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738Y1 -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 Google Patents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738Y1
KR200362738Y1 KR20-2004-0013192U KR20040013192U KR200362738Y1 KR 200362738 Y1 KR200362738 Y1 KR 200362738Y1 KR 20040013192 U KR20040013192 U KR 20040013192U KR 200362738 Y1 KR200362738 Y1 KR 2003627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mical
pipe
water
tube
chemic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31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규
Original Assignee
이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규 filed Critical 이대규
Priority to KR20-2004-00131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7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7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73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01F35/7176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using pumps
    • B01F35/717614Venturi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1Flow rate
    • B01F35/21112Volumetric flo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80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 B01F35/83Forming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substances to be mixed by controlling the ratio of two or more flows, e.g. using flow sensing or flow controlling devices
    • B01F35/833Flow control by valves, e.g. opening intermittentl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f specified substances, e.g. trace elements, for ameliorating potable water
    • C02F1/685Devices for dosing the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0Liquid flow ra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수에 약품을 투입 혼화시켜 각종 이물질을 응집시켜 제거한 후에 침전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되, 하측에 누액감지수단이 구비되고 튜브연동방식으로 된 복수개의 유량제어펌프를 설치하여 약품을 이젝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유량제어펌프를 통해 투입되는 약품은 벤투리원리를 이용하는 이젝터에 의해 희석수와 혼합시켜 공급시킬 수 있도록 된 정수약품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원수에 투입되는 약품은 처리수량 및 수질에 따라 튜브연동방식의 유량제어펌프에 의해 정확한 량을 산출하여 유량제어펌프에 의해 정량의 약품을 투입하고, 투입되는 약품은 벤투리원리를 이용하는 이젝터에 의해 희석수와 고르게 혼합시켜 줌으로서 응집 및 정화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각 유량제어펌프의 하측에 누액감지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누액여부에 따라 유량제어펌프를 선택적으로 가동시켜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유량제어펌프는 롤러가 등 간격으로 설치된 회전판을 회전시켜 반복적으로 통과하는 롤러에 의해 튜브의 외면이 일정한 간격으로 압착되어지면서 정확한 량의 약품을 송출시키고 약품과 펌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며 펌프를 분해하거나 세척하지 않고 튜브를 교체시켜 용이하게 정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A Auto Medicines Throwing System}
본 고안은 정수장이나 수영장 등에서 물의 수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물을 공급 또는 순환시키면서 처리수량 및 수질에 따라 응집제, 유기고분자응집제, 가성소다, 폴리머를 비롯하여 염소 및 차아염소산나트륨과 pH조절약품과 같은 각종약품을 원수에 투입시키되, 약품의 투입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투입시킬 수 있도록 하고, 투입된 약품을 희석수에 고르게 혼합하여 투입시킬 수 있도록 된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원수를 침전 및 여과시켜 배수지로 배출시킴에 있어, 원수를 침전지로 공급하기 전에 약품을 투입 혼화시켜 각종 이물질을 응집시켜 제거한 후에 침전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되, 하측에 누액감지수단이 구비되고 튜브연동방식으로 된 복수개의 유량제어펌프를 설치하여 원수에 투입되는 약품은 처리수량 및 수질에 따라 정확한 량을 산출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면서 약품의 누출여부에 따라 유량제어펌프를 교호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며, 유량제어펌프에 의해 정량이 투입되는 약품은 희석수에 의해 희석시켜 공급시키되 벤투리원리를 이용하는 이젝터에 의해 희석수와 고르게 혼합시켜 공급할 수 있도록 된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정수장 또는 수영장 등에 설치되어 사용되어지는 종래의 약품투입장치로서는 국내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03-33129호 "자동식 응집제 주입 시스템"과,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03-33415호 "정수약품 자동투입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03-33129호 "자동식 응집제 주입 시스템"은, 메인 이송관을 통하여 원수가 공급되는 혼화지에 응집제를 투입하여 이물질을 응집시킨 후에 수처리공정을 직접 실시하도록 하거나, 메인이송관 원수를 별도의 가지관으로 분배하여 응집제를 투입하여 정화시킨 후에 차기공정으로 배출시키며, 원수 또는 응집제에 의해 정화된 물의 탁도와 수질을 측정하여 응집제의 투입량을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제어부에 의해 컨트롤(조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원수에 함유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탁도와 수질을 측정하여 단순히 적정량의 응집제만을 투입시켜 주도록 하는 것에 불과하고, 투입되는 응집제를 적정량을 원수에 