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273Y1 - 방한용 귀마개 - Google Patents

방한용 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273Y1
KR200365273Y1 KR20-2004-0021962U KR20040021962U KR200365273Y1 KR 200365273 Y1 KR200365273 Y1 KR 200365273Y1 KR 20040021962 U KR20040021962 U KR 20040021962U KR 200365273 Y1 KR200365273 Y1 KR 20036527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and
ear cover
ear
elastic
a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소형
Original Assignee
김소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소형 filed Critical 김소형
Priority to KR20-2004-0021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27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27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27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14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external, e.g. earcaps or earmuf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겨울철에 귀 부위를 보온할 수 있도록 하는 방한용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방한용 귀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 걷거나 뛸 때에 탄성밴드부나 귀덮개부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의해 그 전체가 하부로 흘러내릴 우려가 많았고, 착용상태에서 외부 소리가 잘 들리지 않게 되어 각종 안전사고가 유발될 우려가 많게 됨은 물론 주변 사람과 대화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탄성밴드부(11)의 후방 상부 둘레에 머리 이마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하는 보조탄성끈(13)을 설치하는 한편, 귀덮개부(12)의 중앙부에 청취구멍(14)을 형성하고, 청취구멍(14)에 이물질차단망(15)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착용과정에서 보조탄성끈(13)으로 이마를 감싸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탄성밴드부(11)나 귀덮개부(12)가 흘러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착용상태에도 귀덮개부(12)의 청취구멍(14)을 통해 주변 소리를 보다 명확하게 들을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방한용 귀마개 { a ears protector }
본 고안은 겨울철에 귀 부위를 보온할 수 있도록 하는 방한용 귀마개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보다 견고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착용한 상태에서 보다 명확하게 주변의 소리를 청취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한용 귀마개는 머리 둘레를 감싸는 탄성밴드부의 양단에 원판상의 귀덮개부를 구비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보통이며, 탄성밴드부가 머리의 정수리 둘레를 감싸도록 하는 것과 뒷통수 둘레를 감싸도록 하는 것이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인 바, 본 고안은 특히 탄성밴드부가 뒷통수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것에 관계한다.
상기 탄성밴드부가 머리 뒷통수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방한용 귀마개는 착용한 상태에서 얼굴 전방에서 탄성밴드부가 노출되지 않아 외관미가 좋은 것이기는 하지만 탄성밴드부가 머리 정수리 둘레를 감싸는 형태의 것에 비해 견고하게 착용할 수가 없게 되므로 종래에 있어서는 방한용 귀마개를 착용한 상태에서 걷거나 뛸 때에 탄성밴드부나 귀덮개부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의해 그 전체가 하부로 흘러내릴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한용 귀마개에 있어서 귀덮개부는 완전히 밀폐된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귀를 완전히 덮어버리게 되므로 종래에는 착용상태에서 자동차 크락숀 등이나 그 밖의 경고음을 포함한 외부 소리가 잘 들리지 않게 되어 각종 안전사고가 유발될 우려가 많게 됨은 물론 주변 사람과 대화하기가 어렵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착용상태에서 외부 충격에 의해 흘러내리지 않도록 할 수 있도록 하는 방한용 귀마개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며, 그 다른 목적이 착용상태에서 주변 소리를 보다 명확하게 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방한용 귀마개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일부 절제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일 사용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방한용 귀마개 11 : 탄성밴드부
12 : 귀덮개부 13 : 보조탄성끈
14 : 청취구멍 15 : 이물질차단망
16 : 벨크로화스너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탄성밴드부의 후방 상부 둘레에 보조탄성끈을 설치하는 것과, 귀덮개부의 중앙부에 청취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일부 절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후방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은 머리 뒷통수 둘레를 감싸도록 하는 탄성밴드부(11)의 양단에 원판상의 귀덮개부(12)가 마련되는 방한용 귀마개(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부(11)의 후방 상부 둘레에 머리 이마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하는 보조탄성끈(13)을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며, 아울러 귀덮개부(12)의 중앙부에 청취구멍(14)을 형성하고, 청취구멍(14)에 귀 부위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물질차단망(15)을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보조탄성끈(13)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 탄성밴드부(11)의 후방 상부 둘레에 보조탄성끈(13)을 너덜거리지 않게 보관할 수 있도록 탄성밴드부(11)의 후면 중앙 상부와 하부에 한 쌍의 벨크로화스너(16)를 설치한 형태를 갖는 바, 본 고안에 있어서 보조탄성끈(13)에 대한 고정구조는 도시된 것에만 국한되지 않고 예측 가능한 다른 형태로 얼마든지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도 3과 같이 탄성밴드부(11)로 머리 뒷통수를 감싸고 양 귀덮개부(12)를 통해 양 귀를 덮어 착용한 상태에서 보조탄성끈(13)으로 이마를 감싸게 되면 걷거나 뛰는 과정에 탄성밴드부(11)와 귀덮개부(12)에 충격이 가해지게 되더라도 하부로 흘러내리지 않게 되며, 이와 같이 보조탄성끈(13)을 사용할 때 모자를 착용하게 되면 보조탄성끈(13)의 외부 노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보조탄성끈(13)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도 1 및 도 2와 같이 보조탄성끈(13)을 탄성밴드부(11)의 후방 상부에 위치시킨 후 벨크로화스너(16)로 고정하면 보조탄성끈(13)을 너덜거리지 않게 보관할 수 있게 되며, 탄성밴드부(11)와 귀덮개부(12)에 별다른 외부 충격이 가해지지 않을 때에는 보조탄성끈(13)을 보관한 상태로도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는 귀덮개부(12)에 청취구멍(15)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방한용 귀마개(10)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주변 소리를 보다 명확하게 청취할 수 있게 되어 각종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주변 사람들과 보다 원활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탄성밴드부(11)의 후방 상부 둘레에 머리 이마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하는 보조탄성끈(13)을 설치하는 한편, 귀덮개부(12)의 중앙부에 청취구멍(14)을 형성하고, 청취구멍(14)에 이물질차단망(15)을 설치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착용과정에서 보조탄성끈(13)으로 이마를 감싸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해 탄성밴드부(11)나 귀덮개부(12)가 흘러내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착용상태에도 귀덮개부(12)의 청취구멍(14)을 통해 주변 소리를 보다 명확하게 들을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머리 뒷통수 둘레를 감싸도록 하는 탄성밴드부(11)의 양단에 원판상의 귀덮개부(12)가 마련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탄성밴드부(11)의 후방 상부 둘레에 머리 이마 둘레를 감쌀 수 있도록 하는 보조탄성끈(13)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귀마개.
  2. 제1항에 있어서, 아울러 귀덮개부(12)의 중앙부에 청취구멍(14)을 형성하고, 청취구멍(14)에 이물질차단망(15)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귀마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밴드부(11)의 후방 상부 둘레에 보조탄성끈(13)을 너덜거리지 않게 보관할 수 있도록 탄성밴드부(11)의 후면 중앙 상부와 하부에 한 쌍의 벨크로화스너(15)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한용 귀마개.
KR20-2004-0021962U 2004-07-31 2004-07-31 방한용 귀마개 KR20036527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962U KR200365273Y1 (ko) 2004-07-31 2004-07-31 방한용 귀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962U KR200365273Y1 (ko) 2004-07-31 2004-07-31 방한용 귀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273Y1 true KR200365273Y1 (ko) 2004-10-20

