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439Y1 -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시스템 - Google Patents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439Y1
KR200362439Y1 KR20-2004-0005983U KR20040005983U KR200362439Y1 KR 200362439 Y1 KR200362439 Y1 KR 200362439Y1 KR 20040005983 U KR20040005983 U KR 20040005983U KR 200362439 Y1 KR200362439 Y1 KR 2003624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nd
transmitter
unit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05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이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 filed Critical 이철
Priority to KR20-2004-0005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4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4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4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4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34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with electrical or electronic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어린이용 학습 보조용 완구로서 무선 데이터 송수신기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송신기는 신발에 또는 허리 발목 등과 같은 위치에 부착 하여 걸음걸이를 이용하여 몸무게의 하중을 이용하여 스위치의 on/off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제품구성은 캐릭터 목걸이(수신 및 음성, 소리 재생장치)와 송신기(작동 실행명령)로 구성되어있으며 송신기(2)에서 보넨 신호를 판독하는 판 독부(C) 수신 받은 신호를 이용하여 이미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칩(B)에서 소리(음성)을 순차적으로 재생시키도록 하는 제어부(D) 와 저장된 디지털 신호를 스피커를 통하여 재생시키는 재생부(E)를 가진 것을 기본으로 하여 구비되어 있으며 저장된 음성은 아이들이 언어를 배우기 위한 기초 단어 ,숫자, 알파벳 등으로 저장되어 있어 이를 순차적으로 재생시킨다. 예를 들어 숫자를 저장한 메모리 칩의 경우 하나. 둘. 셋. 넷 순으로 재생하며 이때 아이가 수신기(1)목걸이를 하고 송신기(2)를 신방 내부에 부착 하였을 경우 신발을 신고 걷게 되면 인체의 몸무게에 의하여 신발이 지표면을 내딛을 때 스위치를 누르게(on)되어 수신기 목걸이(1)에 있는 수신기(C)는 예를 들어 "0"라는 신호를 받게 되며, "하나"라는 소리가 재생되고 지표면에서 발을 때게 되면 몸무게의 하중에
의하여 on되어 있던 스위치가 off되면서 수신기(C)에 "1"이라는 신호를 되며 이때 송신기에서는 "둘"이라는 소리가 재생된다. 이것을 반복적으로 진행시키면 숫자가 순차적으로 재생되는 것을 본 고안의 특징이다,

