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806Y1 -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 - Google Patents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806Y1
KR200362806Y1 KR20-2004-0017512U KR20040017512U KR200362806Y1 KR 200362806 Y1 KR200362806 Y1 KR 200362806Y1 KR 20040017512 U KR20040017512 U KR 20040017512U KR 200362806 Y1 KR200362806 Y1 KR 2003628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ltier element
food
main body
containe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5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민태
Original Assignee
안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민태 filed Critical 안민태
Priority to KR20-2004-00175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80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8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8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4Containers with means for keeping food cool or ho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음식물 냉장 용기 유니트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는 펠티어소자와, 상기 펠티어소자의 하면에 설치되는 히트싱크와, 상기 히트싱크에 설치되어 열교환율을 높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과, 상기 펠티어소자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며, 음식물이 담기는 냉각접시와, 상기 냉각접시의 온도를 감지한 후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펠티어소자의 전류공급을 단속하는 온도조절수단과, 상기 펠티어소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충전과 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와, 상기 외부에 설치시 태양열에 의해 발전하는 보조태양열 발전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refrigeration container unit of food}
본 고안은 음식물의 냉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음식물을 최적의 온도로 냉장하여 음식물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축제, 뷔페음식점, 생선센타 등 음식을 다량으로 제조한 후 음식물의 전시효과 및 신선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음식물이 담긴 접시의 하면에 얼음을 놓아 음식물이 담긴 접시를 냉각시키거나, 냉동사이클을 이용하여 음식물의 하면에 별도의 증발기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얼음을 이용하는 것은 지속적인 냉각이 어렵고 자주 얼음을 보충 및 얼음이 녹은 물을 배출하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음식물의 용기의 하면에 냉동시스템의 증발기를 설치하는 것은 직접적인 에너지를 공급하여야 하므로 야외에서의 사용이 용이하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25191호에는 음식물 냉, 온 유지장치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음식물 냉, 온 유지장치는 원통형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중앙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복수개의 열전소자와, 열전소자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케이스의 상부에 형성되고, 그 상측으로 음식접시가 놓여지며 열전소자의 발열 또는 흡열 동작에 의해 음식접시에 담겨진 음식의 온도가 냉장 또는 온장상태로 유지하는 상부히터싱크와, 열전소자의 하부에 설치되는 히터싱크 및 이 히터싱크의 하부에 설치되어 열교환 동작을 촉진시키기 위한 키기 위한 팬과,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기 위한 DC 전원부와, 열전소자에 냉, 온장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선택스위치를 포함한다.
등록특허 제10-0375664호에는 냉각 접시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냉각접시는 서모모듈 냉각부면에 냉각 접시판을 밀착형성하고, 그 상판에는 접시운두와 덮개를 설치하고, 접시판 하부면은 단열벽을 형성하며, 서모모듈 발열부면에는 팬을 설치한 방열판을 밀착형성하고, 접시판과 써모 모듈과 방열판을 스크류에 의해 일체로 구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음식물의 냉, 온 유지장치나 냉각접시는 전류를 온도에 따라 단속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온도제어가 어려워 음식의 특성 및 맛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온도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야외에서와 같이 전원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사용이 어렵다. 특히 김치 축제 등과 같이 야외에서 김치를 진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높은 온도로 인하여 김치가 쉽게 숙성되므로 신선한 김치를 지속적으로 전시하기 어렵다.
특히 상기 냉, 온 유지장치나 냉각접시는 열전소자와 냉각접시가 직접적으로 접촉되므로 특정부위에 냉기 또는 온기가 전도에 의해 접시에 전달되고, 접시에 전달된 냉기 또는 온기가 음식물에 전달되게 되므로 냉기와 온기가 음식물에 균일하게 전달되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온도제어가 용이한 용기에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이 담기는 각 부위에 냉기가 균일하게 공급되도록 하여 음식물을 균일하게 냉각시킬 수 있으며, 태양열을 이용하여 일부의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구동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음식물 냉장 유니트를 제공함에 그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냉장 용기 유니트를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2는 음식물 냉장 용기 유니트의 단면도.
도 3은 펠티어소자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냉장 유니트의 일부절제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음식물 냉장유니트의 일부절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음식물 냉장 용기 유니트.
