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962Y1 -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962Y1
KR200364962Y1 KR20-2004-0021651U KR20040021651U KR200364962Y1 KR 200364962 Y1 KR200364962 Y1 KR 200364962Y1 KR 20040021651 U KR20040021651 U KR 20040021651U KR 200364962 Y1 KR200364962 Y1 KR 2003649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phalt
ascon
temperature
heater
bo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6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영
Original Assignee
박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영 filed Critical 박태영
Priority to KR20-2004-00216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9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9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96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5/00Apparatus or methods for producing mixtures of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e.g. slurries, mortars, porous or fibrous compositions
    • B28C5/46Arrangements for applying super- or sub-atmospheric pressure during mixing; Arrangements for cooling or heating during mixing, e.g. by introducing vapour
    • B28C5/466Heating, e.g. using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CPREPARING CLAY; PRODUCING MIXTURES CONTAINING CLAY OR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C7/00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pparatus for producing mixtures of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for mixing clay or cement with other substances; Discharging the mixture
    • B28C7/04Supplying or proportioning the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5/00Compositions of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가 개시된다. 본 고안은 아스콘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아스콘의 재료인 아스팔트의 온도 및 아스콘 생산 시스템을 구성하는 설비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보일러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아스팔트를 저장하고 있는 탱크 내의 아스팔트의 온도 및 아스콘 생산 설비의 가동 유무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에 따라 보일러의 히터 및 열매체오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를 제어하여 아스콘 생산과정에서 낭비되는 에너지를 줄이고, 고온의 아스팔트의 경우 축열된 에너지를 이용하여 아스콘 생산에 필요한 에너지를 줄인다. 즉 아스팔트의 온도에 따라 히터 및 순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여 아스팔트에 저장된 축열을 이용하고, 또한 아스콘 생산 설비의 가동 유무에 따라 보일러 및 순환펌프의 작동을 제어하여 에너지 이용 효율을 높인다.
따라서 동일한 양의 아스콘을 생산할 경우 종래의 아스콘 생산에 투여되는 에너지에 비해 본 고안은 아스콘 생산에 투여되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THE DEVICE TO CONTROL THE BOILER OF AN ASCON MANUFACTURE SYSTEM}
본 고안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는 아스콘을 생산하는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일러를 구성하는 열매체오일을 가열하는 히터 및 열매체오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아스콘(아스팔트 콘크리트, ASCON)이란, 아스팔트 콘크리트(Asphalt Concrete)를 줄인 명칭이며, 아스팔트, 아스팔트 혼합물, 아스팔트 콘크리트, 가열혼합·가열포설 역청 포장용 혼합물(KSF2349 규격), HMA(hot mix asphalt)등 여러 가지로 호칭되고 있다.
일반적인 아스팔트 콘크리트 혼합물(이하"아스콘"이라 한다.)은 아스팔트(asphalt)와 굵은골재(자갈:Aggregate), 잔골재(모래:Sand) 또는 포장용 채움재(필러,석분:mineral filler)를 가열 또는 상온으로 혼합한 것으로 도로포장이나 주차장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사용 목적이나 용도, 기능, 공법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아스콘의 생산 과정은 도 1 아스콘 생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조되고 선별되어 저장된 석회석분, 골재, 석분, 모래와 아스팔트를 소정의 비율로 계량을 하여 혼합하여 아스콘이 생산된다.
즉 아스콘은 계량설비와 혼합설비로 이루어진 아스콘 생산설비에서 석회석분, 골재, 석분, 모래와 아스팔트가 혼합되어 생산된다.
따라서 아스콘을 생산하기 위해 아스팔트가 아스팔트 탱크로 부터 이송펌프에 의해 펌핑되고 분사가 가능하도록 아스팔트 탱크 내의 아스팔트, 계량설비 및 혼합설비를 항상 145℃±5℃를 유지해야 한다.
