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848Y1 - 음향출력 책 - Google Patents

음향출력 책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848Y1
KR200366848Y1 KR20-2004-0023591U KR20040023591U KR200366848Y1 KR 200366848 Y1 KR200366848 Y1 KR 200366848Y1 KR 20040023591 U KR20040023591 U KR 20040023591U KR 200366848 Y1 KR200366848 Y1 KR 2003668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
page
sound output
control pac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35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효덕
Original Assignee
남효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효덕 filed Critical 남효덕
Priority to KR20-2004-00235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8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8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8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3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shape or material of the sheets
    • B42D1/007Sheets or sheet block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42D3/123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incorporating sound producing or light emitting means or carrying sound record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ys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드지로 각장(4)들 및 겉표지(2)를 구성하여 책(1)을 만들되, 책(1)의 각장(4)에는 홀센서(Hk)(k=1,2,3,..,n)들을 각각 내장하고 겉표지(2)의 내부에는 제어팩(8)과 박판 스피커(18)를 내설하고, 상기 각 홀센서(Hn)들과 제어팩(8)을 가요성인쇄회로케이블(12)로 연결하고, 상기 제어팩(8)이 책(1)의 해당 페이지의 열림을 감지하고 해당 페이지 내용에 대응된 음향 메시지를 박판 스피커(18)를 통해 출력시킨다.

