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6263A -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6263A
KR20000066263A KR1019990013244A KR19990013244A KR20000066263A KR 20000066263 A KR20000066263 A KR 20000066263A KR 1019990013244 A KR1019990013244 A KR 1019990013244A KR 19990013244 A KR19990013244 A KR 19990013244A KR 20000066263 A KR20000066263 A KR 20000066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hemical
chemical
liquid
water
suppl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32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6865B1 (ko
Inventor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현 filed Critical 김종현
Priority to KR10199900132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6865B1/ko
Publication of KR2000006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6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68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686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81Installations for water purification using chemic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2Eliminating or preventing deposits, scale removal, scale preven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액체약품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원수와의 혼화효율이 높도록, 액체약품이 저장되는 약품저장탱크와, 약품저장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액체약품을 소정의 양으로 공급하는 약품주입장치와, 약품주입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액체약품을 분배하여 배출하는 분배조와, 벤튜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수가 공급되어 분배조로부터 액체약품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인젝터와, 인젝터로부터 배출되는 가압수와 액체약품을 고르게 혼합하는 혼합기와, 원수가 유입되는 혼화지의 수중에 설치되고 혼합기로부터 배출되는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혼합액을 토출하며 다수의 노즐구멍이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되는 확산기를 포함하는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을 제공한다.
약품주입장치는 디퍼식 약품주입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유량비례 제어밸브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Description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Auto Mixing and Diffusing System of Liquid Chemicals for Water Treatment Plant}
본 발명은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수장의 원수를 처리하기 위한 액체약품의 적정량을 혼화지의 원수유입부에 공급하여 확산 혼화시키므로 약품을 절감하고 수질을 개선시킨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원의 원수를 소독 및 정수 처리하여 식수로 공급하는 정수장에서는 정수를 위한 응집제(PAC, PAHCS 등)와 PH 조절제(알칼리제, 가성소다 등) 및 냄새와 맛을 개선시키기 위한 활성탄 및 살균을 위한 소독제 등을 투입하여 깨끗하고 질좋은 수돗물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원수를 정수 처리하기 위하여 주입하는 응집제 및 PH 조절제 등의 액체약품은 종래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정수장용 액체약품 주입시스템을 이용하여 투입한다.
즉 종래의 정수장용 액체약품 주입시스템은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품저장탱크(10)로부터 유입되는 액체약품을 디퍼식(dipper type) 약품주입기(12)를 이용하여 분배조(14)로 공급하고, 분배조(14)에서 분배되어 약품공급관(16)을 통하여 공급되는 액체약품은 착수정을 통하여 혼화지(2)로 유입되는 원수의 표면에 떨어뜨려진다.
상기한 혼화지(2)에는 표면에 떨어뜨려지는 액체약품을 유입되는 원수와 혼합하기 위하여 모터(5)에 의하여 혼화날개(6)를 회전시키는 혼화기가 설치된다.
또 상기한 혼화지(2)에는 착수정을 통하여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와 액체약품이 혼화된 원수가 배출되는 유출구(4)가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종래의 정수장용 액체약품 주입시스템은 혼화지(2)로 유입되는 원수의 표면에 액체약품을 떨어뜨리는 방식이므로 액체약품의 혼화효과가 낮고 비효율적이며, 원수와 액체약품이 골고루 혼화되지 않으므로 약품의 주입량이 많아 액체약품의 소모가 많다.
또 액체약품이 너무 많이 투입되면 PH의 적정한 조절이 불가능하여 PH 조절제인 알칼리제를 추가적으로 주입하여야 응집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알칼리제의 소모가 많고, 응집효과가 저하된다.
