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643Y1 - 원격지에서의 데이터처리장치 재부팅을 위한 어댑터 커플러 - Google Patents

원격지에서의 데이터처리장치 재부팅을 위한 어댑터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6643Y1
KR200366643Y1 KR20-2004-0020868U KR20040020868U KR200366643Y1 KR 200366643 Y1 KR200366643 Y1 KR 200366643Y1 KR 20040020868 U KR20040020868 U KR 20040020868U KR 200366643 Y1 KR200366643 Y1 KR 2003666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data processing
terminals
terminal
adap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8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경록
송석진
김산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비아이시스템스
Priority to KR20-2004-00208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66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66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6643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0Current supply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54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 H04L41/0659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 H04L41/0661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using network fault recovery by isolating or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by reconfiguring faulty ent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마련되는 데이터처리장치에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전력을 차단하였다가 재투입함으로써 재부팅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장치. 본 고안의 어댑터 커플러는 어댑터와 데이터처리장치 사이에 별도로 설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전력차단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처리 회로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어댑터 커플러의 제1 외부접속 포트는 외부 데이터처리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2 외부접속 포트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며, 제1 외부접속 포트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만이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된다. 제1 전력단자는 어댑터에 접속되어 직류전력을 공급받으며, 제2 전력단자는 데이터처리장치에 직류전력을 공급한다. 제1 및 제2 전력단자 사이에는 선택적 전력공급 수단이 설치된다. 선택적 전력공급 수단은 제1 외부접속 포트의 복수의 단자 중 하나의 단자쌍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쌍을 통해 전력차단신호를 받아들이고 이 신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전력단자를 전기적으로 차단시켜 데이터처리장치에 대한 직류전력 공급을 차단한다.

Description

원격지에서의 데이터처리장치 재부팅을 위한 어댑터 커플러{Adaptor Coupler for Enabling Remotely Rebooting Data Processing Apparatus}
본 고안은 통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데이터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는 통신 기간망이 확충되고 가입자망 및 통신설비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과거에 업무용 시설에 국한되어 활용되던 데이터 통신이 가정으로 확산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홈스위치, 홈게이트웨이, 홈서버와 같은 네트웍 장비를 세대 내에 설치하고 네트웍 장비와 가입자망 기술을 연동시켜, 댁내에서 초고속 인터넷 접속을 통해 실시간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즐기도록 하고, 댁내의 정보통신기기 및 디지털 가전제품을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원격지에서 제어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가정정보화가 널리 시행되고 있다. 정부에서도 일정 기준 이상의 구내정보통신설비를 갖춘 공동주택 또는 업무시설에 대하여 일정 등급의 초고속정보통신건물로 인증해주는 제도를 시행함으로써, 홈오토메이션 내지 인텔리전트주택의 보편화를 촉진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동주택 배선시스템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시된 예에 있어서, 주배선반(MDF: Main Distributing Frame, 10)은 광케이블을 통해 전화국에 접속되고 광케이블, 동축케이블, 또는 HFC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된다. 주배선반(10)은 광케이블 및/또는 비차폐 트위스티드 페이(UTP) 케이블을 통해 중간배선반(IDF: Intermediate Distributing Frame, 12)에 접속되고, 다시 중간배선반(12)은 하나 이상의 UTP 케이블을 통해 각 세대 단자함(14)에 접속된다. 각 세대의 세대 단자함(14)에는 홈네트웍 구성을 위한 홈스위치, 홈게이트웨이, 홈서버와 같은 장비(미도시됨)가 마련되고, 이 네트웍장비는 세대 내에 있는 복수의 인출구(16a~16c)에 UTP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어, 각 인출구에 접속되는 정보통신기기 및 디지털 가전제품에 대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세대 단자함 중 일부는 직접 주배선반에 접속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주배선반과 중간배선반 사이에 별도의 건물배선반이 마련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홈네트웍에서 홈스위치, 홈게이트웨이 또는 홈서버와 같이 세대단자함(14)에 설치되는 네트웍장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사용자는 건설회사 또는 관리사무소가 위탁한 관리업체에서 전화를 걸어 복구를 요청하고 이에 따라 관리요원이 세대를 방문하여 복구를 시도하게 된다. 그런데, 세대단자함(14)이 가구 또는 냉장고와 같은 대형 가전기기에 가려 있어 관리요원이 세대단자함(14)에 접근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종종 있고, 세대원의 외출 가능성 때문에 방문시간을 예약해야만 하는 등, 관리요원이 애프터서비스를 수행함에 있어 상당한 비효율성이 존재한다. 한편, 사용자가 복구를 요청하는 장애는, 장비 불량 내지 고장에 기인하는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세대단자함(14) 내에 있는 네트웍장비를 껐다 다시 켜서 장비를 재부팅하면 초기상태로 복원되어 해소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이를 위해 관리요원이 세대를 직접 방문하여 복구하는 것은 비경제적이라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마련되는 데이터처리장치에 외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시간동안 전력을 차단하였다가 재투입함으로써 재부팅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기술적 과제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동주택 배선시스템의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공동주택내 통신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통합제어집선장치와 홈네트웍장치의 데이터 케이블 접속 형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홈네트웍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레귤레이션/전력차단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통합제어집선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어신호 드라이버의 상세블록도.