Description

음향출력 책{AUDIO OUTPUT BOOK}
본 고안은 하드지로 구성된 음향출력 책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동용 그림책은 어린이들이 글씨를 몰라서 그 글을 엄마나 아빠와 같은 가족 구성원이 주로 읽어주며, 그림 책 읽기는 아이들의 성격 형성과 학습 및 성장에 많은 도움을 준다.
요즈음의 경제 활동추세가 맞벌이를 해야 가정경제를 이끌어 갈 수 있음에 따라 부모가 모두 경제활동에 참가하게 되고, 그 만큼 자녀들에게는 관심을 쏟을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그림 책 읽어주기 등과 같은 해당 책의 내용을 음향출력 해주기를 하는 방법이 있다면 사용자들 특히 어린이나 어린이를 둔 부모들에게 많이 각광을 받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외관상 일반 책과 유사하면서도 해당 책의 내용을 음향출력 해주기 위한 음향 출력 책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고안은, 하드지로 각장(4)들 및 겉표지(2)를 구성하여 책(1)을 만들되, 책(1)의 각장(4)에는 홀센서(Hn)들을 각각 내장하고 겉표지(2)의 내부에는 제어팩(8)과 박판 스피커(18)를 내설하고, 상기 각 홀센서(Hn)들과 제어팩(8)을 가요성인쇄회로케이블(12)로 연결하고, 상기 제어팩(8)이 책(1)의 해당 페이지의 열림을 감지하고 해당 페이지 내용에 대응된 음향 메시지를 박판 스피커(18)를 통해 출력시키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하드지로 구성된 음향출력 책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음향출력 책의 겉표지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출력 책을 위한 제어장치 블록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음향 출력 제어부(16)에서의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음향출력 책 2: 겉표지
4: 각장 6: 홀소자
7: 마그네트 8: 제어팩
10: 센서부 12: 가요성 인쇄회로케이블
20: 박판스피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하드지(hard sheet)로 구성된 음향출력 책 (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음향출력 책(1)의 겉표지(2)에 배치된 구성요소들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출력 책(1)을 위한 제어장치 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음향출력 책(1)을, 각장(4)들 및 겉표지(2)를 수 밀리미터(mm) 두께의 하드지(hard sheet)로 구성하여 만들되, 책(1)의 각장(4)에는 홀소자(6)와 마그네트(7)로 이루어진 홀센서(Hk)들을 각각 내장하고, 겉표지(2)의 내부에는 제어팩(8)과 박판 스피커(18)를 내설한다. 책(1)의 각장에 대응 내장된 각 홀센서들(Hk)(k=1,2,3,..,n)은 가요성인쇄회로케이블(12)을 매개로 겉표지(2)의 후면부에 내설된 제어팩(8)에 연결된다. 가요성인쇄회로케이블(12)은 각 홀소자(6)로부터의 개별케이블로부터 책등의 속면에서 합체된 케이블들로 이어져 제어팩(8)에 까지 연장된다.
제어팩(8)은 겉표지(2)의 뒷마구리에 매설 가능한 두께를 가지며, 도 3의 오픈감지출력부(14), 음향출력제어부(16), 메모리(18) 및 미도시된 박막형 배터리를포함하여 구성되며, 겉표지(2)의 뒷마구리에 내설된 박판 스피커(18)와 연결된다. 제어팩(8)은 책(1)의 해당 페이지의 열림을 감지하고 해당 페이지 내용에 대응된 음향 메시지를 박판 스피커(18)를 통해 출력시킨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겉표지(2)의 뒷마구리에 내설된 박판 스피커(18)의 음향출력이 위에 덮힌 책장들 때문에 막혀 음량이 감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책장들의 상위 모서리부분이 경사지게 절결되어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출력 책(1)의 페이지 내용은 동화내용, 악보, 단편소설 내용, 시집 등과 같은 메시지로 인쇄 제본될 수 있으며, 제어팩(8)에는 각 페이지에 대응된 내용이 음향출력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만약 페이지 내용이 동화내용이면 음향출력 책(1)은 음향출력 동화책이 될 것이고, 페이지 내용이 악보이면 음향출력 책(1)은 음향출력 노래책이 될 것이고, 페이지 내용이 단편소설이면 음향출력 책(1)은 음향출력 단편소설책이 될 것이다. 상기한 페이지 내용은 본 고안의 일예이므로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의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도 3에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음향출력 책을 위한 제어장치를 참조하면, 센서부(10)는 하드지로 구성된 책(1)의 각장(4)에 대응 내장된 홀센서(Hk)(k=1,2,3,...,n)들이며, 가요성 인쇄회로케이블(12)를 통해서 페이지 오픈시 대응된 페이지 오픈감지신호를 오픈감지 출력부(14)로 출력한다. 오픈감지 출력부(14)는 오픈감지신호들을 증폭하여 음향 출력제어부(16)으로 출력한다. 음향출력제어부(16)는 오픈감지출력부(14)로부터의 출력되는 오픈감지신호를 이용하여 도 4에 도시된 제어프로그램에 의거하여 박판 스피커(20)를 통해서 음향출력한다. 메모리(18)는 음향출력 제어부(16)에 의해서 제어되며 해당 책(1)의 페이지 내용에 대응된 메시지나 동작 프로그램 등을 저장하고 있다.
도 4는 도 3의 음향 출력 제어부(16)에서의 제어 흐름도로서, 사용자가 음향출력 책(1)의 페이지를 펼치면 음향출력 제어부(16)는 정말 사용자가 펼치기를 원했던 페이지를 펼쳤는지를 확인한 후에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음향 출력해주는 것으로 요약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사용자가 음향출력 책(1)의 임의의 페이지를 펼치게 되면, 펼쳐진 페이지의 책장 양측에 맞닿아 있던 홀센서(Hk)의 홀소자(6)과 마그네트(7)가 떨어지게 되고 그에 따라 오픈감지출력부(14)로 페이지 오픈을 알리게 된다. 오픈감지 출력부(14)는 여러 장이 오픈되었을 경우에는 페이지 오픈되는 순서에 맞추어 오픈감지신호를 음향출력 제어부(16)로 제공을 하게 되고, 음향출력 제어부(16)는 도 4의 100단계에서 해당페이지의 오픈 여부를 판단한다.
해당 페이지의 오픈을 인식한 후 음향출력 제어부(16)는 102단계에서 기준시간 경과를 체크하는 페이지오픈 타이머(예컨대, 2초 내지 5초)를 구동한 후 104단계에서 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기준시간이 경과로 판단되면, 즉 페이지오픈 타이머가 구동완료될 때까지 해당 페이지가 오픈되어 있으면, 정말 사용자가 펼치기를 원해서 그 페이지를 펼쳤는 것으로 인식하고 음향출력 제어부(16)는 도 4의 106단계로 진행하여 메모리(18)에서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읽어와 박판 스피커(20)로 음향 출력한다. 예컨대, 동화책이라면 해당 페이지의 동화 메시지를 음향출력한다.
하지만 도 4의 104단계에서 기준시간이 경과하지 않고 오픈된 페이지가 다시 닫히게 되면 해당 페이지가 잘못 펼쳐진 것으로 간주하여 동작을 하지 않는다.
이후 사용자가 책(1)의 그 다음 장을 펼치게 되면, 음향출력 제어부(16)는 도 4의 108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110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페이지 음향출력이 완료된 상태인가를 판단한다. 즉 아직 해당 페이지가 완전히 구연되지 않았는데 다음 페이지로 넘기지 않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해당 페이지 음향출력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다음 페이지를 펼쳤다면 음향출력 제어부(16)는 기준시간 경과 조치없이 바로 다음 페이지의 내용을 메모리(18)에서 읽어내어 박판 스피커(20)로 음향출력한다.
하지만 해당 페이지 음향출력이 완료되지 않는 상태에서 그 다음 페이지를 펼쳤다면 먼저 미리 설정된 기준시간을 경과시킨 후 해당 페이지 음향 출력을 페이드아웃시키고 다음 페이지의 내용을 메모리(18)에서 읽어와 박판 스피커(20)를 통해 음향출력한다(112단계 내지 116단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108단계에서 다음 페이지의 오픈을 인식한 음향출력 제어부(16)는 도 4의 110단계에서 기준시간 경과를 체크하는 페이지오픈 타이머(예컨대, 2초 내지 5초)를 구동한 후 104단계에서 기준시간이 경과했는지를 판단한다.만약 기준시간이 경과가 되면, 즉 페이지오픈 타이머가 구동완료될 때까지 해당 페이지가 오픈되어 있으면, 정말 사용자가 펼치기를 원해서 그 페이지를 펼쳤는 것으로 인식하여 도 4의 116단계에서와 같이, 메모리(18)에서 해당 페이지의 내용을 읽어와 박판 스피커(20)로 음향 출력한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관상 일반 책과 유사하면서도 해당 책의 내용을 음향출력 해주어 사용자들 특히 어린이나 어린이를 둔 부모들에게 유익함을 주게된다.

