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1117Y1 - 장표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장표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1117Y1
KR200361117Y1 KR20-2004-0015760U KR20040015760U KR200361117Y1 KR 200361117 Y1 KR200361117 Y1 KR 200361117Y1 KR 20040015760 U KR20040015760 U KR 20040015760U KR 200361117 Y1 KR200361117 Y1 KR 20036111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ocument
image data
control computer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57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수
Original Assignee
(주)아산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산시스템 filed Critical (주)아산시스템
Priority to KR20-2004-00157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111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111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1117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22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 G06V30/224Character recogni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riting of printed characters having additional code marks or containing code marks
    • G06V30/2253Recognition of characters printed with magnetic 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 Character Inpu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표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각종 장표들을 소정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 처리하기 위한 장표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장표가 투입되는 장표 투입부; 상기 장표 투입부에 인접 설치되며, 가이드의 초단에서 이송되는 장표의 전면 및 후면 영상을 각각 별개로 읽어 들이고 디지털 영상 데이터화하는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 상기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장표의 전면 및 후면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버퍼에 저장하고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외부로 전송하는 영상취득 및 통신부;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전면 및 후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표본 영상과 비교하여 전면 및 후면 영상 데이터 중 필요면의 영상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소정 장표분류기준에 따라 포켓 적재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콘트롤 컴퓨터;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콘트롤 컴퓨터로부터의 적재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포켓부로 전달하는 주제어부; 및 상기 가이드의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적재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장표를 내부 포켓들 중 어느 하나의 포켓에 분리수용시키는 포켓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장표 처리 시스템{SYSTEM FOR DOCUMENT PROCESS}
본 고안은 장표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최초 장표의 투입시 별도의 전후면 정렬작업을 수행을 배제할 수 있도록 장표 영상 인식시 전후면 영상을 모두 읽어들이고 이에 따라 전후면 영상 데이터 중 필요되는 면에 대한 판단을 자체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무작위 장표 투입시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에러현상을 제거하는 한편, 각종 수납기관, 징수기관, 시험기관, 개표기관 등에서 취급되는 다양한 규격과 종류의 장표를 처리함에 있어 각각의 용도별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표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동화 시스템의 확산에 따라 수표를 비롯한 물품대금, 세금 및 공과금 청구서 그리고 시험용지나 투표용지 등을 총칭하는 장표에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바코드(barcode) 등 기계가 인식할 수 있는 문자 기호가 기록되어 있으며, 이러한 각종 수표 및 청구서와 같은 장표들은 은행이나 우체국과 같은 수납기관 및 징수기관에 회수되어 기계화처리 되게 되고 또한 시험용지나 투표용지 등은 시험기관이나 개표기관에서 회수되어 기계화처리됨으로써 과거 인력에 의지하던 각종 장표의 처리 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장표처리기의 구성을 살펴보면, 처리하고자 하는 장표가 투입되는 장표투입부와, 장표전송롤러에 의한 회전 구동력에 의해 장표를 한장씩 분리하는 장표안내부와, 엠아이씨알(MICR)에 의해 투입된 장표의 일련번호 및 그에 따른 제반정보를 판독하는 감지부와, 단말기가 장표를 인식하는데 필요한 이미지를 생성하여 해당 이미지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스캐닝부와, 상기 제1스캐닝부를 통해 전송된 장표의 처리결과에 대한 정보를 장표에 인쇄하는 회수결과처리부와, 상기 회수결과처리부의 회수처리 여부를 인쇄하는 스탬프부와, 상기 회수결과처리부의 회수처리 여부를 인쇄하는 스탬프부와, 상기 회수결과처리부를 통해 회수처리 결과가 인쇄된 장표를 이미지 데이터로 처리하여 단말기에 파일형태로 저장하는 제2스캐닝부와, 수표 또는 어음을 발행하고자 하는 경우 수표 또는 어음용 용지에 은행명 및 일련번호를 기재하는 인자부와, 회수 또는 발행처리된 장표가 분리 수용되는 포켓부로 구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종래 기술의 장표처리기는 금융기관 종사자들의 수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순 있지만, 이러한 종래의 장표처리기에서 제1스캐닝부에 장착되는 이미지센서가 상기 장표안내부의 일측면에 부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장표들을 해당 장치에 투입할 때 일일이 장표의 영상인식 타겟면을 수작업으로 정렬시켜야만 하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또한, 