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397Y1 -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397Y1
KR200363397Y1 KR20-2004-0016817U KR20040016817U KR200363397Y1 KR 200363397 Y1 KR200363397 Y1 KR 200363397Y1 KR 20040016817 U KR20040016817 U KR 20040016817U KR 200363397 Y1 KR200363397 Y1 KR 2003633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coupled
provision
cross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68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영기
Original Assignee
전주시
민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시, 민영기 filed Critical 전주시
Priority to KR20-2004-00168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3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3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3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5/00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 G09B25/04Model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09B23/00, e.g. full-sized devices for demonstration purposes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조건축물인 봉정사 극락전을 모형 건축물로 축소 제조하되 건축물의 주요부인 주상포의 결합구조에 있어 하중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 축소에 의한 중량의 감소에 따라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부재에 자석 및 쇠촉을 일체화시켜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는, 목조건축양식의 하나인 봉정사 극락전 주상포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동일한 비율로 축소하여 제공하고, 축소로 인해 결합이 어려운 부분은 자석 및 쇠촉을 모형부재에 삽설형성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모형 건축물을 조립하는 것만으로도 실제 건물을 축조하는 것과 유사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어린이에게는 전통문화에 더욱 친숙한 접근을 유도할 수 있으며, 건축지망생에게는 전통 목조건물의 결합구조 중 주상포의 대표적인 예인 봉정사 극락전을 직접 축조하여 이에 대한 건축술을 수득할 수 있는 교육 수단으로서의 모형건축물의 주상포 조립구조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Assambly structure of Beam on the Pillar for a Model Building}
본 고안은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목조건축물인 봉정사 극락전을 모형 건축물로 축소 제조하되 건축물의 주요부인 주상포의 결합구조에 있어 하중에 의해 지지되는 부분이 축소에 의한 중량의 감소에 따라 쉽게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각 부재에 자석 및 쇠촉을 일체화시켜 용이하게 결합시키는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형물은 실제 물건을 일정한 비율로 축소하여 장식용 또는 교육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모형시장은 대개 비행기 또는 배 등 기구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고, 모형 건축물은 일부 건물에 대해서만 제공이 되고 있다.
또한 극소수만 제공되는 모형 건축물도 실제와 유사하게 제공이 되기 어렵기 때문 즉, 실질적으로는 다수의 부품이 결합되어 이루어지나 모형에서는 물체 크기 자체가 실제보다 대폭적으로 축소됨으로 작은 크기의 부품이 더욱 작아져 걸림수단 등의 자체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일체화하여 하나의 블럭으로 형성함으로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복잡한 건축자제의 통합에 의한 단순화는 학습자의 조립과정을 대폭적으로 축소하는 등 단순조립에 의해 이루어짐으로 조립에 의한 건축물의 학습효과는 단순화되는 만큼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인 모형 건축물 조립에 의한 건축술 학습효과의 저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형 건축물의 각 부품이 실물과 거의 동일한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가 모형을 통해 직접 건물을 지을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목조건축양식의 하나인 봉정사 극락전 주상포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동일한 비율로 축소하여 제공하고, 축소로 인해 결합이 어려운 부분은 자석 및 쇠촉을 모형부재에 삽설형성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모형 건축물을 조립하는 것만으로도 실제 건물을 축조하는 것과 유사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하여, 어린이에게는 전통문화의 이해에 도움을 주며, 건축지망생에게는 전통 목조건물의 건축술을 수득할 수 있는 모형 건축물의 주상포 조립 구조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일예에 따른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기둥과 창방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일예에 따른 제1제공과 주심소첨차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일예에 따른 소로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일예에 따른 제2제공과 포중방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일예에 따른 들보와 외목도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실시일예에 따른 주심대첨차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는 본 고안의 실시일예에 따른 주심도리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는 본 고안의 실시일예에 따른 주상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상포 110 : 기둥