도 8은 통합제어집선장치를 원격지에서 통합관리하기 위한 콘솔포트 통합집선망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통합제어집선장치에서의 차단제어신호 인에이블/디스에이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
도 10은 본 고안에 의한 공동주택내 통신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홈네트웍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도.
도 12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플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도 12의 어댑터 커플러의 블록도.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세대단자함 30: 홈네트웍장치
32: 어댑터 34: 업링크 데이터포트
50: UTP 케이블 60: 중간배선반
70, 70a, 70b: 통합제어집선장치 90, 90a, 90b: 웍그룹 스위치
400: 어댑터 커플러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어댑터 커플러는 어댑터와 데이터처리장치 사이에 별도로 설치되며, 외부로부터의 전력차단신호에 응답하여 데이터처리 회로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선택적 전력공급 수단이 마련된다. 어댑터 커플러는 제1 및 제2 외부접속 포트와, 제1 및 제2 전력단자를 구비한다. 제1 외부접속 포트는 외부 데이터처리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케이블을 접속하기위하여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고, 제2 외부접속 포트는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며, 제1 외부접속 포트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만이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된다. 제1 전력단자는 어댑터에 접속되어 직류전력을 공급받으며, 제2 전력단자는 데이터처리장치에 직류전력을 공급한다. 상기 제1 전력단자 및 제2 전력단자 사이에는 선택적 전력공급 수단이 설치된다. 선택적 전력공급 수단은 제1 외부접속 포트의 복수의 단자 중 하나의 단자쌍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쌍을 통해 전력차단신호를 받아들이고 전력차단신호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제1 전력단자 및 제2 전력단자를 전기적으로 도통시켜 데이터처리장치에 직류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고 전력차단신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제1 전력단자 및 제2 전력단자를 전기적으로 차단시켜 데이터처리장치에 대한 직류전력 공급을 차단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부재에 대해서는 설명 및 이해의 편의상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공동주택내 통신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세대단자함(20)에는 홈네트웍장치(30), 예컨대 홈스위치, 홈서버, 홈게이트웨이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여타의 장치가 설치된다. 홈네트웍장치(30)는 어댑터(32)를 통해 직류전력을 받아들여 동작하며, 세대내의 각 인출구(미도시됨)에 각각의 UTP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어 각 인출구에 신호를 분배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홈네트웍장치(30)는 전력차단회로를 내장하고있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부에서 인가되는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시스템 재부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중간배선반(60)은 예컨대 공동주택의 각 층단위로 또는 통로단위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 중간배선반(60)에는 통합제어집선장치(70)와 웍그룹 스위치(W/G Switch, 90)가 설치된다. 통합제어집선장치(70)의 전면에는 다수의 RJ-45 잭이 쌍을 이뤄 배치되어 있다. 웍그룹 스위치(90)가 예컨대 24 포트 스위치인 경우, 통합제어집선장치(70) 전면의 RJ-45 잭 쌍은 24쌍이 마련된다. 각 RJ-45 잭 쌍에서, 상부 잭(72a)은 양단에 RF-45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는 UTP 케이블(88)을 통해 웍그룹 스위치(90)의 한 포트에 접속되고, 하부 잭(72b)은 UTP 케이블(50)을 통해 해당 세대단자함(20)의 홈네트웍장치(30)에 접속된다. 아울러, 통합제어집선장치(70)의 전면에는 외부 콘솔(미도시됨)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 콘솔 접속포트(74)가 마련되어 있다. 통합제어집선장치(70)는 외부 콘솔의 지시에 따라 홈네트웍장치(30)의 재부팅을 위한 차단제어신호를 발생하여, UTP 케이블(50) 내에 있는 한 선로쌍을 통해 홈네트웍장치(30)에 전송한다. 웍그룹 스위치(90)는 주배선실(미도시됨)에 접속되며, 통합제어집선장치(70)를 통해 접속되는 세대단자함(20)별 UTP 케이블(50)들을 집선하고 세대간의 LAN 트래픽을 스위칭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세대 내에 설치되는 홈네트웍장치(30)는 UTP 케이블에 의해 통합제어집선장치(70)를 경유하여 웍그룹 스위치(90) 또는 PSTN장비에 접속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홈네트웍장치(30)가 대표적인 데이터통신장비라 할 수 있는 웍그룹 스위치에 접속되는 경우를 기준으로 기술한다.도 2에는 간략하게 도시하기 위해 데이터통신용 UTP 케이블(50)만이 도시하였음을 유념해야 한다. 한편, 도 2에서 참조번호 34는 업링크 데이터포트 즉, 통합제어집선장치(70)와 접속하기 위한 데이터통신용 UTP 케이블(50)의 RF-45 커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RJ-45 잭을 나타낸다.