Description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시스템{The toy to study as walk}
본 고안은 아이들이 신발과 캐릭터 목걸이를 신고 걸으면서 자연스럽게 학습을 유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존에는 학습용 완구 중 이미지 숫자, 알파벳 등을 수동으로 누르면 적절 한 소리가 재생되는 기능을 갖춘 고안품 들은 시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것이 공지된 사실이다.
상기 고안의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에서말한
것과 같이 아이들이 가장 기본적인 교육(숫자, 자음, 모음, 구구단, 알파벳)등을 배울 때 항시 부모나 선생님 등이 있어야만 공부가 가능 했지만 본 고안의 목적은 아이 스스로 자연스럽게 혼자서 공부 할 수 있으며 목걸이의 여러 가지 기능을 추가 하여 재미있는 완구의 목적도 가질
수 있다.특히 기존의 강요에
의한 조기 교육의 문제점으로 아이가 공부에 대한 실증을 가질 수 있었으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위해서는 기초적인 학습을 배우기 위하여 아이스스로 재미있게 공부 하는 배경을 마련해줄 필요가 있다.
도1은 본 고안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
품을 묘사한 구성도이다.
도2는 본고안의 회로도이다.
도3A는 본 고안의 캐릭터 완구에 장착되는 수신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캐릭터 목걸이 (2)수신기(리모트 커트롤) (3)신발
(30)작동스위치 (40)마이컴 (20)전원관리부 (30)스위치
(10)수신 컨트롤 장치
(A)ID 등록 및 기능전환 스위치
(B)음성합성 집적 회로(single chip voice synthesizer IC)
(C)수신모듈 (D)제어 컨트롤러 (E)스피커 (Z)충격 및 진동감지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다른 공부하는 신발의 특징은 사용자가 이용하기 위하여 수신기(2)가 내장된 신발과 캐릭터목걸이(1)는 수신기에서 발생한 신호를 판독 하는 판독부와 기본 단어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칩(B)과 신호음을 판독하여 적절한 음성 송출을 제어 하는 제어 컨트롤러(D) 및
저장된 음성신호를 기 프로그램 되어 있는 음성합성 집적 회로(single chip voice synthesizer IC)(B),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E) 포함 하여 구성되는데 있으며, 동일한 상품이 근거리 5M~ 10M 근방에 거리에 있을 때 서로의 신호를 전송하는 고정주파수 발생 모듈(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기 프로그램 되어 있는 모든 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와 신발과 캐릭터 목걸이와 상호 연동 되는 송, 수신 장치(C)를 가지며, 음성을 송출하는 음성출력부 스피커(E)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 부는 범용 음성합성 집적 회로 (single chip voice synthesizer IC)(B)
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신발에 삽입하는 송신기(2)는 수신기(1)에 동작을 실행 시키는 리모트 컨트롤 기능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따른 공부하는 신발의 구성 품을 묘사한 구성도로서 수신기(1)목걸이,
송신기(2), 신발(3)로 구성되어 있다. 도 2는 본고안의 회로도 이다. 도2-A는 송신기(2)는 무선리모컨과 같은 원리로서 작동스위치(30)은 인체의 하중에 의해 작동하고 단(신발 외사용 시 변경가능) 마이컴(40)에 의해 출력된 신호를 받아 수신기(1)에 출력신호를 전달하는 송신모듈(50)을 포함하며, 상기 전원관리부(20)와 마이컴(40) 및 송신모듈(50)DC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배터리(20)도 포함된다. 이때 특히 스위치(30)은 접지 시 한번 단선 시 또 한번의 신호를 송달 하게 되며 모든 동작을 컨트롤 하는 컨트롤 장치(10)으로 구성된다. 도3는 캐릭터 목걸이(1)[수신기] 및 본고안의 공부하는 신발 기능과 가진 동일상품과 근거리에 도달할 경우 "친구, 친구"라는 메시지를 송출 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때 ID 등록을 하기 위하여 ID 등록 및 기능전환 스위치(A)를 이용 하여 등록을 원하는 친구의 케릭터와 동시에 버튼을 눌러 등록이 가능 하다. 송신기(2)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수신모듈(C)이 수신하여 판 독부(C)에서 주파수 펄스를 판독하여 제어 컨트롤러(D)는 각각의 신호에 다라 음성 메모리 칩(B) {음성합성 집적 회로 (single chip voice synthesizer IC)} 저장된 음성을 적절하게 송출 하게 된다. 이때 재생되는 음성에 따라 그 기능이 나뉘는데 우선 본 고안의 특징을 가지는 학습용 단어 숫자 등등을 순차적으로 재생하는 것과 또는 본 고안의 공부하는 신발의 구성품인 캐릭터 목걸이를 착용한 제삼자가 근거리에 접근 하게 되면 상대 적으로 발생하는 일정한 주파수를 판독하여 메시지 "친구, 친구"를 송출 하게 된다. 이 때 송신기(2)의 전원이 켜져 있을 때는 항시 일정 주파수를 발산하게 된다. 또는 다른 제 3자의 캐릭터 목걸이의 주파수를 일정 거리 안에서 수신모듈(C)가 수신 하게 되면 이를 판독 하고 제어 컨트롤러(D)에 정해진 신호를 보내어 이미 저장되어 있던 메모리칩(B)에서 음성 신호를 추출 하여 소리증폭부 스피커(E)에서 "친구, 친구" 라는 메시지를 송출 하게 된다. 도4는 본 고안을 이루는 블록 구성도이며, 우선 송신기(2)에서 동작신호(가)를 보내면 신호음을 판독하는(다)에서 송신기(2)에서 보내는 신호(마)임을 감지하고 기 메모리 되어 있던 음성신호(사)를 재생 하게 된다. 이때 송신기(2)에서 스위치(30)가 ON 되었을 때 예를 들어 "0"이라는 신호를 보내어 "하나" 라는 소리를 재생 하게 되며 OFF 되었을 때 "1"이라는 신호를 보내어 "둘"이라는 소리를 재생 하게 되고 다시 ON 되면 "0"이라는 신호를 보내며 제어컨트롤러(D)에서는 이를 "3"이라 인식 하고 메모리 칩(B)의 A3 구역에 저장된 음성 "삼"을 재생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제시한 봐와 같이 제3자의 동일 캐릭터 목걸이를 휴대한 자가 수신모듈(C)가 식별할 수 있는 거리 예 5M~ 10M 들어서면 동일기종 주파수 식별(라)하여 제어컨트롤러(마)는 메모리칩(B)에 저장되어 있는 A0 "친구"친구(아)를 재생 하게 되는 것이 본 고안의 구성이다.
기존에는 부모나 선생님들이 말하는 것을 따라 서 간단한 숫자 언어 단어들을 배우게 되었으며 학습지나 교육용 완구를 이용 하여 배우게 될 경우에도 반듯이 누군가가 옆에서 가르쳐야 했다. 그러나 본 고안은 주위에 누가 없어도 아이스스로 공부할 수 있고 반복
적이고 강요에 의한 기존의 학습 방법과 비교하여 자연스럽고 재미있게 공부 할 수 있으며; 아이들은 어른처럼 친한 친구와 이성친구에 대하여 남들에게 과시를 하고자 하지만 어른들처럼 커플링이나 커플 옷과 같은 상품을 이용하여 남들에게 표현을 한다. 그러나 아이들은 이러한 특성을 가진 상품이 없었지만 본 고안의 상품을 이용하게 되면 가장 친한 친구를 ID 등록을 시키고 둘이 동시에 발르 구르게 되면 우리는 세상에서 가장 친한 친구야 라고 메시지를 표출 하여 과시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 고안에 다르면 여러 가지 기능 등을 추가 하여 이용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기와 송신기 사이에서 일정한 거리를 벗어나게 되면 알람 소리를 발생 시켜 아이와 부모가 놀이 공원 과 같이 인파가 많아 아이를 일어 버리는 경우가 많은
대 이때 미아 방지 효과를 가지는 기능을 하게 된다.

