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6177Y1 - 휴대폰 케이스 - Google Patents
휴대폰 케이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366177Y1 KR200366177Y1 KR20-2004-0021711U KR20040021711U KR200366177Y1 KR 200366177 Y1 KR200366177 Y1 KR 200366177Y1 KR 20040021711 U KR20040021711 U KR 20040021711U KR 200366177 Y1 KR200366177 Y1 KR 200366177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mobile phone
- cover
- belt
- pie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5—Hing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21—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to the belt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 A45F2200/0516—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휴대폰을 수용하여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커버를 좌우 대칭형으로 분할형성한 후 이들을 요철결합에 의해 끼워맞춤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고, 커버 이면에 부착되는 회전부재에 의해 휴대폰을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로 부터 외압을 받게되는 경우 휴대폰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는, 좌우대칭형으로 분할형성되는 전면 커버 및 배면 커버와,
제1결합홈이 양측면에 형성되고, 전면 커버와 배면 커버의 가장자리가 제1결합홈에 각각 끼워맞춤으로 고정되는 U자 형상의 결합편과,
제2결합홈이 바닥면에 빙둘러 형성되어 전,배면 커버 및 결합편의 상단에 제2결합홈이 각각 끼워맞춤되며, 일측에 힌지걸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착탈수단이 장착되어 전면 커버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일단이 고정편의 힌지걸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편의 착탈수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휴대폰을 수용하여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커버를 좌우 대칭형으로 분할형성한 후 이들을 요철결합에 의해 끼워맞춤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고, 커버 이면에 부착되는 회전부재에 의해 휴대폰을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로 부터 외압을 받게되는 경우 휴대폰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휴대폰 케이스는, 폴더형 등의 휴대용 전화기 키패드(2)를 갖는 몸체(1)에 결합되는 제1커버(3)와, 몸체(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디스플레이부(4)에 결합되도록 제1커버(3)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제2커버(5)로 이루어지며, 외부 충격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인조가죽, 천, 쿠션을 갖는 합성섬유재 등이 사용되는 케이스(6)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제1,2커버(3,5) 상면에 형성되는 덮개는 키패드(2)와 디스플레이부(4)의 문자 등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한 비닐재 등이 사용된다.
종래 기술의 휴대폰 케이스는, 전술한 케이스(6) 재질이 플렉시블한 천 등으로 이루어져 휴대폰을 사용자 부주의로 인해 바닥면에 떨어트리는 경우, 케이스(6)강도가 떨어져 휴대폰을 외부 충격으로 부터 안전한 상태로 보호할 수 없으며, 케이스(6) 내구성이 저하됨에 따라 사용수명이 단축되어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제1,2커버(3,5)를 각각 형성하는 상면과 바닥면의 이음부위를 재봉하거나, 또는 초음파로 접합하여 연결함에 따라, 이들 이음부위가 시간 경과에 따라 탄성변형으로 인해 늘어지거나 파손되어 외관미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전술한 몸체(1) 이면에 착탈되는 배터리(미도시됨)는 휴대폰 종류에 따라 두께가 상이한 복수개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출시됨에 따라, 두께가 상이한 배터리를 교대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인 경우 사용자는 케이스(6)를 복수개 구입해야 되므로 불편하고,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본 고안의 목적은, 휴대폰을 수용하는 커버를 좌우 대칭형으로 분할형성한 후, 커버를 고정지지하도록 요철결합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끼워맞춤에 따라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을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한 상태에서 자세 변경 등으로 인해 외압을 받게되는 경우 휴대폰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므로, 휴대폰 착용에 의한 신체 압박 등을 방지하고, 휴대폰을 벨트에 고정지지하는 고정부에 꼬임으로 인한 토오크 발생됨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분할형성된 커버 사이에 결합되는 신축가능한 연결부재에 의해 두께가 다양한 사이즈의 휴대폰 수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결합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의 결합상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자의 벨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고정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자의 벨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의 변형예시도이다.
