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2357Y1 - 화장용 팁부재 - Google Patents

화장용 팁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2357Y1
KR200362357Y1 KR20-2004-0017524U KR20040017524U KR200362357Y1 KR 200362357 Y1 KR200362357 Y1 KR 200362357Y1 KR 20040017524 U KR20040017524 U KR 20040017524U KR 200362357 Y1 KR200362357 Y1 KR 2003623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member
cosmetic
container
lips
receiv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5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흥호
Original Assignee
임흥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흥호 filed Critical 임흥호
Priority to KR20-2004-00175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23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23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23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Abstract

본 고안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생산단가의 절감과 함께 작업의 효율성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면을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팁부재가 입술에 접함이 용이하도록 하고, 내측면에 일정깊이의 수용홈을 형성하여, 적어도 입술의 한부분의 전반을 바를 수 있는 양이 수용되도록 하여 팁부재를 자주 화장용기에 인입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되는 화장용 팁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액상의 화장액이 수용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인입되어 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20)와, 상기 덮개의 하단에 연장된 스틱부(21)와, 상기 스틱의 끝단에 끼움결합되는 팁부재(30)로 구성되는 화장용구에 있어서, 상기 팁부재(30)는, 일면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1)과, 내측에 일정깊이로 요입된 수용홈(32)과, 하부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된 끼움편(33)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는, 재질이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부드러운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팁부재와 입술과의 원만한 접촉을 위해 스틱이 연장된 덮개를 여러방향으로 기울이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팁부재의 내측에 수용홈이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여러번 반복해서 팁부재를 용기내에 인입하지 않고도 화장을 할 수 있어 입술화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화장용 팁부재{TIP TOOL FOR MAKEUP}
본 고안은 립그로스 등과 같은 액상루즈형 화장품의 팁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술과 접하는 일면이 일정각도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입술화장시 화장액이 입술의 모양에 따라 번짐이 없이 효과적인 화장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내면에 수용홈을 더 형성하여 수용홈에 일정한 양의 화장액이 수용되어 나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술화장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화장용 팁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입술화장품은, 스틱형태로 형성된 루즈와 액상으로 구성된 립그로스 등이 있다.
상기 액상의 화장액이 용기내에 담겨진 립그로스는, 일반적으로 슬림형태의 원통 또는 다각형상의 용기에 담아 제공되는 바, 이 용기의 캡에는 연결바아에 의해 캡에 일체로 연결되어 캡을 용기에 결합하면 용기내부로 자연스럽게 수납되는 팁(tip)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팁부재는 대개의 경우 솔이 구비되어 이 솔을 이용해 입술에 화장품을 바르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솔은 상단이 캡의 저면에 결합되는 스틱부의 하단에 화장품을 입술에 바를 수 있도록 화장품의 흡수되는 솔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보편적이며, 이러한 종래의 솔은 솔부가 스틱부의 하단에서 곧게 하향 연장된다.
따라서, 화장시 솔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캡을 잡으면 솔부의 하단면이 상부를 향하게 되고 솔부의 외주면이 입술과 닿는 방향으로 위치되므로 솔부의 외주면을 이용해 입술에 화장품을 바르는데 이 경우에는, 솔부의 외주면이 넓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술선에 따라 정교하게 화장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에 대해 촉이 좁은 솔부의 하단면을 이용해 화장을 하기 위해서는 솔부의 하단면이 사용자의 입술과 갛을 수 있도록 솔을 수평으로 위치시켜야 하는데, 이와 같이 솔이 수평이 되도록 캡을 잡으면 화장하는 자세가 어색하고 불편하게 된다.
이와같이 팁부재가 솔부로 구성된 화장용구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등록실용신안 제270345호인 화장솔이 안출된 바 있다.
이는 그 등록공고된 공보에 기재된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화장품이 저장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에 나사결합되는 캡과, 상기 캡을 용기에 결합시키면 용기내부로 수납되도록 캡의 저면에 구비되는 화장솔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화장솔은 일단이 상기 캡의 저면에 결합되는 스틱부와, 화장품을 흡수하는 흡수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스틱부의 하단에 구비되는 솔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솔부는 스틱부의 하단에서 일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사용시 솔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위치시키면 솔부의 단면이 사용자의 입술전면으로 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자연스러운 자세로 화장을 할 수 있고, 용기내부로 솔의 삽입시키기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솔부가 절곡되어 종래의 화장솔과는 외관상으로 차별화되어 소비자들의 호기심을 불러 일으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일측으로 절곡형성된 솔부에 의해 솔부에 화장액이 묻어져 입술에 발라지는 과정에서 상기 솔부에 의해 발라지는 화장액이 입술모양을 따라 발라지지 않고 옆으로 퍼지거나 또는 번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등록실용신안 제326048호인 액상루즈용 화장용구가 안출된바 있다.
이는 등록공고된 공보의 청구범위에 의해 알 수 있듯이, 손잡이와 상기 손잡이의 저면에 구비되는 연결바아와 상기 연결바아의 선단부에 구비되는 팁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팁부재는 플랩형상을 갖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입술에 루즈를 바르도록 된 화장용구에 있어서, 상기 팁부재의 적어도 일측면에는 기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팁부재의 재질을 사출성형되는 연질의 합성수지로 구성하여 제작이용이하고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경우 역시 팁부재가 플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화장액이 사용자가 원하는 모양으로 입술에 발라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적어도 일측면에 기모를 더 구성하고는 있으나, 이 기모가 사용도중에 팁부재로부터 빠져나가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빠져나가는 기모가 화장하는 입술에 달라붙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팁부재의 평단면이 평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이 팁부재를 이용하여 입술에 화장액을 고르게 바르기에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별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입술의 가장자리를 먼저 칠해 입술 형상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팁부재를 이용하여 입술전반에 화장액을 바르는 불편함이 따른다.
