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584Y1 -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584Y1
KR200363584Y1 KR20-2004-0018799U KR20040018799U KR200363584Y1 KR 200363584 Y1 KR200363584 Y1 KR 200363584Y1 KR 20040018799 U KR20040018799 U KR 20040018799U KR 200363584 Y1 KR200363584 Y1 KR 2003635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tray
hanger
cable
fastening grooves
coupl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87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언
Original Assignee
아인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인텍(주) filed Critical 아인텍(주)
Priority to KR20-2004-00187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5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5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08Joints for connecting non cylindrical conduits, e.g. channe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Abstract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면이나 천정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 프레임과 행거의 결합 구조를 나사식으로 변경하여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적재 및 보관시에는 공간을 확보하여 많은 양의 케이블 트레이의 적재 및 보관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인건비를 줄여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사용하고난 후에는 분해되어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A cable tray}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면이나 천정을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 프레임과 행거의 결합 구조를 나사식으로 변경하여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적재 및 보관시에는 공간을 확보하여 많은 양의 케이블 트레이의 적재 및 보관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인건비를 줄여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사용하고난 후에는 분해되어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선박 및 해양구조물 등에는 전원공급이나 유체등의 공급을 위해 크고 작은 직경의 케이블이 천정 및 바닥 또는 벽체를 따라 배치되며, 이렇게 배치되는 케이블은 미관이나 통행자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기 위해 케이블 트레이(Tray)를 사용하여 천정등의 벽체를 따라서 배치되게 하는 것은 주지된 사실이다.
상기와 같이 각종 케이블을 용이하게 배선하는 종래 케이블 트레이는 크게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측면 프레임과, 상기 측면 프레임 사이에 형성되는 행거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각종 케이블을 용이하게 배선할 수 있다는 잇점은 있으나, 측면 프레임과 행거를 연결시 그 연결 방법이 용접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용접을 통한 케이블 트레이는 단일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적재 공간을 그만큼 많이 차지할 뿐 아니라 보관이 불편하다는 점과, 용접에 필요한 인력이 투입됨으로 생산원가가 상승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용접에 의한 연결 구조를 갖는 케이블 트레이는 사용하고난 후 폐기처분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큰 손실이 따르는 제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벽면이나 천정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 프레임과 행거의 결합 구조를 나사식으로 변경하여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적재 및 보관시에는 공간을 확보하여 많은 양의 케이블 트레이의 적재 및 보관이 간편하게 이루어지게 함은 물론, 인건비를 줄여 생산원가를 절감하고, 사용하고난 후에는 분해되어 재사용될 수 있도록 한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 대신에 철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일실시예.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블 트레이 110 ; 측면 프레임
120 ; 행거 130 ; 하단 절곡부
140 ; 바닥면 200 ; 철판
300,300a,400,400a ; 체결홈 300b,400b ; 암나사
500 ; 볼트 600 ; 너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행거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홈이 형성되고, 측면 프레임에는 상기 체결홈과 대응한 위치에 체결홈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한 체결홈들이 서로 일치하면 볼트와 너트에 의해 나사 결합되게 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설치 사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다.
본 고안의 케이블 트레이(100)도 벽면이나 천정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측면 프레임(110)사이에 다수의 행거(120)가 형성되는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와 같다.
다만, 본 고안은 케이블 트레이(100)의 분해 조립이 가능하게 한 것으로, 이는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행거(120)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홈(300)이 형성되고, 측면 프레임(110)에는 상기 체결홈(300)과 대응한 위치에 체결홈(40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한 체결홈(300)(400)이 서로 일치하면 볼트(500)와 너트(510)에 의해 나사 결합되게 하는 기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케이블 트레이의 연결 구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행거(120)의 체결홈(300)은 바닥면(140)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측면 프레임(110)의 체결홈(400)은 하단 절곡부(130)에 형성되며, 상기한 체결홈(300)(400)들이 서로 일치하면 볼트(500)와 너트(510)에 의해 나사식으로 결합되는 구성이며, 별도의 연결부재(150)를 통하여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측면 프레임(110)의 하단 절곡부(130)에 형성된 체결홈(400)에 행거(120)의 체결홈(300)을 일치시킨 후 상기한 체결홈(300)(400)에 볼트(500)를 끼워 넣음과 동시에 너트(510)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한 다음 별도의 연결부재(150)를 이용하여 서로 유기적으로 케이블 트레이(100)를 현장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행거(120)나 측면 프레임(110)에 형성되는 체결홈(300)(400)은 어느 특정 위치에 형성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나사식으로 상기한 행거(120)나 측면 프레임(110)을 분해 조립시킬 수 있다면 도4의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다른 결합 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에서와 같이 행거(120)의 체결홈(300a)은 측벽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측면 프레임(110)의 체결홈(400a)은 측벽 하단에 형성하여 볼트(500)와 너트(510)로 나사 결합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 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로서, 체결홈(300)(400) 내경에 암나사(300b)(400b)를 형성하고, 이 암나사(300b)(400b)에 볼트(500)만이 나사 결합되게 함으로써 별도의 너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행거 대신에 철판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로서, 일정한 크기를 가지는 철판(200)을 준비하고, 준비된 철판(200)을 측면 프레임(110) 사이에 위치시킨 후 볼트(500)와 너트(510)를 이용하여 나사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다면 측면 프레임(110) 사이에 결합되는 행거 (120)및 철판(200)과 같은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볼트(500)와 너트(510)에 의한 나사식 결합을 통하여 측면 프레임(110)사이에 연결되는 부자재들은 다양한 형상의 것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벽면이나 천정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 고정하는 케이블 트레이의 측면 프레임과 행거의 결합 구조가 종래와 같이 용접되는 구성을 탈피하여, 볼트와 너트에 의한 나사 결합방법으로 변경되어 분해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적재 및 보관시에는 공간을 확보하여 많은 양의케이블 트레이의 적재 및 보관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또한, 용접과 같은 고도의 인력 기술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인건비가 줄어들어 생산원가가 대폭 절감되는 것이며, 사용하고난 후에는 분해되어 재사용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도 이익이 창출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Claims (5)