이러한 종래 기술의 장표처리기는 특정 적용분야에서 동작시 예를 들면, 학교의 시험성적 채점 처리시나 개표소의 개표 작업시에는 불필요한 기능들이 있어 각각의 분야에 적용시키는 경우마다 모든 모듈을 해체하고 새로운 처리 방식을 입력시켜야만 하는 구조적 문제점을 가지고 있으며, 더군다나 이러한 재처리 작업 이후에도 불필요한 모듈들 때문에 해당 분야의 장표 처리속도 저하가 필연적으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장표 영상의 인식시 장표의 전후면 영상을 모두 읽어들이고 이에 따라 전후면 영상 데이터 중 필요되는 면에 대한 판단을 자체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최초 장표의 투입시 별도의 전후면 정렬작업을 수행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장표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각종 수납기관, 징수기관, 시험기관, 개표기관등에서 취급되는 다양한 규격과 종류의 장표를 처리함에 있어 각각의 용도별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표 처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의 장표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의 전체 블럭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1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2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3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4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5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6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7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8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콘트롤 컴퓨터 200 : 장표처리장치
210 : 장표 투입부 211 : 가이드
220 : 주제어부 221 : 상태 표시부
222 : LCD 창 230 : 영상취득 및 통신부
240a : 전면 이미지 센서부 240b : 후면 이미지 센서부
250 : 자기문자 인식부 260 : 배서부
270 : 회전 스탬프부 280 : 엔코더부
290 : 포켓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장표 처리 시스템은 각종 장표들을 소정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 처리하기 위한 장표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장표가 투입되는 장표 투입부; 상기 장표 투입부에 인접 설치되며, 가이드의 초단에서 이송되는 장표의 전면 및 후면 영상을 각각 별개로 읽어 들이고 디지털 영상 데이터화하는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 상기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장표의 전면 및 후면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버퍼에 저장하고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외부로 전송하는 영상취득 및 통신부;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전면 및 후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표본 영상과 비교하여 전면 및 후면 영상 데이터 중 필요면의 영상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소정 장표분류기준에 따라 포켓 적재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콘트롤 컴퓨터;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콘트롤 컴퓨터로부터의 적재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포켓부로 전달하는 주제어부; 및 상기 가이드의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적재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장표를 내부 포켓들 중 어느 하나의 포켓에 분리수용시키는 포켓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장표에서 MICR 방식의 자기문자를 인식하는 자기문자 인식부를 더 포함하여, 장표분류를 위한 판단 기준으로 자기문자를 추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콘트롤 컴퓨터로부터의 장표처리결과 정보를 주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장표에 해당 처리결과를 문자로 색인 출력하여 인쇄시키는 배서부; 상기 콘트롤 컴퓨터로부터의 장표처리결과 정보를 주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장표에 해당 처리결과를 스탬프로 기록시키는 회전 스탬프부; 및 상기 콘트롤 컴퓨터로부터의 장표처리결과 정보를 주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장표에 해당 처리결과를 자기문자로 기록시키는 엔코더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은 최초 장표의 투입시 별도의 전후면 정렬작업을 수행을 배제할 수 있도록 장표 영상 인식시 전후면 영상을 모두 읽어들이고 이에 따른 전후면 영상 데이터 중 필요되는 면에 대한 판단을 자체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무작위 장표 투입시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에러현상을 제거하는 한편, 각종 수납기관, 징수기관, 시험기관, 개표기관 등에서 취급되는 다양한 규격과 종류의 장표를 처리함에 있어 각각의 용도별로 최적의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장표 처리 시스템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할 것이나,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의 장표처리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은 외부의 콘트롤 컴퓨터(100)와 장표처리장치(200)로 구성되어, 콘트롤 컴퓨터(100)의 제어에 따라 장표처리장치(200)로 투입되는 다양한 장표를 처리하여 분류시키게 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장표처리장치(200)의 장표 투입부(210)에 소정 장표들을 적재한 후 처리과정을 시작하면, 해당 장표들이 한장씩 자동 급지되어 가이드(211)를 따라 이송되고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로부터의 적재제어신호에 따라 포켓부(290)의 포켓들 중 어느 하나의 포켓에 수용되게 된다.
이러한 장표처리장치(200)는 보드상에 주제어부(220),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 전면 이미지 센서부(240a),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b), 자기문자 인식부(250), 배서부(260), 회전 스탬프부(270) 및 엔코더부(280)를 포함한다.