Claims (3)

  1.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시스템에 있어서,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하여, 신체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 감지된 정도의 크기가 특정 크기를 초과하는 경우 동작 신호를 발생하여 송신하는 송신 장치, 및
    간편히 휴대할 수 있고 상기 송신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동작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장치를 내장하고 있는 캐릭터 완구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 장치는 수신된 신호를 판독하는 수신 및 판독부, 미리 또는 추후에 특정 소리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억부, 상기 수신 및 판독부에서 판독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기억부에 저장되어 있는 소리 또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재생하도록 제어하는 수신 제어부, 및 상기 수신 제어부의 제어함에서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리 또는 음성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재생시키는 출력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장치는 친구를 등록시키기 위한 ID 등록부, 및 상기 ID 등록부에서 등록한 친구의 인식을 위한 고정주파수를 발생하는 고정주파수 발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신 및 판독부가 상기 ID 등록부에서 등록한 친구의 수신 장치에서 송신하는 고정주파수를 수신한 결과, ID 등록된 친구의 고정주파수 신호로 식별하면, 상기 기억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리 또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부를 통해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및 판독부가 자체 및 ID 등록된 친구의 송신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판독한 결과 상호 일치할 경우, 그 일치신호에 기초하여 기억부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소리 또는 음성 데이터를 추출하여 출력부를 통해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장치
KR20-2004-0005983U 2004-03-05 2004-03-05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시스템 KR2003624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983U KR200362439Y1 (ko) 2004-03-05 2004-03-05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05983U KR200362439Y1 (ko) 2004-03-05 2004-03-05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439Y1 true KR200362439Y1 (ko) 2004-09-20

Family

ID=4943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5983U KR200362439Y1 (ko) 2004-03-05 2004-03-05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4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419B1 (ko) 2005-12-02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5419B1 (ko) 2005-12-02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발동작을 이용한 휴대기기 조작 시스템 및 방법
US8021269B2 (en) 2005-12-02 2011-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ipulating portable equipment using foot mo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7818B1 (ko) 신발에 내장된 음원발성장치 및 이를 내장한 신발
US10307683B2 (en) Toy incorporating RFID tag
US6494457B2 (en) Enhanced hide and seek game and method of playing game
US7183929B1 (en) Control of toys and devices by sounds
US6089942A (en) Interactive toys
US8425273B2 (en) Interactive toys
US6527611B2 (en) Place and find toy
KR100666487B1 (ko) Rfid 태그 인식 기능을 이용한 교육용 완구
US20100028842A1 (en) Interactive Learning Toy
KR200362439Y1 (ko)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시스템
JP2000093664A (ja) 組合せ玩具
US20090058640A1 (en) Tracking device
KR20050043038A (ko) 걸으면서 공부하는 완구
US20140256212A1 (en) Music of movement: the manipulation of mechanical objects through sound
KR100742693B1 (ko) 신발에 내장된 송수신 장치
KR20050101577A (ko) 걸으면서 공부할 수 있는 학습용 완구 시스템
US20060228984A1 (en) Toy for oral narration
CN206549179U (zh) 一种益智儿童机器人玩具
CA2234330A1 (en) Interactive toys
AU3106701A (en) Doll responsive to audible sounds from a computer or the like
JP2002278574A (ja) 犬、猫等のペットに用いる音声発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