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484Y1 -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 Google Patents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484Y1
KR200362484Y1 KR20040018428U KR20040018428U KR200362484Y1 KR 200362484 Y1 KR200362484 Y1 KR 200362484Y1 KR 20040018428 U KR20040018428 U KR 20040018428U KR 20040018428 U KR20040018428 U KR 20040018428U KR 200362484 Y1 KR200362484 Y1 KR 20036248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abutment
denture
suspension bridge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00184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순
Original Assignee
이형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순 filed Critical 이형순
Priority to KR200400184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48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4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48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6Dentures without palates; Partial dentures, e.g. brid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22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 A61C13/275Fastening prostheses in the mouth removably secured by using bridging bars or rails between residual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띠 또는 끈 모양의 고정띠를 지대치 위에 접착하여 가공치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는 손실된 자연치아를 대신하도록 상기 자연치아와 인접한 지대치(3) 사이에 위치하는 가공치(5)와, 상기 가공치(5)를 상기 지대치(3)에 고정하도록 상기 가공치(5)에 연결되어 상기 지대치(3)에 접착되는 고정띠(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에 의하면, 지대치 위에 걸치는 선형 또는 밴드형 고정띠를 통해 지대치 사이에 가공치를 고정하게 되므로 의치 시술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되고, 가공 또는 충치로 인한 지대치 손상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suspension bridge type denture}
본 고안은 보철용 의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 또는 끈 모양의 선형 고정띠와 접착제를 이용해 지대치 사이에 가공치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저작, 발음 및 심미적 기능이 있으며, 이중 저작 기능이란 음식물을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소화가 잘 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만일 이러한 치아가 소실되면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고 소화가 잘 안되므로 음식을 마음껏 먹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영양분의 원활한 섭취도 곤란하게 된다. 따라서, 치아는 예로부터 신체의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어 왔고, 건강한 삶을 영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인간의 치아는 아동기에 1회에 걸쳐 영구치로 교환된 이후에는 치아를 손실하게 될 경우 더 이상 새로운 치아가 생겨나지 않으므로 치과에서 보철치료를 통해 손실된 치아나 그 주위조직을 수복하여 저작기능 등을 회복할 수 있다.
보철적 치료의 대표적인 예로 의치를 들 수 있는데, 의치란 인공적인 치아를 갖는 보철물을 뜻하는 것으로, 착탈 가능 여부에 따라 고정식과 착탈식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결손된 치아의 수에 따라 하나 이상의 자연 치아가 결손되었을 때 대체 사용되는 고정형 가공의치, 두 개 이상의 자연치아가 결손되었을 때 사용되는 착탈형 국부의치, 자연치아가 전혀 없는 경우에 사용되는 총의치로 구분할 수 있다.
여기에서, 가공의치는 양 옆의 치아를 의지하거나 턱뼈에 구멍을 만들어 해 넣는 인공치아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치아가 결손 되었을때 결손된 부분에 가공치를 제작하고, 인접한 자연 치아를 지대치로 형성한 다음, 크라운(crown)을 제작하여 크라운과 가공치를 연결함으로써 구강내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보철물인데, 충치나 약해진 치아를 감싸주어 손실된 치아 부위를 수복하기 위해 양측에 위치한 자연치아와 동일한 형태의 캡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방에서 덮어 씌우듯 끼우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므로 일명 크라운 브리지(crown bridge)라고도 한다.
이 크라운 브리지형의 가공의치의 한 예가 국내 특허출원 제 10-2001-000706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가공의치는 도 1에 도면번호 1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의 지대치(103) 윗면을 2~3mm, 측면을 1~3mm 정도, 즉 대략 1/3 정도로 강제로 삭제한 후 인상(impression)을 체득한 상태에서 자연치아와 같은 형태 및 색조를 제공하는 치과용 세라믹 또는 아크릴수지로 전장하여 주조형성된 크라운 형태의 크라운 브리지 보철물을 얻은 후, 결손된 손상치아 양측면에 위치되는 지대치(103)에 덮어 씌우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술방법은 시술이 편리하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크라운 브리지(105) 보철물이 덮여지는 부위만큼 자연치아(103)를 전체적으로 삭제해야 하므로 시술이 까다롭고, 치아의 신경을 훼손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삭제된 치아의 신경이 훼손되거나 정상적 사용수명이 단축되는 크라운 브리지(105)가 덮여진 상태에서 오랫동안 가공의치(101)를 사용하다 보면 그 사이로 이물질 등이 끼게 되고, 제거작업이 용이하지 못하게 되며, 크라운 교합면에 구멍이 형성되거나 삭제된 자연치아를 둘러싸는 크라운에 틈이 발생되어 충치로 전이되므로 자연치아에 치명적인 손상을 입히게 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위와 같은 형태의 가공치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국내 특허출원 제10-2000-067885호에 개시된 크라운 브리지가 제안된 바 있다.