그리고 모터(5)와 혼화날개(6)로 이루어지는 대형의 혼화기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시설비가 과다하게 투자되고, 혼화기의 모터(5)를 연속으로 가동하여야 하므로 동력의 소모가 많아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혼화지의 수중에 약품주입장치 및 인젝터를 통하여 가압수와 혼합된 액체약품이 공급되는 확산기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액체약품의 공급량을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고 원수와의 혼화효율이 높은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은 액체약품이 저장되는 약품저장탱크와, 상기한 약품저장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액체약품을 소정의 양으로 공급하는 약품주입장치와, 상기한 약품주입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액체약품을 분배하여 배출하는 분배조와, 벤튜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수가 공급되어 상기한 분배조로부터 액체약품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인젝터와, 원수가 유입되는 혼화지의 수중에 설치되고 상기한 인젝터로부터 배출되는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혼합액을 토출하는 확산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약품주입장치는 디퍼(dipper)식 약품주입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유량비례 제어밸브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정량펌프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확산기는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혼합액이 분출되는 노즐구멍이 소정의 패턴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한 인젝터와 확산기의 사이에는 상기한 인젝터로부터 배출되는 가압수와 액체약품을 고르게 혼합하여 상기한 확산기로 배출하는 혼합기를 설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의 일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확산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3의 A방향에서 본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젝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혼합기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주입장치의 제1실시예를 적용한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확산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약품주입장치의 제2실시예를 적용한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약품주입장치의 제3실시예를 적용한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공정도.
도 11은 종래 정수장용 액체약품 주입시스템을 나타내는 공정도.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의 일실시예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약품이 저장되는 약품저장탱크(10)와, 상기한 약품저장탱크(10)로부터 유입되는 액체약품을 소정의 양으로 공급하는 약품주입장치(20)와, 상기한 약품주입장치(20)로부터 공급받은 액체약품을 분배하여 배출하는 분배조(30)와, 벤튜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수가 공급되어 상기한 분배조(30)로부터 액체약품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인젝터(40)와, 상기한 인젝터(40)로부터 배출되는 가압수와 액체약품을 고르게 혼합하는 혼합기(50)와, 원수가 유입되는 혼화지(2)의 수중에 설치되고 상기한 혼합기(50)로부터 배출되는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혼합액을 토출하는 확산기(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혼화지(2)에는 착수정을 통하여 원수가 유입되는 유입구(3)와 액체약품이 혼합되어 정수 처리된 물이 배출되는 유출구(4)가 설치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확산기(60)를 혼화지(2)의 유입구(3)쪽에 설치하여 유입되는 원수를 향하여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혼합액이 토출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원수가 유입되는 혼화지(2)의 유입구(3)쪽에 확산기(60)를 설치하면, 토출되는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혼합액이 원수와 혼합되어 이동하면서 확산에 의하여 고르게 혼화되므로 혼화효율이 높고, 유입되는 원수의 대부분이 액체약품과 접촉하여 소정의 정수 처리가 완전하게 행해진다.
상기와 같이 혼화지(2)의 유입구(3)쪽에 설치되는 상기한 확산기(6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입구(3)의 단면적보다 넓게 파이프(62)를 이용하여 형성하며, 파이프(62)에는 유입구(3)의 중앙부를 향하여 다수의 노즐구멍(63)을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한다.
상기한 확산기(60)는 토출관(58)을 통하여 상기한 혼합기(50)와 연결된다.
상기한 노즐구멍(63)은 2열 또는 2열 이상으로 형성하고,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혼합액이 토출되는 방향이 유입되는 원수를 향하도록 형성한다.
즉 상기한 노즐구멍(63)을 통하여 토출되는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혼합액의 토출방향이 유입되는 원수의 방향과 대략 45°의 각도를 이루도록 노즐구멍(63)을 형성하는 것이 혼화효율이 높으므로 바람직하다.
