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963Y1 - 합성거더용 거푸집 - Google Patents

합성거더용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963Y1
KR200365963Y1 KR20-2004-0022003U KR20040022003U KR200365963Y1 KR 200365963 Y1 KR200365963 Y1 KR 200365963Y1 KR 20040022003 U KR20040022003 U KR 20040022003U KR 200365963 Y1 KR200365963 Y1 KR 20036596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reinforcement
support
concrete
reinforc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200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현
Original Assignee
박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filed Critical 박상현
Priority to KR20-2004-002200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96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96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96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0002Auxiliary parts or elements of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6Assemblies of separate moulds, i.e. of moulds or moulding space units, each forming a complete mould or moulding space unit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68Composite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방된 상부면을 가지는 합성거더 거푸집의 상부에 설치되는 강판을 포함하는 보강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 및 지지대고정구가 거푸집을 감싸도록 설치시킨 합성거더용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거푸집은 상부가 개방된 콘크리트 합성거더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상부 내측면에 양 단부가 고정되어 거푸집 상부 내면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보강재지지대; 및 상기 보강재지지대의 양 단부와 연결구에 의하여 거푸집 상부 외측면에 고정연결되어 거푸집 측면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지지대고정구;가 설치되며, 상기 보강재지지대 상부면에 거푸집 길이방향으로 보강재가 설치된다.

Description

합성거더용 거푸집{Composite girder form}
본 고안은 합성거더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개방된 상부면을 가지는 합성거더 거푸집의 상부 내측면에 강판을 포함하는 보강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대를 설치하여, 상기 보강재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고안된 합성거더용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과 관련된 종래의 PSC 빔(10, Prestressed Concrete Beam)은 도 1a와 같이 통상의 I형 단면의 빔 콘크리트(11) 하부에 PSC 강재(12)를 U자 형상으로 빔의 복부를 경유하여 단부에 긴장 후 정착시켜, 빔 자중을 포함한 설계하중의 휨 모멘트에 의한 빔 콘크리트 하부에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압축응력이 미리 빔 단면에 도입되도록 제작된 구조용 빔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PSC 빔(10)은 교량용 거더(Girder)로 이용되며, 교대 또는 교각에 설치되고 그 위에 슬래브가 형성되도록 하여 주로 30 내지 40m 지간의 교량시공에 이용된다.
상기 PSC 빔과 관련하여, PSC 강재(12)의 긴장, 정착에 의하여 빔 상부플랜지 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인장균열 또는 압축균열의 발생 문제 때문에, 일정한 PSC 강재량을 기준으로 최대한의 긴장력을 빔에 도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b와 같이 상부플랜지에 T형 강판인 보강재(13)를 설치하는 PSRC 빔이 등록실용신안 제 20-2003-0308515호에 소개되어 있다.
상기 보강재(13)를 빔 콘크리트 상부에 매립되도록 설치하는 종래의 방법은 먼저, I형 단면을 가지되 상부면이 개방된 거푸집을 제작하고, 상기 거푸집 내부에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용 내부 철근(Steel Bar)을 배근한 상태에서, 상부플랜지 철근 위에 간격재(스페이서) 등을 이용하여 보강재(13)를 얹어 놓는 방식이 통상 이용된다.
