) 위에서 철망형 거푸집(6)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며, 이 지지철근(5)과 철망형 거푸집(6)이 테두리보 하면 성형을 위한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철망형 거푸집(Rib Rath)은 철망 래스(Lath)에 리브(Rib)를 두어 제작된 것으로, 이러한 철망형 거푸집의 사용은 네트 거푸집 공법으로 이미 실용화 되어 있다.
네트 거푸집 공법은 합판 대신 특수한 강제(鋼製) 네트를 거푸집 판으로 사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공법으로, 강제 네트를 사용함으로써 합판 거푸집에 비하여 가볍고 가공, 조립이 간편하며 해체할 필요가 없는 등 시공성이 양호하여공기를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철망형 거푸집(6)을 설치한 후 수평지지보(120) 위로 테두리보 측면 성형을 위한 합판 거푸집(3)을 수직으로 배치하여 지지시키고, 이 합판 거푸집(3) 바깥쪽으로 측면 지지부재(146)를 댄 후 이를 다시 상부 경사부재(140a,140b)로 지지시킨다.
물론, 상기 상부 경사부재(140a,140b)는 체결 브라켓(144)이 수평지지보(120) 위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U-형 볼트(145a)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고정되며, 이때 체결 브라켓(144)의 돌출판(144c)을 수평지지보(120)의 선택된 삽입홀(120a)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수평지지보(120)에서의 전후위치가 조정된다.
상기와 같이 상부 경사부재(140a,140b)를 수평지지보(120)에 설치한 후에는 길이조절수단(141a,141b)을 통해 각 상부 경사부재(140a,140b)의 길이를 조절하고, 이후 각 상부 경사부재(140a,140b)의 체결부(143a,143b)에 측면 지지부재(146)가 끼워진 상태에서 조임나사(147)를 완전히 조여주게 된다.
그리고, 테두리보용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공간, 즉 H-파일(2) 및 하면 성형을 위한 거푸집, 측면 성형을 위한 수직의 합판 거푸집(3)이 형성하는 사각 단면형상의 테두리보 성형공간 내에 철근(7)을 설치하는 배근작업을 하고, 슬래브 및 보용 콘크리트의 타설시 상기 테두리보 성형공간 내에 콘크리트를 함께 타설하여, 테두리보를 성형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테두리보 시공시 사용된 본 고안의 브라켓은 클램프(111a)를 풀어주는 경우 간단히 해체가 가능하며, 이후 재조립하여 사용이 가능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에 의하면, 거푸집 지지를 위하여 흙막이벽의 엄지말뚝으로 선 시공된 H-파일에 고정 설치됨에 있어서 종래와 같은 용접 고정방식이 아닌 클램프 고정방식이 채용됨으로써, 사용 후 클램프를 풀어주는 경우 간단히 이동 및 재조립이 가능해지는 바, 종래와는 달리 자재의 재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성 측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클램프 고정방식으로 구성됨으로써, 시공성이 개선되어 공기 단축이 가능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흙막이벽의 엄지말뚝으로 선 시공된 각 H-파일의 측벽 상에 상하로 길게 배치되어 하단 끝부분이 상기 H-파일의 측벽 바깥면에 용접 설치된 스토퍼에 지지된 상태로 클램핑 수단에 의해 상기 H-파일의 측벽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상단에 힌지 결합된 상태로 수평 배치되어 거푸집 등 테두리보 구축용 구조체를 지지하게 되는 수평지지보와;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단이 상기 수직지지부재에 힌지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수평지지보에 힌지 결합되어서 상기 수직지지부재 및 수평지지보와 함께 역삼각형 지지구조를 형성하는 하부 경사부재와;
    상기 수평지지보 상측으로 경사방향으로 배치되어 하단부에 설치된 체결 브라켓을 매개로 상기 수평지지보에 체결되고 상단에는 피봇 힌지를 매개로 체결부가 설치된 상부 경사부재와;
    테두리보 측면 성형을 위한 합판 거푸집을 바깥쪽에서 밀착 지지하도록 수직 설치되고 상기 상부 경사부재의 체결부에 체결된 상태로 상부 경사부재에 의해 지지되는 측면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수단은, H-파일의 측벽과, 상기 수직지지부재의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H-파일의 측벽 바깥면에 접합되는 체결판을 함께 클램핑하는 복수개의 클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경사부재는 하나의 체결 브라켓에 상측 및 하측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
  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상부 경사부재가 2개의 강관이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어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 경사부재가 2개의 강관이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연결된 구조로 구성되어 전체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은 종판과 횡판이 수직 연결된 구조로 되어, 종판에 상기 상부 경사부재의 하단이 연결 고정되고, 횡판이 상기 수평지지보의 상부면에 볼트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의 횡판 하면에는 상기 수평지지보의 상부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로 등간격 형성된 삽입홀에 끼워지는 돌출판이 설치되어, 상기 체결 브라켓의 전후 결합 위치가 조정될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
  8. 청구항 1 또는 6에 있어서,
    상기 체결 브라켓은 상기 수평지지보를 감싼 상태로 양 단부가 체결 브라켓 횡판에 형성시킨 체결홀에 삽입된 후 너트로 체결되는 복수개의 U-형 볼트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 조립식 브라켓.