또 상기한 노즐구멍(63)의 크기 및 수량은 크기가 적고 수량이 많을수록 혼화효율이 개선되지만, 크기가 너무 작을 경우에는 액체약품 및 가압수 중에 있는 화학물질에 의한 고형물의 발생으로 노즐구멍(63)이 막힐 우려가 있으며, 크기가 너무 클 경우에는 혼화효율이 떨어지므로 적정하게 선정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가압수에 대한 액체약품의 혼합비율을 대략 0.2∼5% 정도로 하는 경우에는 노즐구멍(63)의 수량이 대략 90∼100 개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노즐구멍(63)의 크기는 지름이 대략 3∼5㎜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한 확산기(60)의 분사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토출관(58) 및 파이프(62) 내부가 0.28∼0.5㎏/㎠의 압력손실을 유지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혼화효율을 최대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한 확산기(60)는 액체약품과 가압수의 혼합시 발생하는 고형물에 의하여 토출관(58) 및 파이프(62) 내부에 스케일이 발생하지만, 발생된 스케일은 노즐구멍(63)의 압력손실수두에 의한 마찰에 의하여 제거된다.
그러나 정수장을 연속으로 가동하는 경우에 미처 제거되지 못한 고형물에 의하여 노즐구멍(63) 또는 토출관(58) 및 파이프(62)가 막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한 토출관(58)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검출기(98)를 설치하여 토출관(58)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을 넘으면 현장경보장치(99)가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인젝터(4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T형으로 형성되고, 점점 단면적이 감소하는 유입부(44)와, 상기한 유입부(44)와 연결되고 점점 단면적이 증가하는 유출부(46)와, 상기한 유입부(44)와 유출부(46)의 연결부인 목부분에 연결되고 상기한 분배조(30)와 분배관(32)을 통하여 연결되는 흡입부(42)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유입부(44)에는 가압수펌프(41)와 연결된 가압수관(43)이 연결되고, 상기한 유출부(46)에는 상기한 혼합기(50)와 연결되는 혼합액공급관(47)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인젝터(40)를 구성하면 베르누이의 정리에 의하여 유입부(44)와 유출부(46)가 연결되는 목부분에서 유속과 압력손실에 의하여 진공이 발생하고, 이 진공에 의하여 상기한 분배조(30)의 액체약품이 분배관(32)을 통하여 흡입부(42)로 흡입되며, 상기한 가압수펌프(41)에 의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공급되는 가압수와 액체약품이 혼합된 상태로 상기한 혼합액공급관(47)을 통하여 상기한 혼합기(50)로 가압수와 액체약품이 공급된다.
상기에서 진공의 발생량은 최대 약품주입량을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양이어야 하며, 이에 대응하여 상기한 가압수펌프(41)에 의한 가압수의 압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가압수펌프(41)의 헤드압력은 2.8㎏/㎠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배관의 손실수두 및 최대 약품주입량에 따라 적정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가압수에 대한 액체약품의 혼합비율은 대략 0.2∼5% 정도를 유지하도록 가압수펌프(41)의 헤드압력 및 인젝터(40)의 유입부(44)와 유출부(46) 단면적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분배조(30)에는 상기한 가압수펌프(41)의 작동이 정지되는 등의 문제에 의하여 액체약품의 분배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때에 이를 감지하는 약품주입감시장치(96)를 설치하고, 액체약품의 분배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현장경보장치(97)가 작동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원수와 액체약품은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혼화되어야 최대한의 응집효과를 거둘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인젝터(40)를 통과하는 것 만으로는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상기한 혼합기(50)를 설치하여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혼합효율을 최대한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혼합기(5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이프형상의 하우징(52)과, 상기한 하우징(52)의 내부에 설치되는 나선형상으로 비틀린 혼합판(54)으로 이루어진다.