투입시키지 못하고 균일하게 살포시킬 수 없으므로 응집효율(효과)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원수의 염도와 산성도등을적절하게 조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2003-33415호 "정수약품 자동투입시스템"은, 일정량의 상수원에 투입할 정수약품의 량(수량)과 투입시간을 모드에 입력시켜, 정수약품의 적정량을 설정된 소정의 시간에 투여하여 정수를 실시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이는 정수약품을 단순히 설정시간마다 투입시켜 정수를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불과할 뿐이고, 투입되는 약품의 량을 정확하게 산출하여 투입시킬 수 없으므로 원수의 염도와 산성도 등을 다양하고 적절하게 조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뿐만 아니라 투입되는 응집제도 원수에 균일하게 살포시킬 수 없으므로 응집효율(효과)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정수약품자동투입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원수를 침전 및 여과시켜 배수지로 배출시킴에 있어, 원수를 침전지로 공급하기 전에 약품을 투입 혼화시켜 각종 이물질을 응집시켜 제거한 후에 침전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되, 하측에 누액감지수단이 구비되고 튜브연동방식으로 된 복수개의 유량제어펌프를 설치하여 약품을 이젝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유량제어펌프를 통해 투입되는 약품은 벤투리원리를 이용하는 이젝터에 의해 희석수와 혼합시켜 공급시킬 수 있도록 된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원수에 투입되는 약품은 처리수량 및 수질에 따라 튜브연동방식의 유량제어펌프에 의해 정확한 량을 산출하여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유량제어펌프에 의해 정량이 투입되는 약품은 벤투리원리를 이용하는 이젝터에 의해 희석수와 고르게 혼합하여 공급시켜 줄 수 있도록 하며, 더불어 이물질의 응집 및 정화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복수개가 병렬로 설치되는 각 유량제어펌프의 하측에 누액감지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유량제어펌프의 누액여부를 감지하고, 누액이 감지여부에 따라 유량제어펌프를 선택적으로 가동시켜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하며, 유량제어펌프는 튜브를 통하여 약품을 유통시키되 회전판에 롤러를 등 간격으로 설치하여 회전판을 회전시켜 반복적으로 통과하는 롤러에 의해 튜브의 외면이 일정한 간격(시간)으로 압착되어지면서 약품이 송출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약품과 펌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펌프를 분해하거나 세척하지 않고 단순히 새로운 튜브로 교체해 주는 것에 의해 용이하고 짧은 시간에 정비를 실시할 수 있도록 된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원수공급관(8)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에 착수정(3)에서 약품을 투입하고 혼화지(4)에서 혼화시켜 응집지(5)에서 화학반응물질을 응집하여 제거하고, 화학반응물질이 응집 제거된 원수를 침전지(6)와 여과지(7)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침전 및 여과시킨 후에 정수배출관(8-1)을 통하여 배수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약품탱크(12)에 설치된 약품메인공급관(16)에는 전자밸브(SV)가 각각 장착된 약품공급가지관(19)과 약품배출가지관(19-1)을 이용하여 튜브연동방식에 의해 유통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펌프(20)를 병렬로 설치한 것과,
각 유량제어펌프(20)의 배출측은 약품투입관(19-2)을 통하여 벤투리원리를 이용하는 이젝터(40)의 약품투입관(46)에 공급하고, 희석수탱크(13)의 희석수는 희석수공급관(14)을 통하여 상기 이젝터(40)의 분사관(50)에 공급하며, 희석수공급관(14)을 통하여 이젝터(40)에 공급되는 희석수의 일부를 밸브(V3)가 장착된 세척수라인(14-1)을 통하여 약품메인공급관(16)에 공급시킬 수 있킬 수 있도록 한 것과,
각 유량제어펌프(20)의 하측에는 누출되는 약품을 충진시키고 누출되는 약품의 량을 측정하여 현장제어반(11)에 제공하는 누액감지기(30)를 설치한 것과,
이젝터(40)에서 희석수와 혼합 희석된 희석약품은 희석약품공급관(15)을 통해 착수정(3)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원수공급관(8)에 설치된 원수유량계(2)를 통과한 처리수량의 정보를 현장제어반(11)에 제공하고, 병렬로 설치되는 유량제어펌프(20)들 및 각 유량제어펌프(20)의 공급측과 배출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자밸브(SV)들은 현장제어반(11)에 의해 작동을 제어하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약품자동투입장치(10)에 의해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를 정수장의 정수시스템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에 설치되어지는 튜브타입유량제어펌프를 보인 사시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에 설치되어지는 누액감지기를 보인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에 설치되어지는 이젝터를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정수시스템 2: 원수유량계 3: 착수정
6: 침전지 7: 여과지 8: 원수공급관
10: 정수약품자동투입장치 11: 현장제어반 12: 약품탱크
13: 희석수탱크 14: 희석수공급관 15: 희석약품공급관
16: 약품메인공급관 17: 침전조 18: 면적식유량계
19: 약품공급가지관 20: 유량제어펌프 22: 모터
23: 펌프헤드커버 24: 로터어셈블리 25: 롤러
27: 튜브 30: 누액감지기 31: 누액충진통
32: 경사면 34: 감지센서 36: 누액
40: 이젝터 41: 장착하우징 44: 관삽입공
46: 약품투입관 48: 공간부 50: 분사관
51: 원통관 52: 원뿔관 57: 희석수흡입구
60: 1단분출확산관 62: 확개면 70: 2단확산관
71: 확산관 76: 격판 77: 분출공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약품자동투입장치(10)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약품자동투입장치(10)를 정수시스템(1)에 설치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고, 도 2a 내지 도 2d는 본 고안에 설치되는 튜브타입식의 유량제어펌프(20)를 보인 사시도 및 작동관계 설명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설치되는 누액감지기(30)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고안에 설치되는 이젝터(40)의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정수약품자동투입장치(10)의 구성과, 본 고안이 정수시스템(1)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것이다.
