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428Y1 - 양념용기의 뚜껑 - Google Patents

양념용기의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428Y1
KR200361428Y1 KR20-2004-0014983U KR20040014983U KR200361428Y1 KR 200361428 Y1 KR200361428 Y1 KR 200361428Y1 KR 20040014983 U KR20040014983 U KR 20040014983U KR 200361428 Y1 KR200361428 Y1 KR 2003614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ntainer
bottleneck
hinge member
fo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4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롯데삼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롯데삼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롯데삼강
Priority to KR20-2004-0014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4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4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4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A47G19/18Containers for delivering jam, mustard,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병목에 힌지구조로 설치되는 절첩장치를 구비하여 기밀성 및 개폐의 용이성 등을 강화시킨 양념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의 입구 둘레에 밀착되면서 입구를 밀폐시킬 수 있는 실링마개, 용기의 병목에 힌지구조로 고정되면서 밀폐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절첩장치 등을 포함하는 뚜껑을 제공함으로써, 냄새나 내용물이 새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견고한 고정력과 용이한 개폐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사용시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양념용기의 뚜껑{Cap of castor}
본 고안은 양념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용기의 입구를 밀폐시킬수 있는 실링마개와 뚜껑의 기밀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절첩장치를 구비하여 내용물이 새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춘 양념용기의 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장, 식초 등의 양념류 내용물의 냄새나 액체가 외부로 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밀폐형 뚜껑을 갖는 양념용기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단순히 패킹이 삽입된 뚜껑을 용기 입구에 결합하여 뚜껑 자체의 결합력만으로 밀폐력을 유지하는 것들이 대부분인데, 이러한 것들만으로는 충분한 밀폐력을 보장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또한, 유리병으로 만들어진 양념용기의 경우에는 뚜껑에 밀폐기능을 강화하는데 구조적 또는 기술적으로 한계가 있기 때문에 기존 대부분의 양념용기, 특히 유리병은 기밀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을 갖고 있다.
간혹, 밀폐력의 강화를 위하여 병목에 감겨져 고정되는 철제 절첩식 개폐방식의 뚜껑을 구비한 용기들이 제공되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용기들의 뚜껑들은 고정성 및 기밀성이 떨어지고 뚜껑의 개폐시 힘이 많이 드는 등 사용시 불편한 점이 많아 소비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지 못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용기의 입구 둘레에 밀착되면서 입구를 밀폐시킬 수 있는 실링마개, 용기의 병목에 힌지구조로 고정되면서 밀폐력을 부여할 수 있는 절첩장치 등을 포함하는 뚜껑을 제공함으로써, 냄새나 내용물이 새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견고한 고정력과 용이한 개폐성을 발휘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사용시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1b는 본 고안에 따른 양념용기의 뚜껑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념용기의 뚜껑에서 뚜껑의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절첩장치 11 : 용기 병목
12 : 연결부 13 : 만곡부
14 : 힌지부재 15 : 뚜껑
16 : 용기 입구 17 : 가압부재
18 : 실링마개 19 : 홀
20 : 홈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철제의 접철장치를 갖춘 양념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절첩장치는 용기 병목의 양편에 양단이 삽입 결합되어 이곳을 통해 젖힘가능한 동시에 연결부를 형성하면서 밴딩된 만곡부를 통해 용기 병목에 안착/분리되면서 잠금 및 해제가능한 힌지부재와, 뚜껑의 몸체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며 아래로 연장되는 양단은 힌지부재의 연결부에 걸려지면서 아래쪽으로 힘을 받아 뚜껑을 용기 입구에 밀착시켜주는 가압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힌지부재와 가압부재는 각각 한가닥씩의 철제 와이어를 밴딩하여 이음매가 없는 형태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은 용기 입구의 둘레에 직접 밀착되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실링마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 및 1b는 본 고안에 따른 양념용기의 뚜껑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a 및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5)의 기밀성 유지와 개폐를 위한 절첩장치(10)는 용기 병목(11)에 힌지구조로 설치되면서 밀폐력을 제공하는힌지부재(14)와 뚜껑(15)에 결합되면서 용기 입구(16)를 실질적으로 막기 위한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17)로 구성된다.
상기 힌지부재(14)은 용기 병목(11)의 서로 마주보는 양편에 형성되어 있는 홈(20)에 끼워져 지지되기 위해 양단이 일정길이 꺽여지고, 길이 중간에서 한번 벤딩되어 원형의 연결부(12)를 형성하면서 대략 90°방향으로 벤딩되어 만곡부(13)를 형성하게 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12)는 가압부재(17)의 양단을 걸어주는 부분이고, 상기 만곡부(13)는 용기 병목(11)의 한쪽 둘레에 밀착되면서 뚜껑(15)의 닫힘상태를 유지시켜주는 부분이다.
이러한 힌지부재(14)는 한가닥의 철제 와이어로 만곡부, 양쪽 연결부, 양단 꺽임부위가 일체식으로 형성되는 형태, 즉 이음매가 없는 형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힌지부재(14)는 양단부를 통해 용기 병목(11)의 양편 홈(20)에 끼워져 지지되면서 이곳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젖힘가능하게 되며, 연결부(12)를 이용하여 가압부재(17)를 아래쪽으로 당겨줄 수 있고, 만곡부(13)를 이용하여 용기 병목(11)에 밀착 지지되면서 뚜껑(15)의 전체적인 닫힘상태를 지속시켜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양념용기가 유리병인 경우에는 병목의 홈 형성 부위를 유리병 제조시 약간 두툼하게 하여 잦은 힌지부재의 조작시에도 적절한 강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압부재(17)는 힌지부재(14)로부터 힘을 받아 뚜껑(15)을 아래쪽으로눌러주는 부분으로서, 길이 중간이 뚜껑(15)에 형성되어 있는 홀(19)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뚜껑(15)과 일체식으로 결합되면서 재차 아래쪽으로 연장된 후 양단부가 꺽이면서 힌지부재(14)의 양편 연결부(12)에 각각 걸려지게 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가압부재(17)의 홀 관통부위는 유동가능한 여유가 있고 양단 연결부위 또한 연결부에 헐렁하게 걸려지게 되므로 힌지부재(14)와 연동되면서 개폐작용을 수행할 때 대부분의 간섭을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가압부재(17) 또한 상기 힌지부재(14)와 마찬가지로 한가닥의 철제 와이어로 이음매가 없는 형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15)은 경질의 플라스틱 재질로 만들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가압부재(17)와의 결합시 적절한 자체 강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뚜껑(15)에는 하단부위 외주면에 끼워지는 고무재질의 실링마개(18)가 갖추어져 있으며, 이것이 용기 입구(16)의 둘레에 직접 밀착되는 동시에 가압부재(17)로 받는 힘에 의해 약간 눌려지면서 용기 입구(16)를 완벽하게 밀폐시켜줄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양념용기의 뚜껑에서 뚜껑의 개폐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뚜껑(15)이 닫혀있는 상태에서 절첩부재(10)의 힌지부재(14)는 만곡부(13)를 용기 병목(1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한쪽, 즉 도면의 오른쪽으로 젖혀져 있게 되고, 이 상태에서 가압부재(17)의 끝이 걸려져 있는 연결부(12)가 힌지중심 부위(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를 지나는 수직선상보다 오른쪽으로 위치됨에 따라 가압부재(17)는 뚜껑(15)을 아래쪽으로 눌러주게 되며, 따라서 양념용기는 밀폐상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힌지부재(14)로부터 힘을 받아 아래로 당겨지고 있는 가압부재(17)에 의해 뚜껑(15)이 견고한 밀폐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므로 양념용기의 우수한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양념용기 속의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서 뚜껑(15)을 여는 경우, 먼저 힌지부재(14)의 연결부(12)를 화살표 방향, 즉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밀어 젖히면 가압부재(17)와 함께 힌지부재(14)가 좌측으로 회전하면서 가압부재(17)에 가해져 있었던 힘이 소멸되므로 도면의 맨 우측과 같이 뚜껑(15)을 쉽게 열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용기의 병목에 힌지구조로 설치되는 절첩장치를 포함하는 뚜껑을 제공함으로써, 용기의 매우 우수한 밀폐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사용시 절첩장치를 옆으로 젖히면 손쉽게 뚜껑을 열거나 닫을 수 있어 소비자들에게 사용시의 편리함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철제의 접철장치(10)를 갖춘 양념용기의 뚜껑에 있어서,
    상기 절첩장치(10)는 용기 병목(11)의 양편에 양단이 삽입 결합되어 이곳을 통해 젖힘가능한 동시에 연결부(12)를 형성하면서 밴딩된 만곡부(13)를 통해 용기 병목(11)에 안착/분리되면서 잠금 및 해제가능한 힌지부재(14)와, 뚜껑(15)의 몸체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결합되며 아래로 연장되는 양단은 힌지부재(14)의 연결부(12)에 걸려지면서 아래쪽으로 힘을 받아 뚜껑(15)을 용기 입구(16)에 밀착시켜주는 가압부재(17)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용기의 뚜껑.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재(14)와 가압부재(17)는 각각 한가닥씩의 철제 와이어를 밴딩하여 이음매가 없는 형태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용기의 뚜껑.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뚜껑(15)은 용기 입구(16)의 둘레에 직접 밀착되는 연질의 고무재질로 이루어진 실링마개(18)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념용기의 뚜껑.
KR20-2004-0014983U 2004-05-29 2004-05-29 양념용기의 뚜껑 KR2003614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83U KR200361428Y1 (ko) 2004-05-29 2004-05-29 양념용기의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4983U KR200361428Y1 (ko) 2004-05-29 2004-05-29 양념용기의 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428Y1 true KR200361428Y1 (ko) 2004-09-14