상기 장표처리장치(200)의 전면 이미지 센서부(240a)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b)는 투입되는 장표의 전면 및 후면의 영상을 각각 읽어 들이고 이를 내부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 로직을 통해 해당 장표의 영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 후 디지털신호화 하여 상기 주제어부(22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a, 240b)에서 장표 영상 포착을 위한 촬상 소자(이미지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ntact Image Sensor)가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촬상 소자를 필름 스캐너나 평판 스캐너 등과 같은 스캐너에서 사용되는 선형(Linear) CCD를 채용함으로써 해당 장표의 이미지를 흑백(B/W, 16 Gray, 256 Gray) 뿐만 아니라 칼라 영상으로도 읽어들일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해당 전후면 이미지 센서부(240a, 240b)에서는 장표의 스캔영상뿐만 아니라, OMR(Optical Mark Reader)이나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문자를 읽어들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는 내부의 이미지 캡쳐 로직을 통해 상기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a, 240b)로부터 전송된 장표의 전후면 영상 데이터를 임시 버퍼에 저장하고 일정량이 되면 SCSI 케이블을 통해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와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를 연결하여 영상 데이터의 전송을 담당하는 SCSI 케이블은 보다 빠른 데이터전송속도를 위해 FAST SCSI-Ⅱ 또는 SCSI-Ⅲ나 USB1.1 또는 2.0 방식의 통신연결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기문자 인식부(250)는 상기 가이드(211)를 따라 이송되는 장표에서 MICR(magnetic ink character recognition) 헤드를 통해 자기문자를 인식하게 되는데, 즉, 은행 수표나 각종 지로용지에 포함되는 자성 재료의 미립자를 함유한 특수 잉크(자기 잉크)로 인쇄된 문자에서 자성체를 검출하여 해당 문자를 기계적으로 인식하고 상기 주제어부(220)로 해당 자기문자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 배서부(260)는 상기 주제어부(220)로부터 배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이드(211)를 따라 이송되는 장표에 처리결과를 문자로 색인 출력하여 인쇄시키게 된다.
상기 회전 스탬프부(270)는 상기 주제어부(220)의 제어에 따라 모터를 구동시키고 해당 구동력에 의해 스탬프 롤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가이드(211)를 따라 이송되는 장표에 처리결과를 소정 스탬프 문자로 출력하여 인쇄시키게 된다.
상기 엔코더부(280)는 상기 가이드(211)를 따라 이송되는 장표에 금액 등의 문자정보를 자기문자로서 인자하게 되는데, 상기 주제어부(220)로부터 전달되는 인자데이터를 수신하고 해당 가이드(211)에서 이송되는 장표를 정지시킨 후 상기 인자데이터에 따라 리본을 회전시켜 소정 문자를 선택하고 모터 솔레노이드를 구동에 의해 해당 장표에 처리결고를 자기문자로 인자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포켓부(290)는 상기 장표들이 최종적으로 적재될 수 있는 수납공간으로서 다수의 포켓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주제어부(220)를 통하여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로부터 전달되는 장표별 적재신호를 수신하고 해당 장표별 적재신호에 따라 내부 솔레노이드의 동작으로 가이드(211)에서 이송되어 오는 장표를 각각의 포켓으로 분류하여 적재시키게 된다.
이때, 이러한 포켓부(290)는 포켓모듈별로 4개의 장표 수용용 포켓을 가지게 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포켓모듈들은 직렬형으로 삽탈가능하여 최대 8 포켓모듈, 포켓수로는 32포켓으로 확장 가능하다.
한편, 상기 주제어부(220)는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와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를 통하여 연결되어 상술한 각 부 구성을 제어하며, 또한 초기동작시 각 부 연결상태 및 이상상태를 체크하여 상태 표시부(221)를 통해 사용자에게 인지시키고 LCD 창(222)을 통해 해당 장표처리장치(20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게 된다.
이러한 장표처리장치(200)에 있어서, 최초 상기 장표 투입부로부터 말단의 상기 포켓부에 이르기까지 해당 장표가 이송되는 과정에서 해당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적용되는 다양한 용도(금융업무, 교육업무, 일반업무, 채점업무, 개표업무)에 따라 장표처리장치(200)에서 상기 각 부 구성과의 연결 셋팅을 달리 하여 해당 적용 용도에 최적화된 장표 처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도 3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양한 용도에 따른 장표처리장치의 다양한 모듈 셋팅 및 장표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1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해당 모듈 셋팅 상태는 금융기관이나 수납기관, 징수기관, 시험기관, 개표기관 등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행된 각종 장표의 단순 분류작업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해당 장표의 영상을 읽어들여 해당 장표 영상에 대한 콘트롤 컴퓨터(100)로부터의 분류기준에 따라 투입되는 장표들을 포켓부(290)로 분리 수납시키게 된다.
이때 해당 장표처리장치(200)는 필수 전용모듈로서 주제어부(220),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 전면 이미지 센서부(240a),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b) 및 포켓부(290)로 구성되게 되며, 상기 주제어부(220)가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를 통하여 SCSI 혹은 USB 방식으로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와 연결되게 된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가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를 통하여 제 1 용도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주제어부(220)는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를 통해 해당 제 1 용도 명령을 수신한다(S10).
이에 따라, 상기 주제어부(220)는 영상에 따른 장표분류를 지시하는 해당 제 1 용도 명령에 따라 필요 모듈인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 전면 이미지 센서부(240a),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b) 및 포켓부(290)의 접속상태를 인식하고 이상여부를 체크한 후 해당 제 1 용도 명령에 따른 필수 전용모듈들과의 접속 및 동작에 이상이 없음을 알리는 정상상태를 상기 상태 표시부(221) 및 LCD 창(222)으로 표시하고 해당 콘트롤 컴퓨터(100)로 알린 후 동작 대기하는 초기동작을 수행한다(S20).