정수시스템(1)은 유량계(2)가 장착되는 원수공급관(8)의 선상에 착수정(3)과 혼화지(4)와 응집지(5) 및 침전지(6) 그리고 여과지(7)를 차례로 설치하고, 상기 여과지(7)에서 정수배출관(8-1)을 통하여 배수지와 같은 목적지로 송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본 고안에 따른 정수약품자동투입장치(10)는 원수유량계(2)와 착수정(3)과의 사이에 설치하였다.
상기 원수유량계(2)와 착수정(3)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약품자동투입장치(10)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약품탱크(12)에는 밸브(V4)(V-1)가 양측에 구비된 침전조(17)와 면적식유량계(18)가 장착된 약품메인공급관(16)을 설치하였고, 약품메인공급관(16)의 배출단부에는 밸브(V5)(V6)와 전자밸브(SV1)(SV2)가 각각 장착된 복수개의 약품공급가지관(19)을 설치하였으며, 각 약품공급가지관(19)에는 도 2a 내지 도 2d에 구체적 도시되어 있는 유량제어펌프(20)에 설치된 튜브(27)의 공급측에 연결하였다.
상기 유량제어펌프(20)는 함체(21)의 내부에 내장된 모터(22)의 모터축(22-1)에 원판으로 형성된 로터어셈블리(24)의 중앙을 장착하였고, 로터어셈블리(24)의 주연부에는 복수개의 롤러(25)를 롤러축(26)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굴대 설치하였으며, 로터어셈블리(24)의 전면에서 롤러(25)의 상측에는 펌프헤드커버(23)을 설치하였으며, 롤러(25)와 펌프헤드커버(23)와의 사이에는 약품이 유통되는 튜브(27)를 장착하였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유량제어펌프(20)에 장착된 튜브(27)의 배출 측에는 전자밸브(SV3)(SV4)와 밸브(V7)(V8)가 각각 장착된 약품배출가지관(19-1)을 연결하였고, 각 약품배출가지관(19-1)은 밸브(V9)가 장착된 약품투입관(19-2)에 연결시키되 약품투입관(19-2)에는 별도의 밸브(V10)가 장착된 가지관을 연결시켜 약품을 별도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약품투입관(19-2)은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이젝터(40)에 연결하였다.
별도로 설치되는 희석수탱크(13)에는 희석수공급관(14)을 설치하되, 희석수공급관(14)에는 밸브(V1)(V2)를 이격시켜 장착하였고, 밸브(V1)의 외측에서 희석수공급관(14)과 약품탱크(12)의 약품메인공급관(16)을 밸브(V3)가 장착된 세척수라인(14-1)으로 연결시키되, 약품메인공급관(16)에 연결되는 세척수라인(14-1)은 밸브(V4)의 배출 측에 연결하였으며, 희석수공급관(14)의 배출단부는 차후에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이젝터(40)와 연결하여 희석수를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각 유량제어펌프(20)의 하측에는 누출되는 약품을 충진시키고 누출되는 약품의 량을 측정하여 현장제어반(11)에 제공하는 누액감지기(30)를 설치하였다.