Family

ID=4934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4983U KR200361428Y1 (ko) 2004-05-29 2004-05-29 양념용기의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4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3652B1 (en) Closure with dispensing valve
US20060043052A1 (en) Bottle closure
US20200180819A1 (en) Cap for Containers with Improved Sealing
HUP0303572A2 (hu) Flexibilis műanyag záróelem, főként palackokhoz
CN110352166B (zh) 盖的密封结构
KR100416961B1 (ko) 개폐형 빨대
KR200361428Y1 (ko) 양념용기의 뚜껑
CN210853590U (zh) 卡压式瓶盖和瓶子
US20160257450A1 (en) Container with twist closure
KR101533639B1 (ko) 개량된 개폐구조를 갖는 병마개
KR102049523B1 (ko) 음료용 캔 용기의 덮개
KR102037523B1 (ko) 내용물 용기
JP6859777B2 (ja) スリットバルブ付きキャップ
JP3904788B2 (ja) 飲料容器
CN2923549Y (zh) 连盖瓶
CN216762803U (zh) 一种瓶盖密封结构
CN219707790U (zh) 一种分装瓶
JP3081570U (ja) 容器用密栓キャップ
JPH0417502Y2 (ko)
JPS5850759Y2 (ja) 注出栓
KR920002044Y1 (ko) 화장품 용기의 뚜껑 개폐구조
KR200207088Y1 (ko) 음식물용 밀폐용기
KR200208811Y1 (ko) 밸브식 내용물 유출장치의 밀폐구조
KR0127934Y1 (ko) 액상 내용물 수납 용기의 마개
KR200313957Y1 (ko) 뚜껑을 외부에 체결 할수 있는 내용물 위조방지용 속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