도 3은 통합제어집선장치(70)와 홈네트웍장치(30)의 데이터 케이블 접속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일반적으로 100BaseT UTP 케이블의 경우 4쌍의 선로 중에서 2쌍의 선로(1-2번 선로쌍, 3-6번 선로쌍)만이 데이터통신에 사용되고, 나머지 2쌍의 선로(4-5번 선로쌍, 7-8번 선로쌍)는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데이터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2쌍의 선로(4-5번 선로쌍, 7-8번 선로쌍) 중 어느 한 선로쌍을 홈네트웍장치(30)에 대한 전력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한다. 나아가, 4-5번 선로쌍이 음성통신에 사용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7-8번 선로쌍을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한다.
이를 위해, 통합제어집선장치(70)에 있어서, UTP 케이블(88)을 통해 웍그룹 스위치(90)에 접속되는 상부 RJ-45 잭(72a)의 1~6번 단자는 하부 RJ-45 잭(72b)으로 직접 접속되고, 나머지 7-8번 단자는 종단되며, 하부 RJ-45 잭(72b)의 7-8번 단자는 차단제어신호 발생회로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통합제어집선장치(70)와 홈네트웍장치(30)를 연결하는 UTP 케이블(50) 내에 있는 4쌍의 선로쌍 중 3쌍만이 실질적으로 정보 전송에 사용되고, 나머지 1쌍 즉 7-8번 선로쌍에는 통합제어집선장치(70)의 차단제어신호 발생회로가 홈네트웍장치(30)에 전송하는 차단제어신호가실리게 된다.
한편,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세대 내에 설치되는 홈네트웍장치(30)가 PSTN통신용 UTP 케이블에 의해 통합제어집선장치(70)를 경유하여 중간배선반(60) 또는 주배전실의 PSTN장비에 접속될 수 있다. 이때도 PSTN통신용 UTP케이블 중 어느 한 쌍의 선로를 사용하여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음성통신의 경우 4쌍의 선로를 모두 음성통신에 사용할 수도 있으나 7-8번 선로쌍의 사용빈도가 가장 낮기 때문에, 본 고안에 의한 차단제어신호 전송은 7-8번 선로쌍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통합제어집선장치(70)와 홈네트웍장치(30)가 한 가닥의 UTP 케이블로 연결되어 음성통신 및 데이터통신을 하는 경우에도 사용빈도가 가장 낮은 7-8번 선로쌍을 활용하여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홈네트웍장치(30)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홈네트웍장치(30)는 스위칭 회로(38)와 레귤레이션/전력차단 회로(40)를 포함한다.
스위칭 회로(38)는 세대내의 인출구들에 접속되는 세대 장비들이 송수신하는 신호를 스위칭한다. 또한, 스위칭 회로(38)는 업링크 데이터포트(34)를 통해서 UTP 케이블(50)에 의해 통합제어집선장치(70)에 접속되어 있어서, 세대 장비들이 인터넷 또는 동이나 단지내 LAN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해준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UTP 케이블(50)이 접속되는 업링크 데이터포트(34) 중 4쌍의 단자 중 3쌍(즉, 1~6번 단자) 또는 2쌍(즉, 1,2,3,6번 단자)만이 스위칭 회로(38)와 통합제어집선장치(70) 간의 데이터 전송에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7-8번 단자쌍은 차단제어신호 전송에 사용된다.
