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691Y1 -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등기구 - Google Patents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등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691Y1
KR200363691Y1 KR20-2004-0018202U KR20040018202U KR200363691Y1 KR 200363691 Y1 KR200363691 Y1 KR 200363691Y1 KR 20040018202 U KR20040018202 U KR 20040018202U KR 200363691 Y1 KR200363691 Y1 KR 2003636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lamp
food
reflector
cover body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2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영덕
윤영일
차무경
Original Assignee
유니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182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6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6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6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025Associated optic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8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 H01J61/40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by light filters; by coloured coatings in or on the envelo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52Cooling arrangements; Heating arrangements; Means for circulating gas or vapour within the discharge space
    • H01J61/523Heating or cooling particular parts of the lamp

Landscapes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전램프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으며, 또한 방전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다양한 색상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방전램프용 등기구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상기 방전램프가 끼워져 접속되는 단자대를 가지는 제 1커버체 및 상기 제 1커버체의 외경에 공간부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제 2커버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커버체내에는 방전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측면반사판과 후면반사판이 각각 분리되어 설치 구성되며, 상기 측면반사판과 후면반사판의 사이에는 상기 방전램프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방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 등기구{a discharge lamp for food}
본 고안은 방전램프용 등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전램프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될 수 있으며, 또한 방전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다양한 색상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음식용 및 식품용에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 등기구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방전램프는 발광관(Arc Tube)과 외구(Bulb) 및 그 지지체로 구성된 것으로서, 상기 발광관의 내부에는 수은과 함께 적정한 가스(Ar, Kr, Xe or Mixing)및 용도에 따라 할로겐화합물이 봉입되고, 양단에는 램프의 용도에 따라(DC, AC Type) 한 쌍의 전극이 봉입되어 전극의 양 끝단을 밀봉하게 된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와같이 구성된 방전램프는 사용시 일정조도 이상의 빛과 함께 고온의 열을 방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전램프는 통상 별도의 등기구에 설치되어 지는 바, 이러한 종래 등기구의 구조를 간략히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등기구는 돔형상(혹은 종모양)을 가지며 상단에는 방전램프가 접속되어 지는 단자가 구비되어 있는 반사판과, 상기 반사판의 하단부에 연장 형성되며 천정등에 매립되는 천정의 마감을 위하여 테두리부가 일체로 연장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하지만 이와 같이 제작된 등기구는 반사판이 밀폐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방전램프에서 발산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에 불리한 구조를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방전램프가 설치된 등기구를 음식용으로 사용할경우에는 램프에서 발산되는 고온의 열로 인해 음식이 상하게 됨으로서 음식용이나 식품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또한 램프에서 발산되는 열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되지 않을 경우에는 램프의 전압상승을 가져와 램프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 또한 내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반사판의 분리가 불가능하여 다양한 색상 구현을 기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제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방전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는 측면반사판과 후면반사판의 사이에 방출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분리 구성함으로서 방전램프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한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 등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색상으로 코팅 처리된 측면반사판을 등기구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 구성함으로서 필요에 따라 다른 색상을 가진 측면반사판으로 교체시켜 음식물의 다양한 색상구현을 기대할 수 있는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 등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방전램프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방전램프가 끼워져 접속되는 단자대를 가지는 제 1커버체 및 상기 제 1커버체의 외경에 공간부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제 2커버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1커버체내에는 방전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측면반사판과 후면반사판이 각각 분리되어 설치 구성되며, 상기 측면반사판과 후면반사판의 사이에는 상기 방전램프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방출구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의한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등기구 전체구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절개하여 방전램프 등기구의 조립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의 B-B선을 따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주요구성을 이루는 측면반사판 및 후면반사판의 길이와 상호간의 삽입깊이 및 방출구의 간격치수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방전램프 12: 제 1커버체
16: 제 2커버체 22: 측면반사판
24: 절곡부 26: 걸림홈
28: 후면반사판 100: 방전램프용 등기구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을 한다.
