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1911Y1 -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 - Google Patents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1911Y1
KR200181911Y1 KR2019990028478U KR19990028478U KR200181911Y1 KR 200181911 Y1 KR200181911 Y1 KR 200181911Y1 KR 2019990028478 U KR2019990028478 U KR 2019990028478U KR 19990028478 U KR19990028478 U KR 19990028478U KR 200181911 Y1 KR200181911 Y1 KR 2001819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ear
support
hole
suppor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4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봉철
Original Assignee
양봉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봉철 filed Critical 양봉철
Priority to KR20199900284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19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19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191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Earpiece supports, e.g. ear hoo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이어폰을 귓볼에 착용할 수 있게 하여 귓병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외부소리를 들을 수 있게 착용 가능하며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하나의 신변 악세사리로도 이용할 수 있고 소지가 용이한 이어폰을 제공하려는 것으로서, 소리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폰케이블(2)에 의해 연결되고 음을 발생시키는 이어폰본체(1)를 갖는 이어폰으로서; 상기 이어폰본체(1)로부터 소정의 연장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지부(5)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5)를 귓볼(21)에 고정되게 하기 위해 지지부(5) 하단에 귓볼(21)이 삽입되는 요홈부(6)를 가진 U형 클립(7)과 상기 U형 클립(7)을 압축시키는 회전힌지구(8)를 가진 착용구(9)를 구비하고, 상기 착용구(9)는 지지부(5)를 관통하는 나사축(10)을 가지며, 상기 나사축(10)에는 지지부(5)와 착용구(9)를 밀착되게 하는 너트부재(11)가 체결되게 구성되며, 상기 이어폰본체(1)와 폰케이블(2)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어폰본체(1)는 잭홀(3)을 가지며 폰케이블(2)은 잭(4)을 갖도록 구성하여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어폰이 귀걸이와 같은 하나의 신변 악세사리로도 이용되고 소지가 용이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earphone}
본 고안은 이어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이어폰을 귓볼에 착용할 수 있게 하여 귓병을 미연에 방지하고 외부소리를 감청할 수 있으며 악세사리로도 이용할 수 있도록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어폰을 착용하는데 있어서는 해부학적 고려가 전혀 안되어 있다. 즉, 선행기술은 이어폰을 귓구멍에 반강제적으로 억지 끼움하여 그 이어폰이 귓구멍에서 빠지지 않도록 유지되게 착용하는 방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어폰 착용 방식에서는 귓구멍에 이어폰을 억지로 끼워서 유지되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귓구멍에 물리적 자극을 준다.
그러므로 장시간 이용하게 되는 경우 염증 등이 발생되어 귀않이가 따를 수 있고 귓구멍이 이어폰으로 완전히 막혀져 있는 상태가 되므로 외부의 소리를 전혀 들을 수 없기 때문에 이어폰 사용 도중에는 타인과의 대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의 또 다른 이어폰으로는 귓바퀴에 걸어서 착용하는 이어폰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이어폰은 그 부피가 크기 때문에 휴대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으며, 하계철과 같이 날씨가 더울 때는 답답하여 착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수반하고 잇다.