Claims (2)

  1. 하드지로 각장(4)들 및 겉표지(2)를 구성하여 책(1)을 만들되, 책(1)의 각장(4)에는 홀센서(Hk)(k=1,2,3,..,n)들을 각각 내장하고 겉표지(2)의 내부에는 제어팩(8)과 박판 스피커(18)를 내설하고, 상기 각 홀센서(Hn)들과 제어팩(8)을 가요성인쇄회로케이블(12)로 연결하고, 상기 제어팩(8)이 책(1)의 해당 페이지의 열림을 감지하고 해당 페이지 내용에 대응된 음향 메시지를 박판 스피커(18)를 통해 출력시키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 책.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책(1)의 페이지 내용은 동화내용, 악보, 단편소설 내용, 시집과 같은 메시지로 인쇄 제본되며, 상기 제어팩(8)에는 해당되는 각 페이지에 대응된 내용을 저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출력 책.
KR20-2004-0023591U 2004-08-18 2004-08-18 음향출력 책 KR2003668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591U KR200366848Y1 (ko) 2004-08-18 2004-08-18 음향출력 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3591U KR200366848Y1 (ko) 2004-08-18 2004-08-18 음향출력 책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5126A Division KR20060016620A (ko) 2004-08-18 2004-08-18 음향출력 책 및 그 출력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848Y1 true KR200366848Y1 (ko) 2004-11-06

Family

ID=49440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3591U KR200366848Y1 (ko) 2004-08-18 2004-08-18 음향출력 책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8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83621Y1 (ko) 음성도서유닛
US8584385B2 (en) Interactive electronic greeting cards with tap and touch activated effects
KR20110021757A (ko) 반응형 책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366848Y1 (ko) 음향출력 책
US8763285B2 (en) Interactive electronic greeting cards with tap and touch activated effects
US7486197B1 (en) Blanket with audio device
KR20060016620A (ko) 음향출력 책 및 그 출력제어방법
US20070201714A1 (en) Book structure with an audio generator
KR20160004364U (ko) 바람 인식 센서를 포함하는 생일축하용 아동용 사운드북
KR200234062Y1 (ko) 소리 발생용 책
KR101021017B1 (ko) 동영상재생장치가 구비된 매뉴얼 책
US20120060270A1 (en) Appliance for a Toilet Having a Flush Responsive Audio Player
JP4647822B2 (ja) 情報認識装置
CN2901495Y (zh) 电子发声书本
KR200415818Y1 (ko) 신호발생기를 탑재한 책자 구조
JPH10225349A (ja) 音声装置内蔵の額縁
US8032376B1 (en) Personalized electronic greeting card and associated method
CN201181524Y (zh) 一种全自动婴幼儿电子发声书
JP2013052668A (ja) 頁連動型入出力装置
KR200199076Y1 (ko) 언어학습용 인형
KR20070068308A (ko) 음성 출력 기능을 갖는 유아용 그림책
KR200262658Y1 (ko) 이어폰을 갖는 음성 발생용 책
WO2000008648A1 (fr) Procede et dispositif de stockage de son et de lecture de son installe dans le boitier d&#39;un cadeau
RU2721344C1 (ru) Интерактивная книга и электронная подложка для интерактивной книги
CN202986423U (zh) 一种有声自动书籍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