레귤레이션/전력차단 회로(40)에 있어서, 정전압 레귤레이터(42)는 어댑터(32)를 통해 직류전력을 받아들이고 레귤레이션하여 정전압 직류전력을 스위칭 회로(38)에 공급한다. 특히,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정전압 레귤레이터(42)는 인에이블(EN) 입력단자를 구비하여, 인에이블 신호가 "하이" 상태일 때에만 정전압 직류전력을 스위칭 회로(38)에 공급하고 인에이블 신호가 "로우" 상태일 때에는 전력공급을 하지 않는다. 포토커플러(44)는 업링크 데이터포트(34)의 7-8번 단자쌍을 통해 수신되는 차단제어신호를 받아들이고, 차단제어신호의 레벨에 따라 인에이블신호의 논리 상태를 변경하며, 정전압 레귤레이터(42)로부터의 신호가 UTP 케이블(50)을 통해 통합제어집선장치(70)로 역류 내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아이솔레이션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양방향성 포토커플러(44)를 사용함으로써, 차단제어신호의 극성에 관계없이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풀업저항(46)은 인에이블 신호를 "하이" 상태로 끌어올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풀업저항(46)은 차단제어신호가 "하이" 상태에서 정상상태 즉 "로우" 상태로 변화할 때 인에이블 신호를 "하이" 상태로 풀업시킨다. 어댑터(32) 접속단자와 정전압 레귤레이터(42)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퓨즈(36)는 과전류로부터 장치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는 레귤레이션/전력차단 회로(4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정전압 레귤레이터(42)가 어댑터(32) 접속단자로부터 받아들이는 입력전압(Vin)은 5~24V의 범위에서 어느 한 레벨, 예컨대 9V의 값을 가진다. 그리고, 통합제어집선장치(70)로부터 업링크 데이터포트(34) 7-8번 단자쌍을 통해 수신되는 차단제어신호(CONT)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로우" 레벨에 있는데, 일정한 파워다운 시간(??T) 동안 "하이" 레벨로 변경되는 것을 가정한다.
차단제어신호(CONT)가 "로우" 레벨에 있을 때, 포토커플러(44) 내에 있는 발광소자들은 발광을 하지 않고 광트랜지스터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며, 풀업저항(46)을 통해 입력전압(Vin)이 인에이블(EN) 신호로 공급되기 때문에 인에이블(EN) 신호는 "하이" 레벨에 있게 되고, 정전압 레귤레이터(42)의 출력전압(Vout)은 정상치 예컨대 5V의 값을 유지한다. 차단제어신호(CONT)가 "하이" 레벨로 바뀌면, 포토커플러(44) 내에 있는 발광소자들 중 어느 하나가 발광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광트랜지스터는 "온" 상태로 변화되며, 광트랜지스터에 의해 인에이블(EN) 신호는 "로우" 레벨로 풀다운되고, 정전압 레귤레이터(42)의 출력전압(Vout)은 0V로 떨어진다. 파워다운 시간(??T) 경과 후 차단제어신호(CONT)가 다시 "로우" 레벨로 바뀌면, 포토커플러(44) 내에 있는 광트랜지스터는 다시 "오프" 상태로 복귀하고, 풀업저항(46)에 의해 인에이블(EN) 신호는 "하이" 레벨로 풀업되며, 정전압 레귤레이터(42)의 출력전압(Vout)은 정상치로 복귀한다.
한편, 도 4의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력차단회로가 레귤레이션/전력차단 회로(40) 대신에 단순한 릴레이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통합제어집선장치(70)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합제어집선장치(70)의 전면에는 웍그룹 스위치(90)의 포트 수에 상응하여 다수의 RJ-45 잭 쌍(72a, 72b)이 배치되어 있고,외부 콘솔(미도시됨)에 접속하기 위한 외부 콘솔 접속포트(74)가 마련되어 있다. 아울러, 통합제어집선장치(70)는 마이크로프로세서(76) 또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디코더(78)와, 각각이 각 RJ-45 잭 쌍(72a, 72b)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다수의 제어신호 드라이버(80a~80x)를 포함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76)는 콘솔 접속포트(74)를 통해 외부 콘솔에서 인가되는 명령을 받아들이고 이를 해석하며, 해석된 결과에 따라 시스템 재부팅이 필요한 세대 즉 홈네트웍장치(30)를 지정하는 어드레스를 출력한다. 디코더(78)는 마이크로프로세서(76)로부터 수신한 어드레스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시스템 재부팅이 필요한 홈네트웍장치(30)에 상응하는 제어신호 드라이버(80a~80x)에 구동신호를 제공한다. 