현재는 도시한 바와 같이 열매체오일을 히터로 가열하고, 이를 순환펌프로 순환시켜 간접가열을 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열매체오일을 160℃에서 170℃의 범위로 가열하고, 상기 가열된 열매체오일이 순환하면서 상기 아스팔트 탱크 내의 아스팔트, 계량설비 및 혼합설비를 145℃±5℃로 유지한다. 이때 열매체오일을 가열하는데 이용되는 상기 히터는 크게 세가지로 분류되며 석유류 히터, 가스 히터, 전기 히터가 있다.
종래 아스콘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아스팔트와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열에 있어서 문제점은 맹목적으로 24시간 가열을 하는 점과 아스팔트의 온도를 생산이 가능한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있는 점이다.
즉 아스콘을 생산하는 중에도 지속적으로 간접가열이 이루어지는 점과 간접가열을 위해 순환되는 열매체오일의 온도를 160℃에서 170℃의 범위로 정하고, 상기 열매체오일의 온도가 170℃가 넘어서면 히터를 오프하고, 아스팔트의 온도가 160℃가 되면 히터를 온시키는 방법으로 히터를 단순 설정온도에서 온/오프하는 점을 통해 고에너지 소비시설인 아스콘 생산시스템에 있어 에너지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결국 이와 같은 에너지의 낭비는 생산원가의 상승으로 작용하고 있다.
예를들어 아스콘의 생산 중에도 가열하는 것은 년간 생산량이 20만톤일 경우, 시간당 아스콘이 130ton이 생산되므로 1550시간 동안 필요없이 가열을 하게 되므로 현재 아스콘 생산 시스템은 20%이상의 에너지를 낭비하고 있다.
또한 저유소에서 탱크로리로 운반되는 아스팔트는 보통 155℃에서 160℃로 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는 아스팔트의 온도 145℃에 비해 10℃에서 15℃가 높으나 전혀 이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이 종래 아스콘 생산 시스템에 있어 보일러를 제어함으로써 낭비되는 에너지를 줄이고, 아스콘 생산에 투여되는 에너지를 절감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아스콘의 생산 중에는 가열을 멈추고, 아스팔트의 온도가 생산가능 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아스팔트의 축열을 이용하여 가열하도록 보일러의 히터와 열매체오일 순환펌프를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아스콘 생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스콘 생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열매체순환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의 구성과 연결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가동감지센서 20 : 온도감지센서
30 : 콘트롤박스 32 : 감지신호입력부
34 : 마이크로콘트롤러 36 : 제어신호출력부
38 : 인터페이스부 40 : 히터
42 : 히터콘트롤러 50 : 순환펌프
60 : 순환파이프 70 : 이송파이프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는 석회석분, 골재, 석분 및 모래를 저장하는 각각의 저장탱크, 아스팔트를 저장하는 아스팔트 탱크, 상기 석회석분, 골재, 석분, 모래 및 아스팔트를 계량하는 계량설비와 상기 계량설비에서 계량된 재료를 혼합하는 혼합설비로 이루어진 아스콘 생산설비, 상기 아스팔트 탱크 및 아스콘 생산설비를 가열하기 위한 열매체오일, 상기 열매체오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및 상기 열매체오일을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된 보일러로 이루어진 아스콘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 유무를 감지하는 가동감지센서(10); 상기 아스팔트 탱크 내에 저장된 아스팔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0); 상기 가동감지센서(10)의 감지신호와 상기 온도감지센서(2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32) 상기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34)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34)에서 입력받은 열매체오일을 가열하는 히터(40)와 상기 열매체오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36)를 포함하는 콘트롤박스(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트롤박스(30)는 사용자가 아스팔트의 온도 범위를 설정 내지 히터 및 순환펌프를 임의적으로 제어하거나, 현재 아스팔트의 온도, 히터 및 순환펌프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38); 내지 다른 정보처리장치와 데이타를 입출력하기 위한 통신모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은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는 가동감지센서(10), 온도감지센서(20), 콘트롤박스(30)로 이루어진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를 통한 히터 및 순환펌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는 준비가 된 상태에서 상기 가동감지센서(10)를 통하여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을 감지하고, 상기 온도감지센서(20)를 통하여 아스팔트 탱크에 저장된 아스팔트의 온도를 감지하는 가동/온도 감지 단계(S10); (b) 상기 (a)단계 이후에 상기 가동감지센서(10)의 감지신호에 의해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을 