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4319Y1 - 안전급수밸브 - Google Patents

안전급수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4319Y1
KR200364319Y1 KR20-2004-0014228U KR20040014228U KR200364319Y1 KR 200364319 Y1 KR200364319 Y1 KR 200364319Y1 KR 20040014228 U KR20040014228 U KR 20040014228U KR 200364319 Y1 KR200364319 Y1 KR 200364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ving
guide
water supply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한길
Original Assignee
정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한길 filed Critical 정한길
Priority to KR20-2004-0014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43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4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43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7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rotational movement

Abstract

본 고안은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온수기 등의 급수장치에 장착되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아래로 향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로 연결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몸체와, 직선이동이 가능한 이동막대와, 상기 이동막대에 연결되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이동막대의 이동방향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막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막대로부터 대체로 상기 이동막대의 이동축선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배출구의 아래 뒤쪽에 위치하여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취수레버와, 상기 이동막대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이 가능한 받침부를 구비하는 이동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받침부재의 받침부가 상기 이동막대에 가깝게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부의 회전은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받쳐지는 급수밸브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안전급수밸브 {SAFE FAUCET VALVE}
본 고안은 급수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냉온수기 등의 급수장치에 장착되는 급수밸브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는 가열부를 거쳐 뜨거운 물이 배출되는 온수용 급수밸브와 냉각부를 거쳐 차가운 물이 배출되는 냉수용 급수밸브를 구비한다. 급수밸브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취수할 수 있도록 조작이 간편한 취수레버를 구비한다. 그러나 종래의 급수밸브는 별도의 안전장치를 구비하지 않아 사용자가 부주의하게 취수레버를 조작할 경우 온수에 의한 화상을 입을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일부 안전장치가 마련된 급수밸브도 제시되고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다.
본 고안의 목적은 취수레버의 원하지 않는 동작을 방지하는 안전한 급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세하게는 사용이 편리하고 구조가 간단한 개선된 안전장치를 갖는 급수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급수밸브의 사시도로서, 물이 배출되지 않는 안전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급수밸브의 분해 사시도
도3은 도1의 급수밸브의 단면도
도4는 도1의 급수밸브의 단면도로서, 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급수밸브 30 : 개폐부재
40 : 이동막대 50 : 제1 탄성부재
94 : 받침부 100 : 취수레버