구동신호를 수신하는 제어신호 드라이버는 해당 홈네트웍장치(30)가 꺼졌다가 다시 켜져서 재부팅될 수 있도록 일정 시간(예컨대, 3초) 동안 활성화되는 차단제어신호(CONT)를 출력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어신호 드라이버(80a~80x)들 중 어느 하나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각 제어신호 드라이버(80a~80x)는 포토커플러(82)와 과전류 보호회로(84)를 포함한다. 포토커플러(82)는 디코더(78)로부터 구동신호(VD)를 받아들이고, 이 구동신호(VD)에 따라 레벨이 달라지는 차단제어신호(CONT)를 출력한다. 과전류 보호회로(84)는 포토커플러(82)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여 포토커플러(82)를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액티브-로우 신호인 구동신호(VD)가 "하이" 레벨에 있을 때, 포토커플러(82) 내에 있는 발광소자는 발광을 하지 않고 광트랜지스터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며, 차단제어신호(CONT)는 "로우" 레벨에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구동신호(VD)가 "로우" 레벨로 바뀌면, 포토커플러(82) 내에 있는 발광소자가 발광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광트랜지스터는 "온" 상태로 변화되며, 광트랜지스터에 의해 차단제어신호(CONT)는 "하이" 레벨로 풀업된다. 파워다운 시간(??T) 경과 후 구동신호(VD)가 다시 "하이" 레벨로 바뀌면, 포토커플러(82) 내에 있는 광트랜지스터는 다시 "오프" 상태로 복귀하고, 풀다운 저항(86)을 통해 방전이 이루어지면서 차단제어신호(CONT)는 "로우" 레벨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통합제어집선장치(70)는 콘솔 접속포트(74)를 통해 인가되는 외부 콘솔로부터의 명령에 따라서 UTP 케이블(50)의 한 선로쌍을 통해 특정 세대 내에 있는 홈네트웍장치(30)에 차단제어신호를 공급함으로써, 홈네트웍장치(30)가 재부팅될 수 있게 해준다. 외부 콘솔은 통합제어집선장치(70)의 콘솔 접속포트(74)에 직접 접속되는 PC나 PDA와 같은 단말기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외부 콘솔은 공동주택내 배선시스템을 통해 접속되는 관리사무소 PC가 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콘솔은 통신망을 통해 공동주택내 통신설비를 원격감시하는 원격감시시스템의 서버가 된다.
도 8은 통합제어집선장치(70)를 원격지에서 통합관리하기 위한 콘솔포트 통합집선망의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통합제어집선장치는 공동주택의 층 단위 또는 통로 단위로 마련되는 중간배선반에 설치된다. 다수의 통합제어집선장치를 구분해서 나타내기 위해 도면에서는 각 통합제어집선장치에 대해 별도의 참조번호 70a, 70b를 부여하였다. 이러한 통합제어집선장치들(70a, 70b)은 웍그룹 스위치(90a, 90b)와 홈네트웍장치(30a,~30y)간의 통신을 매개하면서 홈네트웍장치(30a,~30y)를 재부팅하기 위한 차단제어신호를 홈네트웍장치(30a,~30y)에 제공한다.
한편, 공동주택의 주배선반에는 콘솔집중장치(100)가 마련된다. 콘솔집중장치(100)는 통합제어집선장치들(70a, 70b)의 콘솔 접속포트들(74a, 74b)에 접속되는 콘솔 케이블을 집선하여 통합제어집선장치들(70a, 70b)을 집중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통합제어집선장치들(70a, 70b)의 콘솔 접속포트(74a, 74b)에 예컨대 UTP 케이블에 의해 접속될 수 있는 다수의 모니터링 포트(102)를 전면에 구비하고 있고, 일측에 원격관리 서버(110)에 접속하기 위한 업링크 포트(104)를 구비하고 있다. 아울러, 콘솔집중장치(100)에는 그 자체를 외부에서 테스트하거나 제어하기 위한 장비콘솔 포트(106)가 추가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콘솔집중장치(100)와 통합제어집선장치들(70a, 70b)간의 통신은 RS-485 시리얼 통신 방식에 의한다. 한편, 콘솔집중장치(100)는 TCP/IP에 의해 원격관리 서버(110)에 접속되어. 원격관리 서버(110)가 인터넷을 통해 콘솔집중장치(100)를 직접 제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사용자가 홈네트웍장치(30)에 장애가 있음을 인지하고 원격관리 서버(110) 운영자에게 복구를 요청하면, 원격관리 서버(110) 운영자는 콘솔집중장치(100)를 경유하여 해당 통합제어집선장치(70)에 전력공급일시중단 명령을 송신하게 된다. 한편, 원격관리 서버(110)가 별도의 원격 감시 시스템에 의해 또는 PING 테스트나 여타의 네트웍 통신기능 테스트를 수반하는 검증 프로그램에 의하여 홈네트웍장치(30)의 장애를 인식하고 이와 같은 전력공급일시중단 명령을 자동적으로 인가할 수도 있다.