판단하는 아스콘 생산설비 가동 판단 단계(S20); (c)상기 (b)단계에서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이 시작된 경우 히터 및 순환펌프의 작동을 멈추는 보일러 유휴 상태 단계(S30); (d) 상기 (b)단계에서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이 멈춘상태인 경우 상기 (a)단계에서 온도감지센서(20)가 감지한 신호를 통해 아스팔트의 온도값을 측정하는 온도값 측정 단계(S40); (e) 상기 (d)단계에서 측정된 아스팔트의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범위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아스팔트온도 판단 단계(S50); (f) 상기 (e)단계에서 측정된 아스팔트의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범위에 속하는 경우 히터 및 순환펌프를 가동하는 보일러 가동 상태 단계(S60); 및 (g) 상기 (e)단계에서 측정된 아스팔트의 온도값이 설정된 온도범위 이상인 경우 히터의 가동은 멈추고, 순환펌프의 가동은 유지하는 보일러 반가동 상태 단계(S70);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아스콘 생산 시스템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아스콘 생산 시스템에 본 고안에 따른 아스콘 생산설비 가동감지센서(10), 아스팔트 온도감지센서(20), 콘트롤박스(30)를 부가한다.
상기 가동감지센서(10)는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계량설비 내지 혼합설비의 전원부와 연계되어 아스콘 생산설비를 가동시키기 위한전원의 입력으로 감지하거나,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동으로 아스콘 생산이 시작됨을 감지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에 따른 가동감지센서(10)는 어느 특정된 센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아스콘의 생산 중임을 감지할 수 있는 것이면 무엇이든 관계없고, 설치되는 위치 또한 계량설비 내지 혼합설비에 설치되거나, 아스콘의 생산이 시작되면 이송펌프에 의해 아스팔트가 아스팔트 탱크로부터 이송이 되므로 이송펌프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20)는 아스팔트 탱크에 저장된 아스팔트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어느 특정된 센서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대상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이용한다.
상기 콘트롤박스(30)는 상기 가동감지센서(10)와 아스팔트 온도감지센서(20)로 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된 신호에 따라 순환펌프와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콘트롤박스(30)는 이하 도 4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열매체순환계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것은 전기히터를 이용하여 아스콘 생산 시스템을 가열하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으로, 전기히터에서 가열된 열매체오일은 순환펌프에 의해 순환파이프(60)를 통해 순환이 되고, 가열된 열매체오일은 순환과정을 통해 아스팔트 탱크의 아스팔트, 이송파이프(70) 중에 있는 아스팔트 및 아스콘 생산설비와 열교환을 하여 아스팔트 및 아스콘 생산설비를 간접가열한다.
이때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일러 제어 장치는 아스팔트 탱크와아스콘 생산설비에 설치된 센서 및 순환펌프와 전기히터를 콘트롤박스에 연결하여, 아스팔트 탱크 내에 저장된 아스팔트의 온도에 따라 순환펌프 및 전기히터의 작동을 제어하고, 또한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에 따라 순환펌프 및 전기히터의 작동을 제어한다.
즉 콘트롤박스(30)는 아스팔트의 온도 및 아스콘 생산에 따라 순환펌프 및 전기히터의 온/오프 스위칭 역할을 한다.
도 4는 본 고안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의 구성과 연결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트롤박스(30)는 감지신호입력부(32), 마이크로콘트롤러(34), 제어신호출력부(36) 및 인터페이스부(38)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신호입력부(32)는 아스콘 생산설비에 설치된 가동감지센서(10)와 아스팔트 탱크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20)와 연결되어, 상기 센서들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입력받는다.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34)는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 유무 및 아스팔트의 온도에 따라 히터와 순환펌프를 제어하기 위한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감지신호입력부(32)로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신호처리된 값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신호출력부(36)는 히터를 제어하는 히터콘트롤러 및 순환펌프의 스위칭 회로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34)에서 출력되는 값에 따른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히터 및 순환펌프가 제어된다.