더욱이, 팁부재를 화장액이 수용된 화장용기의 내부에 한번 인입하여 이 팁부재에 화장액이 묻어나오는 양이 입술 전반을 바를 수 있는 양에 비해 현저하게 부족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여러번에 걸치어 팁부재를 화장용기 내부에 인입하는동작을 반복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액상으로 형성된 화장액을 이용하여 화장을 하는 화장용구의 팁부재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연질의 합성수지로 형성하여 생산단가의 절감과 함께 작업의 효율성을 유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면을 일정각도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팁부재가 입술에 접함이 용이하도록 하고, 내측면에 일정깊이의 수용홈을 형성하여, 적어도 입술의 한부분의 전반을 바를 수 있는 양이 수용되도록 하여 팁부재를 자주 화장용기에 인입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아도 되는 화장용 팁부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가 적용된 화장용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가 화장용구의 스틱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팁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화장용 팁부재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작동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장용기 20 : 덮개
21 : 스틱부 30 : 팁부재
31 : 경사면 32 : 수용홈
33 : 끼움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는, 액상의 화장액이 수용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인입되어 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와, 상기 덮개의 하단에 연장된 스틱부와, 상기 스틱의 끝단에 끼움결합되는 팁부재로 구성된 화장용구에 있어서, 상기 팁부재는, 일면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과, 내측에 일정깊이로 요입된 수용홈이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팁부재의 재질은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팁부재의 경사면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수용홈의 외측벽은 타측벽에 비해 그 두께가 비교적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는, 재질이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부드러운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팁부재와 입술과의 원만한 접촉을 위해 스틱이 연장된 덮개를 여러방향으로 기울이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팁부재의 내측에 수용홈이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여러번 반복해서 팁부재를 용기내에 인입하지 않고도 화장을 할 수 있어 입술화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를 설명함에 있어서, 종래 기술사상과 동일한 기술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명칭을 그대로 적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가 적용된 화장용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가 화장용구의 스틱부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는, 액상의 화장액이 수용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인입되어 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20)와, 상기 덮개의 하단에 연장된 스틱부(21)와, 상기 스틱의 끝단에 끼움결합되는 팁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팁부재(30)는, 일면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1)과, 내측에 일정깊이로 요입된 수용홈(32)과, 하부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된 끼움편(33)이 형성된다.
상기 팁부재(30)의 재질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외에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는, 화장액이 수용된 용기(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20)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된 스틱부(21)에 일단측에 형성된 끼움편(33)이 끼움결합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작업성이 용이하고, 더욱이 사출성형에 의해 생산이 가능함에 따라 종래 솔부로 구성된 팁부재에 비해 생산성과 함께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한다.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는 화장용기 내부로 한번 인입되는 과정에서 일정양의 화장액이 상기 팁부재(30)에 요입형성된 수용홈(32)에 수용되어 나오기 때문에, 화장을 하는 동안에 반복해서 팁부재를 화장용기의 내부에 인입시키는 과정이 생략됨으로써 입술화장이 더욱 수월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팁부재(30)의 일면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1)에 의해 사용자가 덮개(20)를 파지한 상태에서 팁부재(30)를 입술에 접할 경우, 입술과 상기 경사면(31)과의 접촉이 수월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입술전반에 걸쳐 고르게 화장액이 발라질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팁부재(30)의 재질이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종래 솔 재질로 구성된 팁부재가 갖는 화장액의 번짐이나 입술형상을 제대로 따라 발라지지 못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상기 팁부재(30)의 경사면(31)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수용홈의 외측벽(34)의 두께(a)는 타측벽(35)의 두께(A)에 비해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수용홈(32)에 수용된 화장액이 외부로 빠져 나와 입술에 발라짐에 전혀 문제가 없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31)의 하단으로 연장되는 상기 수용홈(32)의 외측벽(34)의 두께(a)가 타측벽(35)의 두께(A)에 비해 얇게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화장액을 입술에 바르기 위해 상기 경사면(31)을 입술에 접할 경우, 입술과 상기 경사면(31)의 하단으로 연장된 외측벽(34)이 눌러짐으로써 자연스럽게 상기 수용홈(32)에 수용된 화장액이 수용홈의 외부로 빠져나오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한번의 작업에 의해 상기 팁부재(30)를 화장용기(10)의 내부로 인입하여 화장액이 상기 팁부재(30)의 수용홈(32)에 수용되어 나오도록 한 후, 상기 팁부재(30)의 경사면(31)을 입술에 닿게 하여 입술의 전반에 걸치어 화장액을 고르게 바를 수 있어 입술화장이 더욱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더욱이, 팁부재의 재질의 특성상 화장액이 굳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에도 전혀 문제가 없다.
이외에도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는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점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 변형되는 실시예들은 모두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어 해석되어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화장용 팁부재에 의하면, 재질이 연질 합성수지로 이루어짐에 따라 부드러운 느낌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고, 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팁부재와 입술과의 원만한 접촉을 위해 스틱이 연장된 덮개를 여러방향으로 기울이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팁부재의 내측에 수용홈이 더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여러번 반복해서 팁부재를 용기내에 인입하지 않고도 화장을 할 수 있어 입술화장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기대된다.