다음으로, 상기 주제어부(220)는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를 통해 콘트롤 컴퓨터(100)로부터 동작개시명령을 수신하면 가이드(211)를 따라 장표 투입부(210)에 적재된 장표들을 낱장씩 이송시키는 한편, 센서를 통해 장표의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a, 240a) 진입을 확인한 상태에서 해당 전면 이미지 센서부(240a)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b)에 각각 영상신호를 인가함으로써 해당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a, 240b)로 하여금 장표의 전면 및 후면의 영상을 읽어들이고 디지털화하여 버퍼에 수집하도록 한다(S30).
다음으로, 상기 주제어부(220)는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의 버퍼에 저장된 장표의 전후면 영상데이터가 일정량이 되면 이를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로 전송한다(S40).
이에 따라,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는 전송되는 장표의 전후면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우선적으로 전송된 전면 영상데이터와 후면 영상데이터를 표본 영상데이터와 비교하여 취득하고자 하는 영상이 전면 이미지인지 후면 이미지인지 판단함으로써 전송된 전후면 영상데이터 중 필요 영상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한다(S50).
이와 같이, 가이드(211)를 따라 이송되는 장표의 영상을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a, 240b)를 통해 전후면 모두 수집한 후 필요 영상을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장표 처리시 처리개시 이전에 해당 장표의 앞뒷면을 일일이 모두 정렬하여 장치에 투입할 필요없이 무작위로 투입할 수 있게 되어, 장표 처리 전 기기 운영자가 투입되는 장표의 앞뒷면을 일일이 정렬시켜야만 하는 불필요한 과정을 생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는 상기 제 S50 단계를 통하여 선택된 해당 장표의 영상 데이터를 기입력된 처리조건에 따라 판독한다(S60).
그리고, 해당 콘트롤 컴퓨터(100)가 기지정된 분류 조건에 따라 장표적재명령을 해당 장표처리장치(200)로 전송하면, 상기 주제어부(220)는 수신된 장표적재명령에 따라 해당 장표를 포켓부(290)의 포켓 중 어느 하나에 분류 적재한다(S70).
이와 같이 단순히 장표의 영상만을 이용하여 장표를 분류시키게 되는 장표 처리 시스템의 구성에서 장표의 전후면 영상을 읽어들이기 위한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a, 240b)를 보드의 포켓부(290)측이 아닌 장표 투입부(210) 측에 인접하여 설치시킴으로써 종래 기술과는 달리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a, 240b)와 포켓부(290) 간에 충분한 장표이송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장표처리장치(100)에서는 콘트롤 컴퓨터(200)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시 해당 콘트롤 컴퓨터(200)로부터의 영상판단에 따른 적재신호를수신하기까지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되어 종래의 장치에 비해 탁월한 장표 이송 속도를 해당 시스템에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2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해당 모듈 셋팅 상태는 발행 확인이 필요한 전표류, 금융권의 수표나 회수처리되는 장표의 분류작업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우선 해당 장표의 영상을 읽어들인 후 해당 장표에 인쇄된 자기문자를 인식하여, 해당 장표 영상 및 자기문자에 대한 콘트롤 컴퓨터(100)로부터의 분류기준에 따라 투입되는 장표들을 포켓부(290)로 분리 수납시키게 된다.
이때, 해당 장표처리장치(200)는 상술한 제 1 용도에서의 주제어부(220),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 전면 이미지 센서부(240a),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b) 및 포켓부(290)에 더하여 필수 전용모듈로서 추가적으로 자기문자 인식부(25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게 되며, 상기 주제어부(220)가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를 통하여 SCSI 혹은 USB 방식으로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와 연결되게 된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자기문자 인식부(250) 외의 모듈 동작은 상기 제 1 용도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며, 다만 상술한 제 1 용도에서 S40 단계 이후에 상기 주제어부(220)가 해당 용도의 전용모듈인 자기문자 인식부(250)로 자기문자 인식 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자기문자 인식부(250)로 하여금 이송되는 장표에 인쇄된 소정 자기문자를 인식하도록 하고 이를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로 전송하는 자기문자 인식 단계가 추가적으로 진행되게 되어 해당 콘트롤 컴퓨터(100)의 장표분류를위한 판단 기준에 영상 뿐만 아니라 자기문자를 추가시키게 된다.
또한,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3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해당 모듈 셋팅 상태는 각종 교육기관에서의 수험답안(OCR 카드 또는 OMR 카드) 처리업무, 일반 산업에 있어서의 자재 입출 전표나 검사 성적서나 수납장표의 처리업무, 및 금융기관에서의 입출금 전표의 처리업무의 용도로서 해당 장표의 처리결과를 문자로 색인 출력하고 분류작업을 수행하는데 적용되게 되는데, 우선 해당 장표의 영상을 읽어들인 후 해당 장표에 처리결과에 대한 색인문자를 배서시켜, 해당 장표 영상에 대한 콘트롤 컴퓨터(100)로부터의 분류기준에 따라 투입되는 장표들을 포켓부(290)로 분리 수납시키게 된다.