도 9는 통합제어집선장치(70)에서의 차단제어신호 인에이블/디스에이블 과정을 보여준다. 통합제어집선장치(70)의 마이크로프로세서(76)는 콘솔 접속포트(74)를 통해 명령이 입력되면(제150단계), 명령 해석을 시도한다. 명령 해석이 성공하고 명령이 일정 시간동안의 전력 차단을 통한 전력공급일시중단 명령인 경우(제152단계), 마이크로프로세서(76)는 시스템 재부팅이 필요한 홈네트웍장치(30)를 지정하는 어드레스를 디코더(78)에 출력한다. 디코더(78)는 마이크로프로세서(76)로부터 수신한 어드레스 데이터를 디코딩한다(제154단계).
그 다음, 디코더(78)는 차단제어신호를 인에이블시킬 시간을 카운트하기 위한 타이머를 구동하고(제156단계), 시스템 재부팅이 필요한 홈네트웍장치(30)에 상응하는 제어신호 드라이버(80a)에 구동신호를 타이머가 종료할 때까지 제공함으로써, 차단제어신호가 인에이블되도록 한다(제158단계). 차단제어신호가 인에이블되면, 도 4에 도시된 홈네트웍장치(30)에서 포토커플러(44)가 턴온되고 인에이블(EN) 신호가 비활성화됨에 따라 정전압 레귤레이터(42)의 출력전압이 0V로 떨어지게 되어 스위칭 회로(38)가 턴오프된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사전에 정해진 일정 시간 예컨대 3초의 시간이 경과되어 제160단계에서 타이머가 종료되면, 디코더(78)는 제어신호 드라이버(80a)에 구동하는 구동신호를 디스에이블시킴으로써 차단제어신호가 디스에이블되도록 한다(제162단계). 차단제어신호가 디스에이블되면, 도 4에 도시된 홈네트웍장치(30)에서 포토커플러(44)가 턴오프되고 인에이블(EN) 신호가 활성화됨에 따라 정전압 레귤레이터(42)의 출력전압이 정상치로 복귀하여 스위칭 회로(38)가 턴온되어 재부팅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통합제어집선장치(70)로부터 공급되는 차단제어신호에 따라 홈네트웍장치(30)의 스위칭 회로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력차단회로가 홈네트웍장치(30) 본체 내부에 마련되는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력차단회로가 홈네트웍장치의 어댑터에 설치되어 홈네트웍장치에 투입되는 직류전력 자체를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도 있다. 도 10은 이와 같은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0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공동주택의 중간배선반(60)에는 통합제어집선장치(70)와 웍그룹 스위치(90)가 설치된다. 통합제어집선장치(70) 및 웍그룹 스위치(90)의 구성 및 기능과 접속관계는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세대단자함(20)에는 홈네트웍장치(230), 예컨대 홈스위치, 홈서버, 홈게이트웨이 또는 이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여타의 장치가 설치된다. 홈네트웍장치(230)는 어댑터(232)를 통해 직류전력을 받아들여 동작하며, 세대내의 각 인출구(미도시됨)에 각각의 UTP 케이블을 통해 접속되어 각 인출구에 신호를 분배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홈네트웍장치(230)의 어댑터(232)는 RJ-45 잭(232)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232)는 전력차단회로(234)를 내장하고 있어서, 통합제어집선장치(70)로부터 수신되는 차단제어신호에 응답하여 홈네트웍장치(230) 본체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게 되며 이를 통해 홈네트웍장치(230)의 시스템 재부팅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홈네트웍장치(230)는 링크 커플러(260) 및 Y분기 케이블(270)을 사용하여 통합제어집선장치(70)에 접속된다. UTP 케이블(50)의 일 단부에 있는 커넥터(50a)는 통합제어집선장치(70)의 다운링크용 RJ-45 잭(72b)에 접속되고, 타 단부에 있는 커넥터(50b)는 링크 커플러(260)의 일측에 접속된다. 링크 커플러(260)의 타측에는 Y분기 케이블(270)의 업링크측 커넥터(270a)가 접속된다. Y분기 케이블(270)의 두 개의 다운링크측 커넥터(270b, 270c) 중 제1 커넥터(270b)는 홈네트웍장치(230) 본체의 업링크 데이터포트(240)에 접속되고, 제2 커넥터(270)는 어댑터(232)의 RJ-45 잭(234)에 접속된다.