상기 누액감지기(30)는 도 3에 예시된바와 같이, 누액충진통(31)의 내부에 경사면(32)을 형성하였고, 깊이가 깊은 쪽에는 감지편(35)이 하측으로 구비된 감지센서(34)를 설치하였으며, 감지센서(34)에 감지되는 누액정보는 현장제어반(11)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약품투입관(19-2)을 통하여 약품이 투입(공급)되고 희석수공급관(14)을 통하여 희석수가 공급되는 이젝터(40)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바와 같이, 장착하우징(41)에 관삽입공(44)과 유통공(42)을 수직 수평으로 연통되게 통공하되, 수직으로 통공된 관삽입공(44)에는 약품이 투입되는 약품투입관(46)을 설치하였고, 횡으로 통공된 유통공(42)의 유입측과 배출측에는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분사관(50)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확산되어지는 1단분출확산관(60)을 각각 설치하되 장착하우징(41)의 내부에서 분사관(50)과 1단분출확산관(60)과의 사이에는 공간부(48)가 형성되어지도록 하였으며, 1단분출확산관(60)의 배출단부에는 단면적이 좁아진 상태에서 재차 확산되어지는 2단분출확산관(70)을 설치하였다.
상기 이젝터(40)에서, 장착하우징(41)에 수직으로 통공된 관삽입공(44)의 내주면과 약품이 투입되는 약품투입관(46)의 외주면에는 나사부(45)(47)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분해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약품투입관(46)의 내주면 상측에 나사부(46-1)를 형성하여 약품배출가지관(19)을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횡으로 통공된 유통공(42)의 유입측에 설치되는 분사관(50)은, 원통관(51)의 선단에는 유입구(53)와 연통되는 1단경사면(54)과 평면(55) 및 2단경사면(56)에 의해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좁아지고 선단에 분사구(57)가 통공된 원뿔관(52)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유입구(53)에 나사부(58)를 형성하여 희석수공급관(14)을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원통관(51)의 외주면 선단과 유통공(42)의 유입측 내주연에는 나사부(59)(43-1)를 형성하여 분해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유통공(42)의 배출측 유통공(42)에 설치되는 1단분출확산관(60)은, 확산관(61)의 내부 중앙선상에 유입유도경사면(62)과 확개면(63)이 차례로 형성하고, 확산관(61)의 외주면 선단과 유통공(42)의 배출측 내주면에 나사부(64)(43-2)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결합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1단분출확산관(60)의 배출단부 설치되는 2단분출확산관(70)은, 확산관(71)의 유입측에 장착구(72)를 일체로 형성하여 장착구(72)와 확산관(71)의 내부에는 협소면(63)과 확개면(74) 및 원통면(75)을 연통되게 통공하였고, 원통면(75)에는 복수개의 분출공(77)이 통공된 격판(76)을 일체로 형성하였으며, 장착구(72)의 외주연과 확개면(63)의 선단 내주연에 나사부(78)(65)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결합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원통면(75)의 내주연 선단에는 나사부(79)를 형성하여 희석약품공급관(15)을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젝터(40)에서 희석수와 혼합 희석된 희석약품은 희석약품공급관(15)을 통해 착수정(3)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였고, 원수공급관(8)에 설치된 원수유량계(2)를 통과한 처리수량의 정보를 현장제어반(11)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병렬로 설치되는 유량제어펌프(20)들 및 각 유량제어펌프(20)의 공급측과 배출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자밸브(SV)들은 현장제어반(11)에 의해 제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하 작동관계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정수약품자동투입장치(10)가 설치된 정수시스템(1)은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원수공급관(8)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는 정수약품자동투입장치(10)에서 투입되는 희석약품과 함께 착수정(3)으로 공급되고, 착수정(3)으로 공급된 원수와 희석약품은 혼화지(4)로 공급되어 원수와 희석약품은 혼화(혼합)되어지며, 희석약품과 혼화된 원수는 응집지(5)로 유입되어 원수에 혼합되어 있는 화학적으로 응집되어지는 물질이 희석약품에 의해 응집되어진다.
희석약품과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응집되어 무게가 무거워진 응집물질은 침전지(6)에서 침전되어 제거되어지고, 응집물질이 침전지(6)에서 침전 제거된 원수는 여과지(7)를 통과하면서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들이 여과지(필터)에 의해 필터링 되어 정화되어지며, 필터링 된 원수는 정수배출관(8-1)을 통하여 배수지와 같은 최종목적지로 공급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정수시스템(1)이 작동되어질 때에 원수공급관(8)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는 원수유량계(2)에 의해 공급되는 량이 측정(계측)되어 그 처리수량신호(정보)가 현장제어반(11)에 제공되고 있는 상태에서, 착수정(3)에 희석약품을 투입시켜 주게 되는 본 고안에 따른 정수약품자동투입장치(10)는 다음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
약품탱크(12)에 LAS, PAC 등과 같은 액체약품이 충진되어 있고, 희석수탱크(13)에 정수 또는 수돗물과 같은 희석수가 공급되는 상태에서 작동된다.