120 : 주두 210 : 창방
220 : 포중방 310 : 제1제공
320 : 제2제공 330 : 주심소첨차
340 : 주심대첨차 410 : 들보
420 : 퇴익공 510 : 제1단장여
520 : 제2단장여 610 : 외목도리
620 : 주심도리 710 : 일자소로
720 : 십자소로 810 : 촉
820 : 자석 830 : 삽입홈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모형 건축물의 주상포 조립구조는,
주춧돌에 다수의 기둥을 결합하고 상기 기둥의 상부에 방, 보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키는 모형 건축물에 사용되는 주상포에 있어서,
상단에 일자홈이 형성된 기둥에 상기 일자홈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다른 기둥의 일자홈에 삽입되는 창방을 설치하고, 상기 기둥과 창방이 교차되는 상면에는 상부에 십자홈이 형성된 주두를 촉에 의해 고정시키고, 고정된 주두의 십자홈 일방향에는 중앙에 상부결합홈이 형성된 제1제공을 안치하고, 하부결합홈이 형성된 주심소첨차를 상기 제1제공과 반물림 결합하여 주두의 십자홈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에 걸리도록하고, 상기 제1제공과 주심소첨차의 상부양단에는 일자소로를 상기 제1제공과 주심소첨차가 교차되는 상부면에는 십자소로를 각각 촉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1제공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 홈에는 중앙에 상부결합홈이 형성된 제2제공을 안치하고, 상기 주심소첨차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 홈에는 중앙에 상부결합홈이 형성된 포중방으로 안치하되 상기 제2제공과 포중방은 반물림 결합하고, 상기 제2제공의 상면 후미와 포중방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일자소로를 촉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2제공의 상면 전방과 상기 제2제공과 포중방이 교차되는 상부면에는 십자소로를촉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2제공의 상면 전방에 결합된 십자소로의 홈에는 상부면이 라운드되고 중심에 상부결합홈이 형성된 제1단장여를 안치하고, 상기 제2제공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의 홈에는 하부결합홈이 형성된 들보를 안치하되 상기 들보의 하부결합홈은 상기 제1단장여의 상부결합홈과 반물림결합하고, 상기 제1단장여와 반물림결합된 들보의 상측에는 라운드된 단턱을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하고, 상기 단턱에 의해 형성된 중앙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홈이 하부에 형성된 외목도리를 상기 단턱에 안치하고, 상기 들보에는 수직선상에 포중방과 교차되는 상부면에 상부결합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포중방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의 홈에 하부결합홈이 형성된 주심대첨차를 안치하되 상기 들보의 상부결합홈과 반물림 결합하고, 상기 주심대첨차의 상부 양측에는 일자소로를 중앙에는 십자소로를 각각 촉으로 결합하고, 상기 주심대첨차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의 홈에는 중앙에 상부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면이 라운드된 제2단장여를 안치하고, 상기 제2단장여의 상부결합홈에는 하부결합홈이 형성된 퇴익공을 반물림결합하되 상기 퇴익공의 타측 저면은 들보에 접하여 안치하고, 상기 제2단장여와 반물림결합된 퇴익공의 상측에는 라운드된 단턱을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하고, 상기 단턱에 의해 형성된 중앙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홈이 하부에 형성된 주심도리를 상기 퇴익공의 단턱에 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일자소로 및 십자소로를 결합하기 위한 촉은 단단한 재질의 쇠로 형성하여 각 소로의 저부에 삽설되어 일체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로의 저부와 이에 대응되는 부분, 외목도리 및 주심도리의 저부와 이에 대응되는 제1 및 제2 단장여의 상부에는 두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자석이 더 삽설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모형 건축물의 주상포 조립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일예에 따른 모형 건축물의 주상포의 조립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둥(110)의 상단부에는 기둥의 축방향으로 일자홈(1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일자홈(111)에 기둥과 기둥을 연결하는 창방(210)이 삽입된다. 상기 창방(210)은 도시된 바와같이 하나의 연속된 부재로 형성되거나 기둥과 기둥 사이의 길이 만큼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창방 일측 단부를 기둥홈의 중앙 부분까지 안치하고 나머지 홈에는 다른 창방을 안치하며, 두 창방이 접하는 부분에는 삼각형이 대칭되는 나비형태의 결합구를 삽설하여 체결할 수 있다.