도 11는 도 10에 도시된 홈네트웍장치(230)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홈네트웍장치(230)는 장치 본체(230a) 및 어댑터(232)를 포함한다.
장치 본체(230a)에 있어서, 정전압 레귤레이터(242)는 정전압 레귤레이터(242)는 어댑터(232)를 통해 직류전력을 받아들이고 레귤레이션하여 정전압 직류전력을 스위칭 회로(244)에 공급한다. 스위칭 회로(244)는 세대내의 인출구들에 접속되는 세대 장비들이 송수신하는 신호를 스위칭한다. 또한, 스위칭 회로(244)는 업링크 데이터포트(240)를 통해서 Y분기 케이블(270), 링크 커플러(260), 및 UTP 케이블(50)에 의해 통합제어집선장치(70)에 접속되어 있어서, 세대 장비들이 인터넷 또는 동이나 단지내 LAN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게 해준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별도의 결선 작업이 없이 업링크 데이터포트(240) 중 4쌍의 단자 모두가 스위칭 회로(244)에 접속될 수 있다.
한편, 어댑터(232)는 RJ-45 잭(234)과, 교류-직류 변환회로(236)와, 전력차단 회로(238)를 구비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RJ-45 잭(234)은 Y분기 케이블(270), 링크 커플러(260), 및 UTP 케이블(50)에 의해 통합제어집선장치(70)에 접속되며, 잭 내에 있는 8개의 단자 중 차단제어신호의 통로가 되는 7-8번 단자쌍만이 전력차단회로(238)에 접속된다. 교류-직류 변환회로(236)는 교류전력을 받아들여 이를 직류로 변환해서 전력차단 회로(238)를 경유하여 장치 본체(230a)에 공급한다. 전력차단 회로(238)는 차단제어신호의 레벨에 따라 교류-직류 변환회로(236)로부터의 전력을 선택적으로 장치 본체(230a)에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전력차단 회로(238)는 릴레이 또는 여타의 스위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력차단 회로(238)가 도 4의 레귤레이션/전력차단 회로(40)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경우 장치 본체(230a)의 정전안 레귤레이터(242)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홈네트웍장치(230)의 여타 기능 및 특징은 도 4에 도시된 장치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10 및 도 11이 변형된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력차단회로가 홈네트웍장치의 어댑터 내부에 설치되는 대신에, 별도의 어댑터 커플러가 마련될 수도 있다. 도 12 및 도 13은 이와 같은 실시예에 따른 어댑터 커플러(400)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어댑터 커플러(400)는 업링크 데이터포트(402) 및 다운링크 데이터포트(404)와, 전력입력 단자(406) 및 전력출력 단자(408)를 구비한다. 업링크 데이터포트(402)는 UTP 케이블(50)을 통해 통합제어집선장치(70)에 접속되고, 다운링크 데이터포트(404)는 다른 UTP 케이블을 통해 홈네트웍장치 본체(230a)에 접속된다. 전력입력 단자(406)는 어댑터(32)에 접속되고, 전력출력 단자(408)는 전선(420)을 통해 홈네트웍장치 본체(230a)에 접속된다. 전력입력 단자(406) 및 전력출력 단자(408) 사이에는 전력차단회로(410)가 설치된다. 전력차단회로(410)는 릴레이 또는 여타의 스위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실시예가 변형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력차단회로(23)가 도 4의 레귤레이션/전력차단 회로(40)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업링크 데이터포트(402)의 8개 단자 중 1~6번 단자는 다운링크 데이터포트(404)의 해당 단자에 직접 결선된다. 그렇지만, 업링크 데이터포트(402)의 7-8번 단자는 전력차단회로(410)에 접속되고, 다운링크 데이터포트(404)의 7-8번 단자는 종단된다. 이에 따라, 통합제어집선장치(70)와 홈네트웍장치(230a)를 연결하는 UTP 케이블(50) 내에 있는 4쌍의 선로쌍 중 3쌍만이 실질적으로 정보 전송에 사용되고, 나머지 1쌍 즉 7-8번 선로쌍은 전력차단회로(4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하는데 사용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시스템의 여타 기능 및 특징은 이전의 실시예와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12 및 도 13의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홈네트웍장치나 어댑터를 수정하거나 교환하지 않고서 어댑터 커플러(420)만으로 본 고안이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세대 내에 마련되는 홈네트웍장치 또는 데이터처리장치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 원격지에서 차단제어신호를 발생하여 세대내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이 신호에 의해 세대내 장치에 대한 전력공급이 일정시간동안 차단되었다가 재투입됨으로써 세대내 장치가 재부팅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될 수 있게 된다.