약품탱크(12)에 연결된 약품메인공급관(16)의 밸브(V4)를 개방시켜 주게 되면 약품탱크(12)에 충진되어 있는 액체상태의 약품이 침전조(17)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침전되어지면서 면적식유량계(18)와 밸브(V5)(V6)를 통과하게 되고, 전자밸브(SV1)(SV2)를 거쳐 병렬로 설치된 유량제어펌프(20)중에서 어느 하나로 공급되어지는데, 이때에 현장제어반(11)은 유량제어펌프(20)의 하측에 설치된 누액감지기(30)의 감지상태에 따라 그 유량제어펌프(20)를 작동시킬 것인지 또는 병렬로 설치된 다른 유량제어펌프(20)를 작동시킬 것인가의 여부를 현장제어반(11)이 자동으로 결정하게 되며, 누액감지기(30)에 누액 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어지면 현장제어반(11)의 결정에 의해 전자밸브(SV1)가 작동하여 약품을 누액감지기(30)가 설치되어 있는 유량제어펌프(20)를 작동시키게 된다.
약품공급가지관(19)을 통하여 공급되는 약품은 도 2b 내지 도 2d에 예시된바와 같이 튜브(27)를 통과하게 되는데, 도 2b에 예시된바와 같이 하나의 롤러(25)가 상측 중앙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함체(21)의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모터(22)가 작동하게 되면 모터축(22-1)에 장착된 로터어셈블리(24)이 회전하게 되고, 로터어셈블리(24)이 회전하게 되면 장착된 롤러(25)들이 이동하면서 튜브(27)를 통하여 공급되는 약품은 도 2b에 예시된바와 같은 상태에서 돌출만곡흡입면(23-1)측에서 롤러(25)에 의해 도 2c에 예시된바와 같은 상태로 상측으로 밀려 올려지게 되고, 도 2c에 예시된바와 같이 상측 중앙에 위치하는 약품은 회전하는 롤러(25)에 의해 도 2d에 예시된바와 같이 돌출만곡송출면(23-3)의 배출측 튜브(27)로 이동하여 전자밸브(SV3)와 밸브(V7)를 거쳐 약품투입관(19-2)을 통하여 이젝터(40)의 약품투입관(48)으로 공급(투입)되어지며, 상기와 같이 로터어셈블리(24)에 등 간격(각도)으로 설치된 롤러(25)가 회전 이동하면서 튜브(27)에 충진되어 있는 약품을 송출시킬 때에 면적식유량계(18)를 통하여 약품의 흐름(유통)상태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유량제어펌프(20)의 작동에 의해 약품을 이젝터(40)에 투입시켜 줄 때에 현장제어반(11)은 원수유량계(2)에서 제공되는 유통량의 정보에 따라 유량제어펌프(20)에 설치된 모터(22)의 회전속도를 컨트롤하여 튜브(27)를 통과하는 약품의 적정량이 투입되어지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약품탱크(12)에 충진되어 있는 약품을 장기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유량제어펌프(20)의 작동에 의해 이젝터(40)로 투입되어질 때에 희석수탱크(13)에 충진되어 있는 희석수를 이용하여 약품메인공급관(16)을 세척 할 수 있다.
밸브(V1)(V2)가 개방되어 희석수가 희석수공급관(14)을 통하여 이젝터(40)로 공급되어지고 있는 상태에서 세척수라인(14-1)에 설치되어 있는 밸브(V3)를 개방시켜 주게 되면 희석수공급관(14)으로 공급되어지는 희석수 중에서 일부가 세척수라인(14-1)을 통해 약품메인공급관(16)으로 공급되어 통과하는 약품을 차단되어진 후에 약품공급가지관(19)에서 유량제어펌프(20)로 공급되고, 유량제어펌프(20)의 작동에 의해 약품투입관(19-2)을 통하여 이젝터(40)로 공급되어지는 것이다.