이 크라운 브리지는 도 2에 도면부호 201로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의 2/3 지점 높이까지 요입홈(205)이 형성되는 인공치아(203)와, 상기 인공치아(203)의 요입홈(205)에 고정되는 삽입부(209) 및 손상된 치아의 인접치에 고정되도록 복수개의 돌기(211)가 하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여 구비되는 고정부(213)로 이루어진 인레이(207)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크라운 브리지 시술 시 발생되는 단점인 인접치의 손상유발, 시술기간의 증가 및 상당한 시술비용 및 부작용을 극복하고, 비교적 간단하게 가공의치를 시술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지대치와 치과용 보철물간의 고정부가 별도로 제작되어야 하므로, 인상체득에 의한 정보와 제작과정에서 발생되는 오차에 의해 정교한 가공의치의 보철물을 얻기가 매우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가공치아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손실된 자연치아를 대신하는 가공치를 선형 고정띠와 이 고정띠를 접착시켜 주는 접착제를 이용해 가공치 좌우의 지대치에 결합함으로써 지대치와 가공치의 연결 부위를 최소화하여 종래와 같이 크라운에 의해 지대치 전체가 둘러싸임으로 인한 지대치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간편하게 가공치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크라운 브리지형 의치의 개략 정면도.
도 2는 다른 형태의 종래의 크라운 브리지형 의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의치가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21 : 의치 3, 23 : 지대치
5, 25 : 가공치 7 : 고정띠
9 : 고정띠 자리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손실된 자연치아를 대신하도록 자연치아와 인접한 지대치 사이에 위치하는 가공치와, 이 가공치를 지대치에 고정하도록 가공치에 연결되어 지대치에 접착되는 고정띠를 포함하여 구성된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브리지형 의치와 마찬가지로 전체적으로 손실된 자연치아를 대신하는 가공치(5)와 이 가공치(5)를 손실된 자연치아에 인접한 다른 자연치아 즉, 지대치(3)에 연결되는 고정띠(7)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에서, 가공치(5)는 일반적인 브리형 의치에서와 마찬가지로 손실된 자연치아를 대신하도록 자연치아가 손실된 자리에 인접한 좌우측 지대치(3)의 사이에 위치하며, 의치(1)가 사용되는 부위에 따라 앞니인 경우에는 도자기, 어금니의 경우에는 금과 같은 다양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치아가 손실된 자리의 잇몸이나 인접한 치아의 형태에 알맞은 외관을 가지고 있다.
또한, 가공치(5)를 인접한 지대치(3) 사이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고정띠(7)는 예컨대, 아마이드와 같은 강하고 질긴 재료로 실과 같이 가는 선형으로 제작되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가공치(5)의 좌우 측면에서 내부로 관통되어 연결되며, 전체적으로 고리 모양을 이루게 되는데, 이 때 고리의 크기는 지대치(3)위쪽에 걸 수 있도록 지대치(3)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도 3, 4에서 미설명 부호 9는 고정띠 자리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21)를 들 수 있다. 이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21)는 도 3에 도시된 의치(1)와 대부분의 형태가 유사하나 고정띠(27)가 의치(1)에서와는 달리 두께보다 긴 일정 길이 이상의 폭을 가진 밴드형 소재로 되어 있는 차이가 있다. 고정띠(27)는 가공치(25) 안으로 관통 삽입되거나 도시된 것처럼 가공치(25)의 좌우 측면에 접착되어 연결될 수도 있다. 고정띠(27)도 또한 고정띠(7)와 마찬가지로 예컨대, 아마이드와 같은 강하고 질긴 재료로 전체적으로 고리 모양이 되도록 제작되며, 고리의 크기도 지대치(23) 위쪽에 걸 수 있도록 지대치(23) 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1,21)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의치(1)를 시술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시된 것처럼 지대치(3)의 상부에 고정띠(7)를 걸기 위한 고정띠 자리(9)를 둥글게 형성한다. 그리고 나서 고정띠 자리(9)에 수지재의 접착제를 도포한 다음, 지대치(3) 위쪽에서부터 고정띠(7)를 끼워 넣음으로써 가공치(5)를 지대치(3) 사이에 고정시켜 의치(1)의 시술을 완료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도 5에 도시된 의치(21)의 경우에도 밴드 모양의 고정띠(27)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지대치(23) 위쪽에 고정띠(27)를 접착함으로써 시술을 완료할 수 있는데, 이 때는 고정띠(27)의 폭이 넓기 때문에 가공치에 별도의 고정띠 자리를 만들지 않아도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에 의하면, 가공치의 좌우에 연결되어 있는 선형 또는 밴드형 고정띠를 지대치 위쪽에 걸쳐 접착시킴으로써 가공치가 손실된 치아 자리에 위치하도록 의치를 시술할 수 있게 되므로 의치의 시술 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게 되며,