* 도면중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전면 커버
12; 제1결합홈
14; 제2결합홈
16; 홀더
18; 제1결합편
20; 결합돌기
22; 연결부재
24; 결합공
26; 회전축공
28; 회전부재
30; 덮개부재
32; 클립부재
36; 안내요홈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좌우대칭형으로 분할형성되는 전면 커버 및 배면 커버와,
제1결합홈이 양측면에 형성되고, 전면 커버와 배면 커버의 가장자리가 제1결합홈에 각각 끼워맞춤으로 고정되는 U자 형상의 결합편과,
제2결합홈이 바닥면에 빙둘러 형성되어 전,배면 커버 및 결합편의 상단에 제2결합홈이 각각 끼워맞춤되며, 일측에 힌지걸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착탈수단이 장착되어 전면 커버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일단이 고정편의 힌지걸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편의 착탈수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목적은, 좌우대칭형으로 분할형성되는 전면 커버 및 배면 커버와,
제1결합홈이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전면 커버와 배면 커버의 가장자리가 제1결합홈에 각각 끼워맞춤으로 고정되며, 입구가 개방된 끼움편이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U자 형상의 제1,2결합편과,
끼움편에 슬라이딩결합되도록 양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결합돌기를 연결하며 신축성을 갖는 연결편으로 이루어지며, 전면 커버와 배면 커버를 상대측 커버에 대하여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제2결합홈이 바닥면에 빙둘러 형성되어 전,배면 커버 및 제1,2결합편의 상단에 제2결합홈이 각각 끼워맞춤되며, 일측에 힌지걸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착탈수단이 장착되어 전면 커버에 고정되는 고정편과,
일단이 고정편의 힌지걸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편의 착탈수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연결부재의 결합돌기 및 연결편은 신축성을 갖는 단일의 스판재로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의 벨트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휴대폰을 벨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수단은,
배면 커버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걸림돌기가 외측면에 형성되며 결합공이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축수부와,
회전축수부가 결합되는 회전축공이 하측에 형성되고, 회전축공 내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탄성돌기와 걸림돌기의 탄성결합으로 회전축수부의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며, 휴대폰을 사용자 벨트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착탈수단이 상측에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회전축공을 관통하여 결합공에 결합되는 고정구에 의해 회전부재를 배면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덮개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전술한 착탈수단은, 상단이 회전부재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사용자의 벨트에 끼워지는 후크부가 하단에 형성되어 휴대폰을 사용자의 벨트에 집게형상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립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전술한 착탈수단은, 회전부재 이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벨트걸이용 고정편을 구비하여, 회전부재와 벨트걸이용 고정편사이에 사용자의 벨트를 결합시켜 휴대폰을 사용자의 벨트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또한, 전술한 배면 커버에 회전축수부 하측으로 소정곡률을 이루어 돌출형성되는 안내돌기와, 안내돌기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회전축공 하측에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안내돌기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부재에 대해 배면 커버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안내요홈을 구비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고안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는, 좌우대칭형으로 분할형성되는 전면 커버(10) 및 배면 커버(11)와, 제1결합홈(12)이 양측면에 형성되고, 전면 커버(10)와 배면 커버(11)의 가장자리가 제1결합홈(12)에 각각 요철결합으로 끼워맞춤되는 U자 형상의 탄성력을 갖는 결합편(13)을 구비한다.
또한, 제2결합홈(14)이 바닥면에 빙둘러 형성되어 전,배면 커버(10,11) 및 결합편(13)의 상단에 제2결합홈(14)이 각각 끼워맞춤되며, 일측에 힌지걸이부(15a)가 형성되고 타측에 착탈수단(암수 단추 또는 자석이 사용될 수 있음)이 장착되어 전면 커버(10)에 고정되는 탄성력을 갖는 고정편(15)과, 일단이 전술한 힌지걸이부(15a)에 결합되는 힌지핀(16a)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편(15)의 착탈수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전면 커버(10)와 배면 커버(11)의 벌어짐을 방지하며, 탄성력을 갖는 홀더(16)를 구비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는, 좌우대칭형으로 분할형성되는 전면 커버(10) 및 배면 커버(11)와, 제1결합홈(12)이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전면 커버(10)와 배면 커버(11)의 가장자리가 제1결합홈(12)에 각각 끼워맞춤으로 고정되며 입구가 상하방향으로 개방된 끼움편(17)이 내측면에 각각 대항되게 형성되는 U자 형상의 탄성력을 갖는 제1,2결합편(18,19)과, 끼움편(17)에 슬라이딩결합되도록 양측면에 형성되는 환형의 결합돌기(20) 및 결합돌기(20)를 서로 연결하며 신축성을 갖는 연결편(21)으로 이루어지며 전면 커버(10)와 배면 커버(11)를 상대측 커버에 대하여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22)를 구비한다.