하지만 상기 보강재(13)는 상당히 큰 중량을 가지는 부재로써 철근만으로 지지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경우, 배근된 철근이 변형을 일으키고, 이러한 변형에 의하여 보강재의 위치가 이탈하는 등 빔의 역학적 성능이 변경될 수 있어, 보강재(13)의 구조적 기능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으며,
나아가 강판의 무게에 따라서는 거푸집이 보강재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고 양쪽으로 벌어지는 현상까지 발생하여, 빔 시공 상 품질관리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PSC 빔 제작과정에 있어 PSC 강재를 긴장 후 정착시킴에 따라 빔 상부에 발생하는 인장균열 또는 압축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빔 상부플랜지 콘크리트에 매립되도록 설치하는 보강재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의 중량에 의하여 거푸집 및 내부철근의 변형이 유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합성거더용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용이하게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며,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보강재의 노출 마감처리에 있어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보강재가 구비된 합성거더용 거푸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합성거더용 거푸집을 이용하여 보강재의 설치에 있어 위치 조절이 용이하며, 다양한 보강재의 설치방식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합성거더제작이 가능한 합성거더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PSC 빔 및 PRSC 빔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합성거더용 거푸집의 설치구성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2c 및 도 2d는 본 고안의 합성거더용 거푸집의 다른 설치구성도 및 B-B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합성거푸집을 단면도 형태로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의 보강재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된 보강판의 개략도 및 그 휨모멘트드(BMD)를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고안의 보강재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고안의 보강재지지대 및 보강재를 설치된 상태의 빔(거더)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보강재가 빔 중간부의 상부면에 일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합성거더용 거푸집을 이용하여 제작된 합성거더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호의 설명>
100:합성거더용 거푸집
110:보강재지지대 120:지지대고정구
130:보강재 200:연결구
210:볼트 220:너트
230:정착콘
300:합성거더용 거푸집에 의하여 제작된 빔(거더)
400:거푸집연결구 410:힌지부
420:거푸집지지판
본 고안은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상부가 개방된 합성거더용 거푸집을 먼저 제작하되, 상기 거푸집 상부 내면에 보강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별도의 지지대를 거푸집 상부 내면 사이를 가로질러 소정의 간격으로 거푸집 길이방향으로 다수 고정설치되도록 하여, 종래와는 달리 거푸집 내부철근에 의하여 지지되지 않고서도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둘째, 보강재 및 지지대의 중량에 의하여 거푸집이 측면 양쪽으로 벌어지거나 형상이 변형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거푸집을 감싸 거푸집이 벌어지지 않도록 구속시켜주는 일종의 구속밴드의 기능을 가지는 고정구를 제공하되, 상기 고정구로써, 보강재의 한 쪽 단부에 볼트, 너트, 정착콘 및 L형강을 포함하는 연결구에 의하여 거푸집 상부 외측면에 고정구의 한쪽 단부를 고정시키고, 거푸집 측면 및 하부면을 감싸면서 고정구의 다른 단부가 보강재의 반대쪽 단부에 고정되는 지지대 고정구를 채택하고,
셋째, 상기 합성거더용 거푸집을 구비하되 거푸집의 설치각도가 변경되는 부위에 힌지부를 두어 거푸집의 설치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강재거푸집을 채택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고안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합성거더용 거푸집(100)은, 상부가 개방된 콘크리트 합성거더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상부 내측면에 양 단부가 고정되어 거푸집 상부 내면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보강재지지대(110); 및 상기 보강재지지대(110)의 양 단부와 연결구(200)에 의하여 거푸집 상부 외측면에 고정연결되어 거푸집 측면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지지대고정구(120);를 포함하며,
상기 보강재지지대(110)를 거푸집 상부 내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연결구(200)는 보강재지지대(110)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볼트구멍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111); 상기 고정플레이트, 거푸집 상부 외측면과 상기 거푸집 상부 외측면에 위치한 지지대고정구를 관통하는 볼트(210)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220);를 포함하거나(구체예 1),
보강재지지대(110)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볼트구멍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111),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거푸집 상부 내측면 사이에 설치된 정착콘(230); 및 상기 고정플레이트(111), 정착콘(230), 거푸집상부 외측면과 상기 거푸집 상부 외측면에 위치한 지지대고정구를 관통하는 볼트(210)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는 너트(220);를 포함할 수 있다.(구체예 2)
도 2a 및 도 2b는 상기 구체예 1에 의한 합성거더 거푸집을 사시도 및 B-B단면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2c및 도 2d는 상기 구체예 2에 의한 합성거더 거푸집을 역시 사시도 및 B-B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구체예 1의 합성거더용 거푸집(100)은 도 2a와 같이 상부가 개방된 I형 단면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지도록 제작된다. 분할 된 세그먼트(SEGMENT) 거푸집을 조립(용접 등)하여 최종 I형 단면으로 완성시키되 강재거푸집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목재를 사용하는 경우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거푸집은 내부에 콘크리트 타설 후 해체시킬 수도 있지만, 타설된 콘크리트의 외피재로 영구부착되는 강재거푸집의 경우에도 본 고안의 거푸집의 기술적범위에 포함된다.