109 : 지지부 210 : 제2 탄성부재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아래로 향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로 연결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몸체와, 직선이동이 가능한 이동막대와, 상기 이동막대에 연결되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이동막대의 이동방향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된 회전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막대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막대로부터 대체로 상기 이동막대의 이동축선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배출구의 아래 뒤쪽에 위치하여 외력에 의해 이동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취수레버와, 상기 이동막대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이 가능한 받침부를 구비하는 이동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받침부재의 받침부가 상기 이동막대에 가깝게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부의 회전은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받쳐지는 급수밸브가 제공된다.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이동받침부재가 결합되며 그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이동받침부재의 받침부가 그 사이에 위치하도록 나란하게 연장된 두 안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받침부재의 받침부와 상기 안내부재의 두 안내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안내홈에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안내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삽입날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받침부재는 제2 삽입날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부는 상기 제2 삽입날개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안내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안내홈의 끝단은 상기 이동받침부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막힐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이동받침부재가 상기 취수레버의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힘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수밸브는 상기 이동받침부재의 받침부가 상기 이동막대에 가깝게 위치하여 지지부의 회전이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이동받침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고정시키는 분리가능한 고정핀을 구비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급수밸브(10)는 몸체(20)와, 개폐부재(30)와, 이동막대(40)와, 제1 탄성부재(50)와, 지지부재(60)와, 결합부재(70)와, 안내부재(80)와, 이동받침부재(90)와, 취수레버(100)와, 제2 탄성부재(210)를 구비한다. 몸체(20)는 그 내부에 개폐부재(30)가 수용되는 수용공간(22)과, 수용공간(22)으로물이 유입되는 유입통로(24)와, 수용공간(22)으로부터 물이 배출되는 배출통로(26)를 구비한다. 수용공간(22)은 바닥면(221)과, 바닥(221)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측벽면(222)에 의해 형성된다. 수용공간(22)의 상단은 개방된다. 유입통로(24)는 수용공간(22)의 측벽면(222)에 연결되어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된다. 유입통로(24)의 끝단에는 암나사(241)가 형성되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에 결합된다. 배출통로(24)는 수용공간(22)의 바닥면(221)에 연결되어 대체로 상하로 연장된다. 몸체(20)의 상부에는 개방된 수용공간(22)의 상단을 감싸는 수나사(28)가 형성된다. 이 수나사(28)에 결합부재(70)가 결합된다. 유입통로(24)를 통해 유입된 물은 수용공간(22)을 거쳐 배출통로(26)를 통해 밖으로 배출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개폐부재(30)는 몸체(20)의 수용공간(22)과 대체로 비슷한 형상으로서, 바닥(32)과, 바닥(32)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측벽(34)을 구비한다. 바닥(32)의 아랫면은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볼록하게 곡면(예를 들면, 반구 또는 돔 형상임, 원뿔 또는 원뿔대 형상일 수도 있음)을 이룬다. 