도 7에는 상기한 약품주입장치(20)를 제1실시예인 디퍼(24)를 이용하여 형성한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약품저장탱크(10)를 3개 설치한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약품저장탱크(10)의 수는 정수장의 상황에 따라 적정한 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약품저장탱크(10)와 약품주입장치(20)는 약품공급관(18)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약품주입장치(20)를 2개 설치한 것으로 나타내었지만, 약품주입장치(20)의 수는 정수장의 상황에 따라 적정한 수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약품주입장치(20)와 분배조(30)는 약품주입관(22)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상기한 약품주입장치(20)에는 플로트 밸브의 고장으로 디퍼식 약품주입장치의 유입약품이 출구쪽으로 오버되어 분배조에 유입되지 못하도록 배출하기 위한 드레인관(21)을 각각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확산기(60)를 유입되는 원수가 혼화지(2)의 벽을 타고 넘어가는 월류부에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월류부에 설치하는 확산기(60)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월류부의 폭에 대응되는 길이로 다수의 노즐구멍(63)이 형성된 파이프(62)를 직선으로 설치한다.
이 때 상기한 노즐구멍(63)은 월류하는 원수의 유입방향과 대략 45°의 각도로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혼합액이 토출되도록 형성하고, 2열 또는 2열 이상으로 형성한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약품주입장치(20)의 디퍼(24) 작동을 약품주입량에 맞추어 제어하는 제어장치(90)를 설치한다.
상기한 도 7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도 2∼도 6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에는 상기한 약품주입장치(20)를 제2실시예인 유량비례 제어밸브로 형성한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9에 나타낸 상기한 약품주입장치(20)의 제2실시예는 상기한 약품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약품을 소정의 양씩 보관하는 보조저장탱크(70), (71)와, 상기한 보조저장탱크(70), (71)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약품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77), (78)와, 상기한 유량계(77), (78)의 신호에 따라 액체약품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76)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보조저장탱크(70), (71)에는 공급되는 액체약품의 고액위와 저액위를 감지하는 레벨게이지(73)와, 고액위가 되면 고액위 정보장치 및 액체약품의 유입을 차단하는 전동구동형 차단밸브(72-1) 플로트밸브를 설치한다.
평소에는 플로트밸브(72)에 의해서 임시저장탱크(70), (71)내의 앞뒤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한 2개의 보조저장탱크(70), (71)는 고액위 이상으로 유입되는 액체약품을 서로 다른 보조저장탱크(70), (71)로 보낼 수 있도록 오버플로우관(75)으로 상부를 연결한다.
상기한 보조저장탱크(70), (71)에는 사용하지 않은 액체약품을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관(21)이 연결된다.
상기한 보조저장탱크(70), (71)와 제어밸브(76)는 제어관(74)을 통하여 연결되고, 제어관(74)에는 유량 쎈서(78) 및 전자식 유량계(77)가 설치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는 상기한 유량계(77), (78)의 신호에 따라 설정된 양의 액체약품이 공급되도록 상기한 제어밸브(76)를 제어하는 제어장치(90)를 설치한다.
상기한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도 2∼도 6 및 도 7∼도 8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에는 상기한 약품주입장치(20)를 제3실시예인 정량펌프(80)로 형성한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낸 상기한 약품주입장치(20)의 제3실시예는 상기한 약품저장탱크(10)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약품을 소정의 양씩 보관하는 보조저장탱크(70), (71)와, 상기한 보조저장탱크(70), (71)로부터 액체약품을 설정된 양씩 흡입하고 상기한 분배조(30)로 공급하는 정량펌프(80)와, 상기한 정량펌프(80)로부터 상기한 분배조(30)로 공급되는 액체약품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77), (78)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유량계는 유량 쎈서(78) 및 전자식 유량계(77)로 이루어지고, 상기한 정량펌프(80)와 분배조(30)를 연결하는 약품주입관(22)에 설치된다.
또 상기한 실시예는 상기한 유량계(77), (78)의 신호에 따라 설정된 양의 액체약품이 공급되도록 상기한 정량펌프(8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90)를 설치한다.
상기한 도 10에 나타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도 9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에 의하면, 노즐구멍을 통하여 유입되는 원수에 액체약품을 분사하여 급속혼화가 이루어지고 최적의 응집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대형 혼화기의 가동이 불필요하고, 시설비 및 동력비가 절감된다.