고정띠가 감겨 접촉하는 지대치 부위의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므로 지대치의 가공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며, 종래의 브리지형 의치와 같이 크라운에 의해 둘러싸임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지대치 손상을 전혀 염려할 필요가 없게 되는 등 의치를 시술함에 있어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치아나 잇몸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국내 특허출원 제10-2000-067885호 개시된 크라운 브리지와 같이 인레이로 연결하기 위하여 지대치에 구멍을 뚫지 않고 띠나 끈으로 지대치를 감아서 인공치를 고정하므로 구멍을 뚫음으로써 발생하는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지대치를 더욱 더 튼튼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손실된 자연치아를 대신하도록 상기 자연치아와 인접한 지대치(3) 사이에 위치하는 가공치(5)와, 상기 가공치(5)를 상기 지대치(3)에 고정하도록 상기 가공치(5)에 연결되어 상기 지대치(3)에 접착되는 고정띠(7)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7)는 띠과 같이 가는 선형 소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7)는 상기 가공치(5)에 안으로 관통되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27)는 두께보다 긴 폭을 갖는 밴드형 소재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5. 제1 항 또는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27)는 상기 가공치(5)의 외주면 측면에 접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KR20040018428U 2004-06-29 2004-06-29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KR2003624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8428U KR200362484Y1 (ko) 2004-06-29 2004-06-29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18428U KR200362484Y1 (ko) 2004-06-29 2004-06-29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4998A Division KR100657535B1 (ko) 2004-06-17 2004-06-17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484Y1 true KR200362484Y1 (ko) 2004-09-18

Family

ID=4208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0018428U KR200362484Y1 (ko) 2004-06-29 2004-06-29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48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55B1 (ko) * 2006-09-29 2007-11-23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여분의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전신주용 광접속함체
WO2009145409A1 (ko) * 2008-05-26 2009-12-03 Yoon Han Seok 즉시 계속 가공의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155B1 (ko) * 2006-09-29 2007-11-23 네트워크케이블 주식회사 여분의 광케이블 수납이 가능한 전신주용 광접속함체
WO2009145409A1 (ko) * 2008-05-26 2009-12-03 Yoon Han Seok 즉시 계속 가공의치
KR100950627B1 (ko) * 2008-05-26 2010-04-01 윤한석 즉시 계속 가공의치
JP2011519660A (ja) * 2008-05-26 2011-07-14 ユン,ハンソック 即時継続加工義歯
US8323022B2 (en) 2008-05-26 2012-12-04 Han Seok Yoon Instant dental bridg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3437B1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JP4088038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要素
KR101662026B1 (ko) 임플란트 어태치먼트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틀니
US4661068A (en) Partial denture attachment appliance
JP6006880B2 (ja) 有床義歯用アタッチメント
US6986661B2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KR100788455B1 (ko)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0785660B1 (ko) 교환이 용이한 임플란트 픽스쳐
AU2002236309A1 (en) Pin-retained inlay bridge and process of making and fitting such
KR10131801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크라운 및 이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028219A (ko) 임플란트 시술용 임프레션 코핑
KR200362484Y1 (ko)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KR101663623B1 (ko) 분리형 임플란트 구조체 가공 블록
JP5061257B2 (ja) 即時継続加工義歯
KR100657535B1 (ko) 서스펜션 브리지형 의치
KR101435544B1 (ko)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의 지대주와 크라운 결합 구조 및 그 결합 방법
KR200242258Y1 (ko) 핀유지 인레이 브리지로 되는 의치용 보철물
KR20160095260A (ko) 크라운과 어버트먼트의 결합 정확성을 향상시킨 치과용 임플란트 보철물
US20120003607A1 (en) Detachment-prevented removable double-crown prosthetic appliance
JP2896994B2 (ja) 歯科用インプラント
KR20230168190A (ko) 부분 틀니 고정구조
KR20230118261A (ko) 비접착식 임플란트용 이물질 유입 방지부재 및 이를 구비한 비접착식 임플란트
KR20070073689A (ko) 브라켓과 합성수지 필름 랩 관을 이용한 무삭제 가공 의치
JP2006334093A (ja) 入れ歯
KR20070000207U (ko) 고정용 레스트가 구비된 치과용 플렉시블 덴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24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