이와같이 결합된 창방(210)의 상부 즉, 기둥과 교차된 창방의 상부에는 주두(120)가 촉에 의해 결합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주두(120)는 십자홈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촉(810)이 주두의 본체에 삽설되어 있으며, 상기 촉이 삽입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주두와 면접하는 창방(210)에는 삽입홈(830)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주두(120)와 창방(21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위해 상기 촉이 돌출된 주두(120) 저면과 상기 삽입홈이 형성된 창방(210) 상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극을 갖는 자석(820)을 더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두(120)의 십자홈에는 제1제공(310)이 안치되고, 상기 제1제공(310)에는 주심소첨차(330)가 서로 반물림 결합된다. 이와같은 반물림결합은 제1제공(310)에는 상부결합홈(840)을 주심소첨차(330)에는 하부결합홈(850)을 형성하여 이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부결합홈(840)과 하부결합홈(850)의 깊이 총 합을 제1제공(310) 또는 주심소첨차(330) 높이와 동일하게 함으로서 두 부재가 십자형태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와같이 결합되는 두 부재는 상기 주두(210)의 십자홈에 삽입되어 상기 홈에 의해 형성되는 돌기로 두 부재가 측면으로의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같이 결합된 제1제공(310) 및 주심소첨차(330)의 상부면 양단부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측에 일자홈 즉, 각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일자소로(710)가 결합되며, 상기 제1제공(310)과 주심소첨차(330)가 교차되는 부분에는 상측에 십자홈이 형성된 십자소로(720)가 결합된다. 이러한 소로(710, 720)는 상술한 주두(120)와 동일한 작용을 하지만,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두 부재와의 결합수단으로는 촉(810)과 자석(820)이 이용되는 것으로, 주두에 상술한 바와같이 일자소로 및 십자소로의 저면에 금속 또는 단단한 재질의 촉(810)을 일체로 돌출형성시키며, 상기 돌출된 촉(810)과 대응되는 삽입홈(830)을 상기 제1제공(310) 및 주심소첨차(330)의 상측 양단부와 교차부분에 형성시키고, 촉 및삽입홈의 주변에 서로 대응되는 극을 가지는 자석(820)을 삽입 형성시킨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제1제공(310) 및 주심소첨차(330)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의 홈에는 제2제공(320)과 포중방(220)이 각각 안치된다. 즉, 상기 제1제공(310)의 상부면에 결합된 소로의 홈에는 제2제공(320)을 안치하고, 상기 주심소첨차(330)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의 홈에는 포중방(220)이 상기 제2제공(320)과 반물림결합으로 안치되며, 상기 제2제공(320)의 상부 일측 단부에는 일자소로(710)를 타측단부에는 십자소로(720)를 결합하고, 상기 포중방(220)의 상측 양단부에는 일자소로(710)를 결합하며, 상기 제2제공(320)과 포중방(220)의 교차되는 부분에는 십자소로(720)가 촉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촉(810)의 주변과 촉이 삽입되는 삽입홈(830)의 주변에는 결합을 용이하도록 하는 자석(820)이 삽입 형성된다.
상기 제2제공(320)의 일측단부에 결합된 십자소로의 홈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결합홈(840)이 형성된 제1단장여(510)가 안착된다. 상기 제1단장여의 상면에는 후술되는 외목도리의 외주면과 같은 지름의 호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제1단장여의 상부결합홈에는 하부결합홈(850)이 형성된 들보(410)가 반물림 결합된다. 즉, 상기 들보(410)의 하부결합홈은 제1단장여(510)와 반물림결합되고 다른 저면은 제2제공(320)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의 홈에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 들보(410)에는 제1단장혀와 교차되는 수직상방에 라운드된 단턱(411)이 들보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상기 단턱(411)의 내부면 즉, 라운드되는 면의 지름은 이에접하게 되는 외목도리(610)의 지름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라운드된 두개의 단턱(411)사이에는 돌출부(412)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형성되는 들보(410)의 단턱(411)에는 외목도리(610)가 결합된다. 상기 외목도리(610)는 길이의 수직방향으로 홈(611)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홈(611)이 들보의 단턱 사이에 형성된 돌출부(412)를 삽설하고, 홈(611)에 근접한 외면 일부는 들보(410)의 단턱(411)에 접하여 안착되며, 외목도리(610)의 저면은 제1단장여(510)의 라운드되는 면에 접하여 안착된다.