별도의 추가적인 배선작업이 없이 일반적인 데이터 통신을 위해 새로이 포설되거나 기 포설된 케이블의 한 선로쌍을 활용하여 차단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공동주택을 건설하는 사업자는 추가적인 부담이 없이 시설을 갖출 수가 있게 된다. 아울러, 세대내 장비의 장애를 복구하기 위한 관리요원의 시간 및 노력을 경감시켜줄 수 있기 때문에 공동주택 정보화 설비를 유지보수하기 위한 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복수의 선로쌍을 구비하는 케이블에 의해 외부 데이터처리장치에 접속되어 소정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처리장치에 어댑터로부터의 직류전력이 선택적으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어댑터 커플러로서,
    상기 외부 데이터처리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1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제1 외부접속 포트;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 연결하기 위한 제2 케이블을 접속하기 위하여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외부접속 포트의 복수의 단자 중 일부만이 전기적으로 직접 접속되는 제2 외부접속 포트;
    상기 어댑터에 접속되어 직류전력을 공급받기 위한 제1 전력단자;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 직류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제2 전력단자;
    상기 제1 전력단자 및 제2 전력단자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외부접속 포트의 복수의 단자 중 하나의 단자쌍에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단자쌍을 통해 전력차단신호를 받아들이고 상기 전력차단신호가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전력단자 및 제2 전력단자를 전기적으로 도통시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 직류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고 상기 전력차단신호가 활성화된 상태에서는 상기 제1 전력단자 및 제2 전력단자를 전기적으로 차단시켜 상기 데이터처리장치에 대한 직류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선택적 전력공급 수단;
    을 구비하는 어댑터 커플러.
KR20-2004-0020868U 2004-07-22 2004-07-22 원격지에서의 데이터처리장치 재부팅을 위한 어댑터 커플러 KR2003666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868U KR200366643Y1 (ko) 2004-07-22 2004-07-22 원격지에서의 데이터처리장치 재부팅을 위한 어댑터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868U KR200366643Y1 (ko) 2004-07-22 2004-07-22 원격지에서의 데이터처리장치 재부팅을 위한 어댑터 커플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3523A Division KR100675772B1 (ko) 2004-07-09 2004-07-09 원격지에서의 시스템 재부팅을 위한 전력차단신호 공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6643Y1 true KR200366643Y1 (ko) 2004-11-10

Family

ID=493515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868U KR200366643Y1 (ko) 2004-07-22 2004-07-22 원격지에서의 데이터처리장치 재부팅을 위한 어댑터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664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05675B (zh) 改变上电设备的功率等级的方法和装置
CN111656104B (zh) 空调室外机及空调
US7194639B2 (en) Power adapter and broadband line extender system and method
JP4481506B2 (ja) 改良型構造化ケーブル・システム
JP4810006B2 (ja) ローカルエリアネットワークに接続された端末を初期化する方法と、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CN100508488C (zh) 可寻址插座以及使用该插座的网络
US6640308B1 (en) System and method of powering and communicating field ethernet device for an instrumentation and control using a single pair of powered ethernet wire
US7830858B2 (en) Local area network of serial intelligent cells
US774687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loss of alternating current power supply
US7162650B2 (en) Network switching 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network communication equipment through twisted pair line
US6912282B2 (en) Enabling Cisco legacy power to support IEEE 802.3 AF standard power
US9553450B2 (en) Systems and methods of controlling power
US10187114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solating services, DPU and network adapter
US85208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wer to a network interface device via telephone lines
WO2016169707A1 (en) Method for operating a distribution point unit, respective distribution point unit and cpe device
KR100675793B1 (ko) 원격지에서의 데이터처리장치 재부팅을 위한 전력 커플러
KR100675779B1 (ko) 원격지에서의 재부팅이 가능한 데이터처리장치
KR100675772B1 (ko) 원격지에서의 시스템 재부팅을 위한 전력차단신호 공급 장치
WO2001037535A1 (en) Home network using power line carrier communications
KR200366643Y1 (ko) 원격지에서의 데이터처리장치 재부팅을 위한 어댑터 커플러
KR200366642Y1 (ko) 원격지에서의 재부팅이 가능한 데이터처리장치
KR200366641Y1 (ko) 원격지에서의 데이터처리장치의 재부팅을 위한전력차단신호 공급 장치
CN101496323A (zh) 一种以太网和电力布线的方法
CN220234702U (zh) 基于G.hn协议的供受电装置
KR20090048845A (ko) 파워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7

Year of fee payment: 3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