바닥(32)의 크기는 몸체(20)의 배출통로(26)를 충분히 막을 수 있도록 정해진다. 개폐부재(30)의 바닥(32) 내부에는 후술하는 이동막대(40)의 걸림돌기(48)가 수용되는 결합공간(321)이 마련된다. 바닥(32)에는 결합공간(321)으로부터 위로 통하며 후술하는 이동막대(40)의 연장부(46)가 지나가는 통로(322)가 마련된다. 이 통로(322)는 결합공간(321)보다 좁게 형성되어 결합공간(321)에 수용된 이동막대(40)의 걸림돌기(48)가 상하 이동을 함에 따라 개폐부재(30)의 바닥(32)도 함께 상하 이동하며 배출통로(26)를 열고 닫게 된다. 측벽(34)의 상부에는 대체로 수평방향 바깥쪽으로약간 연장되는 수평연장부(341)가 마련된다. 이동막대(40)가 위로 올라갈 때, 개폐부재(30)의 수평연장부(341)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히도록 변형되면서 바닥(32)이 함께 위로 올라가게 된다. 개폐부재(30)는 유연한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데, 예를 들면, 실리콘 고무나 탄성중합체(elastomer)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이동막대(40)는 상하로 연장된 기둥 형상으로서, 하단에는 바깥쪽으로 확장되어 윗면은 제1 탄성부재(50)와 접하고 아랫면은 개폐부재(30)의 바닥(32)과 접하는 확장부(44)가 마련된다. 확장부(44) 아래에는 개폐부재(30)의 바닥에 형성된 통로(322)를 지나가는 연장부(46)가 마련된다. 연장부(46) 끝단에는 연장부(46)보다 확장되며 개폐부재(30)의 바닥(32)의 결합공간(321)에 수용되는 걸림돌기(48)가 마련된다. 걸림돌기(48)의 끝단은 끝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볼록한데, 이것은 개폐부재(30)와 이동막대(40)를 결합할 때, 개폐부재(30)의 통로(322)를 통해 이동막대(40)의 걸림돌기(48)가 개폐부재(30)의 결합공간(321)으로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걸림돌기(48)가 상하이동함에 따라, 개폐부재(30)의 바닥(32)도 함께 상하이동하며 몸체(20)의 배출통로(26)를 열고 닫게 된다. 이동막대(40)의 상부 양측에는 후술하는 취수레버(100)의 두 걸림핀(110)이 각각 끼워지는 수용홈(42)이 각각 마련된다. 두 수용홈(42)은 상하로 연장되며 상단에 취수레버(100)의 걸림핀(110)이 걸리게 된다. 이동막대(40)의 양측에는 두 수용홈(42)의 하부에 연결되고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되며 일측이 개방된 연결홈(43)이 각각 마련된다. 이 연결홈(43)을 통해 취수레버(100)의 걸림핀(110)이 수용홈(42)으로 끼워질 때 안내된다. 이동막대(40)에서 수용홈(42)이 위치하는 상부는 후술하는 지지부재(60)의 관통구멍(621)을 통해 몸체(20) 외부로 돌출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제1 탄성부재(5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서 이동막대(40)에 끼워지며 양단은 각각 이동막대(40)의 확장부(44)와 지지부재(60)의 바닥판(62)에 접한다. 제1 탄성부재(50)는 평상시에는 개폐부재(30)가 배출통로(26)를 계속 막고 있도록 이동막대(40)를 아랫방향으로 민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지지부재(60)는 원형의 바닥판(62)과, 바닥판(62)으로부터 위로 세워진 연장벽(64)을 구비한다. 바닥판(62)의 중심부에는 이동막대(40)가 지나가는 관통구멍(621)이 마련된다. 바닥판(62)의 아랫면에는 관통구멍(621)이 형성된 보스(622)와, 보스(622) 주위에 형성된 고리형 홈(623)이 마련된다. 고리형 홈(623)에 제1 탄성부재(50)의 일측이 끼워진다. 고리형 홈(623)의 바깥쪽에 개폐부재(30)의 상단이 접한다. 바닥판(62)은 연장벽(64)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연장벽(64)보다 바깥으로 더 확장된 부분의 윗면이 후술하는 결합부재(70)의 고리형 판(72)의 아랫면에 접하게 된다. 연장벽(64)은 관통구멍(621)을 가운데 두고 대체로 'ㄷ'자형을 이루며 세어져 일측이 개방된다. 이 개방된 일측을 통해 조립시 취수레버(100)의 걸림핀(110)이 이동막대(40)의 연결홈(43)으로 끼워진다. 개방된 일측의 반대편 벽면(642)에 취수레버(100)의 결합부(108) 끝단이 근접하여 후술하는 취수레버(100)의 걸림부(102)가 앞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게 된다. 연장벽(64)의 개방된 일측의 반대편 바깥에는 걸림벽(644)이 마련된다. 이 걸림벽(644)이 후술하는 안내부재(80)의 걸림홈(821)에 끼워져, 안내부재(80)가 따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결국 취수레버(100)와 안내부재(80)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막는다.연장벽(64)의 양쪽 외측면 앞뒤에는 결합돌기(641)가 마련된다. 결합돌기(641)의 아랫면은 후술하는 결합부재(70)를 조립했을 때 결합부재(70)의 고리형 판(72)의 윗면에 닿아 걸리게 된다. 결합돌기(641)의 위쪽면은 위로 갈수록 안으로 가도록 경사면을 이룬다. 