이때, 해당 장표처리장치(200)는 상술한 제 1 용도에서의 주제어부(220),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 전면 이미지 센서부(240a),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b) 및 포켓부(290)에 더하여 필수 전용모듈로서 추가적으로 상기 배서부(2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게 되며, 상기 주제어부(220)가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를 통하여 SCSI 혹은 USB 방식으로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와 연결되게 된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배서부(260) 외의 모듈 동작은 상기 제 1 용도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며, 다만 상술한 제 1 용도에서 S60 단계 이후에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가 영상 데이터 판단에 따른 처리결과를 전송하면 해당 주제어부(220)가 이를 수신하여 해당 용도의 전용모듈인 배서부(260)로 처리결과인쇄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배서부(260)로 하여금 이송되는 장표에 처리결과를 문자로 색인 출력하게 되는 처리결과의 색인문자 배서 단계가 추가적으로 진행되게 되어 해당 용도의 장표들에 처리결과를 색인문자로 배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4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해당 모듈 셋팅 상태는 회수되는 금융기관에서의 개인수표 및 어음의 처리업무나 개인수표 어음 및 신권수표 발행의 처리업무 또는 일반산업에서 처리결과를 자기문자로 기록하고 분류해야 하는 장표의 처리업무 등에 적용되는 용도로서, 해당 장표의 처리결과를 자기문자로 인쇄하고 분류작업을 수행하는데 적용되게 되는데, 우선 해당 장표의 영상을 읽어들인 후 해당 장표에 처리결과에 대한 자기문자를 인쇄시켜, 해당 장표 영상에 대한 콘트롤 컴퓨터(100)로부터의 분류기준에 따라 투입되는 장표들을 포켓부(290)로 분리 수납시키게 된다.
이때, 해당 장표처리장치(200)는 상술한 제 1 용도에서의 주제어부(220),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 전면 이미지 센서부(240a),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b) 및 포켓부(290)에 더하여 필수 전용모듈로서 추가적으로 상기 엔코더부(28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게 되며, 상기 주제어부(220)가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를 통하여 SCSI 혹은 USB 방식으로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와 연결되게 된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엔코더부(280) 외의 모듈 동작은 상기 제 1 용도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며, 다만 상술한 제 1 용도에서 S60 단계 이후에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가 영상 데이터 판단에 따른 처리결과를 전송하면 해당 주제어부(220)가 이를 수신하여 해당 용도의 전용모듈인 엔코더부(280)로 처리결과인쇄 정보를전송하여 해당 엔코더부(280)로 하여금 이송되는 장표에 처리결과를 자기문자로 인쇄시키게 되는 처리결과의 자기문자 인쇄 단계가 추가적으로 진행되게 되어 해당 용도의 장표들에 처리결과를 자기문자로 인쇄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5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해당 모듈 셋팅 상태는 회수되는 금융기관에서의 개인수표 및 어음의 처리업무나 개인수표 어음 및 신권수표 발행의 처리업무 또는 일반산업에서 처리결과를 색인문자로 배서하고 확인용 스탬프로 기록하며 자기문자로 인쇄해야 하는 장표의 처리업무 등에 적용되는 용도로서, 해당 장표의 처리결과를 색인문자, 확인용 스탬프 및 자기문자로 표시하고 분류작업을 수행하는데 적용되게 되는데, 우선 해당 장표의 영상을 읽어들인 후 해당 장표에 처리결과에 대한 색인문자, 확인용 스탬프 및 자기문자를 표시시켜, 해당 장표 영상에 대한 콘트롤 컴퓨터(100)로부터의 분류기준에 따라 투입되는 장표들을 포켓부(290)로 분리 수납시키게 된다.