또한, 제2결합홈(14)이 바닥면에 빙둘러 형성되어 전,배면 커버(10,11) 및 제1,2결합편(18,19)의 상단에 제2결합홈(14)이 각각 끼워맞춤되며 일측에 힌지걸이부(15a)가 형성되고 타측에 착탈수단(암수 단추 또는 자석이 사용될 수 있음)이 장착되어 전면 커버(10)에 고정되는 탄성력을 갖는 고정편(15)과, 일단이 힌지걸이부(15a)에 결합되는 힌지핀(16a)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고정편(15)의 착탈수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어 전면 커버(10)와 배면 커버(11)의 벌어짐을 방지하며, 탄성력을 갖는 홀더(16)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연결부재(22)의 결합돌기(20) 및 연결편(21)을 신축성을 갖는 단일의 스판재로 형성하거나, 또는 연결편(21)을 신축성을 갖는 스판재로 형성한 후 결합돌기(20)를 좌우측에 조립형 또는 일체형으로 고정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벨트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휴대폰을 벨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수단은,
전술한 배면 커버(11)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걸림돌기(23)가 외측면에 형성되며 결합공(24)이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축수부(25)와, 회전축수부(25)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공(26)이 하측에 형성되고, 회전축공(26) 내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탄성돌기(27)와 걸림돌기(23)의 탄성결합으로 회전축수부(25)의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며 휴대폰을 사용자 벨트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착탈수단이 상측에 형성되는 회전부재(28)와, 회전축공(26)을 관통하여 회전축수부(25)의 결합공(24)에 결합되는 고정구(29)에 의해 회전부재(28)를 배면 커버(1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덮개부재(30)를 구비한다.
이때, 전술한 착탈수단은, 상단이 회전부재(28)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사용자의 벨트에 끼워지는 후크부(31)가 하단에 형성되어 휴대폰을 사용자의 벨트에 집게형상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립부재(32)를 구비한다.
또한, 전술한 배면 커버(11)에 회전축수부(25) 하측으로 소정곡률을 갖도록 돌출형성되는 안내돌기(35)와, 안내돌기(35)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회전축공(26) 하측에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안내돌기(35)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며 회전부재(28)에 대해 배면 커버(11)의 회전각도(좌우방향으로 각각 90°방향전환됨)를 제한하는 안내요홈(36)을 구비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착탈수단은, 전술한 회전부재(28) 이면에 형성되는 벨트걸이용 고정편(33)을 구비하여, 회전부재(28)와 벨트걸이용 고정편(33)사이에 사용자의 벨트(34)를 결합시켜 휴대폰을 사용자의 벨트(34)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의 사용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는, U자형상의 결합편(13)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12)에 대해 좌우 대칭형으로 분할형성된 전면 커버(10)와 배면 커버(11)의 가장자리를 요철결합으로 끼워맞춘다.
전술한 고정편(15) 바닥면에 빙둘러 형성된 제2결합홈(14)에 전술한 전면 커버(10), 배면 커버(11) 및 결합편(13)의 상단을 끼워맞추되, 홀더(16) 일단을 고정편(15)의 힌지걸이부(15a)에 결합된 힌지핀(16a)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하고 홀더(16) 타단은 고정편(15)에 고정된 착탈수단에 대해 암수 단추 또는 자석 등으로 이루어진 착탈수단의 고정에 의해 착탈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힌지핀(16a)을 중심축으로 하여 홀더(16) 일단을 고정편(15)으로 부터 착탈시켜 휴대폰을 전면 커버(10)와 배면 커버(11)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는, U자 형상의 탄성력을 갖는 제1결합편(18) 외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12)에 전면커버(10)를 요철결합으로 끼워맞추고, U자 형상의 탄성력을 갖는 제2결합편(19) 외측면에 형성된 제1결합홈(12)에 배면 커버(11)를 요철결합으로 끼워맞춘다.
전술한 연결부재(22)의 신축성을 갖는 스판재질의 연결편(21) 좌우측에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형성된 환형의 결합돌기(20)를 제1,2결합편(18,19) 내측면에 입구가 상하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 끼움편(17)에 끼워맞춘다. 이로 인해 전면 커버(10)와 배면 커버(11)는 상대측 커버에 대하여 신축가능하게 연결된다.
전술한 고정편(15) 바닥면에 빙둘러 형성된 제2결합홈(14)에 전술한 전면 커버(10), 배면 커버(11) 및 제1,2결합편(18,19)의 상단을 끼워맞추되, 홀더(16) 일단을 고정편(15)의 힌지걸이부(15a)에 결합된 힌지핀(16a)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하고 홀더(16) 타단은 고정편(15)에 고정된 착탈수단에 대해 암수 단추 또는 자석 등으로 이루어진 착탈수단의 고정에 의해 착탈된다.