이것은 지지부재(60)와 결합부재(70)를 조립할 때, 지지부재(60)의 결합돌기(641)가 후술하는 결합부재(70)의 관통구멍(76)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덮개 역할의 결합부재(70)는 관통구멍(76)이 마련된 고리형 판(72)과 고리형 판(72)으로부터 아래로 연장된 측벽(74)을 구비한다. 측벽(74)에는 암나사(741)가 형성되어 몸체(20)의 상부에 마련된 수나사(28)에 결합된다. 고리형 판(72)의 아랫면에 지지부재(60)의 바닥판(62)의 윗면이 접하고, 관통구멍(76)을 통해 지지부재(60)의 연장벽(64)이 위로 돌출된다. 이 결합부재를 결합하면, 개폐부재(30), 이동막대(40), 제1 탄성부재(50), 지지지부재(60)가 빠지지 않게 수용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안내부재(80)는 지지부재(60)의 연장벽(64)을 감싸며 결합되는 고리부(82)와, 고리부(82)로부터 외측으로 나란하게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두 안내부(84)와, 두 안내부(84)를 연결하는 연결부(86)를 구비한다. 고리부(82)의 안쪽 벽면에는 지지부재(60)의 걸림벽(644)이 끼워지는 걸림홈(821)이 마련된다. 걸림홈(821)에 지지부재(60)의 걸림벽(644)이 끼워짐으로써, 안내부재(80)와 지지부재(60)가 따로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취수레버(100) 작동시 취수레버(100)와 안내부재(80)가 서로 간섭하는 것을 막을 수 있어 편리하다. 그렇지만 본 고안은 지지부재(60)가 따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 위의 구성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부재(60)에 걸림벽(644)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 고리부(82)의 안쪽 벽면의 형상을 지지부재(60)의 연장벽(64)과 동일하게 'ㄷ'자형으로 하여 안내부재(80)와 지지부재(60)가 따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두 안내부(84)가 서로 마주보는 면과 그 반대면에는 각각 안내부(84)의 연장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1 안내홈(841)과 제2 안내홈(842)이 마련된다. 제1 안내홈(841)은 바깥쪽 끝단은 개방되며 후술하는 이동받침부재(90)의 두 제1 삽입날개(941)가 끼워진다. 제2 안내홈(842)은 양 끝단이 막혀 있으며 후술하는 이동받침부재(90)의 두 제2 삽입날개(962)가 끼워진다. 연결부(86)의 윗면에는 결합구멍(87)이 마련된다. 이 결합구멍(87)에 후술하는 고정핀(200)을 끼울 수 있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안내부재(80)와 이동받침부재(9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연결부(86)의 앞면에는 수용홈(861)이 마련된다. 이 수용홈(861)에 압축코일스프링인 제2 탄성부재(210)의 일측이 수용된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이동받침부재(90)는 대체로 수직으로 세워진 지지판(92)과, 지지판(92)으로부터 대체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받침부(94)와, 지지판(92)으로부터 받침부(94) 양쪽에 연장된 측판(96)을 구비한다. 지지판(92)의 뒷면에는 제2 탄성부재(210)의 일측이 수용되는 수용홈(921)이 마련된다. 받침부(94) 양측에는 안내부재(80)의 제1 안내홈(841)에 끼워지도록 돌출된 제1 삽입날개(941)가 마련된다. 받침부(94)에는 지지판(92)에 가까운 쪽에 형성된 관통구멍(949)이 마련된다. 이 관통구멍(949)은 받침부(94)가 후술하는 취수레버(100)의 지지부(109)를 밑에서 받칠 때 안내부재(80)의 결합구멍(87)과 동일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때, 이 관통구멍(949)에 끝단이 안내부재(80)의 결합구멍(87)에 삽입되는 고정핀(200)을 끼울 수 있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이동받침부재(90)와 안내부재(80)가 고정된다. 두 측판(96) 안쪽에는 안내부재(80)의 제2 안내홈(842)에 끼워지도록 돌출된 제2 삽입날개(962)가 각각 마련된다. 이동받침부재(90)는 안내부재(80)의 제1 안내홈(841) 및 제2 안내홈(842)의 연장방향을 따라 직선이동하며 이동막대(40)와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된다. 이동받침부재(90)가 이동함에 따라 받침부(94)는 후술하는 취수레버(100)의 지지부(109) 아래에 위치하거나, 취수레버(100)의 지지부(109)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제2 탄성부재(21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서 일측은 안내부재(80)의 수용홈(861)에 수용되고, 반대측은 이동받침부재(90)의 수용홈(921)에 수용된다. 제2 탄성부재(210)는 이동받침부재(90)를 바깥쪽(후술하는 취수레버(100)의 지지부(109)로부터 멀어지는 쪽)으로 민다. 