도 3은 특히 거푸집으로써 강재거푸집을 이용하되, 상기 강재거푸집의 단면을 I형 단면으로 하고, 거푸집의 자재 및 재활용을 위하여 거푸집의 단면형상의 변형에 의한 거푸집 형상의 변형을 비교적 용이하게 1개의 거푸집으로써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 거푸집연결구(400)를 채택하고 있다.
상기 거푸집연결구(400)는 설치각도가 변경되는 거푸집 안쪽 또는 바깥쪽 면의 변곡부에 설치된 힌지부(410); 상기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거푸집면에 부착된 지지판으로써, 힌지부를 축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거푸집지지판(420);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410)는 거푸집의 설치각도가 변경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힌지축으로 형성된다. 상기 힌지축의 특성은 축을 따라 회전이 구속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에 상기 힌지부(410)와 일체로 부착된 거푸집지지판(420)을 추가로 형성시키되, 상기 거푸집지지판(420)이 거푸집면(E1,E2)에 부착되도록 하는 경우, 상기 거푸집면의 설치각도가 변경되는 경우 그 변경이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거푸집단면 형상의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보강재지지대(110)는 거푸집 상부 내면(A)을 가로질러 설치되며, 거푸집 상부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대에 의하여 후술되는 보강재(130)가 지지되어 설치된다. 이로써 종래에는 배근된 철근에 의하여 보강재(130)가 지지되도록 하였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보강재지지대(110)에 의하여 보강재(130)가 지지되도록 하여 거푸집(100)에 배근되는 철근의 위치 이탈, 변형 등의 현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보강재지지대(110)로써 L 형강을 이용할 수도 있고, ㄷ 형강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종류와 관계없이 양 단부가 거푸집 상부 내면(A)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은보강재지지대(110)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지지대(110)를 거푸집 내부면(A)에 가로질러 고정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구성이 본 고안의 연결구(200)이다.
상기 연결구(200)는 특히 보강재지지대로써 L형강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형강 단부에 고정플레이트(111)를 덧 붙여 L형강 양 단부가 거푸집 상부 내면(A)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보강재지지대(110)의 양 단부는 상기 덧 붙여진 고정플레이트(111)에 볼트구멍을 형성시켜, 후술되는 볼트(210) 및 너트(220)에 의하여 거푸집 상부 내면(A)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볼트 및 너트에 의하여 양 단부가 거푸집 상부 내면에 고정된 보강재지지대(110)는 양 단부가 고정되어 있고, 그 상부면에 보강재(130)이 얹어져 설치되므로, 양단 고정된 보강재지지대(110)가 보강재(130)의 중량을 지지하는 빔의 역할을 하게 된다.
도 4a 및 도 4b와 같이 보강재(130)의 중량을 지지하는 보강재지지대(110)의 양 단부는 부 모멘트(-M)가 발생하게 되는 데, 이러한 부 모멘트에 의하여 거푸집 상부를 벌어지게 하는 외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외력에 의하여 거푸집이 변형될 우려가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 본 고안의 상기 지지대고정구(120)이다.
즉, 상기 지지대고정구(120)의 역할은 거푸집(100) 양 측면 및 하부면을 감싸면서 양 단부가 보강재지지대의 양 단부에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을 벌어지게 하려는 외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거푸집 양 측면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지지대고정구(120)의 양 단부(C, D)가 보강재지지대(110)의 양 단부에 고정되어 연결됨으로써, 상부가 개방된 거푸집의 상부, 측면 및 하부면을 감싸 묶어 주어 구속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보강재(130)의 중량에 의하여 거푸집의 상부가 벌어지려고 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지지대고정구(120)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판재를 가공하여 거푸집의 양 측면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형강류를 이용해도 되며 명칭과 관계없이 거푸집의 양 측면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는 부재이면 된다.
도 2b는 도 2a의 B-B 단면도이다.
