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732Y1 - 현수막용 홀더 - Google Patents

현수막용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732Y1
KR200366732Y1 KR20-2004-0022971U KR20040022971U KR200366732Y1 KR 200366732 Y1 KR200366732 Y1 KR 200366732Y1 KR 20040022971 U KR20040022971 U KR 20040022971U KR 200366732 Y1 KR200366732 Y1 KR 2003667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ner
key
lower member
holder
sign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이범
Original Assignee
정이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이범 filed Critical 정이범
Priority to KR20-2004-0022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73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7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7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18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panel clamping o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5/00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 G09F15/0006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 G09F15/0025Boards, hoardings, pillars, or like structures for notices, placards, posters, or the like planar structures comprising one or more panels display surface tension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물 외벽에 설치된 옥외 간판밑 같은 곳에 간단히 부착하여 편리하고 간편하게 현수막의 상변을 지지하고 또는 간단히 철거할 수 있으며, 현수막을 매다는 곳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현수막용 홀더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판밑 같은 곳에 고정되는 상부재에 하부재를 경첩식으로 결합하여 이들 사이에 현수막의 상단부를 집어 물릴 수 있게 하고, 현수막을 집어 문 상부재와 하부재는 키로 잠가서 현수막의 고정상태를 안정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수막용 홀더 {Holder for a placard}
본 고안은 건물 외벽에 설치된 옥외 간판밑 같은 곳에 부착하여 편리하고 간편하게 현수막의 상변을 집어 물리고 또는 떼어낼 수 있게 한 현수막용 홀더에 관한 것이다.
못이나 압정, 스테이플러용 철침 등을 이용하여 옥외 간판밑이나 문틀의 윗인방 같은 곳에 매다는 형태로 제작된 현수막은 설치 및 철거가 불편하고, 그 작업도 또한 더디다. 게다가, 현수막이 내걸리는 간판밑 또는 문틀의 윗인방은 못, 압정, 철침이 박힐 때마다 손상되고, 이들이 제거되면 자국이 남는다. 그 자국은 현수막의 교체빈도가 늘어날수록 간판밑 또는 윗인방을 훼손시키고, 빈도가 늘어나면 현수막을 내걸 수 없을 정도로 심히 훼손되기도 한다. 만약, 이런 상황이 벌어지기라도 하면 간판의 밑부재 또는 윗인방을 교체해야 하는 데, 실제로 그렇게 하는 것은 비용 의 지출과 교체작업의 번거로움을 감내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매다는 형태의 현수막을 간판밑이나 윗인방 같은 곳에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하고 철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현수막이 매달리는 자리의 손상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현수막을 매다는 수단의 개선이 절실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건물 외벽에 설치된 옥외 간판밑 같은 곳에 부착하여 편리하고 간편하게 현수막의 상변을 지지하고 또는 간단히 떼어낼 수 있는 현수막용 홀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현수막을 매다는 곳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잇는 현수막용 홀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들 과제를 달성하는 데 적합한 본 고안의 현수막용 홀더는 간판밑 같은 곳에 고정되는 상부재에 하부재를 경첩식으로 결합하여 이들 사이에 현수막의 상단부를 집어 물도록 하고, 현수막을 집어 문 상부재와 하부재는 키로 잠가서 현수막의 고정상태를 안정시키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현수막용 홀더를 벌린 상태도
도 2는 동 분해도
도 3은 간판 밑에 부착하여 현수막의 상단을 물린 상태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부재 2: 하부재
3: 키 4: 고정보조수단
5: 영구자석 11,21: 힌지부
12,22: 키홈 31: 슬라이드부
32: 잠금부
도 1에서, 현수막용 홀더는 상부재(1)와 하부재(2) 및 키(3)를 기본 구성요소로 한다. 상부재(1)와 하부재(2)는 각기 후단에 주어진 힌지부(11,21)를 결합하여 경첩처럼 여닫을 수 있게 하고, 상부재(1)와 하부재(2)가 닫힌 상태는 키(3)로 잠가 멋대로 열리지 않도록 한다.
상부재(1)의 저면 또는 하부재(2)의 상면에서 앞쪽에는 고정보조수단(4)을 부가하여 닫힌 상부재(1)와 하부재(2) 사이에 집혀 물리는 현수막의 상단부에 대한 고정력을 강화한다. 도면에는 고정보조수단(4)이 침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이스, 노브 등에 부여되는 미끄럼방지용 요철구조로 대체될 수도 있다. 고정보조수단(4)이 침상인 경우 이것이 부착되지 아니한 하부재(2)의 상면에서 침과 같은 위치에 침이 삽입되는 침공이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당연지사이지만, 도면에는 가려져서 보이지 않는다.