제2 탄성부재(210)에 의해 평상시에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받침부재(90)의 받침부(94)가 취수레버(100)의 지지부(109)로부터 이격되어 있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취수레버(100)는 몸체(20)의 아래 뒤쪽(수용공간(22)으로부터 유입통로(24)가 연장되는 쪽)에 대체로 수평으로 연장된 걸림부(102)와, 걸림부(102) 양끝으로부터 위로 연장된 상향 연장부(104)와, 두 연장부(104)의 위쪽 끝단을 연결하는 상부 연결부(106)와, 연결부(106) 중앙에 마련된 결합부(108)를 구비한다. 결합부(108)는 연결부(106)의 아래쪽에 연결부(106)로부터 약간뒤로 연장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동받침부재(90)의 받침부(94)에 닿아 받쳐지는 받침점 역할을 하는 모서리(1090)를 갖는 지지부(109)와, 지지부(109) 뒤쪽에 위치하는 두 개의 다리(111)를 구비한다. 두 다리(111)는 나란하게 아래로 연장되며 두 다리(111)에는 서로 마주보며 돌출된 걸림핀(110)이 구비된다. 두 걸림핀(110)은 이동막대(40)의 두 수용홈(42)에 수용되어 결합된다. 두 걸림핀(110)은 이동막대(40)의 두 수용홈(42) 내에서 이동막대(40)의 이동방향과 대체로 수직을 이루는 축(즉 두 걸림핀의 연장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지지부(109) 아래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받침부재(90)의 받침부(94)가 놓이게 되면, 취수레버(100)의 걸림부(102)를 뒤쪽으로 밀었을 때 걸림핀(110)이 위로 올라가게 된다. 바람직하기로는 걸림부(102) 또는 연장부(104)의 하부의 무게를 무겁게 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에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취수레버가 자중에 의한 회전력으로 원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제, 도3과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3을 참조하면 받침이동부재(90)가 앞쪽에 위치하여 받침부(94)와 취수레버(100)의 지지부(109)와 떨어져 있다. 이 상태에서 제1 탄성부재(50)가 이동막대(40)를 아래로 밀고 있으므로 개폐부재(30)의 바닥(32)이 아래로 밀려 배출통로(26)를 막아 물이 배출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취수레버(100)의 걸림부(102)를 뒤로 밀면 취수레버(100)의 걸림핀(110)은 제자리에서 회전하게 되어(도3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상태 참조) 개폐부재(30)는 계속해서 배출통로(26)를 막고 있어 물은 여전히 배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뜻하지 않는 조작의 실수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취수레버(100)의 걸림부(102)를 앞으로 당길 경우 취수레버(100)의 지지부(109)와 다리(111)가 지지부재(60)의 연장벽(64)의 안쪽 벽면(642)에 걸려 취수레버(100)는 움직이지 않게 되어 물은 배출되지 않는다.
한편 받침이동부재(90)를 이동막대(40) 쪽으로 밀면, 제2 탄성부재(210)의 힘을 이기고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받침부재(90)의 받침부(94)가 취수레버(100)의 지지부(109) 아래에 놓이게 된다. 이 상태에서 취수레버(100)의 걸림부(102)를 뒤쪽으로 밀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수레버(100)의 지지부(109)의 앞쪽 아래 모서리가 이동받침부재(90)의 받침부(94)에 지지되며 취수레버(100)의 걸림핀(110)이 위로 올라가게 된다. 걸림핀(110)이 위로 올라감에 따라 이동막대(40)도 제1 탄성부재(50)의 힘을 이기고 위로 이동한다. 이때, 개폐부재(30)는 수평연장부(341)가 접히면서 바닥(32)이 함께 위로 올라가 배출통로(26)가 개방되어 물이 배출된다. 이 상태에서 취수레버(100)의 걸림부(102)를 뒤쪽으로 밀던 힘을 제거하면 제1 탄성부재(50)의 힘에 의해 개폐부재(30)의 바닥(32)이 다시 아래로 내려가 배출통로(26)를 닫아 물의 배출을 막는다. 이때, 취수레버(100)의 걸림핀(110) 역시 아래로 내려가 취수레버(100)의 걸림부(102)도 앞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이동받침부재(90)를 밀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제2 탄성부재(210)의 힘에 의해 이동받침부재(90)는 도3에 도시된 상태로 다시 돌아가게 된다. 만일, 받침이동부재(90)를 이동막대(40) 쪽으로 밀고 있는 상태에서 분리가능한 고정핀(200)을 이동받침부재(90)의 관통구멍(949)과 안내부재(80)의 결합구멍(87)에 끼우면, 이동받침부재(90)와 안내부재(80)가 고정되어 이동받침부재(90)를 누르고 있을 필요없이취수레버(100)만 작동시켜 취수할 수 있다. 이는 의도적으로 안전장치 기능을 일시적으로 해제할 수 있게 함으로 편리하다.