보강재지지대(110)로써 L 형강을 이용하고, 상기 보강재지지대(110)의 양 단부는 볼트구멍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111)에 의하여 거푸집 내면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연결구(200)로써 볼트(210) 및 너트(220)를 이용하되, 거푸집 상부 내면으로부터 고정플레이트(111) 및 거푸집(100)을 관통하여 보강재지지대의 양 단부(C,D)가 너트(220)에 의하여 거푸집 상부 내면에 체결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즉, 고정플레이트, 거푸집 상부 외측면과 상기 거푸집 상부 외측면에 위치한 지지대고정구를 관통하는 볼트(210)가 너트(220)와 함께 보강재지지대를 거푸집 내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지지대고정구(120)는 상기 너트(220)와 거푸집 외면 사이에 볼트에 의하여 한쪽 단부(C)가 고정되면서, 거푸집 측면 및 하부면을 따라 감싸도록 설치되고, 다른 한쪽 단부(D)가 역시 보강재지지대의 다른 한쪽 단부와 연결구인 볼트(210) 및 너트(220)에 의하여 동일하게 고정되는 띠판의 형태로 가공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지지대고정구(120)과 보강재지지대(110)에 의하여 감싸여진 거푸집은 보강재(130)가 설치되어도 그 중량에 의하여 벌어짐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구체예 2의 합성거더용 거푸집(100)은 도 2c 및 도 2d와 같이 구체예 1의 합성거더용 거푸집과 거의 다를 바 없으나 연결구(200)의 구성이 다소 상이하다.
즉, 구체예 1의 연결구(200)와는 달리, 보강재지지대(110)과 거푸집 내면(A) 사이에 정착콘(230)을 추가로 더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정착콘(230)은 거푸집 내부에 타설딘 콘크리트 내부에 매립되게 되는데, 이후 정착콘(230)에 체결된 볼트(210)를 해체시킨 다음, 정착콘(230)을 빼내고, 빼내어진 정착콘에 의한 공간을 모르타르와 같은 충진재로 마감하는 경우, 완성된 PSC 거더 외부면 마감처리가 확실하여 미관도 좋아지고, 볼트 및 너트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부식되거나 이로 인한 거더 내구성의 열하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정착콘(230)은 원추형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도 2d와 같이 볼트머리가 거푸집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추후 볼트(210)가 너트(220)와 함께 보강재지지대를 거푸집 내면에 고정시키게 된다.
도 5a 및 도 5b는 상기 보강재(130)의 평면도 및 종단면도이다.
보강재(130)로써, 강판을 직사각형 형태로 가공된 것을 이용할 수 있는데, 내부에는 콘크리트 타설용 구멍(131)을 다수 형성시켜 그 구멍을 통하여 콘크리트를 거푸집 내부에 타설하기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명칭과 달리 보강재(130)는 판(Plate)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일체로 제작되든지 세그먼트 강판을 용접하여 일체로 제작하든지 그 제작방법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요의 자중에 의하여 보강재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되어야 하는 대상을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도 6a 및 도 6b와 같이 일정한 길이(4m 이내)를 가진 판 형태의 강판을 서로 용접하여 전체적으로 일체화되어 설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보강재(130)에는 콘크리트 타설용 구멍(13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구멍(131)은 원형 등의 형상으로 보강재를 관통하여 형성시킨다.
상기 구멍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보강재 측면으로 치우쳐 지그재그로 위치하도록 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다짐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보강재 중앙부에서 약간의 이격편차를 두어 배치시킨다.
또한 보강재(130)는 도 1a과 같이 콘크리트 내부에 매입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지만, 상부면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여 콘크리트가 보강재 하부면까지 충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보강재과 하부에 충전되는 콘크리트가 서로 완전히 결합되어 외력에 의한 모멘트에 의하여 서로 슬립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보강재 하부면에 스터드 및 다른 형태의 전단연결재(132)를 돌출되도록 설치할 수 있으며, 보강재(130)의 상부면에도 전단연결재(132)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거푸집(100)에 지지대고정구(120)에 의하여 보강재지지대(110)가 설치된 상태에서 보강재(130)를 설치하고, 도시하지 않은 필요한 내부철근을 배근한 상태에서 ,상기 보강재(130)에 형성된 구멍(131)을 통해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보강재지지대의 양단부에 연결된 보강재지지대의 양단부의 체결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을 해체시키면, 지지대고정구(120)는 거푸집(100)과 함께 탈형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탈형된 상태의 PSC 거더(300)를 도시한 것이 도 6a이다.