Claims (3)

  1. 액상의 화장액이 수용되는 용기(10)와, 상기 용기의 상단으로부터 인입되어 용기의 상부를 개폐하는 덮개(20)와, 상기 덮개의 하단에 연장된 스틱부(21)와, 상기 스틱의 끝단에 끼움결합되는 팁부재(30)로 구성되는 화장용구에 있어서,
    상기 팁부재(30)는, 일면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31)과, 내측에 일정깊이로 요입된 수용홈(32)과, 하부 외측단으로부터 연장된 끼움편(33)이 더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부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재(30)의 재질은 연질의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부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팁부재(30)의 경사면(31)으로부터 연장된 상기 수용홈의 외측벽(34)의 두께(a)는 타측벽(35)의 두께(A)에 비해 비교적 얇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팁부재.
KR20-2004-0017524U 2004-06-21 2004-06-21 화장용 팁부재 KR2003623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524U KR200362357Y1 (ko) 2004-06-21 2004-06-21 화장용 팁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524U KR200362357Y1 (ko) 2004-06-21 2004-06-21 화장용 팁부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7332A Division KR20050121164A (ko) 2004-06-23 2004-06-23 화장용 팁부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2357Y1 true KR200362357Y1 (ko) 2004-09-16

Family

ID=49437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524U KR200362357Y1 (ko) 2004-06-21 2004-06-21 화장용 팁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235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0364B1 (ko) 화장용기의 회전형 와이퍼
KR101703699B1 (ko) 주름관이 형성된 와이퍼를 구비한 손가락 삽입 마스카라 용기
US10881187B2 (en) Finger insertion mascara container provided with elastic slit part
KR101703698B1 (ko) 편심으로 형성된 솔대를 구비한 손가락 삽입 마스카라 용기
KR102313212B1 (ko) 화장품 용기
KR101862858B1 (ko) 핑거 마스카라
US6065477A (en) Manicure container
KR20160078930A (ko) 텐션부가 일체로 형성된 콤팩트 용기
KR101918481B1 (ko) 자동으로 개방되는 화장품 용기
KR20050121164A (ko) 화장용 팁부재
KR200362357Y1 (ko) 화장용 팁부재
US20170265627A1 (en) Cosmetic applicator with aligning cap
JP2010094409A (ja) 化粧料用容器
KR200430545Y1 (ko) 매니큐어 케이스
KR100722494B1 (ko) 손톱 화장품을 위한 이중 용기
KR20150003074U (ko) 엣지부를 갖는 솔대가 구비된 마스카라 용기
KR200396882Y1 (ko) 파지감을 향상시킨 마스카라 용기
JP4449032B2 (ja) 塗布具付き容器
KR200433200Y1 (ko) 립글로스 솔대
KR200230117Y1 (ko) 색조화장용 퍼프
KR200492025Y1 (ko) 화장품 용기
KR200467811Y1 (ko) 화장품 용기
KR102185917B1 (ko) 이종 내용물이 수용되고 이중 도포수단을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288445Y1 (ko) 화장품 용기
KR200200764Y1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