이로 인해, 전술한 힌지핀(16a)을 중심축으로 하여 홀더(16) 일단을 고정편(15)으로 부터 착탈시켜 휴대폰을 전면 커버(10)와 배면 커버(11)로 이루어진 휴대폰 케이스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제1,2결합편(18,19)사이에 고정되는 연결부재(22)의 연결편(21)이 신축성을 갖는 스판재로 형성됨에 따라, 휴대폰 케이스에 수납되는 휴대폰의 두께가 상이한 경우(두께가 상이한 복수의 배터리를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된 휴대폰을 말함) 전술한 연결편(21)이 팽창되어 휴대폰 케이스의 전면 커버(10)와 배면 커버(11)사이의 거리가 멀어져 사이즈가 확대 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는, 사용자의 벨트에 휴대폰을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자세 변경 또는 책상 등에 대해 휴대폰이 접촉되어 외부로 부터 압력을 받는 경우 휴대폰으로 인해 사용자의 신체를 압박하거나 또는 휴대폰을 벨트에 고정하는 해당 부품에 꼬임 발생으로 무리한 토오크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전술한 배면 커버(11) 이면에 장착되는 집게형 클립부재(32)에 의해 휴대폰을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로 부터 휴대폰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전술한 배면 커버(11) 이면에 축고정된 회전축수부(25)가 회전부재(28)하측 중앙에 형성된 회전축공(26) 내부에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전술한 회전축공(26) 내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탄성돌기(27)와 회전축수부(25)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돌기(23)의 상호 탄성결합으로 인해 회전축수부(25)의 회전된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즉, 원형의 회전축수부(25)에 대해 평면형으로 형성된 걸림돌기(27)가 탄성돌기(27)를 가압하게 되므로, 외부로 부터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지않는 경우 회전부재(28)에 대해 회전축수부(25)가 자유롭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전술한 회전부재(28)에 대해 휴대폰이 수납된 휴대폰 케이스가 회전되는 경우, 전술한 회전부재(28)의 회전축공(26) 하측에 호형상으로 형성된 안내요홈(36)에 슬라이딩결합되도록 배면 커버(11)에 돌출형성되는 안내돌기(35)에 의해, 회전부재(28)에 대해 배면 커버(11)의 회전각도(좌우방향으로 각각 90°방향전환됨)를 제한할 수 있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자의 벨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고정지지하는 고정수단의 변형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회전부재(28) 이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벨트걸이용 고정편(33)에 사용자의 벨트(34)를 결합하여 휴대폰을 착용하되, 외부로 부터 휴대폰에 외력이 가해져 회전부재(28)에 대해 휴대폰 케이스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기술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휴대폰를 수용하는 커버를 좌우 대칭형으로 분할형성한 후, 커버를 고정지지하도록 요철결합되는 고정부재에 의해 끼워맞춤에 따라 조립하는 작업시간 단축으로 작업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휴대폰을 사용자의 벨트에 착용한 상태에서 자세 변경 등으로 인해 휴대폰이 외압을 받게되는 경우 휴대폰이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 되므로, 휴대폰 착용에 의한 신체 압박 등을 방지하고, 휴대폰을 벨트에 고정지지하는 고정부가 꼬임에 의한 토오크 발생으로 파손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분할형성된 커버 사이에 결합되는 신축가능한 연결부재에 의해 두께가 다양한 사이즈의 휴대폰 수납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에게 편리성 및 경제성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 좌우대칭형으로 분할형성되는 전면 커버 및 배면 커버;제1결합홈이 양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전면 커버와 배면 커버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결합홈에 각각 끼워맞춤으로 고정되는 U자 형상의 결합편;제2결합홈이 바닥면에 빙둘러 형성되어 상기 전,배면 커버 및 결합편의 상단에 상기 제2결합홈이 각각 끼워맞춤되며, 일측에 힌지걸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착탈수단이 장착되어 상기 전면 커버에 고정되는 고정편; 및일단이 상기 고정편의 힌지걸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편의 착탈수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 좌우대칭형으로 분할형성되는 전면 커버 및 배면 커버;제1결합홈이 외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전면 커버와 배면 커버의 가장자리가 상기 제1결합홈에 각각 끼워맞춤으로 고정되며, 입구가 개방된 끼움편이 내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U자 형상의 제1,2결합편;상기 끼움편에 슬라이딩결합되도록 양측면에 형성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결합돌기를 연결하며 신축성을 갖는 연결편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면 커버와 배면 커버를 상대측 커버에 대하여 신축가능하게 연결하는 연결부재;제2결합홈이 바닥면에 빙둘러 형성되어 상기 전,배면 커버 및 제1,2결합편의 상단에 상기 제2결합홈이 각각 끼워맞춤되며, 일측에 힌지걸이부가 형성되고 타측에 착탈수단이 장착되어 상기 전면 커버에 고정되는 고정편; 및일단이 상기 고정편의 