상부재(1)와 하부재(2) 및 고정보조수단(4)에 의존하는 현수막의 상단부에 대한 고정은 현수막의 무게와 도래하는 바람에 휘날릴 때의 요동으로 인하여 홀더 밖 부분이 우글쭈글해지므로서 현수막의 형태 변형에 기인되는 홍보효과의 저하와 외관의 저해를 야기할 개연성이 높다. 따라서 상·하부재(1,2)와 침(4)에 현수막상단부를 고정시킨 후 홀더의 앞면으로 노출되는 현수막 상단부에 대한 평탄도 유지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 점을 고려하여, 상부재(1)와 하부재(2) 중의 어느 한 쪽에 영구자석(5)을 부착하고 영구자석(5)이 부착되지 아니한 쪽 상부재(1) 또는 하부재(2) 는 자성체로 하거나, 도시예처럼 상부재(1)와 하부재(2) 모두 비자성체로된 경우에는 사로 마주보는 면에 영구자석(5)을 부착하여 그 흡착력에 의해 상부재(1)와 하부재(2)의 닫힘 상태가 강화되게 함으로써 현수막의 상단부에 대한 평탄도 유지와 함께 현수막 상단부에 대한 고정력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도면부호 (6)은 힌지부(11,21)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암측 힌지부(21)의 단부에 박힌 멈춤핀, (7)은 부착공, (8)은 하부재(2)를 여닫기 편하게 하기 위한 손잡이를 표시한다.
도 2에서, 상부재(1)의 힌지부(11)는 암형이고 하부재(2)의 힌지부(21)는 숫형으로 나타나 있다. 숫형 힌지부(21)를 축선방향으로 암형 힌지부(11)에 끼워 넣어 상부재(9)와 하부재(2)를 힌지식으로 결합하고 숫형 힌지부(21)의 양단부에 멈춤핀(6)을 틀어박으면 도 1과 같이 힌지결합상태가 안정화된다. 힌지부(11,21)의 암수는 뒤바뀔 수 있다.
상부재(1)의 저면과 하부재(2)의 상면에서 각 힌지부(11,21)에 인접한 곳에는 축선방향으로 단면이 사다리꼴로 된 키홈(12,22)이 단변이 마주보도록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키(3)는 상부재(1)측 키홈(12)의 단면에 부합하는 단면을 가진 슬라이드부(31)와, 슬라이드부(31)의 일단에 양측 키홈(12,22)에 동시에 삽입되어 닫힌 상부재(1)와 하부재(2)를 잠그는 잠금부(32)로 되어 있다. 잠금부(32)의 외측단은 막아서 잠금스토퍼(33)로 한다. 슬라이드부(31)의 단면은 키홈(12) 또는 (22)의 단면과 같은 형이고, 잠금부(32)는 양측 키홈(12,22)을 대칭되게 배치된 단면과 같은 형상이다. 이렇게 키홈(12,22)과 슬라이드부(31) 및 잠금부(32)를 구성하면 키(3)를 키홈(12) 또는 (22) 중 어느 쪽에 삽입해도 잠그고 열 수가 있다.
스토퍼(33)는 닫힌 상부재(1)와 하부재(2)를 키(3)로 잠글 때 잠금부(32)가 키홈(12,22) 속으로 삽입되어 반대편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슬라이드부(31)의 외측단부에는 개방스토퍼(34)가 주어진다. 개방스토퍼(34)는 상부재91)와 하부재(2)의 잠금을 풀었을 때 키(3)가 키홈(12,22)에서 잠금해제방향으로 빠지지 못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개방스토퍼(34)의 내측단에서 잠금부(32) 내측단까지의 거리는 상부재(1) 및 하부재(2)의 길이, 즉 도면의 좌우측 길이 보다도 약간 길게 한다. 그래야만 잠금해제방향으로 키(3)를 이동시켰을 때 잠금부(32)의 내측단이 상부재(1) 및 하부재(2)의 그쪽 단부 외측에 위치하게 돼 하부재(2)를 열 수 있다. 도면부호 (35)는 개방스토퍼(34) 체결용 스토퍼공이다.
상부재(1)의 힌지부(11)에 그 축선방향으로 하부재(2)의 힌지부(21)를 끼워 넣고 양부재의 좌우 단면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하부재(2)측 힌지부(21)의 양쪽 단에 멈춤핀(6)을 틀어박아 힌지형 결합상태를 안정시키고, 상부재(1)의 키홈(12)에 그 축선방향으로 키(3)의 슬라이드부(31)를 완전히 끼운다. 그러면 끼워지는 쪽의 반대편으로 슬라이드부(31)의 스토퍼공(31)이 노출된다. 그 스토퍼공(35)에 스토퍼(34)를 박아 고정하면 키(3)는 잠금스토퍼(33)와 열림스토퍼(34)에 의해 키홈(12,22)에서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이렇게 조립하면 도 1과 같은 양상을 띈다.
도 3에서, 키(3)를 뽑아 하부재(2)를 연 상태에서 건물(a)의 외벽에 설치된 간판(b)의 밑면에 상부재(1)를 대고 부착공(7)을 통해 피스(c)를 박아 고정한다. 다음으로, 하부재(2)의 상면에 현수막(d)의 상단부를 반듯하게 대고 밀어 올려 상부재(1)의 저면에 닿게 한 후 키(3)로 잠그면 현수막(d)은 안정감 있게 매달린다.
이때, 고정보조수단(4)은 홀더에 집힌 현수막 상단부에 대한 고정력을 높인다. 상부재(1)와 하부재(2)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영구자석(5)이 갖춰진 경우에는 힌지부(11,12)의 결합상태 및 키(3)로 잠가진 상태가 약간 느슨하더라도 영구자석(5)의 흡인력에 의하여 상부재(1)와 하부재(2)간의 밀착상태가 강화되어 현수막(d)의 상단부에 대한 고정상태가 돈독해지는 것은 물론 집혀 물린 현수막 상단부의 평탄도 유지도 가능해진다.
도 3의 상태에서, 현수막(d)을 철수할 시에는 키(3)를 푼 다음에 손잡이(8)를 잡고 아래로 당기면 하부재(2)는 힌지부(11,21)를 중심으로 하향 선회하여 열린다. 하부재(2)가 열린 상태에서 현수막(d)의 상단부를 들어내 철거한다.
이상 설명한대로 본 고안은 옥외 간판밑 같은 곳에 상부재를 고정하고 하부재를 열어 현수막의 상단부를 댄 다음에 하부재를 올려 닫고 키로 잠가 현수막을 설치하며, 상기와 같이 현수막이 설치된 상태에서 키로 열어서 하부재를 아래로 내리고 현수막을 철거할 수 있게 한 현수막용 홀더로서, 건물 외벽에 설치된 옥외 간판밑 같은 곳에 현수막을 매달기 편하고 철거 또한 아주 용이하다. 또, 일단 설치하면 일부러 철거하기 전에는 설치한 상태로 존치되므로 현수막을 매달 때마다 못자국, 핀자국, 철침자국이 남던 종래의 현수막 고정수단에 비해 현수막이 설치되는 타물체의 손상도 최소화되는 부수효과도 곁들여진다..