이 때 실물의 외목도리(610)는 자체 하중이 크기 때문에 별도의 수단없이 들보(410)에 안치하여 결합을 완료하나, 본 고안은 축소된 모형임으로 외목도리(610)는 그 하중이 작아 결합된 들보(410)에서 쉽게 탈거된다. 따라서, 상기 탈거를 방지하기 위해 들보(410)와 이에 접하는 외목도리(610)의 저면에는 각각 자석 또는 촉과 자석을 형성하여 보다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들보의 단턱(411)부분 또는 단턱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412)를 자석으로 형성하고, 이에 대응되는 외목도리의 홈(611) 및 근접한 부분을 상기 자석과 대응되는 극을 갖는 자석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부재 자체의 내부에 자석을 코어 형태로 삽입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포중방의 수직선상과 교차되는 들보(410)의 상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부결합홈(840)이 더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부결합홈(840)에는 하부결합홈(850)이 형성된 주심대첨차(340)가 안치된다. 즉, 상기 주심대첨차(340)는 포중방(220)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의 홈에 안치되어, 들보(410)의 상부결합홈에 반물림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주심대첨차(340)의 상부 중앙에는 십자소로(720)가 결합되고, 십자소로와 일정거리 이격된 측면에는 일자소로(710)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소로는 상술한 바와 동일한 촉(810)에 의해서 결합되데 상기 촉은 소로와 일체로 형성 또는 촉과 자석이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주심대첨차(340)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의 홈에는 중앙에 상부결합홈(840)이 형성되고 상면은 호형상으로 된 제2단장여(520)가 장착된다. 상기 제2단장여(520)에 형성된 호는 후술되는 주심도리(620)의 외주면과 동일한 지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단장여(520)의 상부결합홈(840)에는 하부결합홈(850)이 형성된 퇴익공(420)이 반물림결합된다. 또한, 상기 퇴익공(420)의 저면은 들보(410)의 상면에 접하여 안치되며, 도5의 들보에 형성된 라운드된 단턱 및 돌출부와 동일/유사한 형태의 단턱(421) 및 돌출부(422)가 퇴익공(420)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퇴익공의 단턱(421)에 안치되는 주심도리(620)는 상기 퇴익공의 돌출부(422)와 대응되는 홈(621)이 저부에 형성되어 있어 홈(621)에 퇴익공의 돌출부(422)를 삽입하고 단턱(421)에 퇴익공(420)을 안착시킴으로서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주심도리(620)도 외목도리(610)와 동일하게 하중이 작으므로, 자석및 촉을 이용하여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조립되는 본 고안의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둥(110)의 상부에 창방(210), 주두(120), 포중방(220), 들보(410), 제1단장여(510), 외목도리(610), 제2단장여(520), 퇴익공(420), 주심도리(620)를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이루어지며, 하중에 의해 지탱되는 부분이 모형으로 제조하면서 탈거되기 쉽기 때문에 자석 및 촉으로 결합력을 상승시켜 견고한 주상포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술한 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고자하는 예일 뿐이다. 따라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전문가가 본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부분변경 사용한 것도 본 고안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는,
목조건축양식의 하나인 봉정사 극락전 주상포를 구성하는 각 부재를 동일한 비율로 축소하여 제공하고, 축소로 인해 결합이 어려운 부분은 자석 및 쇠촉을 모형부재에 삽설형성하여 결합을 용이하게 함으로서, 모형 건축물을 조립하는 것만으로도 실제 건물을 축조하는 것과 유사한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어린이에게는 전통문화에 더욱 친숙한 접근을 유도할 수 있으며, 건축지망생에게는 전통 목조건물의 결합구조 중 주상포의 대표적인 예인 봉정사 극락전을 직접 축조하여 이에 대한 건축술을 수득할 수 있는 교육 수단으로서의 모형건축물의 주상포 조립구조의 제공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Claims (3)

  1. 주춧돌에 다수의 기둥을 결합하고 상기 기둥의 상부에 방, 보를 순차적으로 결합시키는 모형 건축물에 사용되는 주상포에 있어서,
    상단에 일자홈이 형성된 기둥(110)에 상기 일자홈(111)에 일단이 삽입되고 타단이 다른 기둥의 일자홈에 삽입되는 창방(210)을 설치하고, 상기 기둥과 창방이 교차되는 상면에는 상부에 십자홈이 형성된 주두(120)를 촉(810)에 의해 고정시키고, 고정된 주두의 십자홈 일방향에는 중앙에 상부결합홈이 형성된 제1제공(310)을 안치하고, 하부결합홈이 형성된 주심소첨차(330)를 상기 제1제공과 반물림 결합하여 주두의 십자홈에 의해 형성된 돌출부에 걸리도록하고, 상기 제1제공(310)과 주심소첨차(330)의 상부양단에는 일자소로(710)를 상기 제1제공과 주심소첨차가 교차되는 상부면에는 십자소로(720)를 각각 촉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1제공(310)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 홈에는 중앙에 상부결합홈이 형성된 제2제공(320)을 안치하고, 상기 주심소첨차(330)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 홈에는 중앙에 상부결합홈이 형성된 포중방(220)으로 