약품투입관(19-2)과 희석수공급관(14)을 통하여 공급되어지는 약품과 희석수는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바와 같은 이젝터(40)로 유입되어지는데, 약품투입관(19-2)을 통하여 투입되어지는 약품은 장착하우징(41)의 상측에 장착된 약품투입관(46)을 통하여 분사관(50)과 1단분출확산관(60)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공간부(48)로 유입(공급)되어지고, 희석수공급관(14)을 통하여 공급되어지는 희석수는 원통관(51)의 유입구(53)로 유입되어 점진적으로 협소해지는 1단경사면(54)과 평면(55) 및 2단경사면(56)을 차례로 통과한 후에 희석수흡입구(57)를 통하여 분사되어지며, 공간부(48)로 유입되는 약품과 희석수흡입구(57)로 분사되어지는 희석수는 1단분출확산관(60) 의 유입유도경사면(62)과 확개면(63)의 경계선상에서 확개면(63)으로 확산 분사되어지면서 혼합되어지며, 분사되어 혼합되어지는 약품희석수는 2단분출확산관(70)의 협소면(73)에서 확개면(74)으로 재차 분사되어지면서 2차 혼합되어진다.
2차 혼합된 약품희석수는 원통면(75)을 통하여 즉시 배출되지 못하고 격판(76)에 의해 억류되어 확개면(74)의 내부에서 지체되면서 2차 혼합 분사되어지는 약품희석수와 충돌하여 재차(3차) 혼합되어지고, 3차 혼합된 약품희석수는 격판(76)에 통공된 분출공(77)들을 통하여 강한 압력으로 원통면(75)으로 분출되어지며, 원통면(75)으로 분출되어지는 약품희석수는 희석약품공급관(15)을 통하여 착수정(3)으로 공급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누액감지기(30)가 설치되어 있는 상측의 유량제어펌프(20)가 작동하여 약품을 이젝터(40)에 투입시켜 주고 있는 상태에서, 튜브(27)의 연결부분의 밀폐능력 등이 떨어져 약품(또는 약품희석수)이 누출되어지면 누출되는 약품은 도 3에 예시된바와 같이 누액충진통(31)에 충진되어지고, 누액충진통(31)의 경사면(32)의 상측으로 충진되어지는 누액(36:액상의 약품)이 감지센서(34)의 감지편(35)과 접촉하여 감지(센싱)되어지면 감지센서(34)는 그 정보를 현장제어반(11)에 제공한다.
누액상태의 정보를 제공받은 현장제어반(11)는 전자밸브(SV1)(SV3)를 폐쇄시키고 그 유량제어펌프(20)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이와 동시에 하측의 유량제어펌프(20)와 연결된 전자밸브(SV2)(SV4)를 개방(작동)시켜 약품이 하측에 위치하는 유량제어펌프(20)로 공급되어지도록 하면서 그 유량제어펌프(20)를 작동시켜 약품을 이젝터(40)에 투입(공급)시켜 주도록 하며, 약품을 중단 없이 이젝터(40)에 공급시켜 줌으로서 착수정(3)에는 약품희석수를 지속적으로 공급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다른(하측에 위치하는) 유량제어펌프(20)를 작동시키는 동안에 누액이 발생하는 유량제어펌프(20)를 수리하며, 수리를 완료한 후에 누액감지기(3)가 설치된 유량제어펌프(20)로 환원시켜 약품을 공급시켜주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정수약품자동투입장치는, 원수를 침전 및 여과시켜 배수지로 배출시킴에 있어, 원수를 침전지로 공급하기 전에 약품을 투입 혼화시켜 각종 이물질을 응집시켜 제거한 후에 침전지로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하되, 하측에 누액감지수단이 구비되고 튜브연동방식으로 된 복수개의 유량제어펌프를 설치하여 약품을 이젝터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 유량제어펌프를 통해 투입되는 약품은 벤투리원리를 이용하는 이젝터에 의해 희석수와 혼합시켜 공급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원수에 투입되는 약품은 처리수량 및 수질에 따라 튜브연동방식의 유량제어펌프에 의해 정확한 량을 산출하여 공급할 수 있고, 유량제어펌프에 의해 정량이 투입되는 약품은 벤투리원리를 이용하는 이젝터에 의해 희석수와 고르게 혼합하여 공급시킬 수 있으므로 이물질의 응집 및 정화효과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복수개가 병렬로 설치되는 각 유량제어펌프의 하측에 누액감지수단을 각각 구비하여 유량제어펌프의 누액여부를 감지하여 누액이 감지여부에 따라 유량제어펌프를 선택적으로 가동시켜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며, 유량제어펌프는 튜브를 통하여 약품을 유통시키되 회전판에 롤러를 등 간격으로 설치하여 로터어셈블리를 회전시켜 반복적으로 통과하는 롤러에 의해 튜브의 외면이 일정한 간격(시간)으로 압착되어지면서 약품이 송출되어지도록 함으로서 약품과 펌프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펌프를 분해하거나 세척하지 않고 단순히 새로운 튜브로 교체해 주는 것에 의해 용이하고 짧은 시간에 정비를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원수공급관(8)을 통하여 공급되는 원수에 착수정(3)에서 약품을 투입하고 혼화지(4)에서 혼화시켜 응집지(5)에서 화학반응물질을 응집하여 제거하고, 화학반응물질이 응집 제거된 원수를 침전지(6)와 여과지(7)를 순차적으로 통과시켜 침전 및 여과시킨 후에 정수배출관(8-1)을 통하여 배수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에 있어서,