상기 도 6a에 의하면 거더(300) 상부에 보강재(130)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지지대고정구(120)가 해체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단지 거더 내부에 보강재지지대(110)의 양 단부의 고정을 위하여 볼트(220) 일부만이 노출된 상태로 마감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노출된 볼트 등은 추후 부식의 우려 및 거더 하자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도 6b와 같이 연결구(200)으로써, 정착콘(230)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정착콘(230)을 고정시키는 볼트(210)를 해체한 후, 정착콘(230) 부위를 둔기로 몇 번 타격하면, 볼트가 해체된 상태이므로 정착콘이 쉽게 밖으로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분리된 정착콘(230)에 의하여 생겨진 블록아웃된 공간에 모르타르를 충전시키는 경우 마감면이 말끔하게 처리되면서 연결구가 노출되어 부식등의 우려를 해소시킬 수 있게 된다.
나아가 상기 보강재(130)를 빔 상부 전체길이에 걸쳐 설치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도 7과 같이 빔(300)의 중간을 포함하여 중간부에 걸쳐 설치하는 것이 구조적 및 경제적인 면에서 유리하다. 왜냐하면 빔의 중간부에서 외력에 의한 휨 모멘트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상기 합성거더(300)의 제작방법은 상부가 개방된 콘크리트 합성거더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상부 내측면에 양 단부가 고정되어 거푸집 상부 내면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보강재지지대(110); 상기 보강재지지대(110)의 양 단부와 연결구(200)에 의하여 거푸집 상부 외측면에 고정연결되어 거푸집 측면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지지대고정구(120); 상기 보강재지지대 상부면에 지지대의 거푸집 길이방향으로 보강재(130);을 포함하는 합성거더용 거푸집 내부에 충전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계(s1); 및 상기 지지대고정구(120) 및 합성거더용 거푸집을 해체시키는 단계(s2);를 포함한다.
상기 s1단계는 본 고안의 합성거더용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기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키는 단계이다.
먼저, 도 3과 같은 강재거푸집을 제작하여 제작대 위에 설치한 후, 그 내부에 소요의 철근 및 PSC 강재를 배근 또는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강재거푸집 외측면을 따라 다수의 고정대지지구(120)를 거푸집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 설치한 다음, 설치된 고정대지지구(120) 각각의 양 단부와 연결되며 거푸집 상부 내면을 가로질러 다수의 보강재지지대(110)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강재거푸집은 양 단부는 하부가 상부보다 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되고, 양 단부 이외에는 상부가 하부보다 큰 면적으로 형성된 변단면 강재거푸집을 이용하는 것이 거더 단면의 효율적이용을 위해 유리하다. 왜냐하면 외력에 의한 거더의 압축플랜지부 단면적을 크게 하는 것이 PSC 강재에 의한 프리스트레스 도입에 있어 보다 유리하기 때문이다.
이에 상기 보강재지지대(110) 상부면에 보강재(130)를 얹어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보강재는 T형 강판으로 설치할 수도 있고, T형 강판 상부면에 추가로 강판을 부착 또는 비부착상태로 즉, 이중판구조로 설치할 수 도 있다.
강재거푸집에 보강재(130)을 설치한 다음에는 거푸집 내부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게 된다.
상기 보강재에는 구멍(131)이 다수 형성되어 있으므로 거푸집 내부로 용이하게 콘크리트를 타설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타설 후 구멍을 통하여 다짐기를 삽입하고 충분히 다짐을 하도록 하여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충전될 수 있도록 한다.
콘크리트의 타설, 다짐이 완료되면 양생작업을 거쳐 소요 강도가 발현될 정도가 되면, PSC 강재를 다수에 걸쳐 긴장 후 양 단부를 정착시킨다. 즉 프리스트레스를 거더에 도입시킨다.