Claims (3)

  1. 저면에 키홈(12)이 형성된 상부재(1)와 상기 키홈(12)에 대응하는 키홈(22)이 형성된 하부재(2)를 힌지부(11,21)로 연결하고, 상기 키홈(12,22)에는 키(3)를 꽂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수막용 홀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재(1)의 저면 또는 하부재(2)의 상면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는 현수막 상단부용 고정보조수단(4)을 가진 현수막용 홀더.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재(1)와 하부재(2)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영구자석(5)이 부착된 현수막용 홀더.
KR20-2004-0022971U 2004-08-11 2004-08-11 현수막용 홀더 KR20036673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971U KR200366732Y1 (ko) 2004-08-11 2004-08-11 현수막용 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971U KR200366732Y1 (ko) 2004-08-11 2004-08-11 현수막용 홀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732Y1 true KR200366732Y1 (ko) 2004-11-06

Family

ID=4935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971U KR200366732Y1 (ko) 2004-08-11 2004-08-11 현수막용 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7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051B1 (ko) 2007-10-04 2008-11-25 (주)성우에스람 승강식 수평거치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0051B1 (ko) 2007-10-04 2008-11-25 (주)성우에스람 승강식 수평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3896B2 (en) Window vent stop with flexible side engagement pieces
CA3048575C (en) Indicator lever
US7296373B1 (en) Apparatus for framing and hanging a sheet-like display item
US11058222B2 (en) Cabinet hanging system
US20080250686A1 (en) Rotary sign board
JP2008520873A (ja) 取外し可能な飾りフレームを有するペット用ドア
US20150191949A1 (en) Door Barricade
US6126211A (en) Slidable deadbolt security device for sliding doors and windows enabling selective locking thereof in closed or partially open position
KR200366732Y1 (ko) 현수막용 홀더
US5192097A (en) Plastic door lock
AU2007232358B2 (en) Vehicle display system
KR200343167Y1 (ko) 사물함
US20050086879A1 (en) Retainer for prehung door
US20220282565A1 (en) Ligature Resistant Swinging Door System
KR20210091610A (ko) 창문용 스토퍼
KR200490757Y1 (ko) 덮개가 구비된 커튼레일 조립체
KR200410180Y1 (ko) 안전도어용 피벗힌지
WO2020118286A1 (en) Furniture drawer securement device
KR100383446B1 (ko) 현관문의 배달물 투입구
CN220184892U (zh) 一种磁吸钩锁
EP1020836A2 (en) Improvements in electric signs
JP3771928B2 (ja) 不正開扉防止具
KR101062903B1 (ko) 다양한 두께의 판재를 지지하는 광고용 프레임
JP2014001587A (ja) 自動ドアの不正開扉防止装置
KR0124159Y1 (ko) 잠금장치를 갖는 간판의 프레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