    약품탱크(12)에 설치된 약품메인공급관(16)에는 전자밸브(SV)가 각각 장착된 약품공급가지관(19)과 약품배출가진관(19-1)을 이용하여 튜브연동방식에 의해 유통되는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펌프(20)를 병렬로 설치한 것과,
    각 유량제어펌프(20)의 배출측은 약품투입관(19-2)을 통하여 벤투리원리를 이용하는 이젝터(40)의 약품투입관(46)에 공급하고, 희석수탱크(13)의 희석수는 희석수공급관(14)을 통하여 상기 이젝터(40)의 분사관(50)에 공급하며, 희석수공급관(14)을 통하여 이젝터(40)에 공급되는 희석수의 일부를 밸브(V3)가 장착된 세척수라인(14-1)을 통하여 약품메인공급관(16)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각 유량제어펌프(20)의 하측에는 누출되는 약품을 충진시키고 누출되는 약품의 량을 측정하여 현장제어반(11)에 제공하는 누액감지기(30)를 설치한 것과,
    이젝터(40)에서 희석수와 혼합 희석된 희석약품은 희석약품공급관(15)을 통해 착수정(3)에 공급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원수공급관(8)에 설치된 원수유량계(2)를 통과한 처리수량의 정보를 현장제어반(11)에 제공하고, 병렬로 설치되는 유량제어펌프(20)들 및 각 유량제어펌프(20)의 공급측과 배출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자밸브(SV)들은 현장제어반(11)에 의해 제어하는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약품탱크(12)에 설치되는 약품메인공급관(16)에는,
    약품의 배출을 단속하는 밸브(V4)(V4-1)와, 배출되는 약품의 유량을 식별하고 측정하는 면적식유량계(18)를 장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유량제어펌프(20)의 공급측과 배출측에 약품공급가지관(19)과 약품배출가지관(19-1)을 설치함에 있어,
    약품공급가지관(19)에는 밸브(V5)(V6)와 전자밸브(SV1)(SV2)를 순차적으로 각각 장착하고, 약품배출가지관(19-1)에는 전자밸브(SV3)(SV4)와 밸브(V7)(V8)를 순차적으로 각각 장착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약품메인공급관(16)에 병렬로 설치되는 유량제어펌프(20)는,
    함체(21)에 내장된 모터(22)의 모터축(22-1)에 원판형상으로 된 로터어셈블리(24)의 중앙을 장착한 것과,
    로터어셈블리(24)의 주연부에는 복수개의 롤러(25)를 롤러축(26)으로 회전가능하게 굴대 설치한 것과, 로터어셈블리(24)의 전면에서 롤러(25)의 상측에 펌프헤드커버(23)를 설치한 것과,
    롤러(25)와 펌프헤드커버(23)와의 사이에는 약품이 유통되는 튜브(27)를 장착시킨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량제어펌프(20)의 하측에 설치되는 누액감지기(30)는,
    누액충진통(31)의 내부에 경사면(32)을 형성하고, 깊이가 깊은 쪽에는 감지편(35)이 하측으로 구비된 감지센서(34)를 설치하며, 감지센서(34)에 감지되는 누액(36)의 정보를 현장제어반(11)에 제공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약품투입관(19-2)과 희석수공급관(14)을 통하여 약품과 희석수가 투입되는 이젝터(40)는,
    장착하우징(41)에는 관삽입공(44)과 유통공(42)을 수직 수평으로 연통되게 통공한 것과,
    장착하우징(41)에 수직으로 통공된 관삽입공(44)에는 약품이 투입되는 약품투입관(46)을 설치한 것과,
    장착하우징(41)에 횡으로 통공된 유통공(42)의 유입 및 배출 측에는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는 분사관(50)과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확산되어지는 1단분출확산관(60)을 각각 설치한 것과,
    장착하우징(41)의 유통공(42)에 설치되는 분사관(50)과 1단분출확산관(60)과의 사이에 공간부(48)를 형성한 것과,
    1단분출확산관(60)의 배출단부에는 단면적이 좁아진 상태에서 재차 확산되어지는 2단분출확산관(70)을 설치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이젝터(40)의 장착하우징(41)에 분사관(50)과 1단분출확산관(60) 및 2단분출확산관(70)을 설치함에 있어,
    상기 분사관(50)은, 원통관(51)의 선단에 유입구(53)와 연통되고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1단경사면(54)과 평면(55) 및 2단경사면(56)을 형성되고 희석수흡입구(57)가 통공된 원뿔관(52)을 일체로 형성하고, 유입구(53)에 나사부(58)를 형성하여 희석수공급관(14)을 분해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며, 원통관(51)의 외주면 선단과 유통공(42)의 유입측 내주연에는 나사부(59)(43-1)를 형성하여 분해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1단분출확산관(60)은, 확산관(61)의 내부 중앙선상에 유입유도경사면(62)과 확개면(63)을 차례로 형성하고, 확산관(61)의 