상기 s2단계는 최종적으로 콘크리트를 양생시킨 후에는, 강재거푸집 및 강재거푸집을 감싸고 있는 지지대고정구(120)을 해체시키는 단계이다.
먼저 강재거푸집을 감싸고 있는 지지대고정구(120)을 해체시키고, 강재거푸집을 탈형시킨다. 도 6a 및 도 6b와 같이 탈형된 합성거더(300)의 경우 보강재지지대의 연결구를 구성하는 볼트가 노출된 상태가 될 수 있는데, 특히 정착콘을 사용하는 구체예 2의 경우에는 강재거푸집 및 고정대지지구를 해체한 이후, 정착콘을 제거하고 그 정착콘의 제거에 의한 공간에 모르타를 충전시켜 마감시키게 되면 도 6b와 같은 볼트가 거더에 노출되지 않아 마감처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합성거더용 거푸집에 의하여 제작된 합성거더(300)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써, 거더 중앙부를 기준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합성거더(300)의 상부플랜지부(310)에는 본 고안의 보강재(130)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보강재(130)은 T형 강판(133)이 설치되고, 상기 T형 강판 상부면에 강판(134)이 설치된 이중구조로 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130)는 PSC 강재(320)의 긴장, 정착에 의하여 상기 상부플랜지(310)에 발생할 수 있는 압축균열 또는 인장균열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본 고안의 거푸집고정구 및 보강재지지대에 의하여 보강재의 중량에 의한 거푸집의 변형 및 내부철근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소요의 PRSC 빔의 제작에 있어 품질관리가 용이해질 수 있게 되며, 보강재를 수평으로 유지시키면서 설치할 수 있어 보강재의 구조적 기능을 충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Claims (11)

  1. 상부가 개방된 콘크리트 합성거더용 거푸집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상부 내측면에 양 단부가 고정되어 거푸집 상부 내면 사이를 가로질러 설치된 보강재지지대(110); 및
    상기 보강재지지대(110)의 양 단부와 연결구(200)에 의하여 거푸집 상부 외측면에 고정연결되어 거푸집 측면 및 하부면을 감싸도록 설치된 지지대고정구(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거더용 거푸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0)는
    보강재지지대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볼트구멍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111);및
    상기 고정플레이트, 거푸집 상부 외측면과 상기 거푸집 상부 외측면에 위치한 지지대고정구를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220)에 체결되는 너트(2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거더용 거푸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0)는
    보강재지지대의 양 단부에 형성되며 볼트구멍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111);
    상기 고정플레이트와 거푸집 상부 내측면 사이에 설치된 정착콘(230);및
    상기 고정플레이트, 정착콘, 거푸집상부 외측면과 상기 거푸집 상부 외측면에 위치한 지지대고정구를 관통하는 볼트 및 상기 볼트(220)에 체결되는 너트(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거더용 거푸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된 거푸집 상부 내면에 설치된 보강재지지대 상부면에 지지대의 거푸집 길이방향으로 보강재(130)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거더용 거푸집.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30)는 다수로 분절된 보강재를 서로 연결시켜 거푸집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거더용 거푸집.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30)는 거푸집 상부 내면을 길이방향으로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일부에 걸쳐 설치되는 경우에는 거푸집 길이에 따른 중앙부 상부가 포함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거더용 거푸집.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130)에 보강재를 관통하는 콘크리트타설용 구멍(131)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거더용 거푸집.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131)을 통하여 콘크리가 타설되어 거푸집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되며,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하여 상기 보강재(130)가 콘크리트에 매입되거나 보강재(130)의 상부면 하부까지 콘크리트가 충전되어 보강재(130)의 상부면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거더용 거푸집.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100)은 I형 단면 강재거푸집이고, 상기 보강재(130)는 강판이며, 상기 강판의 상부 및 하부면에는 돌출되어 형성된 전단연결재(132)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거더용 거푸집.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I형 단면 강재거푸집은 거푸집연결구(400)가 더 설치되며, 상기 거푸집연결구는 설치각도가 변경되는 거푸집 안쪽 또는 바깥쪽 면의 변곡부에 설치된 힌지부(410); 및 상기 힌지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거푸집면에 부착된 지지판으로써, 힌지부를 축으로 회전이 자유로운 거푸집지지판(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거더용 거푸집.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T형 강판 상부면에 추가로 설치된 강판인 보강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거더용 거푸집.