이때, 해당 장표처리장치(200)는 상술한 제 1 용도에서의 주제어부(220),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 전면 이미지 센서부(240a),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b) 및 포켓부(290)에 더하여 필수 전용모듈로서 추가적으로 배서부(260), 회전 스탬프부(270) 및 엔코더부(280)이 순차적으로 더 포함되어 구성되게 되며, 상기 주제어부(220)가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를 통하여 SCSI 혹은 USB 방식으로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와 연결되게 된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순차적으로 삽입되는 상기 배서부(260), 회전 스탬프부(270) 및 엔코더부(280) 외의 모듈 동작은 상기 제 1 용도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며, 다만 상술한 제 1 용도에서 S60 단계 이후에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가 영상 데이터 판단에 따른 다양한 처리결과를 전송하면 해당 주제어부(220)가 이를 수신하여 해당 용도의 전용모듈인 상기 배서부(260), 회전 스탬프부(270) 및 엔코더부(280)로 각각 소정 모듈별 처리결과를 전송하여 해당 배서부(260), 회전 스탬프부(270) 및 엔코더부(280)로 하여금 이송되는 장표에 다양한 처리결과를 색인문자로 배서하고 확인용 스탬프로 기록하며 자기문자로 인쇄하게 되는 다양한 처리결과의 모듈별 표시 단계가 추가적으로 진행되게 되어 해당 용도의 장표들에 처리결과를 색인문자, 스탬프 및 자기문자로 각각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8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6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해당 모듈 셋팅 상태는 회수되는 금융기관에서의 개인수표 및 어음의 처리업무나 개인수표 어음 및 신권수표 발행의 처리업무 또는 일반산업에서 처리결과를 색인문자로 배서하여 분류해야 하는 장표의 처리업무 등에 적용되는 용도로서, 우선 해당 장표의 영상을 읽어들인 후 해당 장표에 인쇄된 자기문자를 인식하고, 해당 장표에 처리결과에 대한 색인문자를 배서시켜, 해당 장표 영상에 대한 콘트롤 컴퓨터(100)로부터의 분류기준에 따라 투입되는 장표들을 포켓부(290)로 분리 수납시키게 된다.
이때, 해당 장표처리장치(200)는 상술한 제 1 용도에서의 주제어부(220),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 전면 이미지 센서부(240a),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b) 및 포켓부(290)에 더하여 필수 전용모듈로서 추가적으로 상기 자기문자 인식부(250) 및 배서부(26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게 되며, 상기 주제어부(220)가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를 통하여 SCSI 혹은 USB 방식으로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와 연결되게 된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자기문자 인식부(250) 및 배서부(260) 외의 모듈 동작은 상기 제 1 용도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며, 다만 상술한 제 1 용도에서 S40 단계 이후에 상기 주제어부(220)가 해당 용도의 전용모듈인 자기문자 인식부(250)로 자기문자 인식 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자기문자 인식부(250)로 하여금 이송되는 장표에 인쇄된 소정 자기문자를 인식하도록 하고 이를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로 전송하는 자기문자 인식 단계가 추가적으로 진행되게 되고, 또한 S60 단계 이후에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가 영상 데이터 및 자기문자에 대한 판단에 따른 처리결과를 전송하면 해당 주제어부(220)가 이를 수신하여 해당 용도의 전용모듈인 배서부(260)로 처리결과인쇄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배서부(260)로 하여금 이송되는 장표에 처리결과를 문자로 색인 출력하게 되는 처리결과의 색인문자 배서 단계가 추가적으로 진행되게 됨으로써 해당 콘트롤 컴퓨터(100)의 장표분류를 위한 판단 기준에 영상 뿐만 아니라 자기문자를 추가시키는 한편, 해당 용도의 장표들에 처리결과를 색인문자로 배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는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7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해당 모듈 셋팅 상태는 회수되는 금융기관에서의 개인수표 및 어음의 처리업무나 개인수표 어음 및 신권수표 발행의 처리업무 또는 일반산업에서 처리결과를 확인용 스탬프로 기록해야 하는 장표의 처리업무에 적용되는 용도로서, 해당 장표의 처리결과를 확인용 스탬프로 기록하고 분류작업을 수행하는데 적용되게 되는데, 우선 해당 장표의 영상을 읽어들인 후 해당 장표에 처리결과에 대한 확인용 스탬프를 기록하여, 해당 장표 영상에 대한 콘트롤 컴퓨터(100)로부터의 분류기준에 따라 투입되는 장표들을 포켓부(290)로 분리 수납시키게 된다.
이때, 해당 장표처리장치(200)는 상술한 제 1 용도에서의 주제어부(220),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 전면 이미지 센서부(240a),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b) 및 포켓부(290)에 더하여 필수 전용모듈로서 추가적으로 회전 스탬프부(27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되게 되며, 상기 주제어부(220)가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를 통하여 SCSI 혹은 USB 방식으로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와 연결되게 된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삽입되는 상기 회전 스탬프부(270) 외의 모듈 동작은 상기 제 1 용도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며, 다만 상술한 제 1 용도에서 S60 단계 이후에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가 영상 데이터 판단에 따른 처리결과를 전송하면 해당 주제어부(220)가 이를 수신하여 해당 용도의 전용모듈인 상기 회전 스탬프부(270)로 소정 처리결과를 전송하여 해당 회전 스탬프부(270)로 하여금 이송되는 장표에 처리결과를 확인용 스탬프로 기록하게 되는 처리결과의 스탬프 기록 단계가 추가적으로 진행되게 되어 해당 용도의 장표들에 처리결과를 스탬프로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0은 본 고안이 적용된 장표 처리 시스템이 제 8 용도에 적용되는 경우에 대한 모듈 셋팅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해당 모듈 셋팅 상태는 회수되는 금융기관에서의 개인수표 및 어음의 처리업무나 개인수표 어음 및 신권수표 발행의 처리업무 또는 일반산업에서 처리결과를 색인문자와 자기문자로 배서하여 분류해야 하는 장표의 처리업무 등에 적용되는 용도로서, 우선 해당 장표의 영상을 읽어들인 후 해당 장표에 인쇄된 자기문자를 인식하고, 해당 장표에 처리결과에 대한 색인문자 및 자기문자를 표시시켜, 해당 장표 영상에 대한 콘트롤 컴퓨터(100)로부터의 분류기준에 따라 투입되는 장표들을 포켓부(290)로 분리 수납시키게 된다.