또 액체약품의 혼화효율이 높으므로 약품의 소모량이 적고, 적정한 약품의 주입이 가능하고 약품 주입량이 감소하므로 물속의 화학적 결합(특히 알루미늄계의 생성물 등)이 적어지며, PH를 일정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소석회 등의 보조응집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슬러지의 발생이 적어진다.
그리고 수중에서 혼화와 응집이 이루어지므로 표면에 스컴현상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유량비례 제어밸브를 이용하여 약품을 주입하는 경우에는 유량계를 이용하여 약품의 주입량을 측정하므로 정밀도가 향상되고, 최대 및 최소 주입 가능범위가 디퍼 및 정량펌프를 이용하는 경우보다 우수하므로 하절기 및 홍수기의 고탁도시에 대처능력이 우수하다.

Claims (7)

  1. 액체약품이 저장되는 약품저장탱크와,
    상기한 약품저장탱크로부터 유입되는 액체약품을 소정의 양으로 공급하는 약품주입장치와,
    상기한 약품주입장치로부터 공급받은 액체약품을 분배하여 배출하는 분배조와,
    벤튜리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소정의 압력으로 가압수가 공급되어 상기한 분배조로부터 액체약품을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인젝터와,
    원수가 유입되는 혼화지의 수중에 설치되고 상기한 인젝터로부터 배출되는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혼합액을 토출하는 확산기를 포함하는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확산기를 혼화지의 유입구쪽에 설치하고, 다수의 노즐구멍을 원수의 유입방향을 향하여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혼합액을 토출하도록 형성하는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확산기를 유입되는 원수가 혼화지의 벽을 타고 넘어가는 월류부에 설치하고, 다수의 노즐구멍을 월류하는 원수의 유입방향과 45°의 각도로 가압수와 액체약품의 혼합액을 토출하도록 형성하는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약품주입장치는 디퍼를 이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한 디퍼의 작동을 설정된 약품주입량에 맞추어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약품주입장치는 상기한 약품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약품을 소정의 양씩 보관하는 보조저장탱크와 상기한 보조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약품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와 상기한 유량계의 신호에 따라 액체약품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를 포함하고,
    상기한 유량계의 신호에 따라 설정된 양의 액체약품이 공급되도록 상기한 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약품주입장치는 상기한 약품저장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액체약품을 소정의 양씩 보관하는 보조저장탱크와 상기한 보조저장탱크로부터 액체약품을 설정된 양씩 흡입하고 상기한 분배조로 공급하는 정량펌프와 상기한 정량펌프로부터 상기한 분배조로 공급되는 액체약품의 유량을 측정하는 유량계를 포함하고,
    상기한 유량계의 신호에 따라 설정된 양의 액체약품이 공급되도록 상기한 정량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더 포함하는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인젝터와 확산기의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한 인젝터로부터 배출되는 가압수와 액체약품을 고르게 혼합하여 상기한 확산기로 배출하는 혼합기를 더 포함하는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KR1019990013244A 1999-04-15 1999-04-15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KR1003368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244A KR100336865B1 (ko) 1999-04-15 1999-04-15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3244A KR100336865B1 (ko) 1999-04-15 1999-04-15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6263A true KR20000066263A (ko) 2000-11-15
KR100336865B1 KR100336865B1 (ko) 2002-05-16

Family