상기 도 4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콘트롤박스(30)에 공급되는 전원은 외부의 전원공급부(콘센트)에 직접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상기 히터콘트롤러 내지 순환펌프의 스위칭 회로의 전원공급부와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출력부(36)에서 출력되는 제어신호의 표현 상태는 히터ON/순환펌프ON, 히터OFF/순환펌프ON 및 히터OFF/순환펌프OFF로 세가지이다.
상기 히터ON/순환펌프ON은 아스콘이 생산되지 않는 상태에서 아스팔트의 온도가 설정온도 내에 있어 히터를 통해 열매체오일을 가열하는 상태이다. 예를 들어 설정온도가 140℃에서 145℃이고, 현재 감지된 아스팔트 온도가 상기 설정온도 범위에 있는 경우이다.
상기 히터OFF/순환펌프ON은 열매체오일을 아스팔트 탱크에 저장된 아스팔트에 축열된 열을 이용하여 아스팔트 이송파이프, 이송펌프 및 아스콘 생산설비를 가열하는 것이다.
보통 탱크로리로 운반되어 아스팔트 탱크에 저장된 아스팔트의 경우 아스팔트의 온도가 155℃~165℃이므로 아스콘을 생산할 수 있는 아스팔트 온도인 145℃와는 10℃~15℃의 차이가 나므로 이와 같이 온도차 만큼의 에너지를 이용하기 위하여 히터의 작동없이 순환펌프만 작동시킨다. 이때 순환되는 열매체오일의 온도는 145℃~155℃가 되어 아스팔트 이송파이프, 이송펌프 및 아스콘 생산설비를 히터의 작동없이 가열한다.
상기 히터OFF/순환펌프OFF는 아스콘 생산설비가 가동되어 아스콘을 생산하는중에는 보일러의 작동을 멈추는 것이다.
아스팔트 탱크에서 아스콘 생산설비로 아스팔트가 이송되는 시간은 불과 2분 내지 3분 이내 이므로 아스콘 생산 중에는 보일러의 작동이 없어도 아스콘의 생산에는 전혀 지장이 없다. 즉 아스팔트 탱크 내에 145℃의 아스팔트가 아스콘 생산설비로 이송되는 시간이 짧음으로 온도의 강하가 불과 5℃이내이므로 아스콘의 생산에 필요한 아스팔트 온도 내를 유지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38)는 사용자가 마이크로콘트롤러(34)에 저장된 제어프로그램의 설정값을 변경 내지 입력하거나 현재 상태 등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육안으로 현재 히터 및 순환펌프의 작동상태, 아스팔트의 온도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모니터 내지 계기판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정값을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콘트롤박스(30)는 외부 정보처리장치 즉 일반 컴퓨터, 휴대용 컴퓨터 내지 네트웍망과 연결하여 소정의 데이타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모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는 외부 컴퓨터 내지 내트웍에 연결된 경우 네트웍망에 접속된 컴퓨터를 통해 콘트롤박스(30)의 상태 및 히터 및 순환펌프의 작동 상태와 작동에 따른 데이타를 제공받을 수 있고, 아스팔트 온도의 설정값 등을 변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고안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의 작동순서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에 도시한 순서도는 본 고안 보일러 제어 장치를 통한 보일러 제어 방법의 순서를 보인 것으로 가동감지센서(10), 온도감지센서(20), 콘트롤박스(30)로 이루어진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를 통한 히터 및 순환펌프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가동/온도 감지 단계(S10); 아스콘 생산설비 가동 판단 단계(S20); 보일러 유휴 상태 단계(S30); 온도값 측정 단계(S40); 아스팔트 온도 판단 단계(S50); 보일러 가동 상태 단계(S60); 및 보일러 반가동 상태 단계(S70);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동/온도 감지 단계(S10)는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유무를 감지하는 가동감지센서(10)와 아스팔트 탱크에 저장된 아스팔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0)를 통하여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유무 및 아스팔트 온도를 감지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단계이다.