KR20-2004-0021600U 2004-07-29 2004-07-29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조립식 브라켓 KR2003669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600U KR200366939Y1 (ko) 2004-07-29 2004-07-29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조립식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600U KR200366939Y1 (ko) 2004-07-29 2004-07-29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조립식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939Y1 true KR200366939Y1 (ko) 2004-11-06

Family

ID=49440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600U KR200366939Y1 (ko) 2004-07-29 2004-07-29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조립식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93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098B1 (ko) * 2007-05-22 2008-08-29 정택동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1652992B1 (ko) * 2016-01-26 2016-09-01 (주)삼호언더폼이엔지 테두리 보 서포트
CN112502160A (zh) * 2020-11-24 2021-03-16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后张法预制混凝土支撑构件、内支撑系统及施工方法
KR102582018B1 (ko) * 2022-04-28 2023-09-22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철골보 단부 매립형 테두리보를 이용한 철골보 역타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5098B1 (ko) * 2007-05-22 2008-08-29 정택동 단부 수직 트러스형 버팀보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1652992B1 (ko) * 2016-01-26 2016-09-01 (주)삼호언더폼이엔지 테두리 보 서포트
CN112502160A (zh) * 2020-11-24 2021-03-16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一种后张法预制混凝土支撑构件、内支撑系统及施工方法
KR102582018B1 (ko) * 2022-04-28 2023-09-22 삼호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철골보 단부 매립형 테두리보를 이용한 철골보 역타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4726B1 (ko)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
KR100927344B1 (ko) 흙막이벽과 바닥구조체의 연결 시공을 위한 연결구조체와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의 바닥구조체 시공방법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0531385B1 (ko)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JP2006291575A (ja) 擁壁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381303Y1 (ko) 흙막이벽과 슬래브간의 연결부를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102286225B1 (ko)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KR102035995B1 (ko) 가설버팀보를 이용한 역타 공법용 바닥지지틀 지보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376519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조립식 브라켓
KR100383268B1 (ko)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200370107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200385376Y1 (ko)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200366939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지지용 이동조립식 브라켓
KR102362257B1 (ko)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KR101788581B1 (ko) 우각부가 보강된 교량 시공방법 및 이러한 시공방법으로 제작되는 교량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KR100673475B1 (ko) 지하층 골조부의 골조용 피씨거더부재, 이를 이용한 지하층골조부의 조립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54718B1 (ko) 부벽과 긴장재를 이용한 라멘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903508B1 (ko) 지하실 외벽과 격리 시공하는 &#39;시&#39;형띠장 흙막이공법(=&#39;시&#39;형띠장 흙막이공법)
KR200383309Y1 (ko) 슬러리 벽이 적용된 지하층의 슬래브 시공을 위한 거푸집구조체
KR200370135Y1 (ko) 흙막이벽의 테두리보 시공을 위한 거푸집 구조체
KR20100118482A (ko)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한 측면이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KR100496735B1 (ko) 합성말뚝과 강널말뚝을 이용한 교량의 교대, 교각과 그의시공방법
JP5280150B2 (ja) 山留擁壁及び山留擁壁形成方法
KR100397958B1 (ko) 띠장을 분리하여 설치한 흙막이벽 지보구조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