본 고안은 이미 서론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어폰을 귓볼에 착용할 수 있게 하여 귓병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외부소리를 들을 수 있게 착용 가능한 이어폰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하나의 신변 악세사리로도 이용할 수 있으며 소지가 용이한 이어폰을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소리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폰케이블에 의해 연결되고 음을 발생시키는 이어폰본체를 갖는 이어폰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본체로부터 소정의 연장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를 귓볼에 고정되게 하기 위해 지지부 하단에 귓볼이 삽입되는 요홈부를 가진 U형클립과 상기 클립을 압축시키는 회전힌지구를 가진 착용구를 구비하고, 상기 착용구는 지지부를 관통하는 나사축을 가지며, 상기 나사축에는 지지부와 착용구를 밀착되게 하는 너트부재가 체결되도록 구성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어폰본체와 폰케이블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어폰본체는 잭홀을 가지며 폰케이블은 잭을 갖도록 구성됨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의 정면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이어폰의 배면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이어폰을 귀에 착용한 상태의 일측면도,
도 4는 도 3의 'Y'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이어폰이 귀에 착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어폰 2 : 폰케이블
3 : 잭홀 4 : 잭
5 : 지지부 6 : 요홈부
7 : U형 클립 8 : 회전힌지구
9 : 착용구 10 : 나사축
11 : 너트부재
본 고안에 따른 이어폰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고안에 의한 이어폰을 나타낸 정면 사시도 및 배면 사시도를 보인 것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고안은 예컨데 카세트플레이어나 엠피쓰리(MP3)와 같이 소리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미도시됨)로부터 폰케이블(2)에 의해 연결되어 음을 발생시키는 이어폰본체(1)를 구비한다.
상기 이어폰본체(1)와 폰케이블(2)은 이들을 분리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 이어폰본체(1)는 잭홀(3)을 가지며 폰케이블(2)은 잭(4)을 갖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어폰을 사용 할 때에는 잭(4)을 잭홀(3)에 끼워서 접속되게 하고,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잭홀(3)에서 잭(4)을 빼내어서 폰케이블(2)이 이어폰본체(1)로부터 분리되게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이어폰본체(1)로부터 소정의 연장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지부(5)를 갖는다.
상기 지지부(5)는 이어폰본체(1)와 일체로 형성되게 할 수 있고, 경우에 있어서는 각각 분리된 상태로 제조하여 조립시켜 일체로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지지부(5)는 도면의 도시와 같이 여러 가지의 악세사리 모양으로 형성시킬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지지부(5)에는 귀(20)의 귓볼(21)에 고정되게 하기 위해 그 지지부(5) 하단에 귓볼(21)이 삽입되는 요홈부(6)를 갖는 U형 클립(7) 및 상기 U형 클립(7)을 압축 및 완화시키는 회전힌지구(8)를 가진 착용구(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착용구(9)는 지지부(5)를 관통하는 나사축(10)이 일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나사축(10)에는 지지부(5)와 착용구(9)를 밀착되게 하는 너트부재(11)가 체결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너트부재(11)는 외부에 노출되므로 하나의 장식품과 같은 형태로 제조되는 것이 양호하다.
본 고안은 이어폰 착용시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착용구(9) 요홈부(6)에 귓볼(21)이 삽입되도록 하고 가상선에서 실선 도시와 같이 회전힌지구(8)를 제끼면 U형 클립(7)이 오므려 들면서 견고히 착용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착용되면 이어폰본체(1)는 귓구멍(22)에 위치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귓구멍(22)에 이어폰본체(1)가 밀착되지 않게 되는 상태로 착용된다.
그러므로 귓구멍(22)은 이어폰본체(1)에 의해서 물리적 자극을 받지 않게 되므로 예전과 같이 귀않이나 염증 등이 발생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결과가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이어폰본체(1)가 귓구멍(22)에 끼워지는 것이 아니라 살짝 밀접 되거나 또는 틈새를 가지게 되는 상태로서 상호 떨어져 있게 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들을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외부 소리를 감청 할 수 있게 되므로 이어폰을 굳이 귀(20)에서 빼내지 않고도 대화를 가능하게 한다.
더욱이, 이어폰을 사용하면서 도로 중행중에 자동차 경적소리 등을 들을 수있기 때문에 안전사고 예방도 도모될 수 있다.
한편,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이어폰본체(1)로부터 폰케이블(2)을 분리 시킨다.