상기 아스콘 생산설비 가동 판단 단계(S20)는 상기 가동/온도 감지 단계(S10)에서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의 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가동/온도 감지 단계(S10)에서 가동감지센서(10)를 통해 입력받은 신호를 통해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유무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상기 보일러 유휴 상태 단계(S30)는 상기 아스콘 생산설비 가동 판단 단계(S20)에서 아스콘 생산설비가 가동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보일러를 구성하는 히터와 순환펌프를 작동을 멈추는 단계이다. 즉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으로 아스콘의 생산이 시작되면, 아스콘의 생산 시간 동안 아스팔트, 이송파이프, 이송펌프,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열을 멈추는 상태이다.
상기 온도값 측정 단계(S40)는 상기 아스콘 생산설비 가동 판단 단계(S20)에서 아스콘 생산설비가 가동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가동/온도 감지 단계(S10)에서 온도감지센서(20)를 통해 입력받은 신호를 통해 온도값을 측정한다. 즉 현재 아스팔트 탱크에 저장된 아스팔트의 온도값을 산출하는 단계이다.
상기 아스팔트 온도 판단 단계(S50)는 상기 온도값 측정 단계(S40)에서 산출된 온도값이 설정된 아스팔트 온도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예를들어 설정된 아스팔트 온도범위가 145℃~150℃이고, 산출된 온도값이 147℃이면 설정된 아스팔트 온도범위에 속하게 되고, 산출된 온도값이 153℃이면 설정된 아스팔트 온도범위를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단계는 현재 아스팔트의 온도가 설정된 아스팔트 온도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보일러 가동 상태 단계(S60)는 상기 아스팔트 온도 판단 단계(S50)에서 현재 아스팔트의 온도가 설정된 아스팔트 온도범위에 속하는 경우 히터 및 순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이다. 즉 열매체오일을 히터로 가열하고, 가열된 열매체오일을 순환펌프로 순환시켜 아스팔트 탱크내에 저장된 아스팔트를 간접가열한다. 이때 히터 및 순환펌프는 상기 아스팔트 온도 판단 단계(S50)와 연동되어 현재 아스팔트 온도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상기 보일러 반가동 상태 단계(S70) 상기 아스팔트 온도 판단 단계(S50)에서 현재 아스팔트의 온도가 설정된 아스팔트 온도범위에 속하는 않는 경우 히터의 작동은 멈추고 순환펌프만 작동시키는 단계이다. 즉 아스팔트 탱크 내에 저장된 아스팔트의 온도가 설정된 아스팔트 온도범위보다 높은 경우에 아스팔트의 높은 온도를 이용하여 이송파이프, 이송펌프 및 아스콘 생산설비를 가열시키 위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아스팔트보다 낮은 온도의 열매체오일을 순환펌프로 순환시키면 열매체오일이 아스팔트 탱크를 거치면서 아스팔트와 열교환을 하고, 열매체오일의 온도는 상승하게 된다. 이렇게 온도가 상승한 열매체오일은 이송파이프, 이송펌프 및 아스콘 생산설비를 간접가열하다. 이때 히터 및 순환펌프는 상기 아스팔트 온도 판단 단계(S50)와 연동되어 현재 아스팔트 온도에 따라 작동하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는 열매체오일의 온도에 따른 보일러의 단순 온/오프가 아닌 아스팔트의 온도 및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상황에 따라 실시간으로 보일러를 제어함으로써 아스팔트의 과가열을 방지하고, 탱크로리에서 높은 온도로 제공받은 아스팔트에 축열된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스콘의 생산시간 동안에는 보일러의 작동을 멈춰 불필요한 가열을 방지한다.