11;본체
20; 냉각부
21; 펠티어소자
22; 히트싱크
23;송풍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는 펠티어소자와, 상기 펠티어소자의 하면에 설치되는 히트싱크와, 상기 히트싱크에 설치되어 열교환율을 높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과, 상기 펠티어소자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며, 음식물이 담기는 냉각접시와, 상기 냉각접시의 온도를 감지한 후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펠티어소자의 전류공급을 단속하는 온도조절수단과, 상기 펠티어소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충방전기 가능한 배터리와, 상기 외부에 설치시 태양열에 의해 발전하는 보조태양열 발전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대안으로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냉장 용기 유니트는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는 펠티어소자와, 상기 펠티어소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히트싱크와, 상기 제1히트싱크의 하면에 설치되어 펠티어 소자의 하면을 냉각시키는 제1송풍팬과, 상기 열전소자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를 상기 음식물 용기의 하면과 본체에 의해 구획된 공간부에 송풍하여 음식물 용기의 하면을 균일하게 냉각시키기 위한 제2송풍팬과, 상기 음식물 용기의 온도를 감지한 후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펠티어소자의 전류공급을 단속하는 온도조절수단과, 상기 펠티어소자 및 제1,2송풍팬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충방전이 가능한 배터리와, 태양열에 의해 발전하는 보조태양열 발전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냉장 유니트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는 뷔폐, 김치축제, 생선회집 등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음식들을 전시함과 아울러 공급하며, 용기에 담긴 음식물의 온도를 음식물의 고유맛을 살릴 수 있는 최상의 온도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음식물 냉장 용기 유니트(10)는 음식물이 담기며 상부가 개방된 접시형 용기(100)가 장착되는 장착부(12)를 가지는 본체(11)와, 상기 본체(11)의 장착부(12) 저면 케이스의 내부에 냉각부(20)가 설치된다. 이 냉각부(20)는 펠티어 소자(21)와, 이 펠티어 소자(21)의 하면에 설치되는 히트싱크(22)와, 상기 히트싱크(22)에 설치되어 열교환 능력을 높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23)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펠티어 소자(20)에 의해 냉각되는 음식물이 담기는 용기(100)의 온도를 온도센서(210)에 의해 검출한 후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펠티어소자(20)로의 전류공급을 단속하는 온도제어부(220)와, 상기 펠티어소자(20)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충전기에 의해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전지를 포함하는 충전부(23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11)에는 외광에 발전 가능한 보조전류공급수단을 구비하는데, 이 보조전류 공급수단은 태양전지(240)로 이루어진다.
한편,상기 히트싱크에는 본체 또는 용기와 접촉되는 히트 파이프(300)가 설치되어 열전달 효율을 증가 시킴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냉장 유니트(10)의 냉각부(30) 공간부(12) 저면의 본체(11)에 설치되는 것으로, 펠티어 소자(31)와, 상기 펠티어소자(31)의 상하부에 설치되는 상하부 히트싱크(32)(33)와, 상기 상하부히트 싱크(32)(33)에 각각 설치되는 상하부 송풍팬(34)(35)과, 상기 상하부 송풍팬(34)(35)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상기 냉각부(30)가 펠티어소자(31)의 상하부에 상하부 히트싱크(32)(33)가 설치된 상기 공간부를 이루는 본체(11)의 저면은 펠티어 소자(31)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용기(100)가 설치되는 공간부(12)와 본체(11)의 내부의 방열공간으로 구획된다. 여기에서 상기 공간부(12)는 용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송풍팬(34)들로부터 송풍되는 냉기가 용기(100)의 하면으로 유동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냉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용기(100)의 가장자리와 기밀의 공간부(12)의 본체(11) 가장자리가 기밀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여기에서 상기 용기(100)에는 냉기가 음식물이 담긴 용기(100)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용기(100)의 측벽 측에 그릴(101)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히트 싱크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본체 또는 용기와 접촉되는 히트 파이프(300)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음식물 냉장유니트(10)를 이용하여 뷔폐, 김치축제, 야외 파티 등에 사용할 음식을 냉장 저장하기 위해서는 먼저 펠티어 펠티어 소자(21)(31)에 소정의 전류를 공급하여 구동시킴과 아울러 송풍팬(23),(34,35)들을 작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음식물 용기(100)에 냉장하여 전시 및 전시한 상태에서 먹기 위한 음식물을 담은 후 상기 본체(11)의 공간부(12)에 안착시킨다. 