  1. 벽면이나 천정을 따라 배선되는 케이블을 지지 고정할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측면 프레임(110) 사이에 다수의 행거(120)가 형성되는 케이블 트레이(100)에 있어서,
    상기 행거(120)의 양단부에 각각 체결홈(300)이 형성되고, 측면 프레임(110)에는 상기 체결홈(300)과 대응한 위치에 체결홈(400)이 구비된 상태에서 상기한 체결홈(300)(400)들이 서로 일치하면 볼트(500)와 너트(510)에 의해 나사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120)의 체결홈(300)은 바닥면(140)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측면 프레임(110)의 체결홈(400)은 하단 절곡부(130)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120)의 체결홈(300a)은 측벽 중간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고, 측면 프레임(110)의 체결홈(400a)은 측벽 하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홈(300)(400) 내경에 암나사(300b)(400b)가 형성되고, 이 암나사(300b)(400b)에 볼트(500)만이 나사 결합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프레임(110) 사이에 철판(200)이 나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KR20-2004-0018799U 2004-07-02 2004-07-02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KR200363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799U KR200363584Y1 (ko) 2004-07-02 2004-07-02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8799U KR200363584Y1 (ko) 2004-07-02 2004-07-02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584Y1 true KR200363584Y1 (ko) 2004-10-13

Family

ID=49438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8799U KR200363584Y1 (ko) 2004-07-02 2004-07-02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5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322B1 (ko) 2011-08-19 2012-12-27 김승호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 결속지지대
KR20210000885U (ko) 2019-10-16 2021-04-26 신승현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6322B1 (ko) 2011-08-19 2012-12-27 김승호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 결속지지대
KR20210000885U (ko) 2019-10-16 2021-04-26 신승현 케이블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3584Y1 (ko)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KR200457976Y1 (ko) 선박용 스파이럴 덕트형 케이블 트레이
KR100612468B1 (ko) 케이블 트레이
KR20140137598A (ko) 조적조 칸막이 벽의 내진보강방법
KR100428425B1 (ko) 트러스 구조물
KR200452039Y1 (ko) 배관 트레이용 받침대
KR200363583Y1 (ko) 케이블 트레이 결합 구조
KR20130002020U (ko) 케이블 트레이
JP6837798B2 (ja) 天井パネルの補強構造、及び天井
KR20160070552A (ko) 브라켓이 구비된 단관 파이프를 이용한 파형 격벽용 발판
KR200300732Y1 (ko) 케이블 트레이용 측판
KR200209024Y1 (ko) 케이블 지지용 트레이의 연결구
KR20120005948U (ko) 케이블 지지대
KR100981123B1 (ko) 피씨박스 연결구조
KR200476764Y1 (ko) 가설식 트러스 구조물
KR200430776Y1 (ko) 판넬 탈착이 가능한 파티션 구조
CN215372766U (zh) 箱体组件、水力模块及空调系统
KR20110009672U (ko) 다용도 거치대
CN215686317U (zh) 一种具有组合式支架的箱体
KR20120000162U (ko) 선박용 케이블 거치장치
KR200393432Y1 (ko) 거푸집용 지지대
KR101193041B1 (ko) 선박용 다단침대
KR200419372Y1 (ko) 냉동고 경량철골 천장틀 현가장치
KR20220102853A (ko) 케이블 트레이
KR101258796B1 (ko) 테이블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