우선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등기구는 방전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을 측면반사판과 후면반사판으로 각각 분리 구성하여 측면반사판과 후면반사판사이에 방출구가 형성되도록 구성함으로서 방전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도록 함과 측면반사판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 구성하여 필요에 따라 다른 색상이 코팅 처리된 측면반사판으로 교체 가능토록 함으로서 음식물의 다양한 색상구현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한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 등기구를 제안하고자 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앞서 제안한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 등기구 구조의 상세구성은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상기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인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 등기구(100)는 통상 천정에 매립되는 것으로서 원통의 형상을 가지며 내부가 비어있는 제 1커버체(12)와, 상기 제 1커버체(12)의 외경에 공간부(13)를 가지도록 끼워지며 연결핀(14)으로 상호 연결 구성되는 제 2커버체(16)로 외형을 이룬다. 여기서 상기 제 1커버체(12)의 상단에는 방전램프(10)가 끼워져 접속되기 위한 단자대(18)를 가지는 브라켓(20)이 설치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커버체(16)에는 등기구(100)의 천정 매립시 천정마감재(a)가 얹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2커버체(12,16)의 재질은 다양한 재질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에서는 강화유리를 사용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하며, 또한 빛이 부드럽게 확산되도록 하고 전면으로 향하는 열을 방지하기 위해 강화유리면에 샌딩(Sanding)처리 또는 미스트(Mist)처리가 전체면적의 80%이상 처리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한 제 1, 2커버체(12, 16)의 형상은 앞서 언급한 원형의 형상으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외 사각이나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또한 후술하겠지만 상기 제 1커버체(12)에 삽입되는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 역시 상기 제 1, 2커버체(12, 16)와 동일한 형상 즉, 원형이나 사각등 다양한 형상으로 성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커버체(12)내에는 상기 방전램프(10)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이 각각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측면반사판과 후면반사판은 상기 제 1커버체내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 구성함이 바람직한 바, 이러한 착탈구조를 기술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상기 측면반사판(22)의 하단에는 절곡부(24)가 상향으로 180°밴딩 처리되어 있으며, 이 절곡부(24)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2커버체(12, 16)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핀(14)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ㄴ"형상의 걸림홈(26)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즉,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측면반사판(22)은 탈착시, 상기 측면반사판(22)을 잡고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연결핀(14)에 구속되어 있는 걸림홈(26)의 걸림이 해지되어 짐으로서 간편히 탈착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반사판(28)은 브라켓(20)과 볼트로 체결되어 필요에 따라 착탈 가능하게 설치 되어진다.
즉, 상기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을 상호 착탈가능하고 또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에 따라 상기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의 사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방출구(30)가 형성되어 지며, 따라서 방전램프(10)의 사용과정에서 발생한 고온의 열은 상기 방출구(30)를 통해 외부로 효과적으로 배출됨으로서 음식용이나 식품용으로 사용하여도 램프(10)의 열로 인한 음식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또한 방전램프(10)의 사용수명 역시 연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의 내경에는 반사되는 빛이 일정한 색상을 가질 수 있도록 별도의 색상코팅층(22a, 28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측면반사판(22)에 형성된 색상코팅층(22a)이 별도의 무늬가 없으며, 상기 후면반사판(28)의 색상코팅층(28a)은 불규칙 혹은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와 같이 착탈 가능한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에 각각의 색상코팅층(22a, 28a)을 형성하여 구성함으로서 필요에 따라 다른 색상코팅층을 가진 측면반사판과 후면반사판으로 교체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방전램프(10)에서 발생한 빛은 상기 교체되는 측면반사판과 후면반사판의 다양한 색상코팅층에 의해 음식종류에 맞는 색상으로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측면반사판(22)의 색상코팅층(22a)에 무늬가 없도록 형성한 것은 램프(10)에서 발생되는 빛의 난반사를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기 후면반사판(28)의 색상코팅층(28a)을 불규칙 혹은 규칙적인 무늬를 가지도록 형성한 것은 빛의 부드러움과 함께 빛이 최적의집광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인 등기구(100)가 최적의 열 방출 및 색상효율을 가질 수 있도록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의 길이와 상호간의 삽입깊이, 그리고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의 사이에 형성된 방출구(30) 간격치수를 한정하여 대표적으로 하나의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즉,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반사판(22)의 길이(a1)는 70~110mm로 제작하고, 상기 후면반사판(28)의 길이(a2)는 상기 측면반사판(22)의 45~55%에 해당하는 길이 즉, 31.5mm~60.5mm를 가지도록 제작한다. 