KR20-2004-0022003U 2004-08-02 2004-08-02 합성거더용 거푸집 KR20036596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003U KR200365963Y1 (ko) 2004-08-02 2004-08-02 합성거더용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2003U KR200365963Y1 (ko) 2004-08-02 2004-08-02 합성거더용 거푸집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0649A Division KR20060011686A (ko) 2004-07-31 2004-07-31 합성거더용 거푸집을 이용한 합성거더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963Y1 true KR200365963Y1 (ko) 2004-11-02

Family

ID=49439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2003U KR200365963Y1 (ko) 2004-08-02 2004-08-02 합성거더용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963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796B1 (ko) * 2008-08-06 2011-02-18 (주)엔비코컨설턴트 아이형 거더 제작용 거푸집
KR101094239B1 (ko) 2011-07-22 2011-12-14 삼표건설 주식회사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
KR101128347B1 (ko) * 2008-06-04 2012-03-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거더용 거푸집
KR101248148B1 (ko) * 2011-02-11 2013-03-27 삼표건설 주식회사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
KR102139132B1 (ko) * 2019-04-30 2020-07-29 김준영 단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강재 거푸집 구조체, 이를 통해 제작된 psc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8347B1 (ko) * 2008-06-04 2012-03-27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거더용 거푸집
KR101015796B1 (ko) * 2008-08-06 2011-02-18 (주)엔비코컨설턴트 아이형 거더 제작용 거푸집
KR101248148B1 (ko) * 2011-02-11 2013-03-27 삼표건설 주식회사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
KR101094239B1 (ko) 2011-07-22 2011-12-14 삼표건설 주식회사 거더의 상부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거더
KR102139132B1 (ko) * 2019-04-30 2020-07-29 김준영 단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한 강재 거푸집 구조체, 이를 통해 제작된 psc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5876B1 (ko) 상부플랜지에 콘크리트케이슨을 설치한 프리스트레스트개구제형 파형 스틸거더교의 시공방법
KR100948358B1 (ko) 스틸박스 거더교 및 이의 시공방법
WO2009011516A2 (en) Form with reinforcing bars, non-support form system and non-suppor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WO2010021428A1 (en) Opening steel composite gird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0682794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 방법
KR101064731B1 (ko) 포물선 형상의 웨브와 거푸집형 플랜지를 가지는 강재 빔과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강합성 거더 및 그 제작방법
KR100901803B1 (ko) 강합성거더 제작방법 및 강합성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1170922B1 (ko) 텐던과 연결지지대를 이용한 라멘교 시공방법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200365963Y1 (ko) 합성거더용 거푸집
KR100631029B1 (ko) 피씨플레이트 조립체 및 그 피씨플레이트 조립체를 이용한피씨플레이트 설치방법
KR10106771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0540625B1 (ko) 하부플랜지 매립 구조를 가지는 콘크리트 일체 타설방식의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시공방법
KR100583671B1 (ko) 다양한 위치에 설치된 강재정착구와 상하 플랜지에보강재를 설치하여 제작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빔 및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60011686A (ko) 합성거더용 거푸집을 이용한 합성거더제작방법
CN215484065U (zh) 一种分区域膨胀混凝土梁
KR100975539B1 (ko) 부등지간장을 가지는 스틸박스 연속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84817Y1 (ko) 만곡 파형 강판 복부를 구비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KR200395572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KR100694824B1 (ko)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데크 플레이트 및 그에 따른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081502B1 (ko) 정착판이 일체로 형성된 단부거푸집을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 제작방법 및 정착판이 일체로 형성된 단부거푸집을 이용한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KR100480471B1 (ko) 허니컴 거더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합성빔의 연속화연결구조 및 연속화 방법
KR100278118B1 (ko) 콘크리트빔교량의 크로스빔 시공방법
KR100465350B1 (ko) 편심거리가 연장된 피에스씨 합성빔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20100076536A (ko) 프리-스트레스를 적용한 연속교 및 이의 건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