본 고안의 구성을 따르면 앞에서 기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동 가능한 받침부의 위치에 따라 취수레버의 조작에 의한 물의 배출가능 여부가 결정되므로 부주의한 조작으로 인해 배출된 온수에 의한 화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취수레버의 걸림부가 앞으로 당겨져 배출구를 지나가는 것이 방지되므로 온수에 의한 화상을 더욱 잘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물이 배출되는 상태를 계속 유지시키기 위한 고정핀이 마련되므로 필요한 경우에는 안전장치를 해제하여 보다 신속하고 편리하게 취수가 가능하도록 해준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6)

  1. 아래로 향한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로 연결되는 통로를 구비하는 몸체와,
    직선이동이 가능한 이동막대와,
    상기 이동막대에 연결되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함으로써 상기 통로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부재와,
    상기 이동막대의 이동방향과 대체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선(axis)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동막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받침점을 갖도록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연결되며 상기 몸체의 배출구의 아래 뒤쪽에 위치하여 외력을 작용시키기에 적합한 걸림부를 구비하는 취수레버와,
    외력에 의해 상기 이동막대와 가까워지도록 이동이 가능하며 받침부를 구비하는 이동받침부재를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이동받침부재의 받침부가 상기 이동막대에 가깝게 위치한 상태에서 지지부의 받침점이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받쳐지며 취수레버의 회전이 가능하게 되는 급수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받침부재가 결합되며 그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는 급수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이동받침부재의 받침부가 그 사이에 위치하도록 나란하게 연장된 두 안내부를 구비하며, 상기 이동받침부재의 받침부와 상기 안내부재의 두 안내부 중 어느 하나에는 제1 안내홈에 마련되며 다른 하나에는 상기 제1 안내홈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 삽입날개가 마련되는 급수밸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받침부재는 제2 삽입날개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안내부재의 안내부는 상기 제2 삽입날개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 안내홈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안내홈의 끝단은 상기 이동받침부재가 이탈하지 않도록 막힌 급수밸브.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받침부재가 상기 취수레버의 지지부로부터 멀어지도록 힘을 가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급수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받침부재와 상기 안내부재에는 상기 이동받침부재의 받침부가 상기 이동막대에 가깝게 위치하여 지지부의 회전이 상기 받침부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서로 정렬되는 구멍이 마련되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고정핀으로 상기 이동받침부재와 상기 안내부재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한 급수밸브.
KR20-2004-0014228U 2004-05-21 2004-05-21 안전급수밸브 KR200364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228U KR200364319Y1 (ko) 2004-05-21 2004-05-21 안전급수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228U KR200364319Y1 (ko) 2004-05-21 2004-05-21 안전급수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4319Y1 true KR200364319Y1 (ko) 2004-10-08

Family

ID=49438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228U KR200364319Y1 (ko) 2004-05-21 2004-05-21 안전급수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43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675B1 (ko) 2005-05-03 2007-04-06 이성주 정수기용 온수코크
KR100825936B1 (ko) 2006-04-18 2008-04-29 심규덕 콕크
KR100889807B1 (ko) 2008-03-10 2009-03-20 채기훈 정수기용 안전 온수코크 및 그 사용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675B1 (ko) 2005-05-03 2007-04-06 이성주 정수기용 온수코크
KR100825936B1 (ko) 2006-04-18 2008-04-29 심규덕 콕크
KR100889807B1 (ko) 2008-03-10 2009-03-20 채기훈 정수기용 안전 온수코크 및 그 사용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519485A (ja) 液体加熱用のベッセルおよび電気製品
US6984153B2 (en) Electrical accessory
KR20130136405A (ko) 음료 용기의 마개체
JP2007522399A (ja) 圧力容器の密閉器具
KR200364319Y1 (ko) 안전급수밸브
KR200478524Y1 (ko) 냉수 및 정수 겸용 코크
RU2458199C2 (ru) Паровой утюг с впускным отверстием на задней стороне
KR101091367B1 (ko) 정수기용 안전온수코크밸브
KR101828430B1 (ko) 냉온수기용 온수안전 코크
KR101303923B1 (ko) 냉온수기 및 정수기용 터치 세이프티 코크 밸브
KR101686052B1 (ko) 온수용 안전꼭지
KR100919089B1 (ko) 정수기용 안전 온수 코크 밸브
ES2297070T3 (es) Lavavajillas integrado en el fregadero con cierre incorporado.
KR101692527B1 (ko) 코크 안전장치
JP6795196B2 (ja) 排水栓装置
KR20130000756U (ko) 휴대용 가스 스토브장치
KR200199497Y1 (ko) 가스기기의 가스누출 방지장치
KR102166514B1 (ko) 압력솥
CN209733592U (zh) 蒸汽阀及烹饪器具
CN217447365U (zh) 食物处理机
KR200485480Y1 (ko) 이중 안전 온수 코크
KR102035516B1 (ko) 정수기용 온수 안전 파우셋
US11897674B2 (en) Push-button locking cup lid and thermos cup
KR20180055003A (ko) 코크 안전장치
CN208286874U (zh) 防烫水龙头和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