또한 상기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을 제 1커버체(12)내에 설치할 경우에는 상기 후면반사판(28)은 상기 측면반사판(22)내에 0.5~15mm만큼 삽입깊이(a3)를 가지도록 설치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상기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의 사이에 형성된 방출구(30)의 간격역시 상기 삽입깊이(a3)의 치수와 동일한 0.5~15mm만큼의 간격을 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상기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의 길이(a1, a2)와 삽입깊이(a3) 그리고 방출구(30)의 간격이 언급한 치수에 해당하도록 구성함으로서 본 고안인 등기구(100)는 최적의 열 방출과 색상효율을 가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라 앞서 제안한 등기구의 구조는 천정에 매립되는 등기구(일명 매립등)로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외 천정에서 일정길이 이상 떨어져 매달린 상태의 등기구(일명 펜던트)의 구조에도 접목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실내용외 실외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것들은 본 고안인 속한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일 것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방전램프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는 측면반사판과 후면반사판의 사이에 방출구가 형성되도록 상호 분리 구성함으로서 방전램프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음식용이나 식품용으로 사용시 상기 열로 인한 음식물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램프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각각의 색상코팅층을 가지는 측면반사판과 후면반사판을 등기구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 구성함으로서 필요에 따라 다른 색상을 가진 측면반사판과 후면반사판으로 교체시켜 음식물의 다양한 색상구현을 기대할 수 있는 상승적인 효과를 가지는 바, 이를 몇가지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제빵용 - 등기구 반사판: Gold계열coating + Color메탈램프(제빵조명용): yellow red color
2)채소, 과일용 - 등기구 반사판: Silver계열coating + Color메탈램프(채소 조명용): Green color
3)식육(육류)용 - 등기구 반사판: Gold계열coating + Color메탈램프(식육 조명용): red color
4)등푸른생선용 - 등기구 반사판: Silver계열coating + Color메탈램프(생선 조명용): Blue color
5)기타 : 음식(식품)고유의 색상에 따른 등기구의 반사판 설계 및 색상 재현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사용되는 등기구는 등기구로부터 50이상거리(음식이 놓이는 위치)발생하는 열이 없다.(등기구에서 0.5~1.5m거리에서 상온 유지됨)
또한 상기와 같은 등기구는 램프의 효율을 최대화하여 음식용 램프에 맞는 색상(색온도 및 색좌표) 및 밝기(광속)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방전램프용 등기구에 있어서,
    상기 방전램프(10)가 끼워져 접속되는 단자대(18)를 가지는 제 1커버체(12) 및 상기 제 1커버체(12)의 외경에 공간부(13)를 가지도록 설치되는 제 2커버체(16)로 구성되며;
    상기 제1커버체(12)내에는 방전램프(10)에서 발생한 빛을 반사시키기 위한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이 각각 분리되어 설치 구성되며;
    상기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의 사이에는 상기 방전램프(10)에서 발생한 열이 외부로 방출되도록 방출구(30)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 등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반사판(22)의 하단은 절곡부(24)가 상향으로 밴딩 처리되어 형성되며, 상기 절곡부(24)의 양측에는 상기 제 1, 2커버체(12, 16)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연결핀(14)에 걸림 고정되기 위한 걸림홈(26)이 형성되도록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 등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반사판(22)과 후면반사판(28)의 내면에는 각각의 색상코팅층(22a, 28a)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 등기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반사판(22)의 길이(a1)는 70~110mm 이며, 상기 후면반사판(28)의 길이(a2)는 31.5~60.5mm로 제작하고, 상기 후면반사판(28)은 측면반사판(22)내에 0.5~15mm 만큼의 삽입깊이(a3)를 가지도록 설치 구성하고, 상기 후면반사판(28)과 측면반사판(22)의 사이 방출구(30)간격은 0.5~15mm 만큼 이격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 등기구.
KR20-2004-0018202U 2004-06-28 2004-06-28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등기구 KR2003636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202U KR200363691Y1 (ko) 2004-06-28 2004-06-28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등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202U KR200363691Y1 (ko) 2004-06-28 2004-06-28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등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691Y1 true KR200363691Y1 (ko) 2004-10-06

Family

ID=49438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202U KR200363691Y1 (ko) 2004-06-28 2004-06-28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등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6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4800B2 (en) LED linear lamp with up and down illumination
TWI464348B (zh) 管狀發光二極體照明總成
US20140177227A1 (en) Spherical lamp with easy heat dissipation
AU2009249556A1 (en) Lens with TIR for off-axial light distribution
KR101005324B1 (ko) Led 조명램프
JP2012226892A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US9695990B2 (en) Arrangement for light emission
JP6293361B2 (ja) ランプ及び照明器具
JP5949025B2 (ja) 照明装置および照明器具
WO2015003608A1 (zh) 一种led灯具
US20130016505A1 (en) LED Module for Spotlights
JP6467750B2 (ja) 照明器具
KR200464527Y1 (ko) 엘이디등기구용 엠보싱 반사갓
KR200363691Y1 (ko) 음식용 및 식품용 방전램프의 열방사 및 효율 최적화등기구
KR20120124233A (ko) 기둥형 led 등기구
JP2003123505A (ja) 照明器具
US20100008091A1 (en) Fluorescent lamp having bulb whose end portion to which stem mount is welded, and a lighting apparatus having the fluorescent lamp
KR20110093590A (ko) 엘이디조명장치
KR200377203Y1 (ko) 터널용 조명등기구
JP2004127751A (ja) 投光器
TWI812361B (zh) 多光源照明裝置
CN216671667U (zh) 一种pcb基板承载式led发光体
CN215489396U (zh) 一种吸顶灯
KR101049831B1 (ko) 엘이디조명장치
KR101211465B1 (ko) 형광등 형태의 led 조명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