이때, 해당 장표처리장치(200)는 상술한 제 1 용도에서의 주제어부(220),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 전면 이미지 센서부(240a), 후면 이미지 센서부(240b) 및 포켓부(290)에 더하여 필수 전용모듈로서 추가적으로 상기 자기문자 인식부(250), 배서부(260) 및 엔코더부(28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게 되며, 상기 주제어부(220)가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230)를 통하여 SCSI 혹은 USB 방식으로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와 연결되게 된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상기 자기문자 인식부(250), 배서부(260) 및 엔코더부(280) 외의 모듈 동작은 상기 제 1 용도에서의 동작과 동일하며, 다만 상술한 제 1 용도에서 S40 단계 이후에 상기 주제어부(220)가 해당 용도의 전용모듈인 자기문자 인식부(250)로 자기문자 인식 명령을 전송하여 해당 자기문자 인식부(250)로 하여금 이송되는 장표에 인쇄된 소정 자기문자를 인식하도록 하고이를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로 전송하는 자기문자 인식 단계가 추가적으로 진행되게 되고, 또한 S60 단계 이후에 상기 콘트롤 컴퓨터(100)가 영상 데이터 및 자기문자에 대한 판단에 따른 처리결과를 전송하면 해당 주제어부(220)가 이를 수신하여 해당 용도의 전용모듈인 배서부(260) 및 엔코더부(280)로 각각 소정 모듈별 처리결과를 전송하여 해당 배서부(260) 및 엔코더부(280)로 하여금 이송되는 장표에 다양한 처리결과를 색인문자로 배서하고 자기문자로 인쇄하게 되는 다양한 처리결과의 모듈별 표시 단계가 추가적으로 진행되게 되어 해당 용도의 장표들에 처리결과를 색인문자 및 자기문자로 각각 표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술한 용도들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장표 처리 시스템은 각종 수납기관, 징수기관, 시험기관, 개표기관 등에서 취급되는 다양한 규격과 종류의 장표를 처리함에 있어 영상 데이터에 따른 분류 적재가 가능하게 되는 기본 모듈 구성에 각각의 용도별로 필요되는 모듈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삽탈하여 최적화시키거나 또는 모든 모듈을 통합적으로 구성한 후 해당 용도에 따라 수신되는 용도제어명령별로 최적화된 내부 모듈만을 자체 인식하여 시스템을 최적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장표 처리 업무별로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나타난 장표 처리 시스템은 장표 영상 인식시 전후면 영상을 모두 읽어들이고 이에 따라 전후면 영상 데이터 중 필요되는 면에 대한 판단을 자체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최초 장표의 투입시 사용자가 직접 별도로 전후면 정렬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고 또한 무작위 장표 투입시에 발생하는 불필요한 에러현상을 제거할 수 있어서 장표처리업무의 속도 및 업무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송되는 장표의 전후면 영상을 인식하는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를 보드의 포켓부측이 아닌 장표 투입부측에 인접하여 설치시킴으로써 종래 기술과는 달리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와 포켓부 간에 충분한 장표이송거리를 확보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장표처리장치에서는 콘트롤 컴퓨터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고 다시 해당 콘트롤 컴퓨터로부터의 영상판단에 따른 적재신호를 수신하기까지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되어 종래의 장치에 비해 탁월한 장표 이송 속도를 해당 시스템에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종 수납기관, 징수기관, 시험기관, 개표기관 등에서 취급되는 다양한 규격과 종류의 장표를 처리함에 있어 영상 데이터에 따른 분류 적재가 가능하게 되는 기본 모듈 구성에 각각의 용도별로 필요되는 모듈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삽탈하여 최적화시키거나 또는 모든 모듈을 통합적으로 구성한 후 해당 용도에 따라 최적화된 내부 모듈만을 자체 인식하여 시스템을 최적화시킴으로써 다양한 장표 처리 업무별로 업무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각종 장표들을 소정 분류 기준에 따라 분류 처리하기 위한 장표 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장표가 투입되는 장표 투입부;
    상기 장표 투입부에 인접 설치되며, 가이드의 초단에서 이송되는 장표의 전면 및 후면 영상을 각각 별개로 읽어 들이고 디지털 영상 데이터화하는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
    상기 전면 및 후면 이미지 센서부로부터 장표의 전면 및 후면 영상 데이터를 전달받아 버퍼에 저장하고 일정량 이상 저장되면 외부로 전송하는 영상취득 및 통신부;
    상기 영상취득 및 통신부로부터 전송된 전면 및 후면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표본 영상과 비교하여 전면 및 후면 영상 데이터 중 필요면의 영상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 이상 선택하고,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소정 장표분류기준에 따라 포켓 적재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콘트롤 컴퓨터;
    상기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며, 상기 콘트롤 컴퓨터로부터의 적재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포켓부로 전달하는 주제어부; 및
    상기 가이드의 말단에 설치되며, 상기 주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적재제어 신호에 따라 해당 장표를 내부 포켓들 중 어느 하나의 포켓에 분리수용시키는 포켓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처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장표에서 MICR 방식의 자기문자를 인식하는 자기문자 인식부를 더 포함하여, 장표분류를 위한 판단 기준으로 자기문자를 추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처리 시스템.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컴퓨터로부터의 장표처리결과 정보를 주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장표에 해당 처리결과를 문자로 색인 출력하여 인쇄시키는 배서부;