결국 아스콘을 생산함에 필요한 최소한의 가열상태를 유지함과 고온의 아스팔트의 축열에너지를 이용함으로 해서 맹목적으로 아스팔트 및 아스콘 생산설비를가열함에 따른 에너지의 낭비를 줄일 수 가 있고, 아스콘의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석회석분, 골재, 석분 및 모래를 저장하는 각각의 저장탱크,
    아스팔트를 저장하는 아스팔트 탱크,
    상기 석회석분, 골재, 석분, 모래 및 아스팔트를 계량하는 계량설비와 상기 계량설비에서 계량된 재료를 혼합하는 혼합설비로 이루어진 아스콘 생산설비,
    상기 아스팔트 탱크 및 아스콘 생산설비를 가열하기 위한 열매체오일, 상기 열매체오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 및 상기 열매체오일을 가열하는 히터로 구성된 보일러로 이루어진 아스콘 생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아스콘 생산설비의 가동 유무를 감지하는 가동감지센서(10);
    상기 아스팔트 탱크 내에 저장된 아스팔트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20);
    상기 가동감지센서(10)의 감지신호와 상기 온도감지센서(20)의 감지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32); 상기 입력부(32)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하는 마이크로콘트롤러(34);와 상기 마이크로콘트롤러(34)에서 입력받은 열매체오일을 가열하는 히터(40)와 상기 열매체오일을 순환시키는 순환펌프(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출력부(36);를 포함하는 콘트롤박스(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박스(30)는
    사용자가 아스팔트의 온도 범위를 설정 내지 히터 및 순환펌프를 임의적으로 제어하거나, 현재 아스팔트의 온도, 히터 및 순환펌프의 작동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38);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
KR20-2004-0021651U 2004-07-29 2004-07-29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 KR2003649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651U KR200364962Y1 (ko) 2004-07-29 2004-07-29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651U KR200364962Y1 (ko) 2004-07-29 2004-07-29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648A Division KR100624047B1 (ko) 2004-07-29 2004-07-29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962Y1 true KR200364962Y1 (ko) 2004-10-15

Family

ID=49439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651U KR200364962Y1 (ko) 2004-07-29 2004-07-29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96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492B1 (ko) * 2013-10-10 2015-05-21 호쿠신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팔트의 이송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492B1 (ko) * 2013-10-10 2015-05-21 호쿠신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아스팔트의 이송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82756C (zh) 具有改进的加热元件控制器的流体加热器
US9151506B2 (en) Water heater having a waterway changeove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CN102597635B (zh) 通过操作循环泵以控制热水温度的方法
CN104697177A (zh) 热水器的控制方法及控制系统及热水器
EP2902721A1 (en) Structur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ot- water supply from waste heat recovery system using three-way valve or mixing valve, and structure for controlling temperature of hot- water supply from waste heat recovery system using heat exchanger in hot- water tank
KR20110055377A (ko) 히터에 인가되는 펄스의 개수를 제어하는 온수공급장치 및 온수공급방법
JP2007198708A (ja) ハイブリッド給湯システム
KR100624047B1 (ko)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4879909A (zh) 燃气热水器
KR200364962Y1 (ko) 아스콘 생산 시스템의 보일러 제어 장치
KR100738892B1 (ko) 보일러의 온수 예열방법
JP2011058791A (ja) 温水供給装置及び温水供給方法
KR100629807B1 (ko) 냉매 공급 장치
KR20060092653A (ko) 온수기의 온도조절장치 및 온도조절방법
KR100448522B1 (ko) 온수기의 구동 제어장치
CN205002391U (zh) 混水装置及具有其的混水系统
KR20060117052A (ko) 아스콘 제조장치
CA3159476A1 (en) Modul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instantaneous hot water applications
CN204902265U (zh) 零冷水自我汇兑装置及具有其的零冷水自我汇兑系统
JP2007278674A (ja) 給湯装置
US7814869B2 (en) Hot water supply system
KR20040106651A (ko) 온수 공급시스템
KR100666130B1 (ko) 순간온수형 온수공급 제어장치 및 방법
KR20040106653A (ko) 온수 공급시스템
CN202166118U (zh) 热水供应系统及热水供应系统的控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