이와 같이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티어 소자(21)의 공간부(12) 측의 상면은 상기 용기(100)으로부터 열을 흡수하게 되고, 펠티어소자(21)의 하부 측은 히터 싱크(22)와 송풍팬(22)을 통하여 열을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용기(100)에 담긴 음식물은 냉각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용기(100)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는 온도 센서(210)에 의에 의해 냉각되는 음식물의 온도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상기 온도 제어부(220)에 의해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충전부(230)를 펠티어 소자(21)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함으로써 용기(100)에 담긴 음식물의 온도를 컨트롤하게 된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펠티어 소자(21)(31)의 상하부에 상하부 히트싱크(32)(33)가 설치되고, 이 히트 싱크(32)(33)에 각각 상하부 송풍팬(34)(35)가 설치된 경우에는 냉기를 직접적으로 상기 용기(100)의 하면에 송풍할 수 있으므로 냉각효율을 상대적으로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10)을 야외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이차전지를 가지는 충전부(230)에 의해 전류를 공급하고, 외광에 의한 태양전지에 의해 전류를 보충할 수 있으므로 펠티어 소자에 전류 공급에 따른 제약을 해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냉장 유니트는 음식물의 온도제어가 용이하고, 냉기를 송풍하여 용기의 하면 또는 음식물이 담긴 상부측으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의 냉장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는 펠티어소자와, 상기 펠티어소자의 하면에 설치되는 히트싱크와, 상기 히트싱크에 설치되어 열교환율을 높이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송풍팬과, 상기 펠티어소자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며, 음식물이 담기는 냉각접시와, 상기 냉각접시의 온도를 감지한 후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펠티어소자의 전류공급을 단속하는 온도조절수단과, 상기 펠티어소자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충, 방전 가능한 배터리와, 상기 외부에 설치시 태양열에 의해 발전하는 보조태양열 발전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태양열 발전수단은 태양전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냉장 용기 유니트.
  3. 본체와, 본체에 설치되는 펠티어소자와, 상기 펠티어소자의 상면과 하면에 각각 설치되는 제1,2히트싱크와, 상기 제1히트싱크의 하면에 설치되어 펠티어 소자의 하면을 냉각시키는 제1송풍팬과, 상기 열전소자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냉기를 상기 음식물 용기의 하면과 본체에 의해 구획된 공간부에 송풍하여 음식물 용기의 하면을 균일하게 냉각시키기 위한 제2송풍팬과, 상기 음식물 용기의 온도를 감지한 후 설정된 온도와 비교하여 상기 펠티어소자의 전류공급을 단속하는 온도조절수단과, 상기 펠티어소자 및 제1,2송풍팬에 전류를 공급하는 것으로 태양열에 의해 발전하는 보조태양열 발전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냉장 용기유니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음식물 용기에는 냉기를 용기의 상부로 공급하기 위한 그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
KR20-2004-0017512U 2004-06-21 2004-06-21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 KR2003628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512U KR200362806Y1 (ko) 2004-06-21 2004-06-21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512U KR200362806Y1 (ko) 2004-06-21 2004-06-21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806Y1 true KR200362806Y1 (ko) 2004-09-23

Family

ID=49437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512U KR200362806Y1 (ko) 2004-06-21 2004-06-21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8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15A (ko) * 2015-07-10 2017-01-18 노은택 냉마사지 기구 냉각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7015A (ko) * 2015-07-10 2017-01-18 노은택 냉마사지 기구 냉각장치
KR101720107B1 (ko) 2015-07-10 2017-03-27 노은택 냉마사지 기구 냉각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8210B2 (en) Cold insulating chamber
US6401461B1 (en) Combination ice-maker and cooler
EP0413729B1 (en) Vehicle thermoelectric cooling and heating food and drink appliance
US6038865A (en) Temperature-controlled appliance
US6308519B1 (en) Thermoelectric cooling system
US2012009033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n electrically cooled pitcher
US20100307168A1 (en) Thermo-electric cooler
WO2006064432A1 (en) A thermoelectric cooling/heating appliance
JP2001208465A (ja) 飲料用保温保冷器
KR20110028037A (ko) 배달용 용기함
KR20190000092U (ko) 온도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식품 보관용기
KR200362806Y1 (ko) 음식물 냉장용기 유니트
KR200285179Y1 (ko) 와인 냉장기
KR200323808Y1 (ko) 열전소자를 사용한 식품용기
US20100043451A1 (en) Thermoelectric hot/cold pans
KR200172148Y1 (ko) 보온용기 내용물의 냉/온각장치
KR100585338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요구르트 제조ㆍ저장 겸용기
KR20050090661A (ko) 보온 용기
KR20050006844A (ko) 냉온장고를 구비한 테이블
CN216906659U (zh) 一种智能温控酸奶机
KR200323582Y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반찬저장고
CN216822122U (zh) 多功能饭盒
CN219301047U (zh) 一种具有加热制冷功能的多分区饮料柜
CN211269642U (zh) 分区温控的冷凝保鲜柜
CN211084549U (zh) 冰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