ID=1958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3244A KR100336865B1 (ko) 1999-04-15 1999-04-15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686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494B1 (ko) * 2000-06-23 2002-07-24 주식회사 일류기술 무동력 원수 소독장치
KR20020095854A (ko) * 2001-06-16 2002-12-28 임용택 간이상수도용약품주입기구조
KR20030049938A (ko) * 2001-12-17 2003-06-25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염소주입설비의 가스 자동 공급장치
KR100761508B1 (ko) * 2006-12-28 2007-10-04 한국수자원공사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KR200451808Y1 (ko) * 2008-12-31 2011-01-13 정우진 액체 불소 정량 투입장치
KR101136354B1 (ko) * 2009-10-19 2012-04-18 광주광역시 응집제 투입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9819A (ko) * 2009-07-23 2011-01-31 (주) 테크로스 중화제 자동투입장치
KR101914767B1 (ko) * 2017-06-01 2018-11-05 광주광역시 정수장의 수중가압식 응집약품 주입장치
KR101917676B1 (ko) 2017-11-08 2018-11-13 최재민 정수장 약품공급시스템의 약품투입 모니터링 및 약품누출에 의한 사고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46361U (ko) * 1974-05-21 1975-12-04
KR970002616B1 (ko) * 1994-04-15 1997-03-06 최윤명 노즐분사식 약품희석시스템
JP2745106B2 (ja) * 1994-06-06 1998-04-28 多木化学株式会社 エマルジョン高分子凝集剤希釈注入システム
JP3062426B2 (ja) * 1995-11-22 2000-07-10 株式会社タクミナ 薬液注入装置
KR200165133Y1 (ko) * 1997-09-13 2000-01-15 강준 약품 공급장치
KR200190989Y1 (ko) * 1997-10-29 2000-08-16 전석재 응집제 투입 시스템
KR200173630Y1 (ko) * 1997-12-19 2000-03-02 김종현 액체약품투입 및 혼화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4494B1 (ko) * 2000-06-23 2002-07-24 주식회사 일류기술 무동력 원수 소독장치
KR20020095854A (ko) * 2001-06-16 2002-12-28 임용택 간이상수도용약품주입기구조
KR20030049938A (ko) * 2001-12-17 2003-06-25 삼양정수공업 주식회사 염소주입설비의 가스 자동 공급장치
KR100761508B1 (ko) * 2006-12-28 2007-10-04 한국수자원공사 액상폴리머 용해장치
KR200451808Y1 (ko) * 2008-12-31 2011-01-13 정우진 액체 불소 정량 투입장치
KR101136354B1 (ko) * 2009-10-19 2012-04-18 광주광역시 응집제 투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6865B1 (ko) 200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6865B1 (ko) 정수장용 액체약품 자동혼화 주입시스템
KR100744742B1 (ko) 고품질 수돗물 생산을 위한 소석회 포화수 연속제조 및주입장치
CN114950174A (zh) 净水设备的气泡发生系统以及净水设备
CN208054999U (zh) 一种用于废水处理的pH调节装置
CN211570330U (zh) 一种芬顿气浮物化水处理设备
KR20020023846A (ko) 염소투입장치
KR200379538Y1 (ko) 약품투입용 교반장치
KR20120016448A (ko) 베르누이 원리를 이용한 정화 처리용 약품 자유 혼화장치
KR100611183B1 (ko) 약품혼화장치
CN114702174A (zh) 一种河道污水一体化处理设备
KR101688301B1 (ko) 수처리 공정의 약품투입 및 혼화방법
KR200173630Y1 (ko) 액체약품투입 및 혼화장치
KR101206012B1 (ko) 수처리용 순간혼화장치
KR101279592B1 (ko) 수처리시설에서 응집제의 조절분배 및 급속교반시스템
KR100904460B1 (ko) 오존수 혼합액 공급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판처리 설비
CN206529306U (zh) 一种用于处理畜禽养殖废水的消泡装置
KR200333467Y1 (ko) 수처리용 자동 비례 약품 주입장치
CN217230358U (zh) 一种气提回流装置
CN218879577U (zh) 混凝加药装置
CN211595286U (zh) 一种物化废水处理设备
KR100904458B1 (ko) 오존수 혼합액 공급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판처리 설비
CN220861119U (zh) 一种mbr膜在线清洗装置及污水处理系统
KR100904456B1 (ko) 오존수 혼합액 공급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판처리 설비
KR200229179Y1 (ko) 삼각피치법을 적용한 원뿔형 산기관
CN219689501U (zh) 一种分点进水的aao生物反应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