안치하되 상기 제2제공과 포중방은 반물림 결합하고, 상기 제2제공(320)의 상면 후미와 포중방(220)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일자소로(710)를 촉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2제공의 상면 전방과 상기 제2제공과 포중방이 교차되는 상부면에는 십자소로(720)를 촉으로 결합하고, 상기 제2제공(320)의 상면 전방에 결합된 십자소로의 홈에는 상부면이 라운드되고 중심에 상부결합홈이 형성된 제1단장여(510)를 안치하고, 상기 제2제공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의 홈에는 하부결합홈이 형성된 들보(410)를 안치하되 상기 들보의 하부결합홈은 상기 제1단장여(510)의 상부결합홈과 반물림결합하고, 상기 제1단장여와 반물림결합된 들보의 상측에는 라운드된 단턱(411)을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하고, 상기 단턱에 의해 형성된 중앙의 돌출부(412)와 대응되는 홈(611)이 하부에 형성된 외목도리(610)를 상기 단턱에 안치하고, 상기 들보(410)에는 수직선상에 포중방과 교차되는 상부면에 상부결합홈을 더 형성하고, 상기 포중방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의 홈에 하부결합홈이 형성된 주심대첨차(340)를 안치하되 상기 들보의 상부결합홈과 반물림 결합하고, 상기 주심대첨차의 상부 양측에는 일자소로를 중앙에는 십자소로를 각각 촉으로 결합하고, 상기 주심대첨차의 상부에 결합된 소로의 홈에는 중앙에 상부결합홈이 형성되고 상면이 라운드된 제2단장여(520)를 안치하고, 상기 제2단장여의 상부결합홈에는 하부결합홈이 형성된 퇴익공(420)을 반물림결합하되 상기 퇴익공의 타측 저면은 들보(410)에 접하여 안치하고, 상기 제2단장여와 반물림결합된 퇴익공(420)의 상측에는 라운드된 단턱을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하고, 상기 단턱에 의해 형성된 중앙의 돌출부와 대응되는 홈이 하부에 형성된 주심도리(620)를 상기 퇴익공의 단턱에 결합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일자소로(710) 및 십자소로(720)를 결합하기 위한 촉(810)은 단단한 재질의 쇠로 형성하여 각 소로(710, 720)의 저부에 삽설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로(710, 720)의 저부와 이에 대응되는 부분, 외목도리(610) 및 주심도리(620)의 저부와 이에 대응되는 제1(510) 및 제2 단장여(520)의 상부에는 두 부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자석(820)이 더 삽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
KR20-2004-0016817U 2004-06-15 2004-06-15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 KR2003633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817U KR200363397Y1 (ko) 2004-06-15 2004-06-15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6817U KR200363397Y1 (ko) 2004-06-15 2004-06-15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397Y1 true KR200363397Y1 (ko) 2004-10-01

Family

ID=4935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6817U KR200363397Y1 (ko) 2004-06-15 2004-06-15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39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5544A (zh) * 2019-06-05 2019-08-02 张洋 古建筑模型中柱子与枋组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75544A (zh) * 2019-06-05 2019-08-02 张洋 古建筑模型中柱子与枋组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9134476A1 (zh) 拼接结构件
JP2008541985A (ja) ブロック型構築玩具セットと、ロッドおよび接続具型構築玩具セットの間の接続
IE46346B1 (en) A recreational kit for constructing objects
US2063895A (en) Joint for structural toys
US20070100468A1 (en) Magnetic toy
KR200363397Y1 (ko)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
US8641312B2 (en) Rotating spigot for trusses
KR200363394Y1 (ko) 모형 한옥의 공포 조립구조
KR200360427Y1 (ko) 모형 건축물용 주상포의 조립구조
KR101349658B1 (ko) 결합과 분리가 용이한 3차원 입체블록
EP3420161A1 (en) Structure with hollow or partially hollow structural elements, with modular and improved system of joints
EP1231340A3 (de) Anschlusskopf für Gitterträger zur Herstellung mobiler Bauten
CN218863002U (zh) 磁吸连接件
KR200263127Y1 (ko) 자석을 이용한 완구조립용 구성부재
KR200440386Y1 (ko) 조립 블럭
KR200363395Y1 (ko) 모형 한옥의 동자주 조립구조
KR200360428Y1 (ko) 모형 건축물용 다포의 조립구조
KR101767202B1 (ko) 공포 스틸 소로 보강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24832B1 (ko) 볼 레일이 구성된 블록 도미노 교육완구
CN208183975U (zh) 一种装配式榫卯结构
KR20140068397A (ko) 다면체 만들기용 조립구조체
KR102039022B1 (ko) 교육용 조립교구
CN218338974U (zh) 一种儿童榫卯拼接玩具
CN219162869U (zh) 一种榫卯结构英文字母
KR200187711Y1 (ko) 텐트폴용 조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