외주면 선단과 유통공(42)의 배출측 내주면에 나사부(64)(43-2)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분해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2단분출확산관(70)은, 확산관(71)의 유입측에 장착구(72)를 일체로 형성하되 장착구(72)와 확산관(71)의 내부에는 협소면(63)과 확개면(74) 및 원통면(75)을 연통되게 통공하고, 원통면(75)에는 복수개의 분출공(77)이 통공된 격판(76)을 일체로 형성하며, 장착구(72)의 외주연과 확개면(63)의 선단 내주연에 나사부(78)(65)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결합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며, 원통면(75)의 내주연 선단에는 나사부(79)를 형성하여 희석약품공급관(15)을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8. 청구항 4에 있어서, 로터어셈블리(24)의 전면에서 롤러(25)의 상측에 설치되는 펌프헤드커버(23)는,
    저면의 중앙에 상측으로 만곡되는 유입만곡유통면(23-2)을 형성하고, 그 양측에는 하측으로 만곡된 돌출만곡흡입면(23-1) 및 돌출만곡송출면(23-3)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KR20-2004-0013192U 2004-05-12 2004-05-12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KR2003627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192U KR200362738Y1 (ko) 2004-05-12 2004-05-12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3192U KR200362738Y1 (ko) 2004-05-12 2004-05-12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738Y1 true KR200362738Y1 (ko) 2004-09-22

Family

ID=49437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3192U KR200362738Y1 (ko) 2004-05-12 2004-05-12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73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050B1 (ko) * 2007-07-31 2009-06-23 이대규 자동약품주입기
KR101412199B1 (ko) * 2012-12-12 2014-07-18 박혁진 누수감지 튜브펌프
KR101561764B1 (ko) * 2014-01-02 2015-10-20 전성민 연동 펌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4050B1 (ko) * 2007-07-31 2009-06-23 이대규 자동약품주입기
KR101412199B1 (ko) * 2012-12-12 2014-07-18 박혁진 누수감지 튜브펌프
KR101561764B1 (ko) * 2014-01-02 2015-10-20 전성민 연동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58038B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mixing or dissolving
KR100916709B1 (ko) 무동력 관내 혼화장치
JPS583723B2 (ja) 凝集効果検出装置
KR101602289B1 (ko) 역 와류형 미세기포 발생장치를 이용한 가압부상설비
KR100904050B1 (ko) 자동약품주입기
KR100795159B1 (ko) 액체추출장치, 액체추출장치를 세척하는 방법 및 그 액체 추출 시스템
CA3034125A1 (en) Test apparatus for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200362738Y1 (ko) 정수약품 자동투입장치
CN104056470B (zh) 内循环扰动装置及安装有该内循环扰动装置的沉淀池
KR100665335B1 (ko) 정.폐수 처리장치
KR101187824B1 (ko) 분사장치
KR20000066263A (ko)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KR102511909B1 (ko) 응집제 혼합 탱크 및 이를 가지는 이동식 오수 정화장치
JP2001149710A (ja) スクリュープレス型脱水機におけるスクリーン洗浄装置
KR100323046B1 (ko) 정수장 및 폐수 처리장 일축 일체형 다종 액체 약품 투입 장치
CN111420461B (zh) 肥水过滤设备
KR102099701B1 (ko) 배수지 재염소투입 시스템
KR20140044095A (ko) 불소 양치용액 혼합 방법 및 장치
CN207713601U (zh) 一种集成式污水处理设备
KR101144673B1 (ko) 연속식 수질정화시스템의 오폐수 교반장치
KR101782037B1 (ko) 상하수도용 응집침전장치
KR970002616B1 (ko) 노즐분사식 약품희석시스템
KR100985064B1 (ko) 이동식 실시간 수질정화장치
KR100819155B1 (ko) 파이프형 오폐수 처리장치
CN220597165U (zh) 一种含氟废水处理装置及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