힌지걸이부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고정편의 착탈수단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홀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결합돌기 및 연결편은 신축성을 갖는 단일의 스판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벨트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휴대폰을 상기 벨트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수단은;상기 배면 커버의 외측면에 고정되고, 걸림돌기가 외측면에 형성되며 결합공이 중앙에 형성되는 회전축수부;상기 회전축수부가 결합되는 회전축공이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공 내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탄성돌기와 상기 걸림돌기의 탄성결합으로 상기 회전축수부의 회전된 각도를 유지하며, 휴대폰을 사용자 벨트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착탈수단이 상측에 형성되는 회전부재; 및상기 회전축공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공에 결합되는 고정구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를 상기 배면 커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하는 덮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상단이 상기 회전부재 상측에 회동가능하게 힌지고정되고 사용자의 벨트에 끼워지는 후크부가 하단에 형성되어 휴대폰을 사용자의 벨트에 집게형상으로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클립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수단은;상기 회전부재 이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벨트걸이용 고정편을 구비하여, 상기 회전부재와 벨트걸이용 고정편사이에 사용자의 벨트를 결합시켜 휴대폰을 사용자의 벨트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 커버에 상기 회전축수부 하측으로 소정곡률을 이루어 돌출형성되는 안내돌기; 및상기 안내돌기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상기 회전축공 하측에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내돌기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에 대해 상기 배면 커버의 회전각도를 제한하는 안내요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1711U KR200366177Y1 (ko) | 2004-07-29 | 2004-07-29 | 휴대폰 케이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4-0021711U KR200366177Y1 (ko) | 2004-07-29 | 2004-07-29 | 휴대폰 케이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366177Y1 true KR200366177Y1 (ko) | 2004-11-08 |
Family
ID=49440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4-0021711U KR200366177Y1 (ko) | 2004-07-29 | 2004-07-29 | 휴대폰 케이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366177Y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4673B1 (ko) | 2005-12-01 | 2006-02-24 | 주식회사 현원 |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
-
2004
- 2004-07-29 KR KR20-2004-0021711U patent/KR200366177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4673B1 (ko) | 2005-12-01 | 2006-02-24 | 주식회사 현원 | 이동통신단말기용 케이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TWI583289B (zh) | 腕帶及帶有該腕帶的電子設備 | |
TWI434575B (zh) | 頭戴式通信器 | |
KR200451999Y1 (ko) | 휴대폰용 보호케이스 | |
WO2004019112A1 (en) | Eyeglass frame with a reversible arm | |
WO2004066596A1 (en) | Headband having a plurality of interchangeable attachments for holding a cellular phone to the headband | |
KR200366177Y1 (ko) | 휴대폰 케이스 | |
KR101878050B1 (ko) | 호신봉용 홀스터 | |
KR200396217Y1 (ko) | 핸드폰 가죽케이스용 거치대 | |
KR200493555Y1 (ko) | 휴대 및 거치 기능을 갖는 휴대폰용 홀더 및 이를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 |
JP2016002427A (ja) | イヤーマフの支持構造 | |
KR200481933Y1 (ko) | 링끼움구를 갖는 휴대폰 케이스 | |
KR200233150Y1 (ko) | 핸드폰 포켓 클립고정장치 | |
KR102707624B1 (ko) | 폰 받침용 반지 | |
JP3167843U (ja) | 鏡付きストラップ | |
JP3113819U (ja) | 携帯電話ホルダー | |
CN214388161U (zh) | 颈部按摩仪 | |
CN216852031U (zh) | 一种勾扣指环支架 | |
CN214963089U (zh) | 一种可打开的手镯 | |
CN221009860U (zh) | 一种双环无线充电器 | |
KR102137753B1 (ko) | 안경 케이스 | |
CN221177767U (zh) | 具有旋转支架的手机保护壳 | |
CN221688700U (zh) | 具有支撑功能的磁吸环以及包含其的手机壳 | |
CN209994424U (zh) | 挂绳 | |
CN218784285U (zh) | 腰带扣 | |
KR200331840Y1 (ko) | 평면용 거치장치를 구비한 휴대폰 휴대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802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