    상기 콘트롤 컴퓨터로부터의 장표처리결과 정보를 주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장표에 해당 처리결과를 스탬프로 기록시키는 회전 스탬프부;
    상기 콘트롤 컴퓨터로부터의 장표처리결과 정보를 주제어부를 통해 전달받아 가이드를 따라 이송되는 장표에 해당 처리결과를 자기문자로 기록시키는 엔코더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표 처리 시스템.
KR20-2004-0015760U 2004-06-05 2004-06-05 장표 처리 시스템 KR20036111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760U KR200361117Y1 (ko) 2004-06-05 2004-06-05 장표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5760U KR200361117Y1 (ko) 2004-06-05 2004-06-05 장표 처리 시스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1159A Division KR20050115755A (ko) 2004-06-05 2004-06-05 장표 처리 시스템 및 장표 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1117Y1 true KR200361117Y1 (ko) 2004-09-07

Family

ID=4943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5760U KR200361117Y1 (ko) 2004-06-05 2004-06-05 장표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111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5755A (ko) * 2004-06-05 2005-12-08 (주)아산시스템 장표 처리 시스템 및 장표 처리 방법
KR100994079B1 (ko) 2010-04-12 2010-11-12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전자개표장치
KR101031335B1 (ko) 2009-08-07 2011-04-29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전자개표장치
KR101183672B1 (ko) * 2011-04-22 2012-09-17 주식회사 푸른기술 Ocr형 판독소인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5755A (ko) * 2004-06-05 2005-12-08 (주)아산시스템 장표 처리 시스템 및 장표 처리 방법
KR101031335B1 (ko) 2009-08-07 2011-04-29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전자개표장치
KR100994079B1 (ko) 2010-04-12 2010-11-12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전자개표장치
KR101183672B1 (ko) * 2011-04-22 2012-09-17 주식회사 푸른기술 Ocr형 판독소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1525A (en) System and method for extraction of data from documents for subsequent processing
US5452379A (en) Image capture and storage techniques in association with optical mark reading
US5444794A (en) Check image capture system
US5344132A (en) Image based document processing and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apparatus
EP00113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ocuments
RU2471305C2 (ru) Выборочное графическое представление данных, печатаемых на финансовых инструментах
CN101282395B (zh) 图像处理系统及图像处理方法
CN1365482A (zh) 用于数据传输和检索的条形码的自动产生
JPH01161490A (ja) イメージ分解原稿照合システム
EP1798665A2 (en) Print inspecting apparatus
US7626715B2 (en) Joined front end and back end document processing
EP0777375A2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network distribution of record data using transmittal symbols hand entered on a transmittal sheet
KR200361117Y1 (ko) 장표 처리 시스템
KR20050115755A (ko) 장표 처리 시스템 및 장표 처리 방법
CA3017659A1 (en) Ballot adjudication system and method
JP7234705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CN210617624U (zh) 一种审核打印扫描盖章一体机
US8223367B2 (en)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reating an image of information identifying a document
KR200195996Y1 (ko) 장표처리장치
US6049637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data capture of sequential form numbers at a collator/press assembly machine using an optical reader which does not capture an image of the form number
KR200261830Y1 (ko) 바코드가 인쇄된 지로용지의 대량 접수장치
US20050052672A1 (en) Method and system to seamlessly capture and integrate text and image information
KR100360329B1 (ko) 다기능 장표처리장치
JP3859263B2 (ja) 伝票用紙と専用用紙の使用方法
KR20040063105A (ko) 신용카드 전표 처리 방법 및 그 방법 개선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8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