Family

ID=49439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962U KR200365273Y1 (ko) 2004-07-31 2004-07-31 방한용 귀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27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3607B2 (en) 2002-12-26 2012-05-08 Amorepacific Corporation Promoter for the production of hyaluronic acid containing ginsenoside compound K
KR101245817B1 (ko) 2011-10-11 2013-03-21 임진호 다운파마용 헤어밴드 및 이를 이용한 다운파마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173607B2 (en) 2002-12-26 2012-05-08 Amorepacific Corporation Promoter for the production of hyaluronic acid containing ginsenoside compound K
KR101245817B1 (ko) 2011-10-11 2013-03-21 임진호 다운파마용 헤어밴드 및 이를 이용한 다운파마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35170C (en) Safety apparatus
US8429766B2 (en) Helmet with embedded sound suppression ear cups
JPH11331970A (ja) 骨導スピ−カ−とマイクロホンを備えたヘッドセット
US20050123151A1 (en) Audio headband device
US7131148B1 (en) Combined bandana and goggles
KR200365273Y1 (ko) 방한용 귀마개
KR0135894B1 (ko) 귀덮개와 입부분 개폐수단을 구비한 마스크
KR200314976Y1 (ko) 귀마개
EP1974624B1 (en) Device reducing wind noise
KR20220085394A (ko) 목 보호기능을 구비한 마스크
US20150090522A1 (en) Sound Permeable Wind Noise Reduction Device
JP5945866B2 (ja) 風音防止装置
KR200340663Y1 (ko) 방한용 귀마개
KR200349915Y1 (ko) 방한용 귀마개
US20090059161A1 (en) Ear shield
KR200365279Y1 (ko) 방한용 귀마개
KR200316293Y1 (ko) 방한용 귀마개
KR102394102B1 (ko) 안면 보호구
CA2758399A1 (en) Security and protection device for an ear-mounted audio amplifier or telecommunication instrument
KR200371306Y1 (ko) 듣기수단을 가지는 모자
KR200446535Y1 (ko) 이어폰 삽입부를 갖는 방한 마스크
JP2000005223A (ja) 安眠バンド
KR200181910Y1 (ko)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
KR200181911Y1 (ko)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
KR20110004358U (ko) 방한용 귀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