다음, 너트부재(11)를 약간 풀면 지지부(5)와 착용구(9) 사이는 유격을 갖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착용구(9)가 귓볼(21)에 고정된 상태에서 지지구부(5)를 포함하여 이어폰본체(1)를 도 5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아랫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그리고 다시 너트부재(11)를 조이게 되면 지지부(5)와 착용구(9)는 상호 움직이지 않는 상태로 고정되며, 이와 같이 하면 이어폰 전체가 하나의 귀걸이와 같은 상태가 되므로 하나의 악세사리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어폰을 귀에 매달고 다니는 악세사리로 이용되기 때문에 소지(휴대)가 간편해지게 되는 것이다. 즉, 예전의 이어폰은 사용하지 않을 때 별도의 주머니나 가방 등에 휴대해야 하였지만 본 고안의 이어폰은 그냥 귀에 걸어 두고 악세사리로 이용하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고안은 이어폰을 귓볼에 착용할 수 있게 하여 귓병을 미연에 방지하고 이어폰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외부소리를 들을 수 있게 착용 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어폰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하나의 신변 악세사리로도 이용할 수 있으며 소지를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귓볼에 착용할 수 있는 이어폰을 제공하는 것이므로 폰케이블 없이 이어폰본체가 무선으로 신호를 받아 그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는 이어폰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않는 한 폭넓게 적용되고 보호되어야 함은 자명하다.

Claims (2)

  1. 소리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장치로부터 폰케이블(2)에 의해 연결되고 음을 발생시키는 이어폰본체(1)를 갖는 이어폰으로서;
    상기 이어폰본체(1)로부터 소정의 연장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지지부(5)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5)를 귓볼(21)에 고정되게 하기 위해 지지부(5) 하단에 귓볼(21)이 삽입되는 요홈부(6)를 가진 U형 클립(7)과 상기 U형 클립(7)을 압축시키는 회전힌지구(8)를 가진 착용구(9)를 구비하고, 상기 착용구(9)는 지지부(5)를 관통하는 나사축(10)을 가지며, 상기 나사축(10)에는 지지부(5)와 착용구(9)를 밀착되게 하는 너트부재(11)가 체결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어폰본체(1)와 폰케이블(2)을 분리시키기 위해 이어폰본체(1)는 잭홀(3)을 가지며 폰케이블(2)은 잭(4)을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
KR2019990028478U 1999-12-16 1999-12-16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 KR2001819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478U KR200181911Y1 (ko) 1999-12-16 1999-12-16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478U KR200181911Y1 (ko) 1999-12-16 1999-12-16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1911Y1 true KR200181911Y1 (ko) 2000-05-15

Family

ID=19601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478U KR200181911Y1 (ko) 1999-12-16 1999-12-16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191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1009650C2 (nl) Instelbare oortelefoon voor persoonlijke audio- en communicatiestelsels.
BR9912686A (pt) Fone de cabeça
USD515074S1 (en) Boom microphone
ATE324762T1 (de) Kopfsprechhörer
TW200627910A (en) Spectacle type communication device
WO2005051036A3 (en) Behind-the-head mounted personal audio set
US20240007778A1 (en) In-ear earpiece retaining structure
WO1999013682A3 (en) Stereophonic spectacles
KR200411965Y1 (ko)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
KR200181911Y1 (ko)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
KR200314976Y1 (ko) 귀마개
JP2003284177A (ja) イヤーパッド及び該パッドを具えたイヤホーン
KR200181910Y1 (ko) 귓볼에 착용되는 이어폰
KR101784610B1 (ko) 이어폰 고정용 이어기구
KR200379160Y1 (ko) 귀거리식 이어폰
KR101114241B1 (ko) 개인용 청취장치
KR200317070Y1 (ko) 골전도 통신이 가능한 안전모
KR200365273Y1 (ko) 방한용 귀마개
KR200416165Y1 (ko) 이어폰 고정핀
KR100904026B1 (ko) 청취 장치
KR100746904B1 (ko) 이어폰
KR20040080880A (ko) 골전도 통신이 가능한 안전모
KR200371712Y1 (ko) 귓바퀴 안쪽 홈에 고정 가능한 이어폰
KR200218659Y1 (ko) 귀걸이형 헤드폰
KR19980017